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카야마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카야마번은 오카야마성을 중심으로, 우키타 히데이에가 축성한 후 여러 다이묘 가문을 거쳐 메이지 시대까지 존속한 번이다.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코바야카와 히데아키가 영지를 받았으나, 후손 없이 사망하여 이케다씨가 오카야마를 다스리게 되었다. 이케다 테루마사의 차남인 이케다 타다쓰구가 입봉하여 38만 석 규모로 성장했으나, 타다쓰구 사후 돗토리번으로 이봉되었고, 사촌인 이케다 미쓰마사가 오카야마번을 다스리며 번교 설립, 코라쿠엔 조성 등 치적을 남겼다. 막부 말기에는 존왕양이 사상을 따랐으나, 보신 전쟁에서 막부 타도를 지지하며 이케다 아키마사가 번주가 되었다. 폐번치현으로 오카야마현이 되었고, 이케다가는 후작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빗추국의 번 - 마쓰야마번 (빗추국)
    마쓰야마번(빗추국)은 에도 시대 빗추국에 존재했던 번으로, 여러 번의 지배 가문 교체 후 이타쿠라 씨가 메이지 시대까지 다스렸으며, 아코 사건과 관련하여 오이시 요시오가 성을 관리했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 빗추국의 번 - 후쿠야마번 (빈고국)
    후쿠야마번은 1619년 미즈노 가쓰시게에게 하사되어 시작되었으며, 미즈노 가문과 아베 가문을 거쳐 메이지 유신까지 존속하다가 폐번치현으로 후쿠야마 현이 되었다.
  • 돗토리 이케다가 - 돗토리번
    돗토리 번은 1600년 이케다 가문이 호키국을 영지로 하사받아 시작되어, 영지 교환 후 이케다 가문이 에도 시대 말까지 다스렸으며, 메이지 정부군에 가담 후 폐번치현으로 돗토리현의 일부가 되었고, 이후 이케다 가문은 후작 작위를 받았다.
  • 돗토리 이케다가 - 이케다 쓰나키요
    이케다 쓰나키요는 에도 시대 돗토리 번의 3대 번주로, 병약한 탓에 아버지의 후견을 받으며 번정을 이끌었으나 후사 없이 양자를 들여 번주 자리를 물려주었고, 그의 묘소는 생류연애령을 배려하여 거북받침돌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오카야마번
위치 정보
오카야마 성
오카야마 성
오카야마 성 위치
오카야마 성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오카야마 번
로마자 표기Okayama-han
소속 국가일본
하위 행정 구역
위치비젠국, 빗추국 일부
현재 위치오카야마현
존속 기간1600년 ~ 1871년
시대에도 시대
수도오카야마 성
주요 가문이케다 씨
문장이케다 씨의 문장
역사
시작1600년
종말폐번치현
폐지 사건판적봉환
참고 자료
참고 도서나카야마 요시아키, 『에도 300번 다이젠 전번 번주 변천표부』, 2015
니기 켄이치, 『번과 성시의 사전 - 국가별』, 2004
파피노, E. 『일본 역사 및 지리 사전』, 1910
기타
관련 항목가모가타 번
이쿠사카 번
다른 이름비젠 번
일본어 표기오카야마 번

2. 번의 역사

오카야마번은 센고쿠 시대 우키타 히데이에의 지배를 거쳐,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승자인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고바야카와 히데아키에게 주어졌다. 그러나 고바야카와 히데아키가 후사 없이 사망하면서 1603년부터 히메지번주 이케다 테루마사의 아들들이 차례로 번주가 되며 이케다 가문의 통치가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번주 교체와 고쿠다카 조정이 있었으나, 1632년 돗토리번에서 이케다 미츠마사가 입봉한 이후 그의 가계가 메이지 유신까지 안정적으로 오카야마번을 다스렸다. 이케다 가문 통치 하에 오카야마번은 번교 설립, 고라쿠엔 조성 등 학문과 문화적인 발전을 이루었으며, 막말의 정치적 격변기를 거쳐 1871년 폐번치현으로 폐지되고 오카야마현의 일부가 되었다.

2. 1. 에도 시대 이전

센고쿠 시대 동안 오카야마는 우키타 히데이에가 지배했다. 우키타씨는 오카야마성을 거점으로 전국 다이묘로 성장하여 도요토미 정권오대로를 역임하기도 했다. 그러나 1600년(게이초 5년) 벌어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의 주력으로 참전했다가 패배하면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영지를 몰수당했다(개역).

이에야스는 세키가하라 전투 당시 서군을 배신하여 동군의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코바야카와 히데아키에게 우키타의 옛 영지인 비젠미마사쿠 51만 석을 주어 오카야마번에 봉했다. 하지만 히데아키는 1602년(게이초 7년) 10월 18일 후계자 없이 사망했고, 코바야카와 가문은 단절되었다.

1603년(게이초 8년), 히메지번주 이케다 테루마사의 차남 이케다 타다츠구가 28만 석으로 오카야마에 입봉하면서 에도 시대 오카야마번 이케다 가문의 통치가 시작되었다. 1613년(게이초 18년)에는 약 10만 석이 추가되어 38만 석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1615년(겐나 원년) 타다츠구가 후계자 없이 사망하자, 그의 동생이자 아와지국 유라성주였던 이케다 타다오가 31만 5천 석으로 뒤를 이었다.

1632년(간에이 9년) 타다오가 사망한 후, 그의 아들 이케다 미츠나카가 번주가 되었으나, 도쿠가와 막부는 미츠나카가 아직 어리다는 이유로 산요도의 중요한 거점인 오카야마를 맡기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하여 돗토리번으로 전봉시켰다. 대신 미츠나카의 사촌이자 이전 돗토리 번주였던 이케다 미츠마사가 31만 5천 석으로 오카야마에 입봉하게 되었다. 이후 메이지 유신 때까지 미츠마사의 가계가 오카야마번을 다스리게 된다.

이처럼 이케다 가문, 특히 타다츠구와 타다오 형제가 막부로부터 우대를 받은 배경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딸 토쿠히메가 이케다 테루마사에게 시집가서 타다츠구와 타다오가 이에야스의 외손자가 되었던 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2. 2. 이케다 가문 통치 시기

센고쿠 시대우키타 히데이에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영지를 몰수당하고 고바야카와 히데아키가 오카야마를 다스렸으나, 그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1603년 히메지번주 이케다 테루마사의 차남 이케다 타다츠구가 28만 석으로 오카야마에 봉해지면서 이케다 가문의 통치가 시작되었다. 1613년에는 약 10만 석이 가증되어 38만 석이 되었으나, 타다츠구는 1615년 후사 없이 사망했다. 그의 동생인 아와지국(아와지섬) 유라성주 이케다 타다오가 31만 5천 석으로 뒤를 이었다.

1632년 타다오가 사망하자 그의 아들 이케다 미츠나카가 상속했지만, 도쿠가와 쇼군가는 미츠나카가 어리다는 이유로 산요도의 전략적 요충지인 오카야마를 맡기기에 부적합하다고 판단하여 돗토리번으로 이봉시켰다. 대신 이전 돗토리 번주였던 미츠나카의 사촌 이케다 미츠마사가 31만 5천 석으로 오카야마에 입봉했고, 이후 메이지 유신까지 미츠마사의 가계가 오카야마번을 통치하게 되었다. 이케다 가문이 막부로부터 우대를 받은 배경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딸 토쿠히메가 이케다 테루마사에게 시집가 타다츠구와 타다오가 이에야스의 외손자였던 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미츠마사는 1644년 도쿠가와씨의 직할령 외 지역에서는 최초로 도쇼구(타마이구 도쇼궁) 건설 허가를 받았다. 그는 미토번주 도쿠가와 미츠쿠니, 아이즈번호시나 마사유키와 더불어 에도 시대 초기의 3대 명군으로 꼽힌다. 미츠마사는 요메이가쿠 학자 쿠마자와 반잔을 등용하여 1669년 일본 최초의 번교인 오카야마 학교를 설립했고, 1670년에는 서민을 위한 학교인 시즈타니 학교 (강당은 현재 국보)를 열었다. 또한 쓰다 에이츄를 등용하여 간척 사업과 아사히가와의 방수로인 햐쿠켄가와 개착 등 치수 사업에도 힘썼다.

미츠마사의 아들인 다음 번주 이케다 츠나마사는 1700년 가이라쿠엔, 겐로쿠엔과 함께 일본 3대 정원으로 불리는 다이묘 정원인 고라쿠엔을 완성시켰다.

막말 시기에는 9대 번주 이케다 시게마사가 번을 다스렸다. 그는 미토번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아홉 번째 아들로, 마지막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동생이기도 했다. 이러한 배경 때문인지 그는 고부갓타이 정책을 지지하며 쇼군가와 조정의 통합을 추구하는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보신 전쟁이 발발하자 시게마사는 은퇴하였고, 대신 지번인 가모가타 번주 이케다 마사아키(오카야마 번주가 되어 아키마사로 개명)가 번주가 되어 막부 타도의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시기 오카야마번은 고베 사건에 휘말려 막 출범한 메이지 정부의 초기 외교적 난제 해결에 관여하게 되었다.

1871년 폐번치현으로 오카야마번은 오카야마현의 일부가 되었고, 번지사 이케다 아키마사는 면관되었다. 이후 이케다 가문은 1884년 화족령에 따라 후작 작위를 받았다.

3. 역대 번주

池田忠継|이케다 다다쓰구일본어

이케다 다다쓰구
1603년 ~ 1615년2이케다 다다카쓰
池田忠雄|이케다 다다카쓰일본어
이케다 다다카쓰
1615년 ~ 1632년



'''이케다 가문'''(종가. 데루마사-도시타카-미쓰마사 계통)

대수번주초상화재임 기간
1이케다 미쓰마사
池田光政|이케다 미쓰마사일본어
이케다 미쓰마사
1632년 ~ 1672년
2이케다 쓰나마사
池田綱政|이케다 쓰나마사일본어
이케다 쓰나마사
1672년 ~ 1714년
3이케다 쓰구마사
池田継政|이케다 쓰구마사일본어
이케다 쓰구마사
1714년 ~ 1752년
4이케다 무네마사
池田宗政|이케다 무네마사일본어
이케다 무네마사
1752년 ~ 1764년
5이케다 하루마사
池田治政|이케다 하루마사일본어
이케다 하루마사
1764년 ~ 1794년
6이케다 나리마사
池田斉政|이케다 나리마사일본어
이케다 나리마사
1794년 ~ 1829년
7이케다 나리토시
池田斉敏|이케다 나리토시일본어
이케다 나리토시
1829년 ~ 1842년
8이케다 요시마사
池田慶政|이케다 요시마사일본어
이케다 요시마사
1842년 ~ 1863년
9이케다 모치마사
池田茂政|이케다 모치마사일본어
이케다 모치마사
1863년 ~ 1868년
10이케다 아키마사
池田章政|이케다 아키마사일본어
이케다 아키마사
1868년 ~ 1871년


3. 1. 고바야카와 가문

우키타 히데이에오카야마성을 축성하고 도요토미 정권오대로로서 권세를 누렸으나, 게이초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의 주력으로 참전했다가 패배하면서 영지를 몰수당하고 개역되었다. 이 전투에서 서군 소속이었으나 동군으로 배반하여 전투 승패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고바야카와 히데아키가 새로운 영주로 오카야마번에 들어왔다. 그는 비젠과 미마사쿠 두 지역을 합쳐 51만 석[6]에 달하는 영지를 다스렸으며, 도자마 다이묘로 분류되었다. 당시 히데아키의 관위는 곤추나곤(権中納言), 위계는 종삼위(従三位)였다.[6]

그러나 히데아키의 통치는 오래가지 못했다. 그는 게이초 7년(1602년) 10월 18일에 후사 없이 젊은 나이로 사망하였고, 이로 인해 고바야카와 가문은 대가 끊겨 멸문되었다. 그의 오카야마번 통치는 불과 2년 만에 막을 내렸다.

참고로, 막번체제의 정확한 시작 시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견해가 존재한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고바야카와 히데아키를 에도 시대의 정식 번주로 보기보다는 막번체제가 완전히 성립되기 이전의 오카야마 성주로 간주하기도 한다.

3. 2. 이케다 가문 (데루마사-다다쓰구, 다다카쓰 계통)

池田忠継|이케다 다다쓰구일본어1603년 ~ 1615년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외손자.
초대 번주. 고쿠다카: 28만 석 → 38만 석.[6]2이케다 다다카쓰
池田忠雄|이케다 다다카쓰일본어1615년 ~ 1632년다다쓰구의 동생.
고쿠다카: 31만 5천 석.[6]


3. 3. 이케다 가문 (종가, 데루마사-도시타카-미쓰마사 계통)

간에이 9년(1632년) 이케다 다다카쓰가 사망하자, 그의 아들 이케다 미쓰나카는 아직 어렸기 때문에 산요도의 중요 거점인 오카야마를 맡기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되어 돗토리번으로 이봉되었다. 대신 다다카쓰의 사촌이자 이전 돗토리번주였던 이케다 미쓰마사가 돗토리에서 31만 5,000석으로 오카야마에 입봉하게 되었다. 이후 메이지 유신까지 미쓰마사의 가계(이케다 가문 종가)가 오카야마번을 통치했다.[6] 이케다 가문이 이처럼 우대받은 배경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딸 도쿠히메가 이케다 데루마사와 혼인하여 이케다 다다쓰구와 이케다 다다카쓰가 이에야스의 외손자였던 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미쓰마사는 1644년 도쇼궁(다마이구 도쇼궁) 건립 허가를 받았는데, 이는 도쿠가와씨의 직할 영지 외부에 건립이 허가된 최초의 도쇼궁이었다. 그는 미토번도쿠가와 미쓰쿠니, 아이즈번호시나 마사유키와 더불어 에도 시대 초기의 3대 명군으로 꼽힌다. 1669년에는 일본 최초의 번교인 오카야마번 번학을 설립했고, 1670년에는 서민을 위한 가장 오래된 학교인 시즈타니 학교를 열었다. 또한 간척 사업과 아사히강의 방수로인 햐쿠켄가와 개척 등 치수 사업에도 힘썼다.

미쓰마사의 아들인 이케다 쓰나마사는 1700년가이라쿠엔, 겐로쿠엔과 함께 일본 3대 정원으로 불리는 다이묘 정원인 고라쿠엔을 완성했다.

막말 시기 9대 번주가 된 이케다 모치마사는 미토번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아홉 번째 아들로, 마지막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동생이었다. 그는 공무합체 정책의 강력한 지지자였으나, 보신 전쟁이 발발하자 은퇴를 강요당했다. 대신 지번인 가모가타번주 이케다 마사아키(이케다 아키마사로 개명)가 번주가 되어 오카야마번은 막부 타도의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시기 고베 사건이 발생하여 그 처리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1871년 폐번치현으로 오카야마번은 오카야마현의 일부가 되었고, 마지막 번주 이케다 아키마사는 면관되었다. 이후 이케다 가문은 1884년 화족후작 작위를 받았다.

대수번주초상화재임 기간비고
1이케다 미쓰마사
池田光政일본어
1632년 ~ 1672년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외증손자. 이케다 도시타카의 아들.
2이케다 쓰나마사
池田綱政일본어
1672년 ~ 1714년미쓰마사의 아들. 고라쿠엔 조성.
3이케다 쓰구마사
池田継政일본어
1714년 ~ 1752년쓰나마사의 아들.
4이케다 무네마사
池田宗政일본어
1752년 ~ 1764년쓰구마사의 아들.
5이케다 하루마사
池田治政일본어
1764년 ~ 1794년무네마사의 아들.
6이케다 나리마사
池田斉政일본어
1794년 ~ 1829년하루마사의 아들.
7이케다 나리토시
池田斉敏일본어
1829년 ~ 1842년사쓰마번시마즈 나리오키의 아들. 나리마사의 사위.
8이케다 요시마사
池田慶政일본어
1842년 ~ 1863년나카쓰번오쿠다이라 마사타카의 아들. 나리토시의 사위.
9이케다 모치마사
池田茂政일본어
1863년 ~ 1868년미토번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아들. 요시마사의 사위.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동생.
10이케다 아키마사
池田章政일본어
1868년 ~ 1871년가모가타번주 이케다 마사요시의 아들. 모치마사의 양자.


4. 지번

에도 시대 중기에 오카야마번에는 3개의 지번(支藩)이 존재했다. 이들은 모두 처음에는 '''오카야마 신덴번'''(岡山新田藩)이라 불렸으나, 현재는 각각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부르는 경우가 많다.



이들 신덴번은 본가(本家)인 오카야마번의 후계자가 없을 경우 가문이 단절되는 것을 막기 위한 보험적 성격이 강했다.

4. 1. 가모가타번 역대 번주

1672년, 오카야마번 번주 이케다 미쓰마사(池田光政)는 자신의 차남 이케다 마사모토(池田政元)에게 비젠국 아사쿠치군(浅口郡)과 쿠보야군(窪屋郡) 내 2만 5천 석의 영지를 주어 분가(分家)를 세운 것이 시초이다. 현재의 오카야마현 아사쿠치시 가모가타(鴨方) 지역에 진야(陣屋)가 설치되었으나, 번주는 오카야마성 아래 조카마치에 거주했다. 이 번은 오카야마 본가(本家)의 후계자가 없을 경우를 대비한 보험적 성격이 강했다. 초기에는 '''오카야마 신덴번'''(岡山新田藩)으로 불렸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에 '''가모가타번'''(鴨方藩)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가모가타번 역대 번주''' (이케다 가문, 池田家) - 2만 5천 석 도자마(外様)
이름비고
1대마사코토(政言)
2대마사요리(政倚)
3대마사미치(政方)
4대마사카(政香)
5대마사나오(政直)
6대마사요시(政養)
7대마사토모(政共)
8대마사요시(政善)막부 공식 기록에는 없으나, 마사히로(政広)가 잠시 번주직을 승계한 후 마사요시(政善)가 영입되었다는 설이 있다.
9대마사노리(政詮)
10대마사야스(政保)


4. 2. 이쿠사카번 역대 번주

이쿠사카번(生坂藩)은 오카야마번의 지번(支藩) 중 하나이다. 1672년, 오카야마 번주 이케다 미쓰마사(池田光政)가 그의 셋째 아들 이케다 데루토시(池田輝録)에게 비추국(備中國) 쿠보야군(久米郡) 내 1만 5천 석의 새로운 농지 수확량을 주어 분가(分家) 형태로 창설했다. 이케다 가문은 도자마 다이묘였다.

이 번은 창설 당시부터 오카야마 신덴번(岡山新田藩)으로 불렸으며, 에도 시대 대부분 동안 재정적 실체가 거의 없는 '서류상의 영지'였다. 수입은 본가인 오카야마번에서 나왔고, 명목상의 번주는 오카야마성 아래 마을(城下町)에 거주했다. 별도의 영지 행정 없이 오카야마번 관리가 파견되어 업무를 처리했으며, 주로 본가의 후계 단절 시 가문을 잇기 위한 '보험' 역할을 했다. '이쿠사카번'이라는 명칭은 메이지 유신 이후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쿠사카번 역대 번주''' (이케다 가문, 1만 5천 석)
이름 (원문)비고
1대이케다 데루토시 (池田輝録)초대 번주
2대이케다 마사하루 (池田政晴)
3대이케다 마사카즈 (池田政員)
4대이케다 마사스케 (池田政弼)
5대이케다 마사유키 (池田政恭)막부 공식 기록은 없으나, 이케다 마사후사(政房)가 잠시 번주직을 승계한 뒤 마사유키가 양자로 들어왔다는 설이 있음.
6대이케다 마사노리 (池田政範)
7대이케다 마사카즈 (池田政和)
8대이케다 마사노리 (池田政礼)마지막 번주


5. 주요 가신

오카야마번은 대번(大藩)이었기 때문에, 번을 섬기는 가로(家老)들은 대부분 1만 석 이상의 많은 영지(石高)를 소유하고 있었다. 이는 일부 지번(支藩)의 영지보다 많은 경우도 있어, 가로들은 마치 다이묘와 같은 위세를 누렸다. 이들은 자신의 영지 안에 진야(陣屋)를 설치했는데, 막부의 눈치를 보아 "오차야(お茶屋)"라고 부르기도 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1만 석 이상의 영지를 가졌던 6개의 가문이 남작에 서임되어 화족(華族)의 지위를 얻었다.

주요 가신 가문은 다음과 같다.

6. 막부 말기의 영지

막말 시기 9대 번주가 된 이케다 시게마사는 미토번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아홉째 아들이었으며, 돗토리번주 이케다 요시노리나 마지막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와는 형제 관계였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시게마사는 존왕양이론 중에서도 쇼군가를 보좌하며 천황을 받드는 공무합체 노선을 지지하며 '존왕익패(尊王翼覇)'의 태도를 유지했다.

그러나 보신 전쟁이 발발하자 시게마사는 은퇴를 강요당했고, 대신 양자인 이케다 아키마사(지번인 가모가타번주였으며, 오카야마 번주가 되면서 아키마사로 개명)가 번주 자리를 이어받았다. 이로써 오카야마번은 도막(討幕), 즉 막부 타도의 기치를 명확히 내걸게 되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1868년 고베 사건이 발생하여, 오카야마번 병사들이 연루되면서 갓 출범한 메이지 정부의 첫 주요 국제 문제로 비화되었고, 번은 그 대응에 고심해야 했다.[4][5]

메이지 4년(1871년) 폐번치현이 실시되면서 오카야마번은 폐지되고 오카야마현이 설치되었다. 마지막 번주 이케다 아키마사는 번지사에서 면관되었다. 이후 이케다 가문은 메이지 17년(1884년) 화족령에 따라 후작 작위를 받았다.

=== 폐번치현 당시 영지 ===

폐번치현 당시 오카야마번의 영지는 다음과 같았다.

국(国)군(郡)마을 수
비젠국조도군(上道郡)108개 마을
아카사카군(赤坂郡)94개 마을
미노군(御野郡)62개 마을
고지마군(児島郡)91개 마을
오쿠군(邑久郡)79개 마을
와키군(和気郡)89개 마을
이와나시군(磐梨郡)64개 마을
쓰타카군(津高郡)93개 마을
비추국쿠보야군(窪屋郡)18개 마을
아사쿠치군(浅口郡)11개 마을
카야군(賀陽郡)3개 마을
시모도군(下道郡)9개 마을
시리베시국시마마키군(島牧郡)일부 (메이지 유신 이후 관할)


참조

[1] 서적 江戸三百藩大全 全藩藩主変遷表付 Kosaido Publishing 2015
[2] 서적 藩と城下町の事典―国別 Tokyodo Printing 2004
[3] 서적 Historical and Geographic Dictionary of Japan Tuttle (reprint) 1972
[4] 서적 The Bakufu in Japa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5] 서적 Warlords, Artists, & Commoners: Japan in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6] 서적 Dictionnaire d’histoire et de géographie du Japon http://www.unterstei[...] 2013-04-25
[7] 웹사이트 Genealogy http://reichsarchi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