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응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응웅은 명나라 무장이었던 오삼계의 아들로, 청나라 초기에 인질로 잡혀 있다가 삼번의 난 때 처형되었다. 오삼계가 청나라에 투항한 후 평서왕이 되자 1648년 인질로 청나라에 보내졌다. 이후 순치제의 이복 여동생인 각순공주와 결혼하여 부마가 되었으나, 오삼계가 삼번의 난을 일으키자 체포되어 1674년 베이징에서 장남 오세린과 함께 처형되었다. 그의 아들 오세번은 오삼계 사후 황제를 칭하며 아버지 오응웅을 효공황제로 추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부마 - 슈무루 양구리
슈무루 양구리는 16세기 후반 동해여진 쿠르카부 출신으로 누르하치의 사위가 되어 여진족 통일 전쟁, 명나라 및 조선 정벌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으나 병자호란 당시 조선 침략의 선봉에서 광교산 전투에서 전사한 후 무훈왕으로 추봉된 인물이다. - 중국의 추존왕 - 주치 칸
주치 칸은 칭기즈 칸의 장남으로 몽골 제국 초기에 활약하며 서방 원정에 참여하여 중앙아시아 북부를 정복했으나, 동생과의 불화로 어려움을 겪었고, 1225년경 사망 후 그의 영토는 아들 바투에게 상속되어 킵차크 한국의 기반이 되었다. - 중국의 추존왕 - 공자
공자는 기원전 551년에 태어난 유교의 창시자이며, 덕치주의와 사회 질서를 중시하고 인과 예를 통해 사회적 조화를 추구했으며, 동아시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오응웅 | |
---|---|
기본 정보 | |
이름 | 우응웅 (吴应熊) |
로마자 표기 | Wu Yingxiong |
사후 시호 | 효공황제 (孝恭皇帝) |
출생 및 사망 | |
출생 | 1634년 |
사망 | 1674년 5월 18일, 베이징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오삼계 |
어머니 | 장황후 |
배우자 | 고륜공주 (恪純長公主) (1653년 결혼) |
자녀 | 오시림 (吴世霖) 오세번 |
2. 명나라 멸망과 이자성의 난
吳應熊|오응웅중국어은 명나라의 무장이었던 아버지 오삼계를 따라 청나라에 투항하였다. 1644년 이자성이 이끄는 순나라 군대가 북경을 함락하자, 오삼계는 산해관을 지키다 청나라에 항복하고 순나라 군대를 격파했다.[1]
오응웅은 오삼계와 그의 부인 장씨 사이에서 태어나 평서백(平西伯) 작위를 받았다. 1644년, 아버지 오삼계가 산해관의 성문을 열어 청나라 군대가 중국 본토로 진입하도록 허용하면서 평서왕(平西王) 작위를 받았다. 1648년 오응웅은 아버지의 군대가 명나라 군대에 대항하기 위해 중국 남서부로 진군했을 때 인질로 만주족 조정에 남겨졌다.
청나라 군대가 산해관에 들어오기 전, 섭정왕 도르곤은 순치제의 서출 여동생인 건녕공주(태종숭덕제의 제14황녀)를 오응웅에게 시집보내기로 결정했다.[1]
3. 청나라의 흥기와 중원 장악
3. 1. 도르곤과 산해관 전투
오삼계는 명나라의 무장으로, 청나라 군대의 공격에 맞서 산해관을 지켰다. 그러나 1644년 이자성이 이끄는 순나라 군대가 수도 북경을 함락시키자, 오삼계는 청나라에 항복하고 순나라 군대를 격파하였다. 이후 청나라 군대가 산해관을 넘어 중원으로 진입하기 전, 섭정왕 도르곤은 순치제의 이복 여동생인 건녕공주(태종 숭덕제의 14번째 황녀)를 오응웅에게 시집보내기로 결정하였다.
3. 2. 순치제와 강희제의 통치
1673년 오삼계가 삼번의 난을 일으키자, 강희제는 1674년 5월 18일 오응웅과 그의 맏아들 오세린을 베이징에서 처형했다.[2] 오응웅은 순치제의 이복 여동생인 각순공주와 결혼하여 강희제의 처남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인질로 잡혀 처형된 것이다.[1] 그의 나머지 아들들 역시 1680년 삼번의 난이 끝난 후 처형되었다.[3]
1653년, 오응웅은 순치제의 막내 이복 여동생인 각순공주(1642–1705)와 결혼하여 자작 작위를 받았다.[1] 이 결혼은 효장문황후의 주도로 이루어졌으며, 도르곤이 오삼계를 중용하면서도 경계했기 때문에 이루어진 정략결혼이었다. 오응웅은 인질 신세였다.
오삼계가 반란을 일으키자 오응웅은 체포되어 투옥되었고, 납란명주는 오응웅과 그의 아들 오세림의 처형을 건의했다. 1675년 4월 13일, 오응웅과 오세림은 교살되었고, 다른 어린 아들은 사형을 면제받았으며, 관직을 몰수당했다(『청사고』 오삼계전). 오응웅 등의 처형 후, 강희제는 건녕공주에게 "오응웅은 모반으로 인해 처형되었다"는 조서를 내려 위로했다.
오응웅의 유일하게 살아남은 아들 오세번은 1678년 오삼계의 뒤를 이어 황제가 되면서 아버지에게 '''태종''' 묘호와 '''효공황제''' 시호를 올렸다.
4. 남명의 저항과 멸망
명나라가 멸망한 이후, 명나라의 부흥을 위해 남쪽에서 여러 저항 운동이 일어났다. 대표적인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이들은 명나라 황족 또는 충신들을 중심으로 세워졌으나, 청나라의 강력한 군사력에 밀려 결국 멸망하고 말았다.
5. 삼번의 난
1673년 12월, 오삼계를 비롯한 삼번왕이 청나라에 반기를 들면서 삼번의 난이 일어났다. 이 소식이 북경에 전해지자, 당시 인질로 잡혀있던 오응웅과 그의 아들들은 감옥에 갇혔다. 오응웅은 만주족 강희제의 처남이었음에도 불구하고, 1674년 5월 18일 맏아들 오세린(吳世霖)과 함께 교살되었다.[2]
5. 1. 오삼계의 생애와 반란 배경
오응웅은 오삼계와 그의 부인 장씨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평서백(平西伯) 작위를 받았다. 1644년, 아버지 오삼계는 산해관의 성문을 열어 청나라 군대가 중국 본토로 진입하도록 허용하였고, 그 대가로 평서왕(平西王) 작위를 받았다.[1]오응웅은 1648년, 아버지 오삼계가 명나라 군대에 대항하기 위해 중국 남서부로 진군했을 때 인질로 만주족 조정에 남겨졌다. 1653년, 그는 자작 작위를 받았고, 순치제의 막내 이복 여동생인 각순공주(恪純公主, 1642–1705)와 결혼했다.[1] 이 결혼은 정략결혼으로, 섭정왕 도르곤은 오삼계를 평서왕으로 중용했지만 속으로는 경계했다. 오응웅은 부마(駙馬|驸马중국어)에 임명되었지만, 북경에 묶여 사실상 조정의 인질이었다.
1654년, 오응웅은 3등 자작을 하사받았고, 1658년에는 소보 겸 태자태보가 되었다. 1668년에는 소부 겸 태자태부가 되었다.
1673년 12월, 오삼계가 삼번의 난을 일으키자 오응웅은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납란명주는 오응웅과 그의 아들 오세림의 처형을 건의했다. 1675년 4월 13일, 오응웅과 장남 오세림은 교살되었고, 다른 어린 아들은 사형을 면제받았으며, 관직을 몰수당했다 (『청사고』 오삼계전).[2] 오응웅 등의 처형 후, 강희제는 건녕공주에게 "오응웅은 모반으로 인해 처형되었다"는 조서를 내려 위로했다. 그의 나머지 아들들도 전쟁이 끝난 1680년에 처형되었다.[3]
오응웅의 유일한 생존 아들인 오세번(吴世璠)은 1678년 오삼계의 왕위를 계승했을 때 아버지에게 '''태종''' 묘호와 '''효공황제'''의 시호를 올렸다.
5. 2. 삼번의 난 전개 과정
1673년 12월, 오삼계는 다른 두 번왕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 이는 삼번의 난으로 알려진 내전의 시작이었다. 이 소식이 베이징에 전해지자, 오응웅과 그의 아들들은 인질로 감옥에 갇혔다. 오응웅은 만주족 강희제의 처남이었음에도 불구하고, 1674년 5월 18일 베이징에서 맏아들 오세린(吴世霖)과 함께 교살되었다.[2] 그의 나머지 아들들 또한 전쟁이 끝난 1680년에 처형되었다.[3]5. 3. 오응웅과 오세번의 죽음
오삼계와 그의 부인 장씨 사이에서 태어난 오응웅은 평서백(平西伯) 작위를 받았다. 1644년, 아버지 오삼계가 산해관의 성문을 열어 청나라 군대가 중국 본토로 진입하도록 허용한 후 평서왕(平西王) 작위를 받자, 오응웅은 1648년에 인질로 만주족 조정에 남겨졌다. 1653년, 자작 작위를 받고 순치제의 이복 여동생인 각순공주(恪純公主, 1642–1705)와 결혼했다.[1]1673년 12월, 오삼계가 삼번의 난을 일으키자, 오응웅과 그의 아들들은 인질로 감옥에 갇혔다. 오응웅은 만주족 강희제의 처남이었음에도 불구하고, 1674년 5월 18일 베이징에서 맏아들 오세린(吴世霖)과 함께 교살되었다.[2] 그의 나머지 아들들도 1680년에 처형되었다.[3]
오응웅의 유일한 생존 아들인 오세번(吴世璠)은 1678년 오삼계의 왕위를 계승했을 때 아버지에게 효공황제(孝恭皇帝)의 시호를 올렸다.
오삼계는 명나라 무장이었으나, 숭정 17년 (1644년) 순나라의 이자성이 북경을 함락시키자 청나라에 항복하고 순나라 군대를 격파했다. 청나라 군대가 산해관에 들어가기 전, 섭정왕 도르곤은 순치제의 서출 여동생 건녕공주 (태종숭덕제의 제14황녀)를 오응웅에게 주기로 했다.
순치 9년 (1653년), 효장황태후의 주도로 오응웅은 건녕공주와 결혼했다. 이 결혼은 도르곤이 오삼계를 평서왕으로 중용했지만 속으로는 경계했기 때문에 이루어진 정략결혼이었다. 오응웅은 북경에 묶여 사실상 조정의 인질이었다.
강희 14년 (1675년) 4월 13일, 오응웅과 장남 오세림은 교살되었고, 다른 어린 아들은 사형을 면제받았으며, 관직을 몰수당했다 (『청사고』 오삼계전). 오응웅 등의 처형 후, 강희제는 건녕공주에게 "오응웅은 모반으로 인해 처형되었다"는 조서를 내려 위로했다.
차남 오세번은 홍화 원년 (1678년)에 조부의 죽음으로 주나라의 제2대 황제로 즉위하면서, 아버지에게 '''태종'''의 묘호와 '''효공황제'''의 시호를 올렸다.
5. 4. 삼번의 난 진압과 그 영향
오삼계와 그의 부인 장씨 사이에서 태어난 오응웅은 평서백(平西伯) 작위를 받았다. 1644년, 아버지 오삼계가 산해관의 성문을 열어 청나라 군대가 중국 본토로 진입하도록 허용한 후 평서왕(平西王) 작위를 받자, 오응웅은 1648년 인질로 만주족 조정에 남겨졌다. 1653년, 자작 작위를 받고 순치제의 이복 여동생인 각순공주(恪純公主)와 결혼했다.[1]1673년 12월, 오삼계가 삼번의 난을 일으키자, 오응웅과 그의 아들들은 인질로 감옥에 갇혔다. 오응웅은 만주족 강희제의 처남이었음에도 불구하고, 1674년 5월 18일 베이징에서 맏아들 오세린(吴世霖)과 함께 교살되었다.[2] 그의 나머지 아들들도 1680년에 처형되었다.[3]
오응웅의 유일한 생존 아들인 오세번(吴世璠)은 1678년 오삼계의 왕위를 계승했을 때 아버지에게 효공황제(孝恭皇帝)의 시호를 올렸다.
명나라 무장이었던 아버지 오삼계는 1644년 이자성이 북경을 함락시키자 청나라에 항복하여 순나라 군대를 격파했다. 청나라 군대가 산해관에 들어가기 전, 섭정왕 도르곤은 순치제의 서출 여동생인 건녕공주를 오응웅에게 하가하기로 했다.
1653년, 효장황태후의 주도로 오응웅은 건녕공주와 결혼했다. 이 결혼은 오삼계를 중용하면서도 경계했던 도르곤의 정략결혼이었다. 오응웅은 부마(駙駙|중국어馬)에 임명되었지만, 북경에 묶여 사실상 조정의 인질이었다.
1654년, 오응웅은 3등 자작을 하사받았고, 1658년에는 소보 겸 태자태보가 되었다. 1668년에는 소부 겸 태자태부가 되었다. 1673년 12월, 오삼계가 반란을 일으키자 오응웅은 체포되어 투옥되었고, 납란명주는 오응웅과 그의 아들 오세림의 처형을 건의했다.
1675년 4월 13일, 오응웅과 장남 오세림은 교살되었고, 다른 어린 아들은 사형을 면제받았으며, 관직을 몰수당했다 (『청사고』 오삼계전). 오응웅 등의 처형 후, 강희제는 건녕공주에게 "오응웅은 모반으로 인해 처형되었다"는 조서를 내려 위로했다.
차남 오세번은 1678년에 조부의 죽음으로 주나라의 제2대 황제로 즉위하면서, 망부에게 '''태종'''의 묘호와 '''효공황제'''의 시호를 올렸다.
6. 명청 교체기의 기타 세력들
명청 교체기에는 여러 세력들이 중국 대륙의 패권을 두고 다투었다. 주요 세력은 다음과 같다.
- 평남왕: 상지신이 광동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번왕 세력이다.
- 정남왕: 경정충이 복건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번왕 세력이다.
참조
[1]
서적
Crossley 1999, p. 107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康熙朝實錄, 卷之四十六
https://zh.wikisourc[...]
[3]
서적
王勝時 1987
https://books.google[...]
[4]
서적
《平吴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