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우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우정은 발달 심리학, 건강, 사회적 측면, 진화론적 관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는 인간 관계의 한 형태이다. 유아기에는 놀이와 공유를 통해, 청소년기에는 가치관과 관심사를 공유하며, 성인기에는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우정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연결망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우정은 선택에 의해 형성되고, 긍정적 관심, 자기 공개, 도움 제공, 유사성, 즐거움, 행위자 등의 요소를 포함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소될 수도 있다. 진화론적 관점에서는 상호 이타주의, 동맹 형성 등 생존과 번식에 기여하는 기능으로 설명된다. 비인간 동물에게서도 유사한 관계가 관찰되며, 사회적 유대감과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정 - 플라토닉 러브
    플라토닉 러브는 성적 요소 없이 깊은 애정과 우정을 나누는 관계를 뜻하며, 플라톤의 에로스 개념에서 시작되었으나 르네상스 시대 이후 비성적 이성애적 사랑으로 재해석되어 현대에는 깊은 유대감, 특히 퀴어플라토닉 관계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사랑과 우정의 경계가 모호하고 한국 사회에서는 널리 알려지지 않은 개념이다.
  • 우정 - 친구
    친구는 친밀한 관계를 맺은 사람들을 지칭하는 단어로, 대한민국에서는 '동무'에서 대체되었으며, 30대 이후에는 바쁜 일상, 우선순위 변화, 높아진 기준으로 인해 새로운 친구를 사귀기 어려워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 젠더학 - 동성애
    동성애는 동성 간의 성적 매력, 행위, 애정을 의미하는 용어로, LGBT와 같은 포괄적인 용어가 사용되며 사회적 인식 변화와 함께 동성애자 권리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 젠더학 - 여성의 권리
    여성의 권리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영역에서 여성이 누리는 광범위한 권리와 자유를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왔지만, 성차별과 불평등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집단 과정 - 무리
    무리는 동물 개체들이 행동 모방이나 환경 반응으로 함께 행동하는 집단으로, 크기와 구조가 다양하며, 포식자 보호, 먹이 탐색, 에너지 절약 등의 이점을 제공하지만 경쟁 심화, 질병 전파 위험 증가 등의 비용도 수반하며, 인간 사회에서도 군중 심리나 시장 투자 행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 집단 과정 - 풍자
    풍자는 개인이나 사회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표현 방식으로, 유머와 달리 웃음을 동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사회 비판적인 목적을 가지고, 정치, 종교, 사회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문학, 예술, 공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우정
우정
정의사람 사이의 상호 애정
관련 항목남자친구
브로맨스
동거

사촌
가정적 파트너십
가족
여자친구
남편
친척
결혼
부부
애인
일부일처제
비일부일처제
오픈 매리지
폴리아모리
그룹 결혼
복혼
사랑의 우정
동성 간의 관계
동성 결혼
성적 파트너
형제자매
연인
소울 메이트
미망인
아내
우정의 측면
종류인간 관계
관련 감정친밀감
애착
컴퍼션
커플
질투
리머런스
사랑
열정
플라토닉 러브
폴리아모리
성적 일부일처제의 심리학
관련 활동약혼
지참금
과부 권리
상승혼
간통
성행위
관련 문제아동 학대
장애인 학대
노인 학대
가정 폭력
역사 및 문화
중요성사회적 유대 강화
심리적 안정 제공
개인의 성장 촉진
문화적 차이문화마다 우정을 표현하고 정의하는 방식이 다름
연구 분야사회학
심리학
인류학
우정의 특징
상호 존중서로의 생각과 감정을 존중하는 태도
신뢰서로를 믿고 의지할 수 있는 관계
이해서로를 깊이 이해하고 공감하는 마음
솔직함서로에게 진솔하게 마음을 표현하는 것
지지어려울 때 서로에게 힘이 되어주는 것
즐거움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을 즐거워하는 것
공통 관심사함께 공유할 수 있는 공통의 관심사가 있는 것
지속성시간이 지나도 변치 않는 관계
평등서로에게 동등한 관계
우정의 긍정적 영향
정신 건강스트레스 감소, 행복 증진
신체 건강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에 도움
사회적 적응사회생활에 원만하게 적응하도록 도움
자존감 향상스스로에 대한 긍정적인 마음을 갖도록 도움
삶의 만족도 증가삶에 대한 만족감을 높이는 데 기여
우정의 어려움
오해서로의 생각과 감정이 다를 때 발생
갈등서로의 의견 차이로 인해 발생
배신신뢰를 깨는 행위
거리물리적 거리 또는 심리적 거리로 인해 발생
참고 자료
웹사이트「友情」という普遍かつ難問の課題に挑む
논문Howes, Carollee (1983). "Patterns of Friendship". Child Development. 54 (4): 1041–1053. doi:10.2307/1129908. ISSN 0009-3920. JSTOR 1129908.

2. 발달 심리학적 관점

우정은 개인의 발달 단계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이며, 각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유아기 및 아동기: 아이들은 주로 놀이를 함께하고, 서로에게 간식이나 비밀 등을 공유하며, 가까이 사는 친구를 선호한다.[3][48][4][5][6][7][8] 이러한 우정은 놀이와 자기 조절 능력 발달에 도움을 준다.[48][4]
  • 청소년기: 청소년들은 비슷한 가치관, 도덕관, 관심사를 가진 친구를 선호하며, 서로에게 솔직하고 지지적인 관계를 기대한다.[48][14] 친구 관계는 학교생활, 정신 건강 등에도 영향을 미친다.[16]
  • 성인기: 성인이 되면 직장에서의 경쟁적 환경 때문에 친구를 만들기 어려워하는 경향이 있다.[19] 하지만 성인기의 우정은 정서적 지지, 동반자 관계 등을 제공하며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8]
  • 노년기: 노년이 되면 친구의 수는 줄어들지만, 친구 관계에 대한 만족도는 오히려 높아진다.[18] 노년기의 우정은 사회적 연결망을 제공하고, 우울증과 고독감을 줄여주며, 심리적 안정감을 높여준다.[26][27]

2. 1. 유아기 및 아동기

아이들은 공통된 활동, 물리적 근접성, 공유된 기대와 같은 것들을 중심으로 우정을 이해한다.[3] 이러한 우정은 놀이와 자기 조절을 연습할 기회를 제공한다.[48] 아이들은 주로 공유하는 것을 통해 우정을 설명하며, 친구라고 생각하는 사람과는 더 많이 공유한다.[48][4][5]

어린아이들은 간식과 같은 자원 공유,[6] 비밀 공유[7] 등을 통해 친구 관계를 파악한다. 특히 나이가 많은 청소년의 경우 우정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이러한 단서를 사용한다. 어린아이들은 성별이나 음식 선호도의 유사성에 의존하지만, 우정을 추론하기 위해 근접성에 더 많이 의존한다. 반면 나이가 많은 청소년들은 우정을 추론하기 위해 근접성에 크게 의존한다.[8]

아이들은 성장하면서 인식 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더 의존하게 된다. 친구에게 공감하고 함께 놀이를 즐기며, 또래에게 거부당하는 경험도 한다. 어릴 때 좋은 친구를 사귀는 것은 아이가 성장하여 사회에 잘 적응하도록 돕는다.[4]

교사와 어머니의 보고에 따르면, 유치원생의 75%가 적어도 한 명의 친구가 있었다. 친구끼리 서로를 지목하는 것을 기준으로 5학년 때는 78%로 증가했고, 55%는 서로 친한 친구가 있었다.[48] 약 15%의 아이들은 만성적으로 친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어도 6개월 동안 서로 친구가 없는 기간을 보였다.[48]

어린 시절의 우정은 공감 능력 향상과 다양한 문제 해결 기술 학습 등 특정 기술 발달에 도움이 된다.[9] 부모의 코칭은 아이들이 친구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2. 2. 청소년기

청소년기에 우정은 "더욱 관대하고, 나누고, 솔직하며, 서로 지지하고, 자발적"이 된다.[14] 청소년들은 이러한 특성을 상호적인 관계에서 제공할 수 있는 또래를 찾고, 문제 행동으로 인해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할 수도 있는 또래는 피하는 경향이 있다.[41] 특정한 개인적 특성과 기질 또한 청소년들이 우정을 시작할 누구를 선택할 때 찾는 특징이다.[15] 어린 시절의 우정이 같은 지역에 있고 장난감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는 것에서 비롯되는 것과 달리, 청소년기에는 우정 관계는 유사한 도덕관과 가치관, 충성심 및 공유된 관심사에 더 기반한다.[48]

미국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연구는 문제 행동(예: 절도, 싸움, 무단결석)에 대한 참여가 우정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밝혀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문제 행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적은 청소년들은 학교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학교 활동에 참여하고, 음주를 피하며, 좋은 정신 건강을 가진 친구들을 두었다. 문제 행동에 참여한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그 반대였다. 청소년들이 친구들의 영향을 받아 문제 행동에 참여했는지는 그 친구들에게 얼마나 많이 노출되었는지, 그리고 그들과 그들의 친구 그룹이 학교에서 "어울리는지" 여부에 달려 있었다.[16]

대학교육 이후에 형성된 우정은 이전에 형성된 우정보다 더 오래 지속된다.[17] 청소년 후기에 인종이 다른 친구 관계는 편견과 문화적 차이로 인해 드물다.[15]

부탄에서 함께 앉아있는 두 친구

2. 3. 성인기

성인기에 있어 우정은 동반자 관계, 애정, 정서적 지지 등을 제공하며 정신 건강 증진과 신체 건강 개선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18]

성인들은 직장에서 의미 있는 우정을 유지하는 데 특히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직장은 경쟁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동료들에게 자신의 취약점과 특징을 감추는 법을 배운다. 직장 내 우정은 종종 거래적인 느낌을 갖게 되며, 네트워킹이 어디서 끝나고 진정한 우정이 시작되는지 말하기 어렵다."[19] 많은 성인들은 직장 동료와의 우정을 발전시키는 것보다 직업이 제공하는 재정적 안정과 안전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20]

율리우스 슈노어 폰 카롤스펠트(Julius Schnorr von Karolsfeld) (1860),


미국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지난 6개월 동안 중요한 문제를 의논했던" 사람으로 정의되는 절친한 친구의 평균 수는 두 명이었다.[21] 성인을 대상으로 한 많은 연구에 따르면, 우정 및 기타 지지적인 관계는 자존감을 향상시킨다.[22]

2. 4. 노년기

노년층은 나이가 들면서 친구 수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지만, 친구 관계에 대한 개인적 만족도는 높게 나타난다. 이러한 만족도는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 향상, 인지 능력 저하 감소, 입원 횟수 감소, 재활 관련 결과 개선 등과 관련이 있다.[18] 노년기에 친구가 많다고 보고하는 사람들은 명료성이 높고, 언어 및 시력이 좋으며, 결혼한 상태일 가능성이 높다.[23] 나이가 들면서 친구 수가 감소하는 현상은 카르스텐센의 사회정서적 선택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나이가 들수록 정보 수집보다는 정서 조절에 더 중점을 두게 되며, 긍정적인 감정을 유지하기 위해 정서적 유대감을 공유하는 사람들로 사회적 관계를 제한한다.[24]

지난 40년간의 연구 결과, 행복감과 전반적인 웰빙 수준이 가장 높다고 보고한 노년층은 친구가 많고, 강하고 긴밀한 유대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일관되게 나타났다.[25]

가족 책임과 직업적 압력이 줄어들면서 우정은 더욱 중요해진다. 노년층에게 우정은 더 큰 공동체와의 연결고리를 제공하고, 우울증과 고독으로부터 보호하며, 이전에 가족 구성원이 제공했던 사회적 지원의 손실을 보상할 수 있다.[26] 특히 외출이 어려운 노인들에게 친구들과의 교류는 지속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건강이 악화되는 상황에서도 친구들과 계속 연락을 유지하면 심리적 웰빙이 향상된다.[27]

3. 건강

미트라
는 계약, 빛, 맹세, 정의, 태양, 계약, 우정의 페르시아 신이다.

연구에 따르면 강력한 사회적 지원은 사람의 건강과 장수 가능성을 높이는 반면, 고독과 사회적 지원 부족은 심장병, 바이러스성 감염, 위험 증가와 전반적인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다. 연구자들은 우정 네트워크를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키는 "행동적 백신"이라고 명명했다.[39]

많은 연구가 우정과 건강을 연결짓고 있지만, 그 연관성의 정확한 이유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이 분야의 대부분의 연구는 사람들을 장기간 추적하는 대규모 전향적 연구이며, 두 변수(우정과 건강 상태)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지만, 연구자들은 여전히 인과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알지 못한다.[40]

친구 관계의 질이 높을수록 자존감, 자신감, 사회성 발달에 직접적으로 기여한다.[22] 친한 친구가 많을수록 정신 건강과 인지 능력이 향상되지만, 친구가 약 5명 정도가 되면 이러한 효과는 멈추며, 그 이상으로 친구가 많아지는 것은 인지 능력 저하와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친구가 거의 없거나 많은 사람들은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증상을 보일 수 있다.[45]

3. 1. 신체 건강

친구와의 교류는 스트레스 감소, 면역력 강화, 심혈관 질환 예방, 수명 연장 등 다양한 신체적 건강 증진 효과를 가져온다.[39] 강력한 사회적 지원은 건강과 장수 가능성을 높이는 반면, 고독과 사회적 지원 부족은 심장병, 바이러스성 감염, 암 위험 증가 및 전반적인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다.[39]

우정과 건강의 연관성을 설명하는 이론은 다음과 같다.[40]

  • 좋은 친구는 건강한 생활 방식을 유지하도록 격려한다.
  • 좋은 친구는 필요할 때 도움을 구하고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격려한다.
  • 좋은 친구는 질병 및 기타 건강 문제 대처 능력을 향상시킨다.
  • 좋은 친구는 건강을 보호하는 생리적 경로에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우정과 건강 사이의 인과관계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40]

3. 2. 정신 건강

우정은 자존감을 높이고,[22] 우울증, 불안, 고독과 같은 정신 질환 발병 위험을 낮추며,[44][3][26]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22]

강력한 사회적 지원은 건강과 장수에 도움을 주는 반면, 고독과 사회적 지원 부족은 심장병, 바이러스 감염, 등의 질병 위험과 사망률을 높인다.[39] 친구 관계는 '행동 백신'처럼 작용하여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킨다.[39]

정신 질환을 겪는 사람들은 친구가 거의 없거나 없는 경우가 많으며,[41] 이는 여성 청소년의 자살 충동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42] 친밀한 친구가 있으면 더 행복하고,[43] 높은 수준의 우정은 성인의 자존감 향상과 관련이 있다.[3] 반면 친구가 거의 없거나 지나치게 많은 경우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증상을 보일 수 있다.[45]

4. 우정의 형성 및 유지

우정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에는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우정은 무엇보다도 선택에 의해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당사자들이 서로를 친밀한 수준에서 존경하고 공통점과 사교를 즐기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28]

사람들은 우정이 주는 정신적, 사회적, 건강상의 이점 때문에,[29] 자신에게 필요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사람들과 교류하고 지속적인 관계를 맺고자 한다.[30] 따라서 사람들은 이러한 이점과 관련된 행동 유형과 특성에 대한 특정한 우정 선호도를 가진다.[30] 최근 연구에 따르면, 남성과 여성 모두 동성 친구에게서 비슷한 특성을 선호하지만(예: 다른 친구보다 우선순위를 두는 것, 다양한 지식/기술을 가진 친구), 차이점도 존재한다. 여성은 남성보다 정서적 지원, 정서적 공개, 정서적 안심을 더 선호하고, 남성은 여성보다 지위 향상, 평판 제고, 신체적 지원을 제공하는 친구를 더 선호한다.[31]

대부분의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얼마나 좋아하는지 과소평가한다.[32] 이러한 호감 차이는 우정을 형성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33]

나카지마 켄이치로(中島健一郎)의 실험 보고서에 따르면,[82] 그룹 간 커뮤니케이션 유무, 라이벌 그룹 유무에 따라 집단 의식에 차이가 나타난다. ① 동료와의 커뮤니케이션은 집단 의식 향상에 중요하지만, ② 그룹의 우수성이 불필요한 것은 아니며, ③ 커뮤니케이션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그룹의 우수성이 집단 의식의 높이를 좌우한다.

4. 1. 형성 요인

우정은 개방성, 유사성, 공통의 관심사, 상호 존중, 신뢰 등을 바탕으로 형성된다.[10][28] 특히 어린 시절의 우정은 공감 능력과 사회성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9]

아이들은 주로 함께 활동하고, 가까이 지내며, 서로에게 비슷한 기대를 갖는 친구를 선호한다.[3] 이들은 놀이를 통해 자기 조절 능력을 배우고, 친구와 물건을 공유하는 경험을 통해 사회성을 키운다.[48][4][5]

나이가 들면서 아이들은 타인에 대한 인식이 성장하고, 친구에게 공감하며 함께 어울리는 것을 즐기게 된다.[4] 이 시기에는 또래에게 거부당하는 경험을 하기도 하는데, 좋은 친구 관계는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사회에 적응하는 데 도움을 준다.[4]

Eileen Kennedy-Moore는 우정 형성의 세 가지 핵심 요소로 개방성, 유사성, 공유된 즐거움을 제시했다.[10] 부모는 아이들이 이러한 요소를 이해하고 친구를 사귈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다.[11]

대부분의 사람들은 우정에서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영역에서 암묵적으로 합의된 기대를 갖는다.[34]

영역설명
긍정적 관심친구들은 서로를 진심으로 좋아하며, 단순히 좋아하는 척하지 않는다.[34]
자기 공개친구들은 개인적인 중요성을 가진 주제를 솔직하게 이야기할 수 있다고 느낀다.[34]
도움 제공친구들은 실질적인 방법으로 서로를 돕는다.[34]
유사성친구들은 비슷한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34]
즐거움친구들은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을 즐겁고 편안하게 느낀다.[34]
행위자친구들은 서로에게 유용한 정보, 기술, 자원 등을 제공할 수 있다.[34]



남성과 여성은 친구에게서 선호하는 특성에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여성은 정서적 지원과 교류를, 남성은 지위 향상이나 신체적 지원을 제공하는 친구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31]

한편, 성경에서는 다윗요나단의 깊은 우정을 보여주는 이야기가 전해진다.[75][76][77] 예수 그리스도는 "사람이 친구를 위하여 자기 목숨을 버리면 이보다 더 큰 사랑이 없다"고 말하며 친구를 위한 희생을 강조했다.[78]

4. 2. 유지 요인

우정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에는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우정은 당사자들이 서로를 친밀하게 존경하고, 공통점과 사교를 즐기는 것을 기반으로 형성된다.[28]

사람들은 우정이 주는 정신적, 사회적, 건강상의 이점 때문에,[29] 이러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사람들과 지속적인 관계를 맺고자 한다.[30] 최근 연구에 따르면, 남성과 여성 모두 동성 친구에게서 비슷한 특성을 선호하지만(예: 다른 친구보다 우선순위를 두는 것, 다양한 지식/기술을 가진 친구), 차이점도 존재한다. 여성은 남성보다 정서적 지원, 정서적 공개, 정서적 안심을 더 선호하고, 남성은 여성보다 지위 향상, 평판 제고, 신체적 지원을 제공하는 친구를 더 선호한다.[31]

대부분의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얼마나 좋아하는지 과소평가하는데,[32] 이러한 호감 차이는 우정 형성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33]

커뮤니케이션 교수 제프리 홀(Jeffery Hall)에 따르면, 대부분의 우정은 여섯 가지 영역에서 암묵적으로 합의된 기대치를 포함한다.[34]

영역설명
긍정적 관심친구들은 서로를 진심으로 좋아하며, 사교계 진출이나 다른 이점을 위해 좋아하는 척하지 않는다.[34]
자기 공개친구들은 개인적인 중요성을 가진 주제를 논의할 수 있다고 느낀다.[34]
도움 제공친구들은 실질적인 방법으로 서로를 돕는다.[34] (예: 공항에 태워다 주기)
유사성친구들은 비슷한 세계관을 가진다.[34] (예: 같은 문화, 계층, 종교, 삶의 경험)
즐거움친구들은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이 재미있다고 생각한다.[34]
행위자친구들은 서로 공유할 수 있는 귀중한 정보, 기술, 자원을 가진다.[34] (예: 사업 관계, 값비싼 경험 공유)



모든 관계가 각 영역의 균형을 이루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여성은 진정한 긍정적 관심과 더 깊은 자기 공개를 강조하는 우정을 선호하고, 남성은 조금 더 많은 행위자를 가진 우정을 선호할 수 있다.[34]

성경에 따르면 다윗요나단의 우정은 매우 강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75][76][77] 예수 그리스도는 "사람이 친구를 위하여 자기 목숨을 버리면 이보다 더 큰 사랑이 없다"고 말씀하셨다.[78]

나카지마 켄이치로(中島健一郎)의 실험 보고서에 따르면,[82] 그룹 간 커뮤니케이션 유무, 라이벌 그룹 유무에 따라 집단 의식에 차이가 나타난다. ① 동료와의 커뮤니케이션은 집단 의식 향상에 중요하지만, ② 그룹의 우수성이 불필요한 것은 아니며, ③ 커뮤니케이션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그룹의 우수성이 집단 의식의 높이를 좌우한다.

5. 우정의 해소

우정의 해소는 거부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우정이 깨지면 죄책감, 분노, 우울증이 증가할 수 있으며, 특히 아동기에는 매우 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은 다른 친밀한 관계로 대체하면 완화할 수 있다.[48]

5. 1. 해소 원인

우정은 끝날 수 있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친구들이 신체적, 정서적으로 멀어지는 자연스러운 변화의 결과일 수도 있고, 친구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것과 같은 갑작스러운 충격의 결과일 수도 있다.[34]

일부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들은 친구와 결별하기 위해 치료 용어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46][47] 이러한 방법들은 비인간적이고 불쾌하다는 비판을 받았는데, 그 이유는 종종 대화를 30초짜리 짧은 발표로 축소하기 때문이다.[46][47] 소셜 미디어 게시물은 또한 직장의 업무 평가와 유사한 갈등을 조장할 수 있는데, 한 사람이 친구에게 불만족스럽다고 말하고 친구가 자신의 기대에 부응하지 않으면 관계를 끊겠다고 위협하는 경우이다.[34] 우정의 끝은 종종 불만족스러운 사람의 부적절한 기대 때문이며, 친구에게 그러한 기대를 충족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우정의 자발적인 특성과 양립할 수 없다.[34] 또 다른 방법은 불만족스러운 사람이 충족되지 않은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른 친구를 찾는 것이다.[34] 예를 들어, 친구가 행사를 계획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불만족스러운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첫 번째 친구를 모든 필요를 혼자 충족시킬 수 없다는 이유로 거절하는 대신, 행사 계획을 좋아하는 두 번째 친구를 찾을 수 있다.[34]

우정의 해소는 거부로 개인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우정의 파탄은 죄책감, 분노, 우울증의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아동기에 매우 스트레스가 많은 사건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우정의 해소가 다른 긴밀한 관계로 대체된다면 잠재적인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48]

5. 2. 해소의 영향

우정은 시간이 지나면서 신체적, 정서적으로 멀어지는 자연스러운 변화나,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가치관을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되는 것과 같은 갑작스러운 충격으로 인해 끝날 수 있다.[34]

우정이 해소되는 것은 거부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우정의 파탄은 죄책감, 분노, 우울증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아동기에는 매우 스트레스가 많은 사건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긴밀한 관계로 대체된다면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48]

6. 사회적 측면

일반적으로 여자아이들의 친구 관계는 대인 관계와 상호 지지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는 반면,[50] 남자아이들의 상호 작용은 사회적 지위에 더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50] 남성 간 우정은 동맹과 비슷하지만, 여성 간 우정은 애착 기반인 경우가 많다.[51] 여성은 동성 친구 관계에서 더욱 표현적이고 친밀하며, 친구의 수가 적은 경향이 있는 반면, 남성은 공유된 신체적 경험을 통해 친밀감을 느끼는 경향이 높다.[15]

문화에 따라 우정의 개념은 다르게 나타난다. 서구 문화에서는 우정이 가족이나 연애 관계보다 덜 중요하게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54] 고대 그리스에서는 우정이 애정보다는 실용적인 측면에 기반을 두었으며, 의무와 의존성이 중요했다. 하지만 고대 그리스 각 지역 사회는 우정을 다르게 이해했고, 그리스인들이 가졌던 우정에 대한 개념은 현대 영어권 문화보다 훨씬 광범위했다.[55][56] 반면 러시아나 폴란드 문화와 같은 다른 문화권에서는 가장 중요한 관계만 친구로 간주한다.[53] 영어권 문화에서는 약한 관계도 친구로 포함하는 경우가 흔하다.[53]

6. 1. 성별에 따른 차이

일반적으로 여자아이들의 친구 관계는 대인 관계와 상호 지지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50] 여성은 동성 친구 관계에서 더욱 표현적이고 친밀하며, 친구의 수가 적은 경향이 있다.[15] 반면에 남자아이들의 상호 작용은 사회적 지위에 더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으며, 정서적 욕구의 표현을 억제할 수 있다.[50] 남성은 공유된 신체적 경험을 통해 친밀감을 느끼는 경향이 높은 반면, 여성은 공유된 정서적 경험을 통해 친밀감을 느끼는 경향이 높다.

남성 간 우정은 일반적으로 동맹과 비슷하지만, 여성 간 우정은 훨씬 더 애착 기반이다. 이는 또한 남성 간 우정의 종말이 여성 간 우정의 종말보다 정서적으로 덜 힘든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51]

남성은 다른 남성에게 정서적이거나 개인적인 정보를 공개하는 것을 꺼리는데, 다른 남성이 이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을 공격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들은 여성에게는 이 정보를 공개하며(경쟁 관계가 아니므로), 여성과의 친구 관계를 더 의미 있고, 친밀하며, 즐겁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51]

외모 취향이나 한쪽이 이성에게 성적 지향이 없는 경우(여성 동성애자·남성 동성애자)를 포함하여, 양쪽 모두 상대를 연애·성적 대상으로 여기지 않는 경우에만 진정한 남녀 간의 우정이 성립한다고 알려져 있다. 표면적으로 남녀 간의 우정이 성립해 보여도, 대부분은 한쪽이, 드물게는 양쪽 모두 상대에 대한 애정·성욕을 숨기고 있는 경우이다.[79][80]

남녀 친구 관계에서 할 수 있는 행동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81]

순위행동비율
1친구들과 함께 놀기80% 이상
2둘이서 놀기80% 이상
3둘이서 밤새도록 놀기약 40%
4집에 가기·부르기약 40%
5함께 여행 가기(별실에 숙박)26.2%
6집에 숙박하기·(자신의 집에 상대를) 숙박시키기25.4%
공동 7키스2.9%
공동 7단순한 성관계(세프레)2.9%



이성 친구가 있는 사람 중에서, 자신이 상대를 좋아하게 되었거나(혹은 좋아하게 될 뻔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약 30%, 상대로부터 연애 감정을 가지게 되었거나(혹은 상대의 호의를 느낀) 경험이 있는 사람은 약 20%이다. 또한, 서로 좋아하게 된 사람은 약 10%로 이성 친구 사이에서 서로 사랑에 빠지는 것은 매우 드문 경우라는 것이 밝혀졌다.[81]

이성 친구를 자신이 좋아하게 된 경우, 가장 많은 행동은 "스스로 고백이나 접근을 하지 않았다(호의를 숨기고 친구 관계를 계속했다)"로 41.9%였다. 이성 친구로부터 좋아하게 된 경우, 가장 많은 행동은 "상대의 고백이나 접근이 있었지만 거절했다"가 47.8%였고, 다음이 "친구로서의 관계를 그만두고 거리를 두었다", "상대의 고백이나 접근이 없었다"로 각각 17.4%였다.[81]

6. 2. 문화적 차이

문화에 따라 우정의 개념은 다르게 나타난다. 서구 문화에서는 우정이 가족이나 연애 관계보다 덜 중요하게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54] 고대 그리스에서는 우정이 애정보다는 실용적인 측면에 기반을 두었으며, 의무와 의존성이 중요했다. 하지만 고대 그리스 각 지역 사회는 우정을 다르게 이해했고, 그리스인들이 가졌던 우정에 대한 개념은 현대 영어권 문화보다 훨씬 광범위했다.[55][56] 아리스토텔레스는 우정을 쾌락, 이익, 덕을 추구하는 세 가지 종류로 나누었다.[56]

진정한 친구 관계와 단순한 지인이나 동료 관계의 경계는 문화에 따라 다르다. 영어권 문화에서는 약한 관계도 친구로 포함하는 경우가 흔하다.[53] 반면 러시아나 폴란드 문화와 같은 다른 문화권에서는 가장 중요한 관계만 친구로 간주한다. 러시아인은 한두 명의 친구와 많은 수의 "벗"이나 지인을 두는 반면, 비슷한 상황의 캐나다인은 이러한 모든 관계를 친구로 여길 수 있다.[53]

우정의 금기 사항에 대해 논의할 때 중국 응답자들이 영국 응답자보다 더 많은 금기 사항을 발견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5]

7. 진화론적 관점

진화론적 관점에서 우정은 주로 그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된다. 즉, 우정이 개인에게 어떤 역할을 하고, 심리적으로 어떻게 작용하며, 사람들의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우정 형성과 친구를 사귀는 기능에 대한 여러 이론이 제시되어 있는데, 상호 이타주의 이론은 개인이 혈연관계가 없는 타인과 친구가 되는 이유를 설명한다. 이 이론은 우정을 통해 사람들이 서로에게 이익을 교환하고, 이익만 취하고 아무것도 주지 않는 협력자와의 교환을 피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57] 또 다른 관점은 우정을 보험 투자에 비유하며, 새로운 우정을 맺을 때 잠재적 친구가 미래에 자신을 도울 의향과 능력이 있는지, 그리고 다른 많은 잠재적 우정이 있을 때 이 우정을 계속할 가치가 있는지 등을 판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58]

동맹 가설은 우정의 기능이 미래의 갈등이나 분쟁을 위한 동맹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59] 동맹 선택은 매우 중요하며, 편승이나 미래 갈등에서 자신의 편을 들어줄 충성스러운 동맹을 선택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7. 1. 상호 이타주의

상호 이타주의 이론은 혈연관계가 아닌 타인과 우정을 맺는 이유를 설명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우정을 통해 사람들은 서로에게 이익을 주고받으며, 이 과정에서 이익만 취하고 아무것도 주지 않는 사람들과의 관계는 피할 수 있다.[57] 즉, 우정은 서로에게 도움을 주고받는 상호 이타적인 관계를 통해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어려운 상황에서 서로를 돕고, 자원을 공유하며,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등 협력적인 관계를 통해 생존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은 우정을 일종의 보험 투자로 비유한다. 새로운 우정을 맺을지 결정할 때, 사람들은 잠재적 친구가 미래에 자신을 도울 의향과 능력이 있는지, 그리고 다른 많은 잠재적 우정이 있을 때 이 우정을 유지할 가치가 있는지 등을 고려한다.[58]

7. 2. 동맹 형성

우정은 미래의 갈등이나 분쟁에 대비하여 동맹을 확보하는 기능을 한다.[59] 동맹 가설에 따르면, 갈등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더 많은 동맹을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더 많은 동맹을 자신의 편으로 끌어들일 수 있다면 갈등에서 승리할 확률이 높아진다.[59] 동맹 선택은 매우 중요하며, 편승이나 미래 갈등에서 자신의 편을 들어줄 충성스러운 동맹을 선택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개인은 자신을 다른 동맹/친구보다 더 높이 평가하는 사람들과 동맹(우정)을 맺어야 하며, 충성스러운 동맹이자 친구를 결정할 때 가장 중요한 요인은 상대적 순위(자신이 다른 모든 개인들 중에서 어떤 순위에 있는가)이다.[60]

8. 비인간 동물

고등 포유류와 일부 조류와 같이 지능이 높은 동물들 사이에서 친구 관계가 발견된다. 비교 동물 연구에 따르면 동물의 우정 또는 이와 유사한 관계는 풍부하게 나타난다. 비인간 동물에서 이러한 관계는 다양한 적응도 및 생존 이유로 동맹을 형성하고 강화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63] 동맹은 보호,[63] 짝짓기 경쟁,[64] 사회적 안정 추구,[65] 사회적 유대감 강화,[66] 질병 예방[67] 등 다양한 목적으로 형성된다.

14종의 영장류를 대상으로 한 메타 분석에 따르면, 털 고르기 행동은 종내 갈등 발생 시 지원과 원조를 받는 등 다양한 이익 교환을 유발한다.[68] 수컷 큰돌고래는 동시에 수면에 떠오르는 행동으로 잠재적 동맹을 결정하고,[69] 암컷 큰돌고래는 수컷의 괴롭힘에 대응하여 다른 암컷과 부드러운 접촉 행동을 한다.[70] 얼룩하이에나 암컷은 엄격한 지배 계층 내에서 더 높은 순위의 하이에나를 몰아내기 위해 동맹을 맺는다.[71] 야생 암컷 은 수컷의 괴롭힘을 피하고 새끼의 생존 확률을 높이기 위해 다른 암컷과 동맹을 맺는다.[72]

참조

[1] 백과사전 Definition for friend https://web.archive.[...] Oxford Dictionary Press 2012-05-25
[2] 학술지 Patterns of Friendship https://www.jstor.or[...]
[3] 서적 An Introduction to Developmental Psycholog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7-09-26
[4] 서적 Development Through Life: A Psychosocial Approach
[5] 웹사이트 Your Childhood Friendships Are The Best Friendships You'll Ever Have https://www.elitedai[...] 2015-06-17
[6] 학술지 Evaluations Versus Expectations: Children's Divergent Beliefs About Resource Distribution http://dx.doi.org/10[...] 2013-10-07
[7] 학술지 Secret to friendship: Children make inferences about friendship based on secret sharing. http://dx.doi.org/10[...] 2018-11-01
[8] 학술지 Children use similarity, propinquity, and loyalty to predict which people are friends http://dx.doi.org/10[...] 2019-08-01
[9] 웹사이트 What Friends Teach Children https://www.psycholo[...]
[10] 웹사이트 How children make friends (part 1) http://www.psycholog[...]
[11] 서적 The Unwritten Rules of Friendship: Simple Strategies to Help Your Child Make Friends Little, Brown
[12] 서적 The Growth of Interpersonal Understanding: Developmental and Clinical Analyses Academic Press
[13] 웹사이트 Children's Growing Friendships http://www.psycholog[...] 2012-02-26
[14] 웹사이트 Friendships — Tuituia domain https://practice.ora[...] 2024-01-11
[15] 학술지 Culture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Friendship by Adolescents https://onlinelibrar[...] 1996-10-01
[16] 학술지 Holism, contextual variability, and the study of friendships in adolescent development https://pubmed.ncbi.[...]
[17] 웹사이트 Study shows what makes college buddies lifelong friends https://web.archive.[...] 2007-08-07
[18] 서적 The Encyclopedia of Aging: Fourth Edition, 2-Volume Set https://books.google[...]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17-09-27
[19] 뉴스 Friends of a Certain Age: Why Is It Hard To Make Friends Over 30? https://www.nytimes.[...] 2012-07-13
[20] 웹사이트 Workplace Friendships: Asset or Liability? https://web.archive.[...]
[21] 뉴스 Most adults have 'only two close friends' https://www.telegrap[...] 2011-11-08
[22] 학술지 Small networks and high isolation? A reexamination of American discussion networks Elsevier BV
[23] 학술지 Friendship Quality and Social Development http://www2.psych.pu[...] American Psychological Society
[24] 서적 Adult Friendship https://books.google[...] Sage 2017-09-27
[25] 서적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1992: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motivatio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6] 서적 Brain Health and Optimal Engagement for Older Adults https://books.google[...] Editorial Aresta S.C. 2017-09-27
[27] 서적 Communication Yearbook 19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9-27
[28] 서적 Exploring Lifespan Development Pearson
[29] 서적 Rethinking Friendship: Hidden Solidarities Today Princeton University Press
[30] 학술지 The Anatomy of Friendship http://dx.doi.org/10[...] 2018-01-01
[31] 서적 Friendship and the banker's paradox: Other pathways to the evolution of adaptations for altruism. Oxford University Press
[32] 학술지 Sex differences in friendship preferences http://dx.doi.org/10[...] 2022-01-01
[33] 학술지 The Liking Gap in Conversations: Do People Like Us More Than We Think?
[34] 웹사이트 Stop Firing Your Friends https://www.theatlan[...] 2023-06-28
[35] 학술지 A multisource exploration of the friendship pattern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learning disabilities https://www.research[...]
[36] 논문 Children with Autism and Their Friends: A Multidimensional Study of Friendship in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2008-01-03
[37] 웹사이트 Friendships & Social Relationships https://ndss.org/res[...]
[38] 서적 Social Development for Individuals with Down Syndrome – An Overview Down Syndrome Educational Trust
[39] 서적 Friendship, Social Support, and Health https://www.springer[...] Springer-Verlag
[40] 논문 Social networks and health: it's time for an intervention trial 2005
[41] 논문 Friendship and its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or Social Competence 1985-09-01
[42] 논문 Suicide and Friendships Among American Adolescents 2004
[43] 뉴스 Can we make ourselves happier? https://www.bbc.co.u[...] 2013-07-01
[44] 논문 Can friends protect genetically vulnerable children from depression? 2013
[45] 논문 Brain and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the nonlinear association between close friendships, mental health, and cognition in children 2023-07-03
[46] 뉴스 'Therapy speak' is everywhere, but it may make us less empathetic https://www.npr.org/[...] 2023-04-13
[47] 웹사이트 Is Therapy-Speak Ruining Our Relationships? https://www.refinery[...]
[48]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Developmental Psychology https://books.google[...] OUP US
[49] 논문 Thomas Hardy and the History of Friendship Between the Sexes https://www.journals[...] 2007
[50] 서적 Developmental Psychology: A Student's Handbook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51] 서적 A Mind Of Her Own: The evolutionary psychology of women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3-05-16
[52] 논문 Sex Differences in Intimacy Levels in Best Friendships and Romantic Partnerships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20-10-18
[53] 논문 What Are Friends for in Russia Versus Canada?: An Approach for Documenting Cross-Cultural Differences 2021-10
[54] 논문 Friendship as Method https://journals.sag[...] 2003-10-01
[55] 서적 Friendship in the Classical World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56] 논문 Aristotle on the Forms of Friendship https://www.jstor.or[...]
[57] 논문 The Evolution of Reciprocal Altruism http://dx.doi.org/10[...] 1971-03
[58] 논문 Jealousy, friendship, and the banker's paradox http://dx.doi.org/10[...] 2007
[59] 논문 The Alliance Hypothesis for Human Friendship 2009-06-03
[60] 논문 Best Friends http://dx.doi.org/10[...] 2011-01
[61] 논문 Friendship jealousy: One tool for maintaining friendships in the face of third-party threats? http://dx.doi.org/10[...] 2020-04-28
[62] 논문 Sex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friendship jealousy http://dx.doi.org/10[...] 2022-03
[63] 서적 15 Cooperation, Coalition, and Alliances http://dx.doi.org/10[...]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07
[64] 논문 Philopatry, male presence and grooming reciprocation among female primates: a comparative perspective http://dx.doi.org/10[...] 1998-03-23
[65] 논문 Grooming in Barbary macaques: better to give than to receive? http://dx.doi.org/10[...] 2007-02-27
[66] 논문 The Form and Function of Reconciliation in Primates http://dx.doi.org/10[...] 2002-10
[67] 논문 Grooming site preferences determined by lice infection among Japanese macaques in Arashiyama http://dx.doi.org/10[...] 2002-03
[68] 논문 Grooming and agonistic support: a meta-analysis of primate reciprocal altruism http://dx.doi.org/10[...] 2006-10-03
[69] 논문 Synchrony, social behaviour and alliance affiliation in Indian Ocean bottlenose dolphins, Tursiops aduncus http://dx.doi.org/10[...] 2006-12
[70] 논문 A Sex-Specific Affiliative Contact Behavior in Indian Ocean Bottlenose Dolphins, ''Tursiops'' sp. http://dx.doi.org/10[...] 2006-06-09
[71] 논문 Social alliances improve rank and fitness in convention-based societies 2019-03-11
[72] 논문 Social bonds between unrelated females increase reproductive success in feral horses 2009-08-18
[73] 웹사이트 「友情」という普遍かつ難問の課題に挑む https://www.asahi.co[...] 2023-09-26
[74] 웹사이트 https://kbu.repo.nii[...]
[75] 간행물 サムエル記上(口語訳)#18:1-4 s:サムエル記上(口語訳)#18:1
[76] 간행물 サムエル記上(口語訳)#20:1-41 s:サムエル記上(口語訳)#20:1
[77] 간행물 サムエル記下(口語訳)#1:17-26 s:サムエル記下(口語訳)#1:17
[78] 간행물 ヨハネによる福音書(口語訳)#15:13 s:ヨハネによる福音書(口語訳)#15:[...]
[79] 서적 「男女の友情は成立する?しない?の結論」 2014
[80] 뉴스 Most men and women who are platonic friends still totally attracted to each other, study suggests https://nationalpost[...] National Post 2012-05-02
[81] 웹사이트 異性間の友情は成立する?男女244名へ「異性の友人を好きになった経験」についてアンケート https://prtimes.jp/m[...] 2022-03-23
[82] 웹사이트 「「仲間意識」に関する研究結果の報告」 http://home.hiroshim[...]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