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한국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주한국당은 1981년 1월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1980년 신군부에 의해 강제 해산된 신민당 출신 정치인들이 주도하여 설립되었다. 유치송이 초대 총재를 맡았으며, 1981년 제12대 대통령 선거에서 2위를 차지했다. 같은 해 치러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제2당의 지위를 얻었으나, 관제 야당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1985년 신한민주당 창당 이후 의원들의 탈당으로 세력이 위축되었고, 1987년 총선에서 유치송을 포함한 후보 전원이 낙선하면서 정당 등록이 취소되어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 원내정당 - 한국국민당 (1981년)
한국국민당은 1981년 김종철을 중심으로 창당되어 제11대 총선에서 제3당이 되었으나, 분열과 의석 상실로 1988년 해산된 정당이다. -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 원내정당 -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은 전두환을 총재로 추대하여 창당, 1980년대 집권 여당으로 군림하다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에 흡수된 정당이다. - 1988년 해산된 정당 - 자유당 (영국)
휘그당을 전신으로 하는 영국의 자유당은 1859년부터 공식적으로 불렸으며, 1920년대까지 보수당과 함께 양대 정당으로서 수상을 배출했으나 노동당의 성장과 아일랜드 자치 문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쇠퇴하여 1988년 사회민주당과 합당, 자유민주당으로 개편되었다. - 1988년 해산된 정당 - 신한민주당
신한민주당은 1985년 창당되어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제1야당으로 부상했으나, 이민우 구상 발표 이후 분열되어 1988년 정당 등록이 취소되었다. -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 원내정당 - 평화민주당
평화민주당은 김대중을 중심으로 1987년 창당되어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제1야당으로 부상하였고, 민주화 운동과 사회 개혁을 추진하다가 신민주연합당으로 당명을 변경, 꼬마민주당과 합당하여 민주당으로 재편되었으며, 2010년 재창당되었으나 2012년 소멸된 정당이다. -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 원내정당 - 통일민주당
통일민주당은 1987년 김영삼과 김대중에 의해 창당되어 김영삼이 총재를 맡았으며, 1987년 대통령 선거에서 낙선하고 1988년 총선에서 59석을 얻었으며, 1990년 민주자유당으로 합당하며 소멸했다.
민주한국당 | |
---|---|
기본 정보 | |
![]() | |
![]() | |
창당 | 1981년 1월 17일 |
해산 | 1988년 4월 29일 |
본부 | 서울, 대한민국 |
이념 | 자유주의 (대한민국) |
로마자 표기 | Minjuhangukdang |
한글 표기 | 민주한국당 |
한자 표기 | 民主韓國黨 |
약칭 | 민한당 |
정치 | |
스펙트럼 | 중도 ~ 중도우파 |
선행 조직 | 신민당 |
분당 후 | 신한민주당 |
기타 | |
상징색 | 빨강 |
2. 역사
1980년 11월 22일 전직 신민당 당원 14명의 회합 이후 1981년 1월 17일에 창당되었다.[1] 유치송이 당 대표로 선출되었고, 1981년 2월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전두환 대통령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1981년 3월 총선에서 21.6%의 득표율로 81석을 차지하며 민정당에 이어 제2당이 되었다. 그러나 전두환 정부의 통제하에 있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었고, 김대중, 김영삼은 선거 출마가 금지되었기에 민주한국당을 인정하지 않았다.
1985년 총선에서 35석으로 의석수가 줄었고, 1988년 총선에서는 득표율이 0.2%에 그치며 의석을 확보하지 못해 1988년 4월 29일에 해산되었다.[2]
2. 1. 창당 배경 및 과정
12·12 사태와 5·17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전두환 신군부는 정치 쇄신을 명분으로 기존 정당들을 해산하고 정치인들의 활동을 규제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80년 11월 25일, 정치 규제에서 풀려난 신민당 출신 의원 14명은 11월 27일 민주한국당 창당발기준비위원회를 구성하였다.[3]1981년 1월 17일, 민주한국당은 창당대회를 열고 유치송을 총재 및 제12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추대하였다.[1] 민주한국당은 전두환 정권의 정당 간 민주적 경쟁 구색을 맞추기 위한 위성정당, 이른바 '관제 야당'으로 평가받는다. 이러한 이유로, 야당이지만 여당에 우호적인 정당이라는 의미로 ‘사쿠라 야당’이라고 비웃음을 받기도 했다.
2. 2. 제5공화국 시기 활동
1981년 2월 제12대 대통령선거에서 유치송 후보는 7.7%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했다.[4] 같은 해 3월에 치러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한국당이 21.6%의 득표율로 81석(지역구와 전국구 포함)을 확보하여 제1야당이 되었다.[4] 그러나 민주한국당은 국가안전기획부(안기부)의 자금 지원을 받아 창당된 사실상의 관제 야당이었기 때문에, 정권 견제라는 야당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4] 김대중, 김영삼 등 주요 야권 인사들은 민주한국당을 인정하지 않았다.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1984년 정치활동 금지에서 해제된 인사들이 신한민주당을 창당하자, 민주한국당 소속 의원 10여 명이 탈당하여 신한민주당으로 옮겨갔다.[4] 제12대 총선에서 민주한국당은 35석을 얻는 데 그쳐 신한민주당에 제1야당 자리를 내주었다.[4]
2. 3. 몰락과 해산
1987년 6월 민주 항쟁 이후 치러진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총재 유치송을 비롯한 후보자 전원이 낙선하여, 정당법에 따라 정당 등록이 취소되었다.[1] 이후 당은 통일민주당에 흡수되었다.[1]3. 역대 지도부
대수 | 역대 대표 | 직함 | 임기 | 비고 |
---|---|---|---|---|
1 | 유치송 | 총재 | 1981년 1월 17일 ~ 1983년 2월 9일 | |
2 | 유치송 | 총재 | 1983년 2월 9일 ~ 1985년 3월 29일 | |
3 | 조윤형 | 총재 | 1985년 3월 29일 ~ 1985년 4월 30일 | 무조건 통합 추진으로 제명 |
임시 | 김준섭 | 총재권한대행 | 1985년 3월 29일 ~ 1985년 9월 12일 | 조윤형 제명으로 대행 |
4 | 유치송 | 총재 | 1985년 9월 12일 ~ 1988년 4월 26일 | 득표미달로 당 해산 |
4. 평가 및 비판
민주한국당은 전두환 정권의 통제 하에 있었다는 태생적 한계로 인해 '관제 야당', '위성 정당'이라는 비판을 받았다.[1] 군부 독재에 대한 미온적인 태도와 정권 견제 기능 미흡으로 인해 국민들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 당시 야권 인사들에게는 '사쿠라 야당'(여당에 우호적인 야당을 비꼬는 말)이라고 조롱받기도 했다.
12·12 사태와 5·17 쿠데타로 집권한 전두환 대통령은 「정치풍토 쇄신을 위한 특별조치법」을 제정하여 정치 활동을 금지시켰는데, 민주한국당은 이 조치의 대상이 되지 않은 구 신민당 온건파 정치인들을 중심으로 1981년 1월 17일 창당되었다.[1] 유치송이 초대 총재 겸 대통령 후보로 추대되었으며, 평화적인 정권교체를 내걸었지만, 군부의 정치 개입을 용인하는 태도를 보이는 등 친여당적 성격이 강했다.
김대중과 김영삼은 선거 출마가 금지되었기에 민주한국당을 인정하지 않았다.[1]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민주당계 정당에서는 민주한국당을 민주당계 정당의 역사에 포함시키지 않고 있다.
5. 역대 선거 결과
대 | 날짜 | 의석 수 | 득표율 | ||
---|---|---|---|---|---|
합계 | 지역구 | 비례대표 | |||
제11대 총선 | 1981년 3월 25일 | 81 | 57 | 24 | 21.6% |
제12대 총선 | 1985년 2월 12일 | 35 | 26 | 9 | 19.7% |
제13대 총선 | 1988년 4월 26일 | 0 | 0 | 0 | 0.2% |
5. 1. 대통령 선거
1981년 제12대 대통령 선거에 유치송을 후보로 내세워 참여했으나, 7.7%를 얻어 2위에 그쳐 낙선했다.[1]선거명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결과 |
---|---|---|---|---|---|
제12대 대통령 선거 | 유치송 | 404표 | 7.7% | 2위 | 낙선 |
5. 2. 국회의원 선거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은 21.6%의 득표율로 총 81석(지역구 57석, 전국구 24석)을 확보하여 제2당이 되었다.[1] 그러나 민주한국당은 안기부의 지원을 받아 창당된 관제 야당이라는 비판을 받았으며, 정권을 견제하는 야당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4]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35석(지역구 26석, 전국구 9석)을 얻는 데 그쳐 신한민주당에 제1야당의 자리를 내주었다. 이후 소속 의원들의 탈당이 이어지면서 군소 정당으로 전락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득표율 0.2%로 단 한 석도 얻지 못하고 원외정당이 되었다.[2] 결국 1988년 4월 29일에 당이 해산되었다.
선거 | 대표 | 득표수 | 득표율 (%) | 의석 수 | 순위 | 상태 | ||
---|---|---|---|---|---|---|---|---|
지역구 | 전국구 | 합계 | ||||||
1981년 | 유치송 | 3,495,829 | 21.57 | 57 | 24 | 81 | 2위 | 야당 |
1985년 | 3,930,966 | 19.68 | 26 | 9 | 35 | 3위 | 야당 | |
1988년 | 32,799 | 0.17 | 0 | 0 | 0 | 9위 | 원외정당 |
6. 역대 전당대회
민주한국당은 창당 이후 총 4번의 전당대회를 개최했다.
- 1981년 1월: 유치송 전 신민당 최고위원을 당 총재 및 대한민국 제12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추대했다.[3]
- 1983년 2월: 유치송 총재를 재추대하고, 당의 정강 및 당면 정책을 수정하였다.[1]
- 1985년 3월: 조윤형 후보가 총재로 당선되었다.
- 1985년 4월: 당내 반발로 무조건 통합을 추진한 조윤형 총재를 제명시켰다.
- 1985년 9월: 유치송 전 총재를 새 총재로 추대했다.
6. 1. 1981년 1월 민주한국당 창당대회
1980년 11월 25일 정치 규제에서 풀려난 14명의 전 신민당 의원들은 11월 27일 뉴서울호텔에서 민주한국당 창당발기준비위원회를 구성했다.[3] 1981년 1월 17일 민주한국당은 창당대회를 열고 유치송 전 신민당 최고위원을 당 총재 및 대한민국 제12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추대했다. 민주한국당은 소극적인 정치 참여를 약속하고 등장한 관제야당이었으며, 탄생부터 제대로 된 야당 기능을 하지 못하였다.[3]6. 2. 1983년 2월 민주한국당 제2차 정기 전당대회
1983년 2월 9일 민주한국당은 제2차 정기 전당대회를 열어 유치송 총재를 재추대하고, 당의 정강 및 당면 정책을 수정하였다.[1]6. 3. 1985년 3월 민주한국당 제3차 정기 전당대회
1985년 3월 27일 민주한국당 전당대회는 지도체제와 관련된 모든 당헌개정안과 박일 의원의 야권통합추진수권위원회구성안을 부결시키고 '체제정비 후 통합'을 결의했다. 이에 박일 의원은 조윤형 후보를 지지하며 총재 경선에서 사퇴했다.
1차 투표 결과 과반득표자는 없었으나 유한열 후보와 한영수 후보가 사퇴하면서 조윤형 후보가 총재로 당선되었다. 전당대회는 대통령 직선제 관철 등을 담은 3개항의 결의문을 채택했으며 야권통합추진수권위 인선을 조윤형 총재에게 위임했다.
6. 4. 1985년 4월 민주한국당 임시 전당대회
1985년 4월 30일 민주한국당은 임시 전당대회를 열고 3차 전당대회에서의 '체제 정비 후 통합' 결의를 무시하고 무조건 통합을 추진한 조윤형 총재를 제명시켰다.6. 5. 1985년 9월 민주한국당 임시 전당대회
1985년 9월 12일 민주한국당 임시 전당대회는 제명된 조윤형 총재를 대신해 유치송 전 총재를 새 총재로 추대했다. 이와 함께, 대통령 직선제 개헌과 학원안정법 철회 투쟁, 당 문호 개방, 야권 통합 등을 결의했다.참조
[1]
서적
Political parties of Asia and the Pacific
Greenwood Press
[2]
문서
大韓民國選擧史
http://goodofall.org[...]
[3]
웹인용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019-04-01
[4]
웹인용
"신당만이 왜 야당입니까" 유치송 민한당 총재
https://www.joongang[...]
2019-04-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