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정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온정균은 당나라 말기의 시인이자 사 작가로, 특히 그의 사는 중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는 당나라 재상 온언박의 후손으로, 문학적 재능이 뛰어났으나 과거 시험에 여러 번 낙방하고 관직 생활에서 좌절을 겪었다. 온정균은 여성의 섬세한 감정을 묘사한 작품을 많이 남겼으며, 특히 그의 사(詞)는 화간파(花間派)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대표작으로는 "경루자", "보살만", "야연" 등이 있으며, 제자인 어현기와의 관계 또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01년 출생 - 킨디
킨디는 9세기에 활동한 아랍 철학자이자 과학자로서, 그리스 철학을 이슬람 세계에 소개하고 빈도 분석을 개발했으며, 수학, 의학,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 태원 온씨 - 온회
후한 말기 ~ 삼국시대 위나라의 관료인 온회는 효렴으로 천거되어 낭중이 되었고, 양주자사를 지냈으며, 손권의 합비 침공과 관우의 번성 공격을 예측했고, 조비 시대에는 시중, 위군 태수를 역임하다 량주자사로 부임 중 병사했다. - 진중시 출신 - 나관중
나관중은 원나라 말에서 명나라 초에 활동한 중국 소설가로, 《삼국지연의》와 《수호전》 등의 작품으로 인기를 얻었으나, 출생지와 생존 연대, 단독 저작 여부 등은 논쟁의 대상이다. - 진중시 출신 - 조수 (시인)
칭하이 민족 대학교 졸업 후 시하이 도시일보 국제 편집자, 작가로 활동하며 개인의 자유를 갈망하고 다양한 문학 이론을 제시하며 중국 현대 문학 발전에 기여한 시인이다.
온정균 | |
---|---|
기본 정보 | |
![]() | |
한자 | 溫庭筠 |
간체자 | 温庭筠 |
병음 | Wēn Tíngyún |
웨이드-자일스 | Wên T'ing-yün |
예일 | Wan¹ Ting⁴-wan⁴ |
중고음 | Ɂwən Dieng-jwen |
다른 이름 | 溫歧 (온기) 飛卿 (비경) |
출생 | 817년 |
사망 | 866년 |
출신지 | 옹주호현 |
직업 | 시인 |
2. 생애
어려서부터 거문고와 피리를 잘 다루었고, 영민하고 문재(文才)가 뛰어났으며 글을 잘 지었다. '온팔차(溫八叉)'·'온팔음(溫八音)'이라는 별명은 온정균이 과거시험장에서 8번 팔짱을 끼었다 풀자 팔운시(八韻詩)가 완성되었다 하여 붙여진 것이다.[12]
령호도는 황제 이진에게 온정균의 보살만 20편을 바치고 자신이 직접 썼다고 거짓말을 하고 온정균에게 비밀로 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온정균은 곧 그 이야기를 퍼뜨렸다.[6] 또한 온정균은 다른 신하들 앞에서 령호도에게 재상으로서 더 많은 책을 읽어야 한다고 말하여 령호도를 불쾌하게 만들었다.[6]
2. 1. 출생과 가계
온정균은 당나라 초기 재상 온언박의 후손으로 태어났다.[6] 정확한 출생 연도는 기록에 남아 있지 않다.[6] 대체로 812년경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되지만,[7] 798년생이라는 설도 있다.[6]어린 시절부터 문학에 관심을 가졌으나, 아버지의 이른 죽음으로 가세가 기울어 학업 기회가 제한되었다.[6] 아버지의 친구가 아들 단성식과 함께 공부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6]
2. 2. 과거 시험과 좌절
어려서부터 거문고와 피리를 잘 다루었고, 영민하고 문재(文才)가 뛰어났으며 글을 잘 지었다. 그는 '온팔차(溫八叉)'·'온팔음(溫八音)'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온정균이 과거 시험장에서 8번 팔짱을 끼었다 풀자 팔운시(八韻詩)가 완성되었다 하여 붙여진 것이다.[12] 심지어 그는 칸막이 안에서 혼자 시험을 치르게 되었을 때에도, 한 시험에서 몰래 여덟 명을 도왔다고 한다.[6] 이렇게 재주가 뛰어났지만, 과거 시험에는 여러 번 낙방했다.온정균이 과거에 여러 번 낙방한 데에는 복합적인 이유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우선, 그는 령호도(令狐綯)와 사이가 좋지 않았다. 재상이었던 령호도는 온정균을 좋게 보았으나, 온정균이 령호도의 비리를 폭로하고 그를 비판하는 발언을 하면서 관계가 틀어졌다.[6] 령호도는 온정균을 음해하고 그의 승진을 방해하기 위해 시험관에게 뇌물을 주기도 했다.[6]
또한, 온정균은 강회 (양쯔강) 지역을 여행할 때, 야오 쉬(姚胥)라는 사람이 준 돈을 모두 사창가에서 탕진한 적이 있다.[6] 이 소식을 들은 야오 쉬는 그를 심하게 채찍질하고 내쫓았는데, 이 사건으로 온정균은 악명이 높아져 그를 과거 시험에 추천하려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6]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온정균은 제도에 실망하여 과거를 통해 관료가 되려는 욕망을 포기하고 자주 기방을 드나들었다.[6] 그는 여전히 과거를 치렀지만, 그의 목적은 이 제도에 복수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이 시험에서 부정 행위를 하도록 돕는 것이었다.[6]
함통 6년(865년) 온정균은 국자조교(國子助敎)에 임명되어 국자감시(國子監試)를 관장했다. 그는 문장으로 사람을 판단하겠다는 기준을 제시했는데, 이것이 권세가와 귀족의 불만을 샀다. 또한 그가 시정을 비판하고 부패한 자를 폭로한 시문을 지은 것이 재상 등의 분노를 사서 결국 방성위(方城尉)로 좌천되었다.[6]
2. 3. 만년과 죽음
이최가 새로운 황제가 되고 양수가 새로운 재상이 된 후, 온정균은 866년에 국자감의 교수로 추천되었다.[6] 다른 응시자들이 그처럼 억울하게 갇히는 것을 막기 위해 온정균은 취임하자마자 과거 제도를 개혁하기 시작했다.[6] 응시자들은 점수를 확인할 수 있었고, 장원의 글을 검토할 수 있었는데, 이는 시험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만들었지만, 권력자들의 이익을 심각하게 훼손했다.[6] 새로운 재상 양수는 그를 좌천시켰고, 얼마 지나지 않아 온정균은 866년에 사망했다.[6]3. 문학
온정균은 시와 사에서 모두 뛰어나, 시에서는 이상은과, 사에서는 위장(韋莊)과 비견될 정도로 높은 평가를 받는다. 그의 시는 개인적인 경험과 사회 비판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며, 대상에 대한 섬세한 관찰과 색채감, 음악성이 돋보인다.[6][3] 특히, 그의 사는 여성의 아름다움, 사랑, 그리움, 이별과 원망 등을 주제로 하여 섬세하고 정교한 표현이 특징이다.
온정균의 시는 감정 표현과 환경 묘사에 집중한 부분이 많다.[4]
폴 F. 루저(Paul F. Rouzer)는 ''야연(夜宴)''을 다음과 같이 번역했다.
'''"''야연(夜宴)'''''
'''''긴 비녀, 쌍으로 매달린 잠자리[长钗坠发双蜻蜓]'''''
'''''그녀의 늘어진 머리카락에.'''''
'''''푸른 들판이 끝나고 언덕이 기울어지니[碧尽山斜开画屏]'''''
'''''그림 같은 병풍이 펼쳐지네.'''''
'''''곱슬 수염을 가진 공자의 아들[虬须公子五侯客]'''''
'''''그리고 다섯 후작의 손님들.'''''
'''''한 잔에 천 잔을 들이키니[一饮千钟如建瓴]'''''
'''''지붕에서 떨어지는 빗물 같네.'''''
'''''봉황의 목소리로, 미녀들은 노래하네[鸾咽奼唱圆无节]'''''
'''''끊김 없이, 완벽하게.'''''
'''''눈썹을 찌푸리니 - 상강의 안개 -[眉敛湘烟袖回雪]'''''
'''''소매는 휘날리는 눈이네.'''''
'''''"이 맑은 밤에, 다정한 마음은[清夜恩情四座同]'''''
'''''모두가 함께 나누네;'''''
'''''그러니 도랑의 물이[莫令沟水东西别]'''''
'''''동과 서로 갈라지지 않게 하세요."'
'''''똑바로 세워진 촛불은 눈물을 흘리고[亭亭蜡泪香珠残]'''''
'''''향기로운 구슬은 쇠퇴하네.'''''
'''''어두운 이슬과 새벽 바람[暗露晓风罗幕寒]'''''
'''''얇은 휘장은 차갑네.'''''
'''''웅장한 창검 깃발[飘飖戟带俨相次]'''''
'''''줄지어 펄럭이네.'''''
'''''그들의 스물 넷 개의 장대[二十四枝龙画竿]'''''
'''''용으로 장식되었네.'''''
'''''피리 소리, 현악기 소리 -[裂管萦弦共繁曲]'''''
'''''하나의 교향곡.'''''
'''''향기로운 술잔의 작은 물결 -[芳樽细浪倾春醁]'''''
'''''어둠 속에서 봄 술을 쏟아내네.'''''
'''''높은 방에서, 손님들은 흩어지고[高楼客散杏花多]'''''
'''''많은 살구꽃 속에.'''''
'''''갈망하며, 새로운 개구리 달[脉脉新蟾如瞪目]'''''
'''''정다운 눈으로 내려다보네."' [4]
3. 1. 온정균의 사(詞)
온정균은 만당(晩唐)의 시인이자 사인(詞人)으로, 그의 사는 중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역대 평론가들은 그를 화간파(花間派)의 비조(鼻祖)로 평가하는데, 이는 사의 풍격과 성격을 규정하는 데 큰 역할을 한 《화간집(花間集)》에 온정균의 사가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사는 본래 민간에서 발생했지만, 온정균에 의해 문사들의 관심을 받게 되었고, 이후 오대(五代)와 송대(宋代) 사인들이 경쟁적으로 창작하게 되어 중국 문학의 주요 장르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온정균은 음악적 재능을 살려 여러 사조(詞調)를 창작하고, 낭만적이고 유미적인 감성을 표현한 많은 사(詞)를 남겼다.[6]온정균 사의 주제는 대략 여성의 자태, 사랑, 그리움, 이별과 원망으로 한정된다. 이는 온정균 개인의 성향과 사의 초기 성격에 기인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의 ''사(詞)''에 등장하는 인물은 주로 여성이며, 주된 주제는 그들의 슬픔과 그리움을 표현하는 것이다.[4]
'''경루자(更漏子)'''
경루자는 온정균의 사(詞) 중 하나로 "밤의 물시계에 관하여"로도 번역된다.[8] 폴 F. 루저(Paul F. Rouzer)의 번역은 다음과 같다.
'''"경루자(更漏子)'''''
'''''옥로에 피운 향[玉爐香],'''''
'''''붉은 촛불의 눈물[紅蠟淚],'''''
'''''그것들은 그림 그린 방 안 가을 시름을 비추네[偏照畫堂秋思]。'''''
'''''가늘어진 눈썹과 옅어진 초록 눈썹[眉翠薄],'''''
'''''가닥진 구름, 얇아진 머리칼[鬢雲殘],'''''
'''''밤은 길고, 이불과 베개는 차갑네[夜長衾枕寒]。'''''
'''''오동나무[梧桐樹],'''''
'''''그리고 깊은 밤 비[三更雨],'''''
'''''지금 막 헤어지는 슬픔을 알지 못하네[不道離情正苦]。'''''
'''''잎 하나하나[一葉葉],'''''
'''''소리 하나하나[一聲聲],'''''
'''''빈 계단에 떨어져 밝을 때까지[空階滴到明]。"'''''[4]
이 사(詞)에서, 환경의 모든 것은 등장인물과 같은 감정을 가지고 있는 듯하며, 등장인물은 또한 그녀에게 더욱 나쁜 감정을 유발하는 환경에 대해 불평한다.[8] 이러한 방식으로, 작가는 감정과 장면을 융합하여 등장인물의 강렬한 감정을 더 잘 표현했다.[8]
'''불상만(菩薩蠻)'''
차이 종치(Zhong-qi Cai)는 다음과 같이 번역했다.
'''"불상만(菩薩蠻)'''''
'''''겹겹이 작은 언덕, 금빛은 반짝이다 사라지고[小山重疊金明滅],'''''
'''''구름은 뺨의 향기로운 눈 위를 맴도네[鬓云欲度香腮雪]。'''''
'''''게으르게 일어나 눈썹을 그리니[懒起画蛾眉],'''''
'''''화장하고 머리 손질하는 것이 늦어지네[弄妆梳洗迟]。'''''
'''''꽃은 앞뒤 거울에 비치고[照花前後镜],'''''
'''''꽃 같은 얼굴은 서로를 비추네[花面交相映]。'''''
'''''새로 수놓은 비단 저고리[新帖绣罗襦],'''''
'''''쌍쌍의 금색 자고새[双双金鹧鸪]。"'''''[8]
불상만(菩薩蠻)은 "경루자(更漏子)"보다 더 화려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8] "쌍쌍의 자고새"와 "게으르게"라는 단어는 여성 인물의 부부의 행복을 나타낸다.[8] 여성의 감정을 묘사하는 단어는 많지 않지만, 그리움의 감정은 행간에 숨겨져 있다.[8]
온정균은 많은 수의 시를 지었고, 사의 화려한 유파의 창시자였다.[3] 그는 많은 수의 사를 지은 최초의 인물이었으며, 이는 송나라 시대 사의 번영을 촉진하는 데 중요했다.[9]
3. 2. 대표작
이상은과 명성을 견주었던 온정균의 대표작은 다음과 같다.[6][3]4. 화간파(花間派)
온정균이 의도적으로 화간파를 창시한 것은 아니지만, 후세 사람들은 그를 화간파의 창시자로 칭송했다.[4] 화간파 사의 형성은 당시의 정치적 요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10] 안사의 난 이후, 당나라의 정치와 사회는 쇠퇴했다.[11] 그 결과, 감정 표현에 중점을 두고 남녀 간의 사랑을 대담하게 묘사하는 섬세한 형식을 따르는 사람들이 늘어났다.[10] 이러한 작품들이 《화간집(花間集)》에 수록되면서, 후세 사람들은 이 사의 양식을 '화간파(花間派)'라고 칭하게 되었다.[4]
5. 일화
온정균의 성격에 관한 일화는 여럿 전해지는데, 대체로 그의 낭만적인 성격과 방탕한 품행이 주를 이룬다. 온정균이 처음 장안에 왔을 때에는 많은 사람이 그의 출중한 재주를 존중했으나, 그는 자신의 재주를 믿고 주색에 빠져 염려한 문사만을 짓거나 권력자를 비꼬거나 비판하는 일을 일삼아 금방 미움을 받게 되었다.[6] 과거시험장에서도 자신의 재주를 자랑하고자 여러 번 부정행위를 저질렀고, 승상이나 권력자, 심지어 왕에게도 방자하게 구는 등, 본래부터 상대방의 기분을 맞추거나 자신을 낮추는 데 소질이 없었던 것 같다.[6]
- 상사들 사이의 평판: 재상 령호도는 황제 이진이 "보살만(菩薩蠻)"이라는 노래를 좋아하자 온정균의 보살만 20편을 바치고 자신이 썼다고 거짓말을 했다.[6] 령호도는 온정균에게 비밀로 해달라고 했지만, 온정균은 곧 그 이야기를 퍼뜨렸다.[6] 또한 온정균은 다른 신하들 앞에서 령호도에게 재상으로서 더 많은 책을 읽어야 한다고 말해 령호도를 불쾌하게 만들었다.[6] 령호도는 온정균을 음해하고 그의 승진을 방해하기 위해 시험관에게 뇌물을 주었고, 온정균은 오랫동안 과거에 실패했다.[6] 이에 과거를 통해 관료가 되려는 욕망을 포기하고 자주 기방을 드나들었다.[6]
- 온정균: 령호도에게 모함을 받은 후, 다른 사람들의 부정행위를 돕기 위해 과거 시험을 보았다.[6] 사람들은 그에게 손을 여덟 번 긋고 글을 완성할 수 있다는 의미로 '온팔차(溫八叉)'라는 별명을 붙였다.[12] 그는 칸막이 안에서 혼자 시험을 치르게 되었을 때에도, 한 시험에서 몰래 여덟 명을 도왔다.[6]
- 강회에서의 모욕: 온정균이 젊었을 때 강회 지역을 여행할 당시 시가 유명해지자, 양쯔강의 야오 쉬(姚胥)는 그에게 많은 돈을 제공했다.[6] 그러나 온정균은 이 돈을 모두 사창가에서 사용했고, 야오 쉬는 이 소식을 듣고 그를 심하게 채찍질하고 내쫓았다.[6] 온정균의 누나는 야오 쉬의 사무실을 찾아가 소리를 지르며 "내 동생 같은 젊은이가 이런 짓을 하는 것은 당연하다. 어찌 그를 채찍질할 수 있느냐? 지금 그가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것은 당신 때문이다!"라고 말했다.[6] 야오 쉬는 이 사건으로 인한 병으로 사망했다.[6]
- 광릉에서의 모욕: 온정균이 강동, 조안현 지역으로 돌아온 후, 어느 날 밤 술에 취해 순찰병에게 구타를 당해 이빨이 부러졌다.[6] 령호도에게 글을 썼지만, 령호도는 한 서기를 비난하고 순찰병은 무죄로 석방했으며, 이 사건을 온정균의 나쁜 행동 탓으로 돌렸다.[6]
- 이름 변경: 온정균은 온기(溫岐)라는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6] 이는 강회 사건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6] 어떤 사람들은 그가 과거 시험을 보기 위해 온정균으로 이름을 바꿨다고 믿지만, 일부 연구자들은 처음에는 온정균이었고, 그 후 온기로 바꿨다가 마지막으로 원래 이름인 온정균으로 다시 바꿨다고 믿는다.[6]
- 어선기:

어선기는 당나라의 여성 시인이었다.[13] 온정균이 그녀를 발견하여 키우고 스승이 되었다.[14] 어선기(유유미)는 온정균에게 깊이 매료되었지만 온정균은 그녀가 더 나은 미래를 누릴 자격이 있다고 믿어 거절했다.[14] 온정균은 그녀를 친구 이이에게 첩으로 소개했지만, 이이의 아내는 유유미를 학대했다.[14] 이이는 그녀를 도교 사원으로 보내고 3년 후에 데리러 오겠다고 약속했고, 그녀는 어선기라는 새 이름을 얻었다.[14] 이이가 다른 곳으로 파견되자, 그녀는 자신이 속았다고 생각하고 더 이상 남자를 믿지 않게 되었으며, 자신의 생계를 위해 사원을 사창가로 바꿨다.[14] 26세에 어선기는 자신의 연인과 바람을 피운 하녀를 살해한 혐의로 사형 선고를 받았다.[14]
6. 어현기(魚玄機)와의 관계
어현기는 온정균의 제자이자, 그의 영향을 받은 여류 시인이다. 어현기의 처음 이름은 유유미(幼幼薇)였는데, 온정균은 어린 유유미를 발견하여 가르쳤다.[14] 성장한 유유미는 온정균에게 깊이 매료되었으나, 온정균은 그녀가 더 나은 미래를 누릴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여 그녀의 마음을 받아들이지 않았다.[14] 대신 온정균은 그녀를 자신의 친구 이억(李億)에게 첩으로 소개했다.[14] 그러나 이억의 아내는 유유미를 질투하여 학대했고, 이억은 유유미를 보호하기 위해 도교 사원으로 보내고 3년 후에 데리러 오겠다고 약속했다.[14] 이때 유유미는 '현기(玄機)'라는 새로운 이름을 얻었는데, 이는 중국어로 "신비"를 의미한다.[14]
그러나 이억은 다른 곳으로 파견되었고, 어현기는 자신이 버려졌다고 생각하여 남성을 불신하게 되었다.[14] 그녀는 생계를 위해 도교 사원을 사창가로 바꾸었다.[14] 결국, 26세의 어현기는 자신의 연인과 바람을 피운 하녀를 살해한 혐의로 사형당했다.[14]
7. 발해 왕자에게 지어준 전별 한시
《전당시(全唐詩)》 권583에는 발해 왕자에게 전별의 의미로 지어준 온정균의 한시가 수록되어 있다.
疆理雖海重 | 그대의 나라는 비록 바다 너머에 있으나 |
車書本一家 | 수레 타고 글 읽는 것은 본디 한 집안이라 |
盛勳歸舊國 | 큰 공 세우고 제 나라로 돌아가면서 |
佳句在中華 | 아름다운 시구를 중화 땅에 남기고 가도다 |
定界分秋漲 | 경계를 나누는 저 가을의 바다로 |
開帆到曙霞 | 닻을 올려 새벽 노을 속으로 간다 |
九門風月好 | 궐문에 걸린 바람과 달이 아름다운데 |
回首是天涯 | 머리 돌리자 하늘가에 걸려 있구나. |
참조
[1]
서적
An Anthology of Chinese Literature: Beginnings to 1911
W.W. Norton
[2]
문서
[3]
서적
Chinese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Writing another's dream : the poetry of Wen Tingyun
http://worldcat.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3
[5]
서적
全唐詩
[6]
서적
Rediscovering Wen Tingyun: A Historical Key to a Poetic Labyrinth
SUNY Press
[7]
간행물
Berkshire Encyclopedia of China
http://dx.doi.org/10[...]
2016
[8]
서적
How to Read Chinese Poetry: A Guided Anthology
Columbia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http://dx.doi.org/10[...]
2010-04-01
[10]
서적
The Poetics of Decadence: Chinese Poetry of the Southern Dynasties and Late Tang Periods
SUNY Press
[11]
서적
A history of China
https://www.worldcat[...]
Cosimo Classics
2005
[12]
서적
Tang zhi yan
Shanghai : Shanghai gu ji chu ban she
[13]
간행물
The Clouds Float North: The Complete Poems of Yu Xuanji. Translated by David Young and Jiann I. Lin. Hanover, N.H. and London: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1998. xviii, 75 pp. $25.00.
http://dx.doi.org/10[...]
1999
[14]
간행물
Unsold Peony: The Life and Poetry of Daoist Priestess-Poet Yu Xuanji of Tang China
https://muse.jhu.edu[...]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