영광군·함평군·장성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광군·함평군·장성군은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영광군, 함평군, 장성군이 하나의 선거구로 통합되어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영광군, 함평군은 함평군·영광군 선거구로, 장성군은 담양군과 함께 담양군·장성군 선거구로 분리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윤인식, 이진연, 김재식, 조기상, 이원형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성군의 정치 -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은 19대 총선 이후 전라남도 선거구 개편으로 신설된 선거구로, 민주당 계열 정당 후보가 우세를 보여왔으나 최근 선거에서는 반민주당 정서도 나타나고 있다. - 장성군의 정치 - 장성군수 선거
장성군수 선거는 장성군수를 선출하기 위해 1995년부터 치러졌으며, 김흥식, 유두석 등이 군수를 역임했고, 2022년에는 김한종 후보가 당선되었다. - 영광군 (전라남도)의 정치 -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은 19대 총선 이후 전라남도 선거구 개편으로 신설된 선거구로, 민주당 계열 정당 후보가 우세를 보여왔으나 최근 선거에서는 반민주당 정서도 나타나고 있다. - 영광군 (전라남도)의 정치 - 함평군·영광군
함평군·영광군 선거구는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영광군·함평군·장성군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가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장성군이 편입되어 함평군·영광군·장성군 선거구를 이루면서 폐지된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함평군의 정치 -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은 19대 총선 이후 전라남도 선거구 개편으로 신설된 선거구로, 민주당 계열 정당 후보가 우세를 보여왔으나 최근 선거에서는 반민주당 정서도 나타나고 있다. - 함평군의 정치 - 함평군수 선거
함평군수 선거는 함평군수를 선출하는 선거로, 1995년 시작되어 이석형이 3번, 안병호와 이상익이 각각 2번 당선되었으며, 2020년과 제8회 선거에서는 이상익이 당선되었다.
영광군·함평군·장성군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영광군·함평군·장성군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전라남도 |
연도 | 1973 |
폐지 | 1988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영광군 함평군 담양군·장성군 |
이후 선거구 | 함평군·영광군 담양군·장성군 |
의원수 | 2인 |
2. 역사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영광군, 함평군, 장성군이 하나의 선거구로 통합되어 신설되었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영광군, 함평군은 함평군·영광군 선거구로, 장성군은 담양군과 함께 담양군·장성군 선거구로 분리되면서 폐지되었다.
영광군·함평군·장성군 선거구에서는 총 4번의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1973년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윤인식 후보와 신민당 이진연 후보가, 1978년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김재식 후보와 신민당 이진연 후보가 당선되었다. 1981년 선거에서는 민주정의당 조기상 후보와 신정당 이원형 후보가, 1985년 선거에서는 민주정의당 조기상 후보와 민주한국당 이진연 후보가 당선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4. 역대 선거 결과
9대 총선부터 12대 총선까지 영광군, 함평군, 장성군 지역구에서 시행된 국회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9대 총선 (1973년): 민주공화당 윤인식 후보와 신민당 이진연 후보 당선.
- 10대 총선 (1978년): 민주공화당 김재식 후보와 신민당 이진연 후보 당선.
- 11대 총선 (1981년): 민주정의당 조기상 후보와 신정당 이원형 후보 당선.
- 12대 총선 (1985년): 민주정의당 조기상 후보와 민주한국당 이진연 후보 당선.
4. 1. 제9대 국회의원 선거 (1973년)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윤인식 후보와 신민당 이진연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윤인식 | 민주공화당 | 45,492 | 34.12% |
이진연 | 신민당 | 32,387 | 24.29% |
정헌조 | 무소속 | 31,263 | 23.45% |
김상복 | 민주통일당 | 24,150 | 18.11% |
합계 | 133,292 | 100% | |
무효표 | 2,960 | ||
유권자 | 177,715 |
4. 2.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1978년)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김재식 후보와 신민당 이진연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재식 | 민주공화당 | 60,339 | 42.78 |
이진연 | 신민당 | 37,723 | 26.75 |
조기상 | 민주통일당 | 37,531 | 26.61 |
김연관 | 무소속 | 5,421 | 3.84 |
합계 | 141,014 | 100 | |
무효표 | 2,665 | ||
유권자 | 170,313 |
4. 3.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1981년)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조기상 후보와 신정당 이원형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조기상 | 민주정의당 | 39,241 | 28.61 |
이원형 | 신정당 | 30,256 | 22.06 |
이진연 | 민주한국당 | 26,582 | 19.38 |
윤인식 | 한국국민당 | 17,256 | 12.58 |
김상복 | 민권당 | 16,718 | 12.19 |
안종필 | 원일민립당 | 3,766 | 2.74 |
김연관 | 사회당1981 | 3,315 | 2.41 |
합계 | 137,134 | 100 | |
무효표 | 2,327 | - |
4. 4.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1985년)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조기상 후보와 민주한국당 이진연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조기상 | 민주정의당 | 48,840 | 33.86 |
이진연 | 민주한국당 | 33,477 | 23.20 |
백상규 | 한국국민당 | 27,741 | 19.23 |
이원형 | 신정사회당 | 25,707 | 17.82 |
김상복 | 신한민주당 | 8,473 | 5.87 |
합계 | 144,238 | 100 | |
무효표 | 2,679 | ||
유권자 | 164,743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