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무합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무합체는 1850년대 일본에서 막부와 조정의 협력을 통해 외세에 대응하고 국론을 통일하려는 정치적 시도였다. 1853년 미국의 페리 제독 내항 이후, 막부는 쇄국 정책을 종식하고 불평등 조약을 체결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막부는 다이묘들과의 협력을 모색했고,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와 가즈노미야 친왕의 정략 결혼을 통해 조정과의 관계 강화를 꾀했다. 그러나 존왕양이 운동, 사쓰마 번 등 다이묘들의 반대에 부딪혔으며, 결국 1868년 보신 전쟁과 메이지 유신으로 인해 실패로 끝났다. 공무합체론은 일본이 근대 국가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겪었던 진통의 일환이었으며, 메이지 유신의 발판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도 시대의 사상 - 석문심학
    석문심학은 이시다 바이간의 사상을 기반으로 데지마 도안이 발전시킨 에도시대의 윤리 철학으로, 평등주의를 주창하며 다양한 계층에 영향을 주었고, 분열을 겪었지만 현대에는 비즈니스 윤리의 선구적 사상으로 재조명된다.
  • 에도 시대의 사상 - 난학
    난학은 17세기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일본에서 네덜란드어를 통해 서양 학문을 수용하는 용어이며, 에도 시대 쇄국 정책 속에서 서양 문물을 접하는 유일한 통로가 되어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다.
  • 고메이 천황 - 고노에 다다히로 (1808년)
    고노에 다다히로는 고노에 모토사키의 장남으로 좌대신, 관백을 역임했으나 안세이 대옥으로 실각하고 복귀 후 다시 관백을 지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사망하여 정1위가 추서되었다.
  • 고메이 천황 - 8월 18일의 정변
    8월 18일의 정변은 1863년 일본에서 일어난 정치적 사건으로, 서구 열강의 압력과 존왕양이 운동의 격화 속에서 급진적인 존왕양이파가 교토에서 축출되고 공무합체파가 득세하게 된 사건이다.
  • 에도 시대의 정치 - 참근교대
    참근교대는 에도 시대 도쿠가와 막부가 다이묘의 반란을 억제하기 위해 다이묘가 정기적으로 에도에 머물게 한 제도로, 다이묘의 재정 약화와 도로망 발전, 에도 문화 확산 등 사회·경제적 영향을 미쳤다.
  • 에도 시대의 정치 - 개역
    개역은 시대에 따라 의미가 변화해 왔으나, 에도 시대에는 무사에게 내려지는 처벌로 영지를 몰수하고 무사 신분을 박탈하는 것을 의미하며, 율령제 하에서는 직무 교체를, 가마쿠라·무로마치 시대에는 직책 변경과 소령 몰수를 뜻하기도 했다.
공무합체
공무합체
유형정치적 연합
목표막부의 권위 회복
반막부 세력 억제
시기19세기 중반
주창 세력에도 막부
일부 조정 세력
주요 내용조정과 막부의 협력 강화
고메이 천황의 여동생을 도쿠가와 이에모치의 부인으로 맞이함
배경막부의 권위 약화
서구 열강의 압력 증가
막부와 조정 사이의 갈등 심화
영향막부의 권위 회복 시도
존왕양이 운동의 확산
메이지 유신으로 이어지는 과정에 영향
관련 사건사쿠라다 문 밖의 변
분큐 개혁
관련 인물고메이 천황
도쿠가와 이에모치
가쓰 가이슈
이이 나오스케

2. 전개

1853년 페리 제독이 이끄는 미국 함대가 일본에 도착하여 개국을 요구하면서, 막부와 웅번(雄藩) 세력 간의 협력을 통해 국정 운영을 해야 한다는 '공무합체' 논의가 시작되었다. 당시 로주(老中)였던 아베 마사히로다이묘들의 반발로 덴포 개혁이 실패하자 사쓰마 번 등 웅번과의 협조를 중시했다. 아베는 개국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모든 다이묘에게 자문을 구하고, 미국 대통령의 국서를 수리하겠다는 뜻을 조정에 전달했는데, 이는 에도 막부 개창 이래 전례가 없던 일이었다.[7]

이 무렵, 막부는 쇼군 도쿠가와 이에사다의 후계자 문제를 둘러싼 정쟁을 겪고 있었다. 마쓰다이라, 시마즈 등 유력 다이묘들은 중앙 정치 참여를 요구하며 히토쓰바시 도쿠가와가의 당주인 도쿠가와 요시노부를 쇼군 후계자로 지지했다. 이들을 히토쓰바시파(一橋派)라고 불렀다. 하지만 히코네 번주 이이 나오스케이에모치를 지지했는데, 이들을 난키파(南紀派)라고 불렀다.

1857년 아베가 사망한 뒤 홋타 마사요시가 다이로에 취임했다. 홋타는 통상조약 체결을 위해 교토로 상경하여 고메이 천황의 칙허를 받고자 했으나, 양이론자였던 천황은 이를 거절했다. 홋타는 미국의 요구를 거절할 수 없어 통상조약을 체결했지만, 실각했고 이이가 새롭게 다이로에 취임했다.

이후 이이 나오스케가 안세이 대옥을 일으켜 반대파를 탄압하고, 사쿠라다문 밖의 변으로 암살당하는 등의 사건을 거치면서, 존왕양이 운동이 격화되었다. 사쓰마번아이즈번 등과 연합하여 8월 18일의 정변을 일으켜 조슈번과 존왕양이파를 조정에서 추방하고, 참예회의를 구성하여 웅번들의 중앙 정치 참여를 제도화했다.[6] 그러나 참예회의는 도쿠가와 요시노부에 의해 해체되었고, 요시노부는 금문의 변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다.

조정과의 관계를 잃은 사쓰마번은 조슈번에 접근해 삿초 동맹을 체결하고, 도쿠가와 요시노부대정봉환(大政奉還) 이후 도바·후시미 전투보신 전쟁(戊辰戦争)을 거쳐 메이지 유신이 단행되면서 공무합체 운동은 막을 내렸다.[3]

2. 1. 히토쓰바시파의 막부·웅번 협조

1853년 페리 제독이 이끄는 미국 함대가 일본에 도착하여 개국을 요구했다. 당시 로주(老中)였던 아베 마사히로덴포 개혁다이묘들의 반발로 실패하자 사쓰마 번 등 웅번(雄藩)과의 협조를 중시했다. 아베는 개국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모든 다이묘에게 자문을 구하고, 미국 대통령의 국서를 수리하겠다는 뜻을 조정에 전달했는데, 이는 에도 막부 개창 이래 전례가 없던 일이었다.[7] 다이묘들 중에는 통상조약에 반대하며 전쟁도 불사해야 한다는 강경론을 펼친 경우도 있었지만, 대다수는 미지근한 반응을 보이거나 개국에 찬성하는 막부의 눈치를 보았다.

이 무렵, 막부는 쇼군 도쿠가와 이에사다의 후계자 문제를 둘러싼 정쟁을 겪고 있었다. 마쓰다이라시마즈 등 유력 다이묘들은 중앙 정치 참여를 요구하며 히토쓰바시 도쿠가와가의 당주인 도쿠가와 요시노부를 쇼군 후계자로 지지했다. 웅번과의 협조를 추진하던 아베와 막부 신하들도 요시노부를 지지했는데, 이들을 히토쓰바시파(一橋派)라고 불렀다. 하지만 막부의 권위를 다시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는 히코네 번주 이이 나오스케이에모치를 지지했는데, 이들을 난키파(南紀派)라고 불렀다.

1857년 아베가 사망한 뒤 홋타 마사요시가 다이로에 취임했다. 홋타는 통상조약 체결을 위해 교토로 상경하여 고메이 천황의 칙허를 받고자 했으나, 양이론자였던 천황은 이를 거절했다. 이는 당시까지의 조정과 막부의 관계를 생각하면 있을 수 없는 일이었고, 홋타는 정치적으로 큰 타격을 받았다. 홋타는 현실적으로 미국의 요구를 거절할 수 없어 결국 통상조약을 체결했지만, 이것이 빌미가 되어 실각했고 이이가 새롭게 다이로에 취임했다.

2. 2. 이이 정권과 무오년의 밀칙

이이 나오스케는 다이로(大老) 취임 후, 이에모치를 쇼군 후계자로 결정하고 히토쓰바시파를 실각시켰다.[8] 히토쓰바시파는 이이가 천황의 칙허 없이 통상조약을 체결했다고 비판했지만, 실제 조약 조인은 홋타 마사요시가 주도했고 히토쓰바시파는 통상론을 지지했기에 적극적으로 대항하지 못했다.

막부는 미국과 통상조약을 맺은 것을 계기로 프랑스, 영국 등과 안세이 5개국 조약을 체결했다. 이를 받아들일 수 없었던 고메이 천황도쿠가와 고산케고산쿄 등에게 무오년의 밀칙을 내렸다. 이는 막부, 도자마 다이묘, 후다이 다이묘의 협조를 통한 공무합체를 요구하는 것이었으며,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 출병 의뢰도 포함되어 있었다. 각 번은 출병 요구에 응하지 않았지만, 막부를 거치지 않고 천황이 직접 다이묘들에게 칙허를 내린 것에 분노한 이이는 안세이 대옥을 일으켜 정치적 반대파들을 탄압했다. 이를 통해 이이는 즉각적인 양이를 요구하는 천황을 굴복시키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이이의 강압적인 통치는 더 많은 반대파를 만들었고, 결국 사쿠라다문 밖의 변으로 이이가 암살당하고 말았다.[2]

2. 3. 급진적 존왕양이파와 공무합체파의 대립

이이 나오스케 사후, 안도 노부마사고메이 천황의 여동생 가즈노미야와 쇼군 이에모치의 혼인을 추진하여 막부 권위 회복을 꾀하는 공무합체를 추진했다. 그러나 이는 존왕양이파의 반발을 샀고, 사카시타문 밖의 변으로 안도는 부상 후 실각했다.[4]

사쓰마번아이즈번 등과 연합하여 8월 18일의 정변을 일으켜 조슈번과 존왕양이파를 조정에서 추방했다. 이후 참예회의를 구성하여 웅번들의 중앙 정치 참여를 제도화했다.[6]

2. 4. 참예회의의 붕괴와 토막파의 형성

1864년 1월에 설치된 참예회의사쓰마번의 배제를 노린 도쿠가와 요시노부에 의해 그해 3월 해체되었다.[3] 같은 달 요시노부는 천황의 신임을 바탕으로 긴리고쇼에이소쿠(禁裏御守衛総督)에 임명되었고, 이후 7월에 아이즈번, 구와나번과 함께 금문의 변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다. 이를 계기로 형식적이나마 막부를 중심으로 한 공무합체가 실현되었다.

조정과의 관계를 잃은 사쓰마번은 조슈번에 접근해 1866년 삿초 동맹을 체결했다. 다음 해 5월 사쓰마번은 시마즈 히사미쓰, 야마우치 요도, 다테 무네나리, 마쓰다이라 슌가쿠에 의한 사후회의를 성립시켰지만 쇼군이 된 요시노부의 반격에 막혀 참예회의와 마찬가지로 단기간에 끝나고 말았다. 이로써 사쓰마번은 조정 개혁도 막정 개혁도 실패했고 결국 조슈번과 함께 무력으로 막부를 토벌할 것을 결심했다.[3]

2. 5. 대정봉환과 메이지 유신

1867년 도쿠가와 요시노부대정봉환(大政奉還)을 통해 정권을 조정에 반환했다. 그러나 이는 형식적인 조치였고, 실질적인 권력은 여전히 막부가 쥐고 있었다. 1868년 메이지 신정부는 요시노부에게 내대신직 사임과 영지 반납을 요구하며 압박했고, 이는 도바·후시미 전투로 이어졌다. 결국 막부군은 패배했고, 보신 전쟁(戊辰戦争)을 거쳐 메이지 유신이 단행되면서 공무합체 운동은 막을 내렸다.[3]

3. 공무합체론의 의의와 한계

페리 제독이 일본을 방문하고, 특히 1858년 미국과 하리스 조약을 체결한 이후, 정치적으로 약해진 도쿠가와 막부는 쇄국 정책을 끝내고 외국과 불평등 조약을 맺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하지만 막부는 이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이 때문에 교토의 귀족인 공가가 여러 봉건 영지의 인물들과 직접 만나 국가 정책에 개입하기 시작했다. 1858년, 대로 이이 나오스케는 막부의 권위와 대외 무역 정책을 지지하지 않는 사람들을 엄하게 처벌하는 안세이 대숙청을 통해 이러한 움직임을 막으려 했다.[2] 동시에 막부와 천황궁 간의 관계 강화를 추진했는데, 이는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와 천황의 여동생인 가즈노미야 친왕 사이의 정략 결혼 제안으로 나타났다.[3]

1860년 이이 나오스케 암살과 후계자 안도 노부마사의 암살 미수 사건 이후, ''공무합체'' 사상은 뒷전으로 밀려났다. 이는 막부를 타도하고 천황에게 정치 권력을 되돌리려는 ''존왕양이'' 운동 지지자들과, 유럽식 의회 제도 하에서 도쿠가와 씨가 어느 정도의 패권을 유지하는 타협안을 모색한 사쓰마 번의 시마즈 히사미쓰와 후쿠이 번의 마쓰다이라 슌가쿠와 같은 주요 다이묘들이 강력하게 반대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1862년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와 가즈노미야 공주의 결혼이 이루어졌다. 도쿠가와 이에모치는 1866년 사망했고, 그때까지 ''공무합체'' 개념은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 되었다. 1868년 보신 전쟁메이지 유신으로 ''공무합체''는 무의미해졌다.[3]

참조

[1] 서적 Why Has Japan 'Succeeded'?: Western Technology and the Japanese Ethos https://books.google[...]
[2]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3] 서적 Japan: An Illustrated Encyclopedia Kodansha 1993
[4] 서적 (제목 없음) 2001
[5] 서적 (제목 없음) 1984
[6] 서적 (제목 없음) 1998
[7] 서적 (제목 없음) 2006
[8] 서적 (제목 없음) 2006
[9] 서적 (제목 없음) 1998
[10] 서적 (제목 없음)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