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예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예인선은 다른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을 예인하는 데 사용되는 선박이다. 항해용 예인선, 항만 예인선, 하천 예인선으로 분류되며, 각각 원양, 항만, 하천에서 주로 사용된다. 예인선은 강력한 엔진과 특수한 추진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작업 시 로프나 와이어를 사용하거나 직접 밀어 대상 선박을 이동시킨다. 대중문화 속에서도 다양한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만시설 - 갠트리 크레인
    갠트리 크레인은 문형 구조물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들어올리거나 작업 영역을 이동하는 크레인으로, 항만에서 컨테이너 운반에 주로 사용되며 조선소나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효율적인 화물 처리 및 운반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경제적 의의를 지닌다.
  • 항만시설 - 컨테이너 터미널
    컨테이너 터미널은 컨테이너 선박의 접안, 하역, 보관을 위해 안벽, 야드, 게이트 구역 등으로 구성되며, 갠트리 크레인, 스트래들 캐리어 등을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처리하고, TEU 단위로 규모를 나타내며, 국제 물류 발전에 따라 시설 확충 및 자동화 노력이 이루어진다.
  • 선박의 종류 - 소방선
    소방선은 해상 화재 진압 및 구조 활동을 위해 설계된 선박이며, 방수총, 소화 설비 등을 갖추고 항만, 하천 등에서 운용되며, 대한민국에서는 해양경비와 소방안전본부 소속 소방정대가 24시간 선박 및 연안 화재, 수난구조 등에 출동한다.
  • 선박의 종류 - 프리깃
    프리깃은 대항해시대의 빠른 범선 군함에서 유래하여 현대에는 대잠전, 대공 방어, 정찰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유도 미사일과 헬리콥터 등을 탑재하여 각국 해군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예인선
개요
정의다른 선박을 밀거나 끌어서 조종하는 선박
용도항구, 운하, 강에서 선박을 이동
좌초된 선박 구조
화재 진압
해상 건설 지원
특징
선체튼튼하게 제작되어 충격에 강함
엔진강력한 엔진 장착
견인 장치선박을 끌기 위한 견인 갈고리 또는 윈치 장착
크기작은 크기로 좁은 공간에서 기동 용이
종류
항구 예인선항구 내에서 선박을 조종
해양 예인선먼 거리를 항해하는 선박을 예인
강 예인선강에서 바지선 및 기타 선박을 이동
빙해 예인선얼음을 깨고 항로를 확보
구조 작업
역할좌초된 선박을 예인하여 구조
소화 작업소방 장비를 갖추어 선박 화재 진압 지원
기타 작업
해상 건설해상 구조물 건설 및 유지 보수 지원
바지선 운송바지선을 예인하여 화물 운송

2. 종류

예인선은 작업 환경과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크기는 항만에서 선박의 접안 및 이안을 돕거나, 하천이나 운하에서 바지 등을 움직이는 데 사용되는 수십 톤급 소형부터, 외해에서 해난 구조, 대형 플랜트 해상 수송 등에 사용되는 수천 톤급 대형(오션 태그)까지 다양하다.

선체를 수송 대상에 직접 접촉시켜 밀기도 하므로, 선체 외주에는 낡은 타이어나 수지 등 완충재(펜더)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성을 위해 작업 데크는 낮은 위치에 설치된 배가 많으며, 소형 예인선은 악천후에 강하지 않다.

예인선은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오션 태그 (대형 예인선): 외해에서 항해가 가능하며, 악천후 시 해난 대응, 예인 작업 등을 실시한다.
  • 예선 겸 방재선/과학 소방선: 방수탑 및 방수총과 소화제 등을 갖추고 소방선 역할을 한다. (일본 도쿄만, 이세만, 오사카만, 세토 내해 등 임해부 공업 지대의 하버 태그보트에 많다)
  • 소형 예인선: 독 등 기지에서 멀지 않은 곳에서 선박의 입출거 및 안벽 접이안 등을 지원한다.
  • 특수 예인선: 자위대가 함정의 출입항 등을 지원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다.
  • 기타: 예인선에서 파생된 형태의 소방선 등이 존재한다.

2. 1. 항해용 예인선 (Seagoing Tugboat)

관절 예인선 및 바지선 (ATB)


항해 예인선(원양 예인선 또는 해양 예인선)은 다음의 네 가지 기본 범주로 나뉜다.

# 모델 선수를 가진 표준 항해 예인선은 거의 전적으로 와이어 케이블을 사용하여 예인한다. 일부 드문 경우(예: 일부 미국 해군 함대 예인선)에는 와이어 케이블보다 가볍기 때문에 승무원이 고장난 선박에 로프를 당길 수 있다는 판단으로 합성 로프 예인선을 예인에 사용하기도 한다.

# "노치 예인선"은 케이블이나, 최근에는 예인선의 선미에서 바지선의 선미까지 연결되는 합성 라인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구성은 파선 위험 때문에 해상과 너울이 최소화되는 내륙 수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종종, 이 구성은 바지선에 "노치"가 없더라도 사용되지만, 그 경우 예인선에 위치를 안정시키기 위한 "푸시 니"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을 사용하는 모델 선수 예인선은 해상 조건으로 인해 밀기가 바람직하지 않을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예인 윈치를 거의 항상 가지고 있다. 이 구성을 사용하면 밀고 있는 바지선이 소형 선박 크기에 근접할 수 있으며, 수류의 상호 작용으로 필요한 동력 증가 또는 연료 소비를 최소화하면서 더 높은 속도를 낼 수 있다.

# "통합 유닛" 또는 "통합 예인선 및 바지선"(ITB)은 선박으로, American Bureau of Shipping, Lloyd's Register of Shipping, Indian Register of Shipping, Det Norske Veritas 또는 기타 여러 기관(선급 협회)에서 그러한 것으로 인증될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하고 강력한 방법으로 서로 잠기는 특수 설계된 선박으로 구성된다. 이 유닛은 거의 모든 해상 조건에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예인선은 일반적으로 바지선이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항해하기 위한 내항성 설계가 좋지 않다. 이 범주의 선박은 법적으로 예인선이 아닌 선박으로 간주되며, 바지선은 그에 따라 인원을 배치해야 한다. 이 선박은 예인선 및 예인 선박에 필요한 것보다 선박에 필요한 항해등을 표시해야 한다.

# "관절 예인선 및 바지선"(ATB) 유닛은 기계적 수단을 사용하여 바지선에 연결한다. 예인선은 선미의 노치에 미끄러져 들어가 경첩 연결부로 부착되어 관절 차량이 된다. ATB는 일반적으로 Intercon 및 Bludworth 연결 시스템을 사용한다. ATB는 대개 7~9명의 승무원이 있는 대형 예인선으로 구성된다. 전형적인 미국 ATB는 1972년 ColRegs에 설명된 대로 전방으로 밀고 있는 예인선의 항해등을 표시한다.

2. 2. 항만 예인선 (Harbour Tugboat)

2011년 중국에서 건조된 덴마크 예인선 ''Svitzer Tyr''가 2018년 위스타드 항구에서 촬영된 모습


항만 예인선은 항해용 예인선에 비해 일반적으로 더 작고, 폭 대 길이 비율이 더 높다. 이는 예인선의 조종실이 선체와 접촉하는 것을 피해야 하기 때문이다. 선체는 선수와 선미에 뚜렷한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일부 항만에서는 가스 유조선을 이용한 항만 운영을 위해 특정 수와 크기의 예인선이 필요하다.[2] 또한, 많은 항만에서 유조선은 항만을 통과할 때 기계 고장 발생 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예인선 호위를 받도록 요구된다. 항만은 일반적으로 호위받는 선박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최소 마력 또는 보울라드 풀을 규정한다.

현대 선박 지원 예인선은 방위각 선미 추진기(ASD), 방위각 트랙터 추진기(ATD), 로터 예인선(RT) 또는 사이클로이드 추진기(VSP)와 같이 방향타 없이 360도 회전할 수 있는 프로펠러를 사용하는 "전방향 예인선"이 많다.

항만 예인선은 항만에서 선박이 안벽・잔교에 접안・이안하는 것을 돕거나, 하천이나 운하에서 바지선 등을 움직이기 위해 사용되는 수십 톤급 소형부터, 대형 플랜트를 해상 수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천 톤급 대형까지 크기가 다양하다.

선체를 수송 대상에 직접 접촉시켜 밀기도 하므로, 선체 외주에는 낡은 타이어나 수지 등 완충재(펜더)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성을 위해 작업 데크는 낮은 위치에 설치된 배가 많으며, 소형 예인선은 악천후에 강하지 않다.

2. 3. 하천 예인선 (River Tugboat)

밴쿠버 인근 브리티시컬럼비아에서 통나무 뗏목을 미는 예인선 (2012년 5월)


강 예인선은 예선 또는 푸시보트로도 불린다. 선체 설계상 망망대해에서 운항하기에는 위험하다. 강 예인선은 보통 특별한 밧줄이나 윈치가 없다. 이 선박들은 직사각형의 바지선 선미와 맞닿도록 평평한 앞면 또는 선수, 그리고 종종 큰 푸싱 니(pushing knee)를 갖추고 있다.

3. 추진 시스템

예인선은 강력한 엔진과 특수한 추진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최초의 예인선인 샬럿 던다스호(Charlotte Dundas)는 1801년 윌리엄 심밍턴에 의해 건조되었는데, 증기 기관과 물레바퀴를 갖추고 스코틀랜드의 강에서 사용되었다. 이후 물레바퀴 예인선이 급증하여 한 세기 동안 흔히 볼 수 있었다.

1870년대에는 스크루 예인선을 만들기 위해 스쿠너 선체를 개조했다. 복합 증기 기관과 스코치 보일러는 300 마력의 지시 마력을 제공했다. 증기 예인선은 전 세계의 모든 항구에서 선박 예인 및 접안에 사용되었다.

예인선 구성 요소 다이어그램


예인선은 기동성이 뛰어나며, 기동성을 높이고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추진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최초의 예인선에는 물레바퀴가 장착되었지만, 곧 프로펠러 구동 예인선으로 대체되었다. 코르트 노즐을 추가하여 추력 대 동력 비율을 높이기도 했다. 이어서 기존의 방향타가 필요 없는 노즐-러더가 개발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전에는 사이클로이드 프로펠러가 개발되어 기동성 때문에 예인선에 가끔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예인선이 예인물에 의해 넘어질 수 없는 포이트 워터 트랙터가 개발되어 안전성이 향상되었다. 1950년대 후반에는 Z-드라이브 (방위각 추진기)가 개발되었다. 쇼텔(Schottel) 시스템이라고도 하지만, 스티어프로프(Steerprop), 바르질라(Wärtsilä), 베르그 추진(Berg Propulsion) 등 다양한 브랜드가 존재한다. 이러한 추진 시스템은 선박 도킹 및 해양 건설과 같은 작업에 사용되는 예인선에 사용된다. 기존의 프로펠러/러더 구성은 항구 간 예인에 더 효율적이다.

2000년대~2010년대에 컨테이너선 등을 예인하는 데 사용되는 가장 큰 상업용 항만 예인선은 약 60to(-)의 설계 인장력을 가졌으며, 이는 "일반" 예인선보다 15STf 높은 것으로 묘사된다.

3. 1. 엔진

예인선의 주기관은 자체 선체뿐만 아니라, 그보다 훨씬 크고 무거운 다른 선박이나 구조물도 움직여야 하므로, 선체 크기에 비해 매우 강력한 엔진을 탑재하고 있다.[2] (예: 2000톤급 예인선은 10,000마력 정도의 엔진을 탑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2] 엔진과 스크루는 속도보다는 토크를 중시하는 저속형 세팅으로 되어 있어, 마력에 비해 속도가 잘 나오지 않는다.[2]

예인선 디젤 엔진은 일반적으로영어 500~2,500 kW (680~3,400 hp)의 출력을 내지만, 더 큰 선박(원양에서 사용)은 최대 20,000 kW (27,200 hp)의 출력을 낼 수 있다.[2] 예인선은 동력:톤수 비율이 매우 높다.[2] 일반적인 화물선과 여객선의 P:T 비율(kW:GRT)은 0.35~1.20인 반면, 대형 예인선은 2.20~4.50, 소형 항만 예인선은 4.0~9.5이다.[2] 엔진은 철도 기관차에 사용되는 것과 같지만, 디젤-전기 기관차처럼 엔진 출력을 전동기로 변환하는 대신, 주로 기계적으로 프로펠러를 구동한다.[2] 안전을 위해 예인선 엔진은 각 중요 부품을 두 개씩 갖추어 중복성을 확보하기도 한다.[2]

항만 예인선은 GT250톤 전후, 출력 4,000마력 전후(주기는 2000마력×2기) / GT200톤, 출력 3,400마력 전후 등으로, 연료는 A중유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최근에는 LNG선 등도 개발되고 있다.[2] (보급 문제와 건조 조선소 제한으로 아직 시험 운용 단계이며, 널리 보급되지는 않았다.)[2]

3. 2. 추진기

예인선은 항만 등에서 선박을 안전하게 이동시키고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하므로, 일반적인 선박과는 다른 특수한 추진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추진기는 높은 기동성과 정점 유지 능력을 제공하며, 대부분 방향타의 기능을 함께 갖추고 있다.[2]

과거에는 물레바퀴가 장착된 예인선이 사용되었으나, 곧 프로펠러 추진 방식으로 대체되었다. 이후 추진력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코르트 노즐이 추가되기도 했다.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전후로 사이클로이드 프로펠러나 Z-드라이브 (방위각 추진기)와 같은 새로운 방식의 추진 시스템이 개발되어 예인선의 기동성과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켰다.[2]

3. 2. 1. 아지무스 스러스터 (Azimuth Thruster)

프로펠러가 수평 방향으로 360도 회전하여 추진 방향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는 시스템이다.[2] 오리가 수중에서 다리를 움직이는 상태를 연상시키기 때문에 덕 페라(Duck Peller)라고도 불린다.[2] 대표적인 것으로는 IHI원동기(구 니가타 철공소→니가타 원동기)제 Z-peller, IHI제 덕 페라 (Duckpeller)가 있다. 일본에서는 Z-peller가 압도적인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그 영향으로 한국, 중국에서도 이 타입은 Z-peller를 탑재하는 경우가 많다.[2]

3. 2. 2. 포이트 슈나이더 프로펠러 (Voith-Schneider Propeller, VSP)

포이트 슈나이더 프로펠러는 원주상에 배치된 복수의 날개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켜 추진력을 얻는 방식이다.[2] 아지무스 스러스터 방식에 대체되어 현대에는 탑재되는 경우가 드물며, 끌림파도와 연료 소비 문제도 그 원인 중 하나이다.[2]

3. 2. 3. 코르트 노즐 (Kort Nozzle)

코르트 노즐은 프로펠러 주변에 튼튼한 원통형 구조물을 설치하여 추진력 대 동력비(추진력/동력비)를 향상시키는 장치이다. 코르트 노즐의 내벽과 프로펠러 날개 사이 간격은 최소화되어 있다. 물이 선형으로 프로펠러에 접근하여 노즐을 같은 방식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효율이 향상된다.[2] 코르트 노즐은 발명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지만, 여러 브랜드가 존재한다.

4. 작업

예인선은 예인 로프나 와이어를 사용하여 대상 선박을 끌거나, 방현물(오래된 항공기용 타이어 등)을 통해 직접 밀어서 이동시킨다. 통상적으로 1척으로 작업을 수행하지만, 대상의 크기나 주변 상황에 따라 여러 척의 예인선이 서로 연계하여 작업을 수행하기도 한다. 예인선이 필요한 선박은 Z 깃발을 단독으로 게양한다.[2]

또한, 예인선은 에스코트 보트(진로 경계선)로 사용되기도 한다.

5. 기타

예인선은 크기가 다양하며, 항만에서 선박의 접안·이안을 돕거나 하천이나 운하에서 바지선 등을 움직이는 데 사용되는 소형부터, 외해에서 해난·수난 사고 피해자 구조, 대형 플랜트 해상 수송 등에 사용되는 대형까지 폭넓게 존재한다.[1] 선체 외주에는 방현물로 낡은 타이어나 수지 등 완충재(펜더)가 설치되어 있다.[1] 작업 데크는 낮은 위치에 설치된 경우가 많으며, 소형 예인선은 악천후에 약하다.[1]

예인선 겸 방재선이나 예인선 겸 과학 소방선 등 특수한 목적의 예인선도 존재한다.[1] 이들은 방수탑(주탑) 및 방수총, 소화제 등을 갖추고 소방선 역할을 하며, 해상 화재 진압, 유류 오염 방지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1] 일본에서는 도쿄만, 이세만, 오사카만, 세토 내해 등 임해부 공업 지대의 항만 예인선에 많다.[1]

이러한 방재 겸용 예인선에는 소방 방수용 기관이 별도로 설치되거나 주기관을 거치는 주기관 구동형 소방 방수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1] 제3종 및 제4종 소방 설비를 갖추고, 선박 충돌, 화재, 좌초 등의 해난 사고 발생 시 구조 활동을 하며, LNG선 접안 중 경계 업무나 유류 오염 사고 시 유출유 처리제 살포 등 해상 재해 방지 업무를 수행한다.[1] 방수탑 위의 방수총은 신축식인 경우가 많아, 방수 시 늘려서 원거리 방수가 가능하다.[1]

특수한 예인선으로 자위대가 보유한 예인선이 있으며, 자위함의 출입항 등을 지원한다.[1]

6. 대중문화 속 예인선

함부르크 항구에서는 1980년부터 매년 항구 설립 기념 축제 행사로 예인선 발레가 열린다. 5월의 한 주말에 8척의 예인선이 왈츠 등의 음악에 맞춰 약 1시간 동안 안무된 동작을 선보인다.[14]

어린이 프로그램의 주인공인 시어도어 터그보트는 인기를 얻어 실물 크기의 복제품이 제작되었다.


퓨젯 사운드에서 예인선 ''나르시스''의 여성 선장을 주인공으로 한 ''토요일 이브닝 포스트'' 잡지 연재 소설 ''예인선 애니''(Tugboat Annie)는 영화 ''예인선 애니''(1933), ''예인선 애니의 항해''(1940), ''캡틴 예인선 애니''(1945)로 제작되었다. 1957년에는 캐나다 텔레비전 시리즈 ''예인선 애니의 모험''이 촬영되었다.

의인화된 예인선을 소재로 한 어린이 프로그램도 제작되었다.

  • 1980년대 후반에는 1920년대 예인선의 삶을 그린 ''TUGS''가 제작되었다.
  • ''Tugs''의 편집 영상을 사용한 미국판 각색 작품 ''샐티의 등대''가 제작되었다.
  • 1975년 소련 단편 애니메이션 뮤지컬 영화 ''В порту/ In the sea port''에서 예인선이 "항만 지역을 지나서"라는 노래를 불렀다.
  • ''Tugs''의 제작자 중 한 명이 ''시어도어 터그보트''를 연출했다.
  • 애니메이션 유아 시리즈 ''투트 더 타이니 터그보트''는 2014년 채널 5 ''밀크셰이크!''에서, 2015년에는 카투니토에서 방송되었으며, 웨일스어 버전은 S4C Cyw에서 방송되었다.


애니메이션 시리즈 ''사우스 파크''의 에피소드 "새로운 테렌스와 필립 영화 예고편"에는 예인선 "터거"가 러셀 크로우의 조력자로 등장한다. 터거는 크로우를 따라다니며 정서적 지원과 코믹한 재미를 제공한다.

예인선을 소재로 한 문학 작품은 다음과 같다.

  • 거트루드 크램프턴의 어린이 책 ''예인선 스커피''(Scuffy the Tugboat)는 1946년 리틀 골든 북스 시리즈의 일부로 출판되었으며, 어린 장난감 예인선의 모험을 그린다.
  • 얀 데 하르토흐는 해양 소설을 썼다.
  • ''홀란츠 글로리에''(Hollands Glorie)는 네덜란드 구조 예인선의 선원들이 겪는 위험을 다루었으며, 1978년에 네덜란드 미니시리즈로 제작되었다.[16][17]
  • ''스텔라''(Stella)는 영국 해협에서 구조 예인선의 선장들이 겪는 위험을 다룬 소설로, 1958년 영화 ''더 키''(The Key)로 제작되었다.[18]
  • ''선장''(The Captain) (1967)은 무르만스크 호송대 중 구조 예인선의 선장에 관한 소설이다.[19]
  • ''코모도어''(The Commodore)는 평화로운 시대에 예인선 함대를 지휘하는 화자를 특징으로 한다.
  • 하디 그래마키의 ''꼬마 토트''(Little Toot) (1939)는 의인화된 예인선 아이가 호보켄, 뉴저지 근처 항구에서 배를 예인하는 것을 돕고 싶어하는 어린이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는 디즈니 영화 ''멜로디 타임''의 일부로 애니메이션화되었다.
  • 팔리 모왓의 책 ''그레이 해양 아래''(The Grey Seas Under)는 북대서양 구조 예인선 ''파운데이션 프랭클린''(Foundation Franklin)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는 ''뱀의 코일''(The Serpent's Coil)을 쓰기도 했다.

7. 갤러리

호주 시드니 항구의 예인선 ''Woona''

참조

[1] 서적 How Pygmy Tugboats Dock a Giant Liner. https://books.google[...] Popular Science Monthly 1930-03
[2] 서적 Port Designer's Handbook: Recommendations and guidelines Thomas Telford Books
[3] 서적 Teknisk Leksikon A/S Forlaget for Faglitteratur København/Oslo
[4] 간행물 The Workhorse of the Waterways http://www.mass.gov/[...] Massachusetts Office of Coastal Zone Management, Coastlines 2007
[5] 뉴스 Rotor Tug "RT Zoe" http://www.marinelin[...] 2013-08-19
[6] 뉴스 Western Marine to build tugboat, vessel for Ctg port http://www.hawker.co[...] 2013-08-19
[7] 웹사이트 Tugboat Fender Types and Application - Marine Fender System https://www.chinarub[...]
[8] 웹사이트 Novatug.nl news http://www.novatug.n[...] 2008-01-18
[9] 웹사이트 Novatug.nl product information http://novatug.nl/wo[...] 2008-01-18
[10] 웹사이트 Port of Seattle http://www.portseatt[...] Portseattle.org 2012-02-18
[11] 뉴스 In search of the toughest tug New York Times 2008-08-29
[12] 웹사이트 tugrace.com http://www.tugrace.c[...] tugrace.com 2014-03-23
[13] 웹사이트 The Great Tugboat Race http://www.ssm.thegr[...] 2012-06-13
[14] 뉴스 Schlepperballett: Kaiserwalzer der Kolosse – SPIEGEL ONLINE – Nachrichten – SPIEGEL TV http://www.spiegel.d[...] Spiegel.de 2012-02-18
[15] 웹사이트 Waterford Tugboat Roundup https://www.tugboatr[...] Tugboatroundup.com 2022-03-08
[16] 뉴스 Hollands glorie http://imdb.com/titl[...] IMDb 2008-01-20
[17] 뉴스 Jan de Hartog, 88, Author of His Own Life https://query.nytime[...] 2008-01-20
[18] 뉴스 The Key http://imdb.com/titl[...] IMDb 2008-01-20
[19] 뉴스 Hartog, Jan De [1914 – 2002] http://www.nnp.org/n[...] New York State Library 2008-01-2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