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외국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외국어는 자국에서 사용하는 공용어가 아닌 다른 언어, 또는 교육 과정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의미한다. 모국어 개념이 중요해지면서,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익힌 언어가 아닌 모든 언어를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외국어는 제2언어와 종종 동의어로 간주되지만, 제2언어는 모국어를 배운 후 배우는 모든 언어를 넓게 지칭하는 반면, 외국어는 특정 국가나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지 않는 언어를 의미한다. 외국어 학습은 취업 기회 확대, 인지 능력 향상, 문화 간 이해 증진 등 다양한 효과를 가져다주며, 언어 습득과 학습의 구분은 언어 학습을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중언어 - 에스페란토
    에스페란토는 루도비코 라자로 자멘호프가 발표한 국제 보조어로, 언어 장벽 해소와 국제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고안되었으며, 쉬운 문법과 유럽어 기반 어휘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계획어이다.
  • 다중언어 - 국제어
    국제어는 서로 다른 모국어 사용자 간 의사소통을 돕는 언어로, 자연어가 링구아 프랑카로 쓰이기도 하지만 인공어가 국제 보조어로 제안되었으며, 영어 또한 국제어로서 널리 쓰이고 인터넷 발달이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 사회언어학 - 지칭어
    지칭어는 특정 대상을 명확히 지칭하는 용어로, 한국어에서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며, 프로젝트 관리에서는 참조 조건의 의미로 프로젝트 목표와 범위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 사회언어학 - 피진
    피진은 서로 다른 언어 사용자 간 의사소통을 위해 만들어진 단순화된 언어로, 문법과 어휘가 제한적이며 모어 화자가 없지만, 널리 사용될 경우 크리올어로 발전하기도 한다.
외국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의모국어가 아닌 다른 언어
학습 목표의사소통 능력 향상
문화적 이해 증진
인지 능력 개발
학습 대상유아
어린이
청소년
성인
외국어 학습
학습 동기여행
학업
직업
개인적 관심
학습 방법어학원
학교
온라인 강의
튜터
자가 학습
학습 도구교재
사전
플래시 카드
어플리케이션
영화 및 음악
외국어 학습 효과
인지적 효과문제 해결 능력 향상
기억력 향상
다중 작업 능력 향상
사회적 효과의사소통 능력 향상
문화적 이해 증진
국제적인 관계 형성
경제적 효과취업 기회 확대
해외 진출 기회 확대
외국어 교육
조기 교육유아기부터 외국어 학습 시작
모국어처럼 외국어를 습득하는 효과
제2외국어 교육모국어 외 다른 외국어 학습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 증진
언어학적 관점
언어 습득모국어 습득 과정과 외국어 습득 과정 비교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
언어 간의 관계언어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 분석
언어 간의 상호 영향 관계 연구
기타
관련 연구 분야응용 언어학
교육학
심리학
인지 과학
관련 기관교육부
국립국어원
어학 연구소

2. 외국어의 정의와 구분

외국어는 일반적으로 자국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아닌 다른 나라의 언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한국인에게는 한국어가 모국어이므로,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은 모두 외국어에 해당한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모국어의 개념이 중요해지면서, 외국어의 의미가 단순히 자국어가 아닌 언어를 넘어, 모국어가 아닌 모든 언어를 가리키는 용어로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다.

제2언어와 외국어를 구분하는 것은 지리적, 환경적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제2언어 상황'과 '외국어 상황'은 학습 환경에 따라 구분될 수 있는 연속적인 개념이다.

제2언어 학습과 외국어 학습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특징외국어 학습제2언어 학습
심리사회적 요구집단 과정, 교실 규율 및 절차에 적응해야 함. 제한된 개별적 관심, 정기적인 출석 필요.집단 과정에 적응은 덜 필요, 더 많은 개별적 관심, 정기적인 출석은 덜 필요.
언어 데이터미리 선택된 대상 언어 항목 소개, 제한된 자발성, 계획된 교육 과정.자발성 높음, 덜 계획된 교육 과정.
문법 규칙모국어로 규칙 설명, 추상적 규칙 이해 및 적용 기대.규칙 설명은 덜 중요, 실제 사용을 통한 습득.
상황제한적이고 시뮬레이션된 상황.다양하고 실제적인 상황.
교육 보조 도구 및 과제책, 글쓰기, 언어 실험실 등 사용, 과제 주어짐.실제 생활에서의 연습, 과제는 덜 중요.



모국어는 어느 분야의 교육에서든 단순한 기능적인 지식 습득보다 중요하다. 외국어 습득에 앞서 모국어를 정확하게 쓰고 말하는 능력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인생의 행복과 불행에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2. 1. 정의

일반적으로 외국어란 자국에서 채택한 공용어가 아닌 다른 언어, 혹은 교육과정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지칭한다. 그러나 모국어의 개념이 중요해진 오늘날에서 외국어는 단순히 그런 의미로만 쓰이지는 않고,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익힌 언어가 아닌 모든 언어를 가리키는 용어로 확대되어 쓰이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는 자국에서 채택한 공용어라도 모국어가 아니면 외국어가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프랑스령브르타뉴에서 주로 쓰이는 브르타뉴어를 모국어로 습득한 사람일 경우, 프랑스어를 이중 모국어로 습득한 경우가 아니면, 프랑스 국민으로서의 입장에서는 자국어가 되는 프랑스어프랑스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의 입장에서는 '외국어'가 된다. 그래서 언어학에서는 외국어를 지칭하는 용어로 제2언어, 제3언어 등의 용어를 사용한다.[1]

하지만, 지역에 따라서는 인접국의 언어가 널리 사용되는 등의 사정으로 인해, 자국어(모국어)와 외국어의 엄밀한 정의·구분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또한, 자국 내 소수 민족이 사용하는 언어(일본아이누어나 류큐어 등) 또는 특정 국가에 속하지 않는 국제 보조어(에스페란토 등)에 대해서는 "외국어"의 정의에 포함할지에 대한 논의가 있다.[1]

2. 2. 제2언어와의 구분

제2언어는 특정 국가 또는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언어를 말한다. 예를 들어, 미국 이민자들이 영어를 배우거나, 나이지리아, 인도, 싱가포르, 필리핀 등에서 영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이들 국가에서 영어는 교육, 정부 업무 등 여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며, 해당 사회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영어 학습이 필수적이다.[17]

반면, 외국어는 특정 국가나 지역에서 모국어가 아니고, 학교 교육 언어나 정부, 미디어 등에서 널리 사용되지 않는 언어를 의미한다.[17] 예를 들어, 영국 사람들에게 프랑스어는 외국어이다.

이러한 제2언어와 외국어의 구분은 지리적, 환경적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즉, '제2언어 상황'과 '외국어 상황'은 학습 환경에 따라 구분될 수 있으며, 이는 연속적인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언어 환경에서 생활하며 자연스럽게 언어를 배우는 경우는 제2언어 학습에 가깝고, 교실에서만 언어를 배우는 경우는 외국어 학습에 가깝다.

또한, 제2언어는 해당 국가 내에서 공식적인 지위를 가지거나 인정된 기능을 갖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쿠르드족에게 페르시아어는 제2언어이지만, 페르시아어 사용자에게 쿠르드어는 그렇지 않다. 쿠르드어 환경이 없기 때문이다. 반면, 영어는 쿠르드족과 페르시아인 모두에게 외국어이다. 그러나 이란인이 미국으로 이민을 가면 영어는 그들에게 제2언어가 된다.[17]

제2언어 학습의 목적은 주로 해당 국가의 정치, 경제 생활에 참여하고 교육을 받는 데 필요한 경우가 많다. 반면, 외국어 학습의 목적은 해외 여행, 외국인과의 의사소통, 외국 문학 읽기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질 수 있다.

3. 외국어 교육

대한민국에서는 초·중등 교육에서 영어를 필수로 배우고,[27] 중등 교육 과정부터는 일본어, 중국어, 독일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아랍어, 베트남어 등을 선택 과목으로 배울 수 있다.[28] 유럽, 미국, 캐나다 등지에서는 라틴어, 그리스어, 프랑스어 등을 교육과정에서 배운다.[29] 다만, 비영어권 국가에서는 미국 등의 영어 사용국의 국제적인 영향으로 인해 영어가 필수 과목인 경우가 많다.

학교에서 외국어 교육을 많이 하지만, 실제로 외국어를 잘 하는 성인의 수는 생각보다 적다. 특히 영어 원어민의 경우가 그렇다. 2004년 영국의 한 조사에 따르면, 영국 근로자 10명 중 1명 미만이 외국어를 할 수 있었고, 5% 미만이 다른 나라 말로 20까지 셀 수 있었다.[5] 2012년 유럽 연합 조사에서는 영국 응답자의 61%가 모국어 외 다른 언어를 못한다고 답했다.

''The Atlantic''의 한 기사에 따르면, 미국 성인 인구 중 1%만이 외국어를 잘한다고 생각한다. 이는 다른 많은 나라들과 비교하면 매우 낮은 수치이다. 외국어 학습의 장점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전역의 학교들은 외국어 예산을 계속 줄이고 있다.[6]

외국어를 배우면 더 좋은 직업을 얻거나, 인지 능력이 좋아지는 등 여러 효과가 있다. 2004년 영국의 마이클 토마스 랭귀지 센터의 조사에 따르면, 평균적인 근로자가 외국어를 할 수 있게 되면 평균 연봉이 3300유로 증가하고, 평생 급여는 15,000유로 증가하며, 이성 관계도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25][26]

3. 1. 한국의 외국어 교육

대한민국에서는 초·중등 교육 과정에서 영어를 필수로 배우고,[27] 중등 교육 과정부터는 일본어, 중국어, 독일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아랍어, 베트남어 등을 선택 과목으로 배울 수 있다.[28]

3. 2. 세계의 외국어 교육

대한민국에서는 초·중등 교육에서 영어를 필수로 배우고,[27] 중등 교육과정부터는 일본어, 중국어, 독일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아랍어, 베트남어 등을 선택 과목[28]으로 배운다. 유럽, 미국, 캐나다 등에서는 라틴어, 그리스어, 프랑스어 등을 교육과정에서 배운다.[29] 비영어권 국가에서는 미국 등의 영어 사용국들의 국제적인 영향으로 인해 영어가 필수 과목인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독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스웨덴, 핀란드 등이 그 예이다. 영어권 국가에서는 역사적인 상황에 따라 교육과정에서 배우는 외국어가 다르다. 영국이나 미국에서는 라틴어, 그리스어, 프랑스어 등을 배우고, 필리핀에서는 스페인어, 말레이시아싱가포르에서는 중국어힌디어 등을 배운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인도네시아어, 일본어, 중국어, 한국어 등을 배운다.

1995년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의 교육 및 훈련에 관한 백서에서는 고등학교 교육 이전에 최소 두 개의 외국어를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000년 리스본 정상회의에서는 언어를 5가지 핵심 기술 중 하나로 규정했다.

독일에서의 프랑스어 학습 풍경. 프랑스어를 배우고 있는 독일인 학생이 임시 교사 역할을 맡아 다른 학생들에게 프랑스어를 설명하고 있는 모습.


유럽에서는 외국어 학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영국인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등을 배우거나, 프랑스인이 영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등을 배우는 것은 일반적인 일이다.

"선진국 중에서 외국어 학습 의욕이 특히 낮은 나라는 미국이다"라는 말이 있다. 미국이 군사력과 경제력으로 세계의 넓은 지역에서 영향력을 행사해 왔기 때문에 미국 영어가 통용되는 지역이 많아 미국인들은 미국식 영어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결과적으로 외국어를 배우지 않은 미국인이 매우 많다.

3. 3. 외국어 교육의 도구

최근 몇 년 동안 컴퓨터 보조 언어 학습이 외국어 교육에 통합되었고, 컴퓨터와 언어 학습자 간의 상호 작용 수준이 다양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7] 외국어 작문 보조 도구 및 외국어 독해 보조 도구와 같은 언어 학습 보조 도구는 외국어 학습자에게 사용할 수 있는 대안적인 도구이기도 하다.

4. 외국어 학습의 효과 및 연구

전 세계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최소 한 개 이상의 외국어를 가르치며, 대부분의 대학교와 고등학교는 졸업 전에 외국어 이수를 요구한다. 1998년까지 유럽의 거의 모든 학생들은 의무 교육의 일환으로 최소 한 개 이상의 외국어를 공부했다.[3][4]

몇몇 연구들에 따르면, 외국어 학습은 인지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 2004년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niversity College London, UCL)의 연구에서는 2개 이상의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105명의 뇌를 조사한 결과,[10] 어릴 때 제2언어를 배운 사람들이 나중에 배운 사람들보다 회색질 밀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0] 회색질은 뉴런이라는 특수 세포의 기능 덕분에 정보가 가장 효율적으로 처리되는 뇌 영역으로, 연구원들은 제2언어 학습이 뇌 구조를 변화시키고 기능을 향상시킨다는 결론을 내렸다.[10][11]

미국과 한국의 300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제2언어로 생각하는 것이 위험과 이익을 인식하는 방식에 과도하게 영향을 미치는 깊이 뿌리 박힌 잘못된 편견을 줄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12] 또한, 다른 연구에 따르면 제2언어에 대한 조기 노출은 확산적 사고 전략을 향상시키며,[13] 이는 언어 관련 작업뿐만 아니라 수학과 같은 분야에도 도움이 된다.

외국어 학습은 집중력과 다중 작업 능력 향상에도 도움을 준다. 포토맥 대학교(University of the Potomac)의 연구에 따르면 이중 언어 사용자는 단일 언어 사용자보다 주의력을 더 잘 조절하고 작업 간 전환을 더 쉽게 할 수 있는데,[14] 이는 이중 언어 사용자가 사용하는 언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다른 언어의 간섭을 억제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신적 훈련은 계획, 구성, 문제 해결 및 의사 결정을 담당하는 집행 기능을 향상시킨다. 외국어 학습은 또한 아이디어를 표현하고 틀을 벗어나 생각하는 새로운 방법에 노출됨으로써 창의력을 향상시킨다.[15]

"선진국 중에서 외국어 학습 의욕이 특히 낮은 나라는 미국이다"라고 말해진다. 미국이 군사력과 경제력으로 세계의 넓은 지역에서 영향력을 행사해 왔기 때문에 미국 영어가 통용되는 지역이 많아 미국인들은 미국식 영어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결과적으로 외국어를 배우지 않거나 외국어 지식이 전혀 없는 미국인이 매우 많다.

4. 1. 외국어 학습의 효과

외국어를 배우고 습득하는 것은 더 나은 직업 생활을 위한 기회를 얻거나 인지 능력이 향상되는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

2004년 영국의 마이클 토마스 랭귀지 센터(Michael Thomas Language Centre)가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평균적인 근로자가 모국어 이외의 언어를 구사할 수 있게 되면 평균 연봉이 3300EUR 증가하고, 평생 급여는 15000EUR 증가하며, 이성 관계도 원만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8][9]

캠브리지 어세스먼트 잉글리시(Cambridge Assessment English)에 따르면, 외국어를 배우면 문법, 어휘 및 문장 구조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모국어의 읽기 및 쓰기 능력이 향상된다.[16] 또한, 외국어 학습은 다른 문화와 관점에 대한 이해를 높여, 다른 사람들에 대한 공감, 관용 및 존중을 증진시킬 수 있다.

4. 2. 외국어 학습과 습득

언어학 및 교육학에서는 언어 습득과 언어 학습을 구분한다. 습득은 자연스럽고 무의식적인 과정이며, 학습은 인위적이고 의식적인 과정이다.[17] 제2언어 학습은 비공식적이고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습득의 기회를 제공하며, 외국어 학습은 교육적 환경에서 학습의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외국어 학습에서도 습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제2언어 학습에서도 학습이 발생할 수 있다.[17]

예를 들어, 미국 이민자들은 목표 언어 환경에서 언어 교육 수업에 참석하여 습득과 학습 모두를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목표 언어 환경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외국어 학습자도 외국 라디오나 문학과 같은 매체에 노출됨으로써 언어를 습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습득과 학습의 구분은 언어 습득과 학습을 이해하는 데 유용하지만, 두 과정 모두 다양한 언어 학습 맥락에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언어 습득과 학습을 극대화하기 위해 특정 학습자의 요구와 목표에 맞춘 다양한 언어 학습 전략과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5. 외국어 관련 작품


  • NHK 연속 TV 소설 『가무가무 에브리바디』는 쇼와부터 레이와까지 3세대에 걸쳐 NHK "라디오 영어 강좌"와 함께한 할머니, 어머니, 딸의 1세기 동안의 가족 이야기이다.
  • NHK 드라마 『와게몬~나가사키 통역 이문~』은 2022년 1월 8일부터 매주 토요일 NHK 종합 "토요 드라마" 시간대에 방송되었다. "와게몬(和解者)"은 당시 공식적으로 "통사(通詞)"로 불렸으며, 현대의 통역가에 해당한다. 에도 시대 나가사키에서 활약했던 네덜란드어에 능숙한 네덜란드 통사들은 막부의 직원으로, 네덜란드와의 무역, 정치 협상, 정보 수집 등을 담당하는 전문가 집단이었다. 이 드라마는 격변의 시대였던 막말, 통사였던 아버지의 실종 미스터리를 쫓아 나가사키에 온 청년 이시마 소타가 여러 사건에 휘말리는 이야기로, 외국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이 격동의 시대에 맞서는 모습을 그린다.

참조

[1] 뉴스 Merritt, Anne. "Are Children Really Better at Foreign Language Learning?" https://www.telegrap[...] 2016-05-15
[2] 논문 Adults' and 8-Year-Olds' Learning in a Foreign Word Repetition Task: Similar and Different: Adults' and Children's Foreign Word Repetition https://macsphere.mc[...] 2022-07-11
[3] 웹사이트 De lat hoog voor talen in iedere school http://www.ond.vlaan[...]
[4] 문서 Children in the Flemish Community start learning French at age 10, English at 12 or 13 and, if chosen so, mostly German or Spanish at age 15 or 16, but with only the first two being obligatory. In the Brussels Capital Region, however, French is taught starting at age 8.
[5] 뉴스 Why Britons are 'language barbarians' http://news.bbc.co.u[...] 2022-07-10
[6] 웹사이트 America's Lacking Language Skills https://www.theatlan[...] 2022-07-10
[7] 논문 Integrating CALL into Foreign-Language Teaching https://eric.ed.gov/[...] 1989
[8] 뉴스 Languages 'boost work and love' http://news.bbc.co.u[...] 2004-11-01
[9] 뉴스 Life is better for linguists, survey finds https://www.theguard[...] 2023-05-05
[10] 뉴스 Learning languages 'boosts brain' http://news.bbc.co.u[...] 2017-02-01
[11] 논문 Grey matter matters for intellect http://www.nature.co[...] 2004-07-21
[12] 웹사이트 Thinking in a Foreign Language Makes Decisions More Rational https://www.wired.co[...] 2017-11-16
[13] 논문 Chapter 2: Thought and Two Languages: The Impact of Bilingualism on Cognitive Development http://journals.sage[...] 1983-01-01
[14] 웹사이트 9 Benefits of Learning a Second Language University of the Potomac https://potomac.edu/[...] 2023-05-05
[15] 웹사이트 12 Awesome Advantages o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https://www.fluentu.[...] 2023-05-05
[16] 웹사이트 How learning a new language changes your brain Cambridge English https://www.cambridg[...] 2023-05-05
[17] 서적 Longman Dictionary of Language Teaching and Applied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2002
[18] 서적 English as a Global Languag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9] 서적 Fundamental Concepts of Language Teaching: Historical and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on Applied Linguistic Researc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83
[20] 서적 An Introduction to Language and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21] 서적 Linguistics and Language: A Survey of Basic Concepts and Implications https://books.google[...] Wiley 1978
[22] 서적 Sociolinguistics: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23] 서적 Contemporary Linguistics: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24] 사전 広辞苑第六版【外国語】
[25] 뉴스 Languages 'boost work and love' http://news.bbc.co.u[...] 2004-11-01
[26] 뉴스 Life is better for linguists, survey finds https://www.theguard[...] 2023-05-05
[27] 문서 초등학교 3~6학년 및 중학교 1~3학년은 학년별로 교과서가 나뉘고, 고등학교에서는 기초 영어, 실용 영어 Ⅰ, 실용 영어 Ⅱ, 실용 영어 회화, 실용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 Ⅰ, 영어 Ⅱ, 영어 회화, 영어 독해와 작문, 심화 영어 Ⅰ, 심화 영어 Ⅱ, 심화 영어 회화, 심화 영어 독해 Ⅰ, 심화 영어 독해 Ⅱ, 심화 영어 작문 (2013년 이전에는 영어, 영어 Ⅰ, 영어 Ⅱ, 실용 영어 회화, 심화 영어 회화, 영어 독해와 작문, 심화 영어 독해와 작문)으로 나누어 배운다.
[28] 문서 이들 제2외국어 과목은 Ⅰ, Ⅱ 2개로 나뉜다.
[29] 문서 2014년 1월 현재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등 동양계 언어도 개설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