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덕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덕군은 함경남도 남서부에 위치한 군으로, 1952년 영흥군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설치되었다. 랑림산맥이 지나가는 산악 지형으로, 룡흥강이 흐르며, 면적의 대부분이 산림이다. 역사적으로 옥저, 고구려, 발해 등의 지배를 받았으며, 고려 시대에는 화주로 불렸다. 현재는 1읍 21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업은 옥수수, 콩 등을 재배하는 정도이다. 평라선 요덕역을 통해 철도 접근이 가능하며, 특히 정치범 수용소인 요덕 제15호 관리소의 소재지로 알려져 국제 사회의 인권 침해 비판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덕군 - 요덕 정치범수용소
요덕 정치범수용소는 북한 함경남도 요덕군에 위치하며, 정권 비판 등의 이유로 수감된 사람들이 강제 노역과 고문 등 극심한 인권 유린에 시달리는 곳이다. - 함경남도의 군 - 정평군
정평군은 함경남도에 위치하며 함흥평야로 이어지는 정평평야를 중심으로 벼농사가 활발하고 평라선 철도와 선덕비행장이 위치한 교통의 요충지이며, 역사적으로 국방의 요충지였다. - 함경남도의 군 - 북청군
함경남도에 위치한 북청군은 동해와 함경산맥을 끼고 있는 군사적 요충지이자 농업이 활발한 지역이었으나, 해방 후 북한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쳤으며, 북청사자놀음이라는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 1952년 설치 - 평양시
평양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대동강이 관통하는 평양 평야에 위치하며 오랜 역사를 지닌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다. - 1952년 설치 - 우시군
우시군은 북한 자강도 서쪽 끝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접경하고, 1952년 벽동군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으며, 수자원이 풍부하지만 철도가 없어 도로 교통에 의존하고 농업 중심의 낙후된 경제 구조를 가진다.
요덕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요덕군 (耀德郡) |
로마자 표기 | Yodeok-gun |
McCune-Reischauer 표기 | Yodŏk kun |
지도 정보 | |
![]() | |
행정 구역 | |
소속 국가 | 북한 |
소속 도 | 함경남도 |
행정 구역 단위 | 1읍, 21리 |
통계 정보 | |
면적 | 1,292 km² |
인구 (2008년) | 40,839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2. 지리
함경남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사수산(1,747m)·백산(1,724m) 등 랑림산맥의 산들이 솟아 있는 내륙 지역이다. 군 대부분이 산지이고 가장 높은 지점은 라간봉이다. 주요 강으로는 룡흥강이 있다. 전체 면적의 약 90%가 산림이다.[2]
1952년 북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함경남도 영흥군(현재의 금야군) 요덕면, 선흥면, 횡천면을 떼어 요덕군을 신설하였다. 1967년에 요덕읍이 구읍리로 되고 대평리가 요덕읍으로 되었다.[3][4]
서쪽은 평안남도 맹산군과 신양군, 북쪽은 평안남도 대흥군, 동쪽은 정평군, 남쪽은 금야군과 고원군에 접해있다.
3. 역사
요덕군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5]연도 내용 1952년 12월 함경남도 영흥군 선흥면, 요덕면 및 횡천면 일부로 요덕군 설치 (1읍 26리) 1954년 백산리가 대숙리에 편입, 흥상리 일부가 분리되어 인흥리 발족 (1읍 26리) 1958년 6월 삼평리·회평리가 수동군에 편입 (1읍 24리) 1967년 10월 요덕읍이 구읍리로 강등, 대평리가 요덕읍으로 승격 (1읍 24리) 1986년 5월 룡남리·룡암리·룡천리·룡상리가 금야군에 편입 (1읍 20리) 1986년 8월 고원군 관평리 편입 (1읍 21리)
3. 1. 고대
이 지역은 남부 지역을 형성했던 옥저의 지배를 받았다. 서기 56년에는 고구려에 편입되었으며, 고구려 통치 기간 동안 이 지역은 장룡진, 당문 또는 박평군으로 불렸다. 발해 시대에는 남경남해부 소속으로 관리되었다.[3]
3. 2. 중세
발해 멸망 이후, 이 지역은 여진족이 유목하며 지배했다가 920년 고려에 다시 통합되었다. 이 지역은 화주로 이름이 바뀌었고, 유명한 천리장성을 포함한 요새가 건설되었다. 고려가 원나라에 패배한 후, 이 지역은 쌍성총관부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3]
3. 3. 일제강점기
1895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오늘날 요덕군을 이루는 지역은 영흥군 관할이 되었다.[3]
1907년 손흥면은 처음에는 선덕면으로 알려졌다가 1910년에 손흥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 지역은 산악 지형으로, 감자, 콩, 수수 재배와 소 방목, 목재 생산으로 유명했다. 용흥강 지류인 불류수는 왕들의 의례 장소였고, 진중사에는 불교 승려에 대한 구전 설화가 있었다. 평천산성이라는 요새 유적도 있었다.
요덕면은 대마로 만든 직물을 짜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요덕진과 월왕령 봉우리가 있었다.
횡촌면에는 고철롱성지라는 고대 요새 유적이 있었고, 가축 시장으로도 유명했다.
1945년 8월 당시 함경남도(일제강점기)|함경남도]] 영흥군 선흥면, 요덕면, 횡천면에 해당한다.
3. 4. 해방 이후
1945년 8월 당시 함경남도(일제강점기)|함경남도]] 영흥군 선흥면, 요덕면, 횡천면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1952년 북한에서 실시된 대규모 행정구역 개편 때 신설되었다.[4][5] 1952년 12월 군면리 통폐합에 따라 함경남도 영흥군 선흥면, 요덕면 및 횡천면의 일부 지역을 가지고 '''요덕군'''을 설치하면서 요덕읍·동산리·회평리·삼평리·평원리·송도리·미삼리·흥상리·평전리·성천리·인화리·완산리·운흥리·천흥리·대평리·립석리·룡평리·룡남리·문암리·향봉리·룡천리·성리·룡상리·양수리·룡암리·대숙리·백산리가 성립되었다. (1읍 26리)[5]
1954년 백산리가 대숙리에 편입되었고, 흥상리의 일부가 분리되어 인흥리가 신설되었다. 1958년 6월에는 삼평리·회평리가 수동군에 편입되었다. 1967년 10월 요덕읍이 구읍리로 강등되었고, 대평리가 요덕읍으로 승격되었다. 1986년 5월 룡남리·룡암리·룡천리·룡상리가 금야군에 편입되었고, 같은 해 8월 고원군 관평리를 편입하였다.[5]
4. 행정 구역
요덕군은 1읍 21리로 구성되어 있다.
읍 | 리 |
---|---|
요덕읍 | 관평리, 구읍리, 대숙리, 동산리, 량수리, 룡평리, 립석리, 문암리, 미삼리, 성리, 성천리, 송도리, 완산리, 운흥리, 인화리, 인흥리, 천흥리, 평원리, 평전리, 향봉리, 흥상리 |
5. 경제
산이 많아서 농업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산에 몇 개의 농장이 있고 옥수수, 콩, 기장, 밀, 보리가 재배된다. 험준한 지형 때문에 농업은 거의 불가능하지만, 몇몇 농장이 산에 자리 잡고 있으며, 옥수수, 콩, 수수, 밀, 보리를 수확한다.[1]
6. 교통
산지이기 때문에 철도는 연결되어 있지 않고, 도로로만 접근이 가능하였다. 하지만 평라선이 지나는 옛 수동군(당시 고원군) 관평리를 편입하여 철도가 지나게 되었으며, 관평역은 요덕역으로 개칭되었다.[1]
요덕군은 주로 도로를 이용하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의 평라선에 있는 요덕읍에 철도역(요덕역)이 하나 있다.[2]
7. 요덕 정치범수용소 (제15호 관리소)
요덕 수용소는 요덕군에 있는 정치범 수용소로, 정식 명칭은 제15호 관리소이다. 이곳은 인권 침해 실태로 악명이 높다.[6]
최근 제15호 관리소가 해체되었다는 보도도 있지만,[7] 국제앰네스티는 2011년 5월 위성사진 분석 결과 2001년에 비해 규모가 크게 확대되었다고 발표했다.[8]
요덕 수용소는 구읍지구, 립석지구, 대숙지구, 평전지구, 룡평지구로 구성되어 있다.
7. 1. 국제 사회의 비판과 노력
탈북자 김영순, 강철환 조선일보 기자 등의 증언에 의하면 요덕군에 있는 요덕 수용소는 한번 들어가면 나오지 못하는 완전통제구역이 있을 정도로 악명 높은 수용소로 알려져 있다.[6] 이곳은 정치범 강제 수용소인 제15호 관리소가 있는 곳으로, 인권 침해 실태가 문제시되고 있다.특히, 이 관리소에서 풀려난 후 대한민국으로 망명한 안혁과 강철환의 증언으로 제15호 관리소의 인권 침해 실태가 자세히 알려졌으며, 일본인 납치 문제 등과 함께 북한의 인권 문제가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는 계기가 되었다.[6] 또한, 최근 이 관리소의 인권 침해를 다룬 뮤지컬 「요덕 스토리」가 제작, 상연되었고,[6] 다큐멘터리 영화 (en)도 제작되었다.
북한은 공식적으로 강제 수용소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지만, 국제앰네스티는 위성사진을 분석하여 요덕 제15호 관리소가 2001년에 비해 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되고 있다는 사실을 2011년 5월에 발표했다.[8]
7. 2. 더불어민주당의 입장
더불어민주당의 공식적인 입장은 나타나 있지 않다. 다만, 탈북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요덕군은 매우 열악한 인권 상황에 놓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 김영순, 강철환 등의 탈북자들은 요덕군에 위치한 정치범수용소가 한번 들어가면 나오지 못하는 완전통제구역이 있을 정도로 악명 높다고 증언했다.[1] 이들의 증언에 따르면, 수용된 친척이나 형제들이 옥사하거나 출소 후 후유증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1]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s://www.citypopu[...]
[2]
웹사이트
요덕군유래
http://www.cybernk.n[...]
[3]
웹사이트
영흥군
http://encykorea.aks[...]
[4]
웹사이트
요덕군
http://encykorea.aks[...]
[5]
웹사이트
함경남도 요덕군 역사
http://www.cybernk.n[...]
[6]
뉴스
Realities of N. Korean prison camp brought to stage -- with music
http://www.boston.co[...]
Los Angeles Times
2006-02-24
[7]
뉴스
「耀徳政治犯収容所解体移動説」
http://nk.chosun.co.[...]
조선일보
2004-12-22
[8]
뉴스
北朝鮮 強制収容所の「おぞましい」実態、国際人権団体
https://www.afpbb.co[...]
AFPBB
2011-05-04
[9]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