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지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 유형적, 정보적, 교우적 지지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개인의 심리적, 신체적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개념이다.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 완화 및 정신 건강 증진에 기여하며, 신체적 질병의 예방 및 회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완충 효과 가설과 직접 효과 가설 등 여러 이론으로 설명되며, 성별과 문화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최근에는 온라인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한국 사회에서도 사회적 지지의 약화와 관련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사회학 - 사회 자본
사회 자본은 개인이나 집단이 사회 관계망을 통해 얻는 유·무형 자원으로, 사회적 관계 변화에 대한 우려에서 출발하여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발전해 왔으며,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영향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경제사회학 - 사회경제학
사회경제학은 사회적 자본, 규범, 가치관 등이 경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미시적으로 분석하고 사회 재건 및 개선을 목표로 경제학과 사회 철학 간의 관계를 거시적으로 탐구하는 비주류 경제학이다. - 통신 이론 - 배양 이론
배양 이론은 텔레비전 시청과 같은 미디어 노출이 시청자의 현실 인식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을 설명하며, 시청 시간이 많을수록 미디어에서 묘사되는 현실과 일치하는 사회 현실을 믿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가정한다. - 통신 이론 - 이용과 충족 이론
이용과 충족 이론은 개인이 능동적으로 미디어를 선택하고 사용하여 얻는 만족에 초점을 맞춘 커뮤니케이션 이론으로, 미디어가 개인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수단으로 활용되며 미디어 선택은 개인의 필요와 목표에 의해 동기 부여된다고 본다. - 정신건강 - 인간과 동물의 감정 표현
찰스 다윈의 저서인 인간과 동물의 감정 표현은 감정 표현의 보편성을 강조하며, 감정이 정신 상태와 신체 움직임 간의 연결고리임을 주장하고 진화론적 관점에서 인간과 동물의 감정 표현 방식을 설명하며, 심리학을 포함한 여러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정신건강 - 심적외상
심적 외상은 죽음, 부상, 성폭력과 같은 외상적 사건에 노출된 후 발생하는 정신적 고통으로, 침투적 기억, 부정적 감정, 과경계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급성 스트레스 장애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같은 스트레스 장애를 일으킬 수 있지만, 치료와 약물 치료를 통해 관리될 수 있다.
사회적 지지 | |
---|---|
사회적 지지 | |
정의 | 개인이 다른 사람들로부터 받는 도움과 자원 |
유형 |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도구적 지지 평가적 지지 |
출처 | 가족 친구 파트너 직장 동료 지역 사회 온라인 커뮤니티 |
효과 | 심리적 안녕 증진 스트레스 감소 질병 회복 촉진 삶의 질 향상 |
영향 요인 | 사회적 연결망의 크기 지지의 질 지지의 가용성 지각된 지지 |
측정 | 사회적 지지 설문지 사회적 연결망 분석 |
사회적 지지와 건강 | 사회적 지지는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사회적 지지와 회복력 | 사회적 지지는 역경을 극복하는 회복력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
연구 및 이론 | |
주요 이론 | 직접 효과 가설 완충 효과 가설 |
사회적 지지 제공 | |
방법 | 경청 공감 실질적인 도움 제공 정보 제공 정서적 지원 제공 |
고려 사항 | 개인의 욕구 문화적 배경 상황적 맥락 |
관련 개념 | |
사회적 연결망 | 개인이 연결된 사람들 또는 집단 |
사회적 고립 | 다른 사람들과의 연결 부족 |
사회적 자본 | 사회적 연결망에서 얻을 수 있는 자원 |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 | |
정신 건강 | 사회적 지지는 우울증, 불안과 같은 정신 건강 문제를 예방하고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신체 건강 | 사회적 지지는 만성 질환을 관리하고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
삶의 만족도 | 사회적 지지는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
행복 | 사회적 지지는 행복감을 증진시킨다. |
사회적 지지 관련 문제 | |
부족 | 사회적 지지 부족은 외로움과 고립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 |
부정적 지지 | 부정적이거나 해로운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고통을 야기할 수 있다. |
과도한 지지 | 과도한 사회적 지지는 개인의 자율성을 저해할 수 있다. |
사회적 지지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 | |
목표 |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고 사회적 고립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사례 | 지역사회 보건 프로그램 자원 봉사 프로그램 멘토링 프로그램 |
추가 정보 | |
외부 링크 | 영문 위키백과: 사회적 지지 일본어 위키백과: 소셜 서포트 |
2. 사회적 지지의 개념과 유형
사회적 지지는 어떤 사람을 둘러싸고 있는 중요한 타인에게서 얻는 여러 가지 형태의 원조로서, 이를 사회적 자원으로 볼 수 있다. 여기에는 무형의 정서적인 감정 지지나 정보 자원의 제공, 또는 물질적 원조와 같은 유형, 무형의 사회적 지지가 폭넓게 포함된다. 현대에는 애완동물과의 일상생활에서의 경험 역시 높은 사회적 지지의 자원으로 언급되며, 심리적 가족 구성원으로 보고되고 있다.
사회적 지지는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개개인이 평소에는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구축하고 있는 인간관계 그 자체이다. 그러나, 보호의 대상이 되는 아이나 노인, 마음의 병을 가진 환자 등, 스스로 인간관계를 구축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는, 집단 속에서의 소속감이나 자신의 존재 가치, 자기 효능감을 가질 수 있도록 주위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164] 사회적 지지는 지원 대상과의 관계 긴밀성에 따라 다층적으로 구축된다. 개인적인 고민을 털어놓을 수 있는 사람들, 자신을 도울 의무가 있는 사람들, 사람을 돕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들 등이 있다. 이러한 사람들의 존재는 실제로 원조 행위를 하든 안 하든 간에, "위급할 때 도와줄 사람이 있다"는 안심감이나 실감을 줄 수 있다.[164]
2. 1. 측정 방법
사회적 지지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류하고 측정할 수 있다.사회적 지지의 네 가지 일반적인 기능은 다음과 같다.[9][10][11]
- 정서적 지지: 공감, 관심, 애정, 사랑, 신뢰, 수용, 친밀감, 격려 또는 보살핌을 제공하는 것이다.[12][13] 사회적 지지의 근원에서 제공되는 따뜻함과 양육이다.[14]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면 개인이 자신의 가치를 인식하게 할 수 있다.[13]
- 유형적 지지: 재정적 지원,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15][16] 도구적 지지라고도 불리는 이러한 형태의 사회적 지지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을 돕는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방법을 포함한다.[12]
- 정보적 지지: 누군가에게 조언, 지도, 제안 또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9][17] 이러한 유형의 정보는 다른 사람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2][18]
- 교우적 지지: 누군가에게 소속감을 주는 유형의 지지이며 (소속감이라고도 함)[9] 공유된 사회 활동에 참여할 동반자의 존재로 볼 수 있다.[19] 이전에는 "존중 지지" 또는 "평가 지지"라고도 불렸지만,[9] 이후로는 규범적 지지 및 도구적 지지와 함께 "평가 지지"라는 이름으로 대체 지원 형태로 발전했다.
연구자들은 또한 일반적으로 지각된 지지와 받은 지지의 차이점을 구분한다.[14][20] 지각된 지지는 수혜자가 필요할 때 제공자가 효과적인 도움을 제공할 것이라고(또는 제공했을 것이라고) 하는 주관적인 판단을 의미한다. 받은 지지(실행된 지지라고도 함)는 필요할 때 제공자가 제공하는 구체적인 지원 행동(예: 조언 또는 안심)을 의미한다.[21]
또한, 사회적 지지는 구조적 지지 또는 기능적 지지의 관점에서 측정할 수 있다.[22] 구조적 지지(사회 통합이라고도 함)는 수혜자가 사회적 네트워크 내에서 연결된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회적 유대의 수 또는 개인이 자신의 사회적 네트워크 내에서 얼마나 통합되어 있는지를 의미한다.[20][9] 가족 관계, 친구, 클럽 및 단체 회원 자격은 사회 통합에 기여한다.[23] 기능적 지지는 이 사회적 네트워크의 구성원이 제공할 수 있는 특정 기능, 예를 들어 위에 나열된 정서적, 도구적, 정보적 및 교우적 지지를 살펴본다.[24]
데이터에 따르면 정서적 지지는 사회 참여나 활동과 같은 구조적 지원 수단보다 스트레스의 해로운 영향으로부터 개인을 보호하는 데 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25]
이러한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지지는 건강, 성격, 개인 관계와 상관관계가 다르다.[20][26] 예를 들어, 지각된 지지는 일관되게 더 나은 정신 건강과 관련이 있지만 받은 지지와 사회 통합은 그렇지 않다.[20][26] 사실, 연구에 따르면 활용되지 않은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활용된 사회적 지지보다 더 효과적이고 유익할 수 있다.[27] 어떤 사람들은 보이지 않는 지지, 즉 개인이 자신의 인식 없이 지지를 받는 지지 형태가 가장 유익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28][29][30]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최근 연구에서 보이는 지지와 마찬가지로 보이지 않는 사회적 지지의 효과가 제공자, 수혜자 및 수혜자의 제공자의 요구에 대한 반응성에 대한 인식[31] 또는 지원 제공자와 수혜자 간의 관계의 질과 같은 상황적 요인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시사하면서 복잡해졌다.[32]
2. 2. 온라인 사회적 지지
소셜 미디어 사이트에서도 사회적 지지를 이용할 수 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온라인 지원의 이용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블로그, 페이스북(Facebook) 그룹, 건강 포럼 및 온라인 지원 그룹과 같은 소셜 미디어 웹사이트를 통해 사회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40][41]초기 인터넷 사용에 대한 이론 및 연구는 오프라인 사회적 네트워크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예: 인터넷 사용이 대면 상호 작용에 대한 욕구를 약화시킬 것이라는 우려)과 사용자의 웰빙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추가 연구는 무효 또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42] 온라인 사회적 과정에 대한 보다 미묘한 이해에 기여했다. 새로운 데이터는 오프라인 지원과 마찬가지로,[24] 온라인 사회적 지원의 효과는 지원 제공자, 수혜자 및 상황적 요인에 의해 형성됨을 점점 더 시사한다. 예를 들어, 대인 관계 연결 행동 프레임워크[41]는 사용자가 의미 있는 대인 관계 연결을 촉진하는 방식으로 참여할 때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사용이 웰빙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함으로써 연구 문헌의 상충되는 부분을 조정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소셜 미디어를 수동적으로 소비하는 경우 사용은 웰빙에 해를 끼칠 수 있다.
온라인 지원은 대면 사회적 지원과 유사할 수 있지만 편리성, 익명성 및 비판 없는 상호 작용을 제공할 수도 있다.[43] 소셜 미디어와 같은 온라인 소스는 대면 지원이 많은 사람들에 비해 대면 지원이 상대적으로 적은 사용자에게는 중복되지 않는 사회적 지원 소스일 수 있다.[44] 온라인 소스는 오프라인 지원이 제한된 개인에게 잠재적인 사회적 지원 자원으로 특히 중요할 수 있으며, 신체적 및 심리적 웰빙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53] 그러나 사회적으로 고립된 개인은 컴퓨터 매개 상호 작용보다 대면 상호 작용에 더 끌릴 수 있으며, 이는 온라인 사회 활동과 고립 또는 우울증 사이의 상호 작용에 기여할 수 있다.[41]
소셜 미디어를 통해 구하는 지원은 사용자에게 특정 건강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동시에 다른 사람들과 관련시키는 정서적 위안을 제공할 수도 있다. Winzelberg 등이 실시한 연구는 유방암 여성을 위한 온라인 지원 그룹을 평가하여 참가자들이 비동기식 형식으로 충족되는 지원 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고, 이러한 형태의 지원은 참가자의 우울증, 인지된 스트레스, 암 관련 외상 척도 및 체외수정 치료 점수를 줄이는 데 효과적임을 발견했다.[45][46] 이러한 유형의 온라인 의사소통은 스트레스 대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소셜 미디어를 통한 사회적 지원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사람이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희귀한 질병이나 상황을 포함한 다양한 문제에 대한 관계를 형성하고 격려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Coulson은 온라인 지원 그룹이 의료 전문가에게 개인의 경험과 견해를 배우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한다고 주장한다.[47] 이러한 유형의 사회적 지원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정보 사회적 지원을 구함으로써 사용자는 건강 문제 또는 회복에 대한 제안, 조언 및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며, 소셜 미디어에서의 가용성은 더 넓은 범위의 필요한 사람들에게 접근성을 넓힐 수 있다. 실험 연구와 상관 연구 모두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사용 증가가 더 큰 사회적 지원 인식과 사회적 자본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모두 향상된 웰빙을 예측한다는 것을 나타냈다.[48][49][50][51]
점점 더 많은 개입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사회적 지원을 만들거나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예비 데이터는 이러한 프로그램이 사용자에게 잘 받아들여지고 이점을 가져올 수 있음을 종종 시사하지만, 이러한 개입의 효과를 더 명확하게 확립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52]
2010년대 후반까지 온라인 사회적 지원을 조사하는 연구는 임시 도구나 오프라인 연구에서 채택된 척도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어, 척도가 온라인 지원 측정에 적합하지 않거나 심리 측정적 특성이 약하거나 알 수 없는 가능성이 있었다.[53] 온라인 환경에서 사회적 지원을 측정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된 도구에는 온라인 사회적 지원 척도[54](자존감/정서적 지원, 사회적 동반자 관계, 정보적 지원 및 도구적 지원에 대한 하위 척도가 있음)와 온라인 사회적 경험 측정[53](온라인 사회 활동의 긍정적 및 부정적 측면을 동시에 평가하고 온라인 사회적 지원의 심혈관계 영향에 대한 예측 유효성을 가짐)이 있다.
3. 사회적 지지와 건강
사회적 지지는 중요한 타인에게서 얻는 다양한 형태의 원조로서, 정서적 지지, 정보 제공, 물질적 지원 등 유형, 무형의 지원을 모두 포함한다. 최근에는 애완동물과의 경험도 중요한 사회적 지지 자원으로 여겨진다.[164]
고독은 무력감, 고립감, 자기 억압 등 다양한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알코올 의존증이나 도박과 같은 사회 규범으로부터의 일탈 및 죄책감을 유발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164] 미국의 조사에 따르면 인간관계의 많고 적음과 사망률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164]
사회적 지지는 개개인이 사회생활을 영위하면서 평소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구축하는 인간관계 그 자체이다. 그러나 보호가 필요한 아이, 노인, 환자 등은 스스로 인간관계를 맺기 어렵기 때문에, 이들이 소속감, 존재 가치, 자기 효능감을 느낄 수 있도록 주위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164]
사회적 지지는 지원 대상과의 관계 긴밀도에 따라 다층적으로 구축된다. 개인적인 고민을 털어놓을 수 있는 사람, 도움을 줄 의무가 있는 사람, 전문적인 도움을 주는 사람 등이 이에 해당한다.[164] 이들의 존재는 실제 원조 행위 여부와 관계없이 "위급할 때 도움받을 수 있다"는 안심감을 준다.[164]
3. 1. 정신 건강과의 관계
사회적 지지는 직장 내 심리적 안녕감 증진[55] 및 중요한 인생 사건에 대한 반응[56]과 관련이 있으며, 정신 건강 관련 문제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많은 증거가 있다. Cutrona, Russell, Rose의 연구에 따르면, 연구 대상이었던 노년층에서 자존감이 높은 관계를 맺은 노인들은 건강 악화 가능성이 낮았다.[57] 스트레스가 많은 시기에 사회적 지지는 사람들이 심리적 고통(예: 불안, 우울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14]사회적 지지는 만성 스트레스가 있는 상태(예: HIV,[59] 류마티스 관절염,[60] 암,[61] 뇌졸중,[62] 관상동맥 질환)[63]에서 심리적 적응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 지지 부족은 개인의 정신 건강 위험과 관련이 있다. 사회적 지지는 개인을 다양한 측면의 정신적 및 신체적 건강으로부터 보호하는 완충 역할을 한다.[64] 또한 사회적 지지는 다양한 급성 및 만성 통증 변수와 관련이 있다.
사회적 지지가 낮은 사람들은 사회적 지지가 높은 사람들보다 우울증과 불안의 아임상 증상을 더 많이 보고하며,[20][65] 정신 질환(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66] 공황 장애,[67] 사회 공포증,[68] 주요 우울 장애,[69] 디스티미아,[70] 섭식 장애)[71][72]의 발병률이 더 높다. 정신분열증 환자 중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낮은 사람들이 질병 증상이 더 심하다.[73] 또한 사회적 지지가 낮은 사람들은 자살 충동[74]과 약물 남용(알코올 및 (불법 및 처방) 약물 문제)[75][76]이 더 많으며, 아동에게서도 유사한 결과가 발견되었다.[77]
고독은 사람에게 무력감이나 고립감 등 다양한 스트레스를 준다. 또한, 알코올 의존증이나 도박에 빠지는 등 사회 규범으로부터의 일탈과, 그것에 따른 죄책감에 시달리는 악순환에 빠지는 경우도 있다.[164]
사회적 지지는 지원 대상 개인과의 관계 긴밀성에 따라, 개인적인 고민을 털어놓을 수 있는 사람들, 자신을 도울 의무가 있는 사람들, 사람을 돕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들 등과 같은 거리감으로 다층적으로 구축된다.[164] 이러한 자신을 이해해 주는 사람들의 존재에 의해, 실제로 원조 행위를 하든 안 하든 간에, “위급할 때 도와줄 사람이 있다”는 안심감이나 실감을 줄 수 있다.[164]
3. 2. 신체 건강과의 관계
사회적 지지는 개인의 신체 건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사망률을 포함한 여러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사회적 지지가 낮은 사람들은 암이나 심혈관 질환과 같은 다양한 질병으로 사망할 위험이 훨씬 높다.[24][26] 반면, 사회적 지지가 높은 사람들은 생존 가능성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많이 있다.[94]사회적 지지 수준이 낮은 개인과 높은 개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사회적 지지 수준 | 특징 |
---|---|
낮음 | |
높음 |
사회적 지지는 죽상동맥경화증을 감소시키고 이미 진단된 심혈관 질환의 진행 속도를 늦추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30] 고령자의 경우 사회적 지지와 더 나은 면역 기능 사이에 명확하게 입증된 연관성이 있다.[30] 또한, 경미한 암에서 회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108] 유방암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있지만, 더 심각한 암의 경우 중증도 및 전이와 같은 요인은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고려하여 측정하기 어렵다.[108]
고독은 무력감, 고립감, 자기 억압 등 다양한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알코올 의존증이나 도박과 같은 사회 규범으로부터의 일탈 및 죄책감을 유발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164] 미국의 조사에 따르면 인간관계의 많고 적음과 사망률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164]
3. 3. 사회적 지지의 부정적 측면
사회적 지지에는 많은 이점이 있지만, 항상 유익한 것은 아니다. 사회적 지지가 유익하려면 개인이 원하는 사회적 지지가 그에게 제공되는 지지와 일치해야 하는데, 이를 일치 가설이라고 한다.[1][117][118] 수혜자가 받기를 원하는 것과 다른 유형의 지원이 제공될 경우(예: 정서적 지원이 필요할 때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경우) 심리적 스트레스가 증가할 수 있다.[119] 또한, 인지된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지면 사회적 지지가 건강 관련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20]사회적 지지와 관련된 다른 비용도 있다. 예를 들어, 받은 지원은 신체적 또는 정신적 건강과 일관되게 관련이 없다.[20][26] 놀랍게도 받은 지원은 때때로 더 나쁜 정신 건강과 관련이 있었다.[29] 또한, 사회적 지지가 지나치게 개입적이면 스트레스가 증가할 수 있다.[121] 사회적 지지를 논의할 때 사회적 지원 시스템이 실제로 개인에게 적대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항상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30]
고독은 사람에게 무력감이나 고립감, 고독으로부터 눈을 돌리기 위한 자기만의 억압 등 다양한 스트레스를 준다. 또한, 알코올 의존증이나 도박에 빠지는 등 사회 규범으로부터의 일탈과, 그것에 따른 죄책감에 시달리는 악순환에 빠지는 경우도 있다.[164] 고독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에는 개인차가 있지만, 미국의 조사에서는 인간관계의 많고 적음과 사망률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164]
4. 사회적 지지와 관련된 이론
사회적 지지와 건강 간의 연관성을 설명하기 위해 여러 이론이 제시되었다. 스트레스와 대처 사회적 지지 이론[20][65][1][122]은 사회적 지지 연구[123]에서 주된 이론이며, 완충 효과 가설을 설명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사회적 지지는 사람들이 사건에 대해 생각하고 대처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스트레스성 사건의 부정적인 건강 영향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한다(스트레스 완충). 2018년 학교 총기 사건은 아동의 안녕과 미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예시이다. 스트레스와 대처 이론에 따르면,[124] 사람들이 사건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평가) 비효과적으로 대처할 때 사건은 스트레스가 된다. 대처는 문제 해결이나 이완과 같은 의도적이고 의식적인 행동을 포함한다. 사회적 지지에 적용하면, 스트레스와 대처 이론은 사회적 지지가 적응적 평가와 대처를 촉진한다고 시사한다.[65][1] 스트레스와 대처 사회적 지지 이론에 대한 증거는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대한 스트레스 완충 효과를 관찰한 연구에서 발견된다.[65] 이 이론의 한 가지 문제는 사회 통합에 대해서는 스트레스 완충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125] 받은 지지가 일반적으로 더 나은 건강 결과와 관련이 없다는 것이다.[20][26]
빅 파이브 성격 특성 중에서, 친화성은 사람들이 가장 많은 사회적 지지를 받고 직장과 가정에서 가장 적은 스트레스를 받는 관계를 갖는 것과 관련이 있다. 직장에서 상사로부터 지지를 받는 것은 직장과 가정 모두에서 긴장을 완화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직원의 상호 의존성과 자아 중심성도 마찬가지이다.[128]
많은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와 건강 간의 연관성에 대한 생리심리사회적 경로를 규명하려고 시도했다. 사회적 지지는 면역, 신경내분비계 및 심혈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29] 이러한 체계는 상호 작용하고 서로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26]
- 면역 체계: 사회적 지지는 일반적으로 더 나은 면역 기능과 관련이 있다.[95][130] 예를 들어, 사회적으로 더 통합된 사람들은 염증의 지표인 C-반응성 단백질로 측정한 염증 수준이 더 낮고,[131] 사회적 지지가 많은 사람들은 감기에 걸릴 가능성이 더 낮다.[107]
- 신경내분비계: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으로 코르티솔("스트레스 호르몬") 수치를 낮추는 것과 관련이 있다.[132] 뇌 영상 연구에 따르면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고통과 관련된 뇌 영역의 활성화를 감소시키며, 이러한 활성 감소는 코르티솔 수치 감소와도 관련이 있다.[133]
- 심혈관계: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에 대한 심혈관 반응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95] 혈압과 심박수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134]
많은 이점이 발견되었지만, 모든 연구가 이러한 체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14] 예를 들어, 때로는 지지하는 사람의 존재가 신경내분비 및 생리적 활동을 증가시킬 수 있다.[34]
사회적 지지 집단은 정보적 지지와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는 원천이 될 수 있다.[135][136] 연구에 따르면 다양한 질환에 대한 사회적 지지 집단 개입과 인터넷 지원 그룹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37][138] 이러한 그룹은 "자조" 그룹으로 불릴 수 있으며, 비영리 단체에서 제공될 수 있다. 2018년에는 정부 상환 계획의 일부로 비용을 지불할 수도 있었다. 이전 연구에 따르면 지지 집단에 참석하는 사람들은 알코올 중독자 익명회(AA) 및 마약 중독자 익명회(NA)와 같은 그룹에서 사회적 지지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후속 그룹 참여와 중독 회복에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139] 상관관계가 인과관계와 같지 않지만, 모임 참석이 금주를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지지 집단이 대면 토론이 가능하지만, 온라인 지원도 동일한 수준의 이점을 제공한다는 증거가 있다. Coulson은 토론 포럼을 통해 일을 처리하고 전반적인 안녕감을 갖는 등 여러 이점을 얻을 수 있다고 발견했다.[140]
4. 1. 완충 가설과 직접 효과 가설
사회적 지지와 건강 간의 연관성을 설명하는 두 가지 주요 가설은 완충 효과 가설과 직접 효과 가설이다.[65] 두 가설의 주요 차이점은 직접 효과 가설은 사회적 지지가 항상 유익하다고 예측하는 반면, 완충 효과 가설은 사회적 지지가 주로 스트레스가 많은 시기에 유익하다고 예측한다는 것이다. 두 가설 모두에 대한 증거가 발견되었다.[14]완충 효과 가설에서 사회적 지지는 사람들을 스트레스가 많은 삶의 사건(예: 배우자의 사망, 실직)의 부정적인 영향으로부터 보호(또는 "완충")한다.[65] 스트레스 완충 효과에 대한 증거는 사회적 지지가 높은 사람들의 경우 스트레스성 사건과 건강 악화 간의 상관관계가 사회적 지지가 낮은 사람들보다 약할 때 발견된다. 사회적 지지가 높은 사람들의 경우 스트레스와 건강 간의 약한 상관관계는 종종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스트레스 완충 효과는 사회적 통합[65]이나 받은 지지[20]보다는 지각된 지지에서 더 많이 관찰된다. 회복력의 이론적 개념 또는 구성 개념은 대처 이론과 관련이 있다.
직접 효과(주 효과라고도 함) 가설에서 사회적 지지가 높은 사람들은 스트레스와 관계없이 사회적 지지가 낮은 사람들보다 건강 상태가 더 좋다.[65] 완충 효과를 보여주는 것 외에도, 지각된 지지는 정신 건강 결과에 대해 일관된 직접 효과를 보인다.[69] 지각된 지지와 사회적 통합 모두 신체적 건강 결과에 대한 주 효과를 보인다.[26] 그러나 받은(실제로 행해진) 지지는 주 효과를 거의 보이지 않는다.[20][26]
4. 2. 관계 규제 이론 (RRT)
관계 규제 이론(Relationship Regulation Theory, RRT)에 따르면, 사회적 지지는 직장 내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고[55] 중요한 인생 사건에 대한 반응과 관련이 있다.[56] 사회적 지지가 정신 건강 문제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많은 증거가 있다. Cutrona, Russell, Rose의 연구에 따르면, 연구 대상이었던 노인들 중 자존감이 높은 관계를 맺은 노인들은 건강 악화 가능성이 낮았다.[57] 스트레스가 많은 시기에 사회적 지지는 사람들이 불안,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고통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14]사회적 지지는 문제 중심적 대처 전략(예: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구체적인 정보를 받는 것)과 정서 중심적 대처 전략(예: 스트레스성 사건에서 발생하는 정서적 반응을 조절하는 데 사용됨)으로 동시에 기능할 수 있다.[58] 사회적 지지는 HIV,[59] 류마티스 관절염,[60] 암,[61] 뇌졸중,[62] 관상동맥 질환[63]과 같은 만성 스트레스가 있는 상태에서 심리적 적응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 지지 부족은 개인의 정신 건강 위험과 관련이 있다. 이 연구는 또한 사회적 지지가 개인을 다양한 측면의 정신적 및 신체적 건강(특정한 삶의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대처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완충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64]
4. 3. 생애 주기 이론
사회적 지지는 생애 주기 동안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친다. 사회적 지지가 높으면 직장 내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고,[55] 중요한 인생 사건에 잘 대처하도록 돕는다.[56] 노년층의 경우, 높은 자존감을 가진 관계를 맺은 노인들은 건강 악화 가능성이 낮았다.[57]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불안,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고통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14]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얻거나(문제 중심적 대처), 스트레스로 인한 감정을 조절하는(정서 중심적 대처) 데 모두 기여한다.[58] HIV,[59] 류마티스 관절염,[60] 암,[61] 뇌졸중,[62] 관상동맥 질환[63]과 같은 만성 스트레스 상황에서 심리적 적응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사회적 지지가 부족하면 정신 건강 위험이 커진다.
사회적 지지가 낮은 사람들은 우울증과 불안 증상을 더 많이 보이고,[20][65]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66] 공황 장애,[67] 사회 공포증,[68] 주요 우울 장애,[69] 디스티미아,[70] 섭식 장애[71][72]와 같은 정신 질환 발병률도 높다. 정신분열증 환자의 경우, 사회적 지지가 낮으면 질병 증상이 더 심하다.[73] 자살 충동,[74] 약물 남용[75][76]도 더 많이 나타난다. 아동에게서도 비슷한 결과가 발견되었다.[77]
종교적 대처는 스트레스에 대한 긍정적 심리적 적응과 관련이 있으며, 신앙에 기반한 사회적 지지 강화가 효과적인 메커니즘으로 여겨졌다.[78][79]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호의성"과 "성실성" 같은 성격 특성을 고려하면 종교성/영성이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는 역할이 크지 않을 수 있다고 본다.[80]
경찰관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동료 간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 관련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84] 미혼모 연구에서는 우정과 동료의 지원적인 관계가 어머니의 심리적 안정과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85]
PTSD 환자 연구에서는 높은 수준의 사회적 지지가 PTSD 심각도를 낮추는 강력한 보호 요인으로 작용했다.[86] 가족과 우정의 지지가 외상에 대처하는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데이터가 있다.[87]
대학생의 경우,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이 안정적인 지원에서 변동적인 지원으로 변화했다.[90] 사회적 지지를 받았다고 보고한 학생들은 건강에 해로운 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더 높았고,[92] 사회적 지지 부족은 삶의 불만족, 자살 행동과 관련이 있었다.[93]
사회적 지지는 사망률을 포함한 신체 건강과 관련이 있다. 사회적 지지가 낮은 사람들은 다양한 질병으로 사망할 위험이 높다.[24][26] 높은 사회적 지지는 생존 가능성을 높인다.[94] 낮은 사회적 지지는 심혈관 질환,[26] 염증, 면역 체계 기능 저하,[95][96] 임신 합병증,[97] 류마티스 관절염 관련 기능 장애 및 통증 증가와 관련이 있다.[98] 반면, 높은 사회적 지지는 관상동맥 수술 회복 속도 향상,[99] 헤르페스 발병률 감소,[100][101] 노화 관련 인지 기능 저하 감소,[102] 당뇨병 관리 개선[103][104][105][106] 등과 관련이 있다.
5. 성별 및 문화적 차이
사회적 지지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었다.[21] 여성은 남성보다 다른 사람에게 더 많은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고 사회적 관계망에 더 많이 참여하며,[125][148][149] 사회적 지지를 더 잘 제공한다는 증거도 있다.[125]
5. 1. 문화적 차이
사회적 지지 연구에서는 성별 차이가 발견되었다.[21] 여성은 다른 사람들에게 더 많은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고 사회적 네트워크에 더 많이 참여한다.[125][148][149] 여성이 사회적 지지를 더 잘 제공할 수 있다는 증거도 있다.[125] 지지를 제공하는 데 더 많이 관여하는 것 외에도, 여성은 특히 배우자로부터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사회적 지지를 더 많이 구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한 연구에 따르면 남성과 여성이 평가, 정보, 도구적 유형의 지지를 구하는 정도에는 차이가 없으며, 정서적 지지를 구하는 데 큰 차이가 있다.[150][151] 또한 사회적 지지는 여성에게 더 유익할 수 있다.[152] 셸리 테일러와 동료들은 이러한 성별 차이가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방식에서 남성과 여성의 생물학적 차이( 투쟁-도피 대 돌봄-친구)에서 비롯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149] 특정 스트레스 요인이 있은 후 결혼한 남성은 미혼 남성에 비해 우울증에 걸릴 가능성이 적은데, 이는 남성이 자신의 정서적 부담을 배우자에게 위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사회적 맥락에 더 영향을 받고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53] 남성의 행동은 전반적으로 비사회적이며, 자신의 대처 행동이 다른 사람들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고려가 적고, 여성은 더 친사회적이며 자신의 대처 행동이 주변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54][155] 이것은 여성이 스트레스 요인을 받아들이고 처리하는 방식 때문에 우울증과 불안과 같은 부정적인 심리적 문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은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153]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보다 상황을 더 스트레스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인지된 스트레스 수준이 같을 때는 남성과 여성이 사회적 지지를 구하고 사용하는 방식에 있어 차이가 훨씬 적다.[150]6. 한국 사회와 사회적 지지
한국 사회는 급격한 경제 성장과 사회 변화를 겪으면서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고독은 무력감, 고립감, 알코올 의존증, 도박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며, 이는 사회 규범으로부터의 일탈과 죄책감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다.[164] 미국의 한 조사에 따르면 인간관계의 많고 적음과 사망률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보고도 있다.[164] 따라서 사회적 지지 약화는 개인의 삶의 질 저하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불안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
6. 1. 한국 사회의 사회적 지지 현황
사회적 지지는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개개인이 평소에는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구축하고 있는 인간관계 그 자체이다. 그러나 보호의 대상이 되는 아이나 노인, 마음의 병을 가진 환자 등 스스로 인간관계를 구축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는 집단 속에서의 소속감이나 자신의 존재 가치, 자기 효능감을 가질 수 있도록 주위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164]사회적 지지는 지원 대상이 되는 개인과의 관계 긴밀성에 따라, 개인적인 고민을 털어놓을 수 있는 사람들, 자신을 도울 의무가 있는 사람들, 사람을 돕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들 등과 같은 거리감으로 다층적으로 구축된다.[164] 이러한 자신을 이해해 주는 사람들의 존재에 의해, 실제로 원조 행위를 하든 안 하든 간에, “위급할 때 도와줄 사람이 있다”는 안심감이나 실감을 줄 수 있다.[164]
6. 2. 사회적 지지 약화의 문제점
고독은 사람에게 무력감이나 고립감, 고독으로부터 눈을 돌리기 위한 자기만의 억압 등 다양한 스트레스를 준다. 또한, 알코올 의존증이나 도박에 빠지는 등 사회 규범으로부터의 일탈과, 그것에 따른 죄책감에 시달리는 악순환에 빠지는 경우도 있다.[164] 고독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에는 개인차가 있지만, 미국의 조사에서는 인간관계의 많고 적음과 사망률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164]사회적 지지는 지원 대상이 되는 개인과의 관계 긴밀성에 따라 다층적으로 구축된다. 개인적인 고민을 털어놓을 수 있는 사람들, 자신을 도울 의무가 있는 사람들, 사람을 돕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들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164] 이러한 자신을 이해해 주는 사람들의 존재는, 실제로 원조 행위를 하든 안 하든 간에, “위급할 때 도와줄 사람이 있다”는 안심감이나 실감을 줄 수 있다.[164]
6. 3. 사회적 지지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
사회적 지지는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개개인이 평소에는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구축하고 있는 인간관계 그 자체이다. 그러나, 보호의 대상이 되는 아이나 노인, 마음의 병을 가진 환자 등, 스스로 인간관계를 구축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는, 집단 속에서의 소속감이나 자신의 존재 가치, 자기 효능감을 가질 수 있도록 주위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164]사회적 지지는 지원 대상이 되는 개인과의 관계 긴밀성에 따라 다층적으로 구축된다. 예를 들어 개인적인 고민을 털어놓을 수 있는 사람들, 자신을 도울 의무가 있는 사람들, 사람을 돕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들 등으로 나눌 수 있다.[164] 이러한 자신을 이해해 주는 사람들의 존재는, 실제로 원조 행위를 하든 안 하든 간에, “위급할 때 도와줄 사람이 있다”는 안심감이나 실감을 줄 수 있다.[164]
7. 통계
국제연합의 세계 행복 보고서에서는 세계 각국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Social Support: 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s
Praeger
[2]
논문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that is perceived by children in early adolescence and its relationship with antisocial behavior
[3]
논문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inner containment on the propensity toward delinquent behavior and disengagement in education
ProQuest Dissertations Publishing
[4]
서적
Delinquency and high school dropouts: reconsidering social correlate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5]
서적
Social support
SAGE
[6]
서적
More than they bargained for: The meaning of support to families
Paul H. Brookes
[7]
서적
DSM-IV Sourcebook
https://books.googl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8]
서적
Building Cultural Reciprocity with Families: Case Studies in Special Education
Brookes
[9]
학술지
Soc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10]
서적
Social support and health
Academic Press
[11]
서적
Social Support and Physical Health: Understanding the Health Consequences of Relationship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2]
학술지
Social support: a conceptual analysis
https://archive.org/[...]
[13]
학술지
Emotional support for cancer patients: what do patients really want?
[14]
서적
Social support: A Review
Oxfo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
Jossey-Bass
[16]
서적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Addison-Wesley
[17]
학술지
Social support, stress, and well-being
[18]
학술지
Social support and the chronically ill individual
https://archive.org/[...]
[19]
서적
Social Support and Physical Health: Understanding the Health Consequences of Relationship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20]
학술지
Distinctions between social support concepts, measures, and models
[21]
서적
Coping and Social Support
Thomson Wadsworth
[22]
서적
Social support
Guilford Press
[23]
학술지
Social support and social integration
https://web.archive.[...]
2011-11-13
[24]
서적
Social Support and Physical Health: Understanding the Health Consequences of Relationship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25]
학술지
Sex differences in vulnerability to undesirable life events
https://archive.org/[...]
[26]
학술지
Understanding the links between social support and physical health: A life-span perspective with emphasis on the separability of perceived and received support.
[27]
학술지
Culture and Social Support: Who Seeks It and Why?
https://escholarship[...]
2004
[28]
학술지
Effects of social support visibility on adjustment to stress: Experimental evidence
https://archive.org/[...]
[29]
학술지
Invisible support and adjustment to stress
[30]
학술지
Social support and health: A review of physiological processes potentially underlying links to disease outcomes
[31]
학술지
The paradox of received social support: the importance of responsiveness
2009
[32]
학술지
Can't you see I'm trying to help?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visibility and benefit of social support in type 1 diabetes
2021
[33]
학술지
Social support interventions: Do they work?
https://archive.org/[...]
[34]
학술지
Marriage and health: His and hers
https://archive.org/[...]
[35]
학술지
Workplace and Social Support and Work-Family Conflict: A Meta-analysis Clarifying the Influence of General and Work-Family-Specific Supervisor and Organizational Support
[36]
논문
Specifying the buffering hypothesis: Support, strain, and depression
https://archive.org/[...]
[37]
논문
Risky families: Family social environments and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offspring
https://archive.org/[...]
[38]
논문
Social support, appraisals of event controllability, and coping: An integrative model
https://archive.org/[...]
[39]
논문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and well-be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https://archive.org/[...]
[40]
논문
Internet para- dox: A social technology that reduces social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41]
논문
Social network sites and well-being: The role of social connection.
[42]
논문
Internet paradox revisited
https://figshare.com[...]
[43]
논문
Social support in an Internet weight loss community
2010-01-01
[44]
논문
Online social support for young people: Does it recapitulate in-person social support; can it help?
[45]
논문
Evaluation of an internet support group for women with primary breast cancer
2003-03-01
[46]
논문
Can Social Support on Facebook Influence Fertility Outcomes?
[47]
논문
Social support in cyberspace: a content analysis of communication within a Huntington's disease online support group
http://eprints.notti[...]
2007-10-01
[48]
웹사이트
Exploring Relationship between Online Social Support and Individual
https://www.research[...]
[49]
논문
Is the social use of media for seeking connectedness or for avoiding social isolation? Mechanisms underlying media use and subjective well- being.
[50]
논문
Does posting Facebook status updates increase or decrease loneliness? An online social networking experiment.
[51]
논문
Can Facebook use induce well- being?
[52]
서적
Encyclopedia of Mental Health
https://doi.org/http[...]
Academic Press
[53]
논문
Enemies and friends in high-tech place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Online Social Experiences Measure
[54]
논문
The Online Social Support Scale: Measure development and validation
[55]
서적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Addison-Wesley
[56]
논문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57]
논문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stress by the elderly
https://archive.org/[...]
[58]
서적
Stress and coping: An anthology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59]
논문
Coping, social support, and attachment style as psychosocial correlates of adjustment in men and women with HIV/AIDS
[60]
논문
Quality of social support and associated social and psychological functioning in women with rheumatoid arthritis
https://archive.org/[...]
[61]
논문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personal coping resources on depressive symptoms: Different for various chronic diseases?
https://research.vu.[...]
[62]
논문
The determination of rate of progress of stroke patients through empathy measures of patient and family
[63]
논문
Social context, coping strategies, and depressive symptoms: An expanded model with cardiac patients
https://archive.org/[...]
[64]
논문
Social support, social conflict, and immigrant women'smental health in a Canadian context: a scoping review
[65]
논문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66]
논문
Meta-analysis of risk factors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rauma-exposed adults
[67]
논문
Moderators and mediators among panic, agoraphobia symptoms, and suicidal ideation i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68]
논문
Deficits in perceived social support associated with generalized social phobia
[69]
서적
Risk factors for depression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70]
논문
Primary early-onset dysthymia: comparison with primary nonbipolar nonchronic major depression on demographic, clinical, familial, personality, and socio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short-term outcome
https://archive.org/[...]
[71]
논문
Risk factors for binge eating onset in adolescent girls: A 2-year prospective investigation
https://archive.org/[...]
[72]
논문
Perceived social support, social skills, and quality of relationships in bulimic women
https://archive.org/[...]
[73]
논문
Social support and three-year symptom and admission outcomes for first year psychosis
[74]
논문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in the general population
[75]
논문
Prospective differential prediction of adolescent alcohol use and problem use: Examining mechanisms of effect
https://archive.org/[...]
[76]
논문
Work-related stress and cognitive enhancement among university teachers
[77]
논문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and well-be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https://archive.org/[...]
[78]
논문
Religious coping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o stress: A meta-analysis
https://archive.org/[...]
2005-04-01
[79]
논문
The link between religion and spirituality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he mediating role of optimism and social support.
https://archive.org/[...]
[80]
논문
Spirit or fleeting apparition? Why spirituality's link with social support might be incrementally invalid.
[81]
논문
Health Belief Model to deterrents of social support seeking among people coping with eating disorders
[82]
논문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83]
논문
Psychosocial processes and "stress":theoretical formulation
[84]
논문
Examining the effects of coping and social support on work and life stress among police officers
[85]
논문
Single Mothers: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https://archive.org/[...]
[86]
논문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and injury: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for young adults
https://archive.org/[...]
[87]
논문
Meta-analysis of risk factors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rauma-exposed adults
[88]
논문
Received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imes of stress: A test of the support deterioration deterrence model
https://archive.org/[...]
[89]
논문
Changes in counseling client problems over 13 years
https://archive.org/[...]
[90]
논문
Understanding family involvement in the college experience today
[91]
논문
Managing Perceived Stress Among College Students: The Roles of Social Support and Dysfunctional Coping
[92]
논문
Mediators and moderators of the stressor-fatigue relationship in nonclinical samples
[93]
논문
Depressive symptoms, social support, and personal health behaviors in young men and women
https://archive.org/[...]
[94]
논문
Social relationships and mortality ris: A meta-analytic review
[95]
논문
Social support and health: A review of physiological processes potentially underlying links to disease outcomes
[96]
논문
Emotions, morbidity, and mortality: New perspectives from psychoneuroimmunology
[97]
논문
Social support during pregnancy: effects on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smoking, and pregnancy outcome
[98]
논문
Pain coping and social support as predictors of long-term functional disability and pain in early rheumatoid arthritis
https://archive.org/[...]
[99]
논문
Emotional support as a moderator of adjustment and compliance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A longitudinal study
https://archive.org/[...]
[100]
논문
The relationship among genital herpes simplex virus, stress, and social support
[101]
논문
Coping strategies and behavioural changes following a genital herpes diagnosis among an urban sample of underserved Midwestern women
2016-03-01
[102]
논문
Social relationships, social support, and patterns of cognitive aging in healthy, high-functioning older adults: MacArthur studies of successful aging
https://archive.org/[...]
[103]
논문
Family life and diabetic control
[104]
논문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among hospitalized geriatric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upon discharge
2016-01-01
[105]
논문
Social media for empowering people with diabetes: Current status and future trends
[106]
논문
Panel: Big Data & Social Media for Empowering Patients with Diabetes
2016-01-01
[107]
논문
Social ties and susceptibility to the common cold
[108]
논문
Social support and cancer progression: A systematic review
[109]
논문
Social support and health: A review
https://archive.org/[...]
[110]
서적
Personnel Preparation in Disability and Community Life
Charles C. Thomas Publishers
[111]
서적
More than a Job: Securing Satisfying Care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Paul H. Brookes
[112]
논문
Natural supports in the workplace: A reexamination of supported employment
[113]
서적
Including all children and their gifts within regular classrooms
Allyn and Bacon
[114]
논문
Friendship and our children
[115]
논문
The old man as a creative artist in India
[116]
논문
An extra eight hours a day
[117]
서적
Types of social support and specific stress: Toward a theory of optimal matching
Wiley & Sons
[118]
서적
Social support, stress,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A theoretical analysis
Erlbaum
[119]
논문
The way to console may depend on the goal: Experimental studies of social support
[120]
논문
Perceived stress mediates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men treated for localized prostate cancer
2010-12-01
[121]
논문
Gender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and physical health
https://archive.org/[...]
[122]
논문
Social support as coping assistance
https://archive.org/[...]
[123]
논문
Relational Regulation Theory: A new approach to explain the link between perceived support and mental health
https://pure.rug.nl/[...]
[124]
서적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125]
논문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processes: Where are we? What next?
[126]
논문
Perceived support, received support, and adjustment to stressful life events
[127]
서적
Social support: Basic research and new strategies for intervention
https://archive.org/[...]
Guildford
[128]
논문
The effects of allocentrism, idiocentrism, social support, and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on work-family conflict.
2011
[129]
서적
Social suppor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30]
논문
Stress and immunity in humans: A meta-analytic review
[131]
논문
Relation of social integration to inflammatory marker concentrations in men and women 70-79 years
[132]
논문
Social support and salivary cortisol in women with metastatic breast cancer
[133]
논문
Neural pathways link social support to attenuated neuroendocrine stress response
[134]
논문
Cardiovascular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work place: twenty-four hour ECG monitoring of men and women
[135]
논문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to cancer: Reconciling descriptive, correlational, and intervention research
https://archive.org/[...]
[136]
서적
Marshalling social support: Formats, processes, and effects
Sage
[137]
논문
Social support interventions: Do they work?
https://archive.org/[...]
[138]
논문
Effects of STARBRIGHT World on knowledge, social support, and coping in hospitalized children with sickle cell disease and asthma
https://archive.org/[...]
[139]
논문
Using peer support groups to enhance community integration of veterans in transition.
2018-01-01
[140]
논문
Sharing, supporting and sobriety: a qualitative analysis of messages posted to alcohol-related online discussion forums in the United Kingdom
2013-01-01
[141]
논문
Psychiatric and physical morbidity effects of dementia caregiving: Prevalence, correlates, and causes
[142]
논문
Slowing of wound healing by psychological stress
[143]
논문
Providing social support may be more beneficial than receiving it: Results from a prospective study of mortality
[144]
웹사이트
Daily Support in Couples Coping With Early Stage Breast Cancer: Maintaining Intimacy During Adversity
https://www.research[...]
[145]
논문
Neural correlates of giving support to a loved one
[146]
웹사이트
http://www.moderntim[...]
2022-03-00
[147]
웹사이트
Key Concepts in Interpersonal Psychology
http://www.businessc[...]
2018-04-20
[148]
서적
Gender and stress
The Free Press
[149]
논문
Biobehavioral responses to stress in females: Tend-and-befriend, not fight-or-flight
[150]
논문
Gender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Stressors And Utilization Of Social Support Among University Students
2003-00-00
[151]
논문
Sex differences in coping behavior: A meta-analytic review
[152]
논문
Social support and health: A meta-analysis
[153]
서적
Handbook of Social Support and the Family
[154]
논문
Coping profiles within the strategic approach to coping ccale and their relationship to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Kent State University
[155]
논문
The applicability of the multiaxial model of coping to a greek population
[156]
논문
Culture and social support: Who seeks it and why?
https://escholarship[...]
[157]
논문
Pursuit of Comfort and Pursuit of Harmony: Culture,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Seeking
https://archive.org/[...]
[158]
논문
Ethnicity and social support during pregnancy
https://archive.org/[...]
[159]
논문
Social support across cultures
2006-09-00
[160]
논문
Social Support, Locus of Control, and Parenting in Three Low-Income Groups of Mothers: Black Teenagers, Black Adults, and White Adults
https://archive.org/[...]
1988-06-00
[161]
논문
Land Reform and Tourism Development: Policy-Making In the Philippines. Linda K. Richter. Schenkman Publishing Company, Inc., 3 Mount Auburn Place, Cambridge, Massachusetts 02138. 1982. 240p
1984-07-00
[162]
논문
Social support in Black, low-income, single-parent families: Normative and dysfunctional patterns.
https://archive.org/[...]
1985-01-00
[163]
논문
Residence Differences in Formal and Informal Long-Term Care
https://archive.org/[...]
1992-04-01
[164]
서적
たすけを求める心と行動:援助要請の心理学
金子書房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