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편번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편번호는 우편물 분류와 배송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국가별로 도입된 체계이다. 19세기 런던에서 시작되어 현대에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며, 숫자 또는 영숫자 조합으로 구성된다. 각 국가의 우편번호 체계는 고유하며, 행정 구역, 지리적 영역, 건물 단위 등 다양한 기준으로 적용된다. 우편 배송 외에도, 지리적 영업, 인구 통계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편번호 - ZIP 코드
    ZIP 코드는 미국 우정청에서 우편물 자동 분류를 위해 도입한 우편 번호 체계로, 5자리 코드에서 9자리 코드(ZIP+4)로 확장되어 우편물 분류뿐만 아니라 통계,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우편번호
지도
개요
정의우편물을 분류하고 배달 과정을 자동화하는 데 사용되는 일련의 문자와 숫자.
용도우편물의 최종 목적지를 식별하는 데 사용됨.
목적국가 또는 지역 내에서 우편물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분류하고 배달하는 것.
역사
시작1941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처음 사용.
발전1960년대에 미국, 서유럽 등 여러 국가에서 대량 도입.
국제화만국우편연합 (UPU)은 우편 주소 표준화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회원국은 자체 우편 번호 시스템을 가지고 있음.
종류
국가별각 국가마다 독자적인 우편 번호 시스템을 운영.
구성일반적으로 숫자, 문자 또는 두 가지 모두를 조합하여 사용.
예시미국: ZIP 코드 (5자리 또는 5자리 + 4자리)
영국: 우편 번호 (영숫자 조합)
대한민국: 우편번호 (5자리)
주소 표기 형식
기본 구조이름, 주소, 도시, 지역, 우편 번호 순서로 표기.
추가 요소아파트/건물 이름, 세대 번호 등.
국가 이름 (국제 우편의 경우)
표기법만국우편연합 (UPU)에서 표준 주소 표기 형식을 권장.
대부분의 국가는 국제 표준을 따름.
기술적 측면
자동화우편 분류 및 배달 자동화에 필수 요소.
데이터베이스주소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우편물 분류 효율성을 높임.
정보우편 번호는 지역, 구역, 건물 등을 나타내는 지리적 정보 포함.
지리 정보 시스템 (GIS) 및 지도 제작에도 활용.
기타
개인정보우편 번호 자체로는 개인 식별 정보가 아니지만, 주소와 함께 사용 시 개인 정보로 인식될 수 있음.
활용주소 정보 확인 및 정제.
지리적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시장 조사 및 통계 분석.
개선정기적인 정보 업데이트 필요.
오류 없는 데이터 관리 중요.

2. 역사

우편번호는 대도시 내의 우편 구역 번호에서 시작되어 전 지역으로 확대되는 과정을 거쳤다.

1857년 런던에서 처음으로 10개 구역으로 나누어 우편 구역 번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리버풀은 1864년에, 맨체스터/솔포드는 1867/68년에 우편 구역 번호를 도입했다.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유럽의 여러 대도시에서 이러한 우편 구역 번호가 사용되었다. 미국에서도 1920년대 후반까지 일부 도시에서 우편 구역 번호가 사용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까지 모든 주요 도시에서 사용되지는 않았다.[2][3]

1930년대 초, 대도시를 넘어 소도시와 농촌 지역까지 우편 구역 번호 체계를 확장하려는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현대적 우편번호는 1932년 12월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처음 도입되었으나,[4] 1939년에 폐지되었다. 이후 우편번호를 도입한 국가는 1941년 독일,[5] 1950년 싱가포르,[6] 1958년 아르헨티나,[7] 1963년 미국,[7] 1964년 스위스 순이었다.[8] 영국은 1959년 노리치에서 현재 시스템을 도입하기 시작했지만, 1974년까지 전국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았다.[9]

2. 1. 초기 우편 구역 번호

런던은 1857년에 처음으로 10개 구역(EC(동중앙), WC(서중앙), N, NE, E, SE, S, SW, W, NW)으로 나뉘었다. 1864년에는 리버풀에 4개 구역이 만들어졌으며, 맨체스터/솔포드는 1867/68년에 8개의 번호가 매겨진 구역으로 나뉘었다.[2]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이러한 우편 구역 또는 지역 번호는 여러 유럽 대도시에 존재했다.

2. 2. 현대적 우편번호의 등장

1977년 소련 우표(우편번호 사용 홍보)


현대적 우편번호는 1932년 12월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처음 도입되었지만,[4] 이 시스템은 1939년에 폐지되었다.[28] 이후 우편번호를 도입한 국가는 1941년 독일,[5][29] 1958년 아르헨티나,[7] 1959년 영국,[9][30] 1963년 미국,[7][31] 1964년 스위스 순이었다.[8][32]

우크라이나 키이우의 우편번호

3. 세계의 우편번호

각 국가는 고유한 형식의 우편번호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숫자, 문자, 또는 둘의 조합을 사용한다.


  • '''CAP''': 이탈리아 표준 용어로, codice di avviamento postaleit('우편 배달 코드')의 약자이다.
  • '''CEP''': 브라질 표준 용어로, código de endereçamento postalpt('우편 주소 코드')의 약자이다.
  • '''Eircode''': 아일랜드 표준 용어이다.
  • '''NPA''': 프랑스어 사용 스위스(numéro postal d'acheminement프랑스어)와 이탈리아어 사용 스위스(numero postale di avviamentoit)에서 사용된다.
  • '''PIN''': 인도 표준 용어로, Postal Index Number(우편 지수 번호)의 약자이며 PIN 코드라고도 한다.
  • '''PLZ''': 독일, 오스트리아, 독일어 사용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표준 용어로, Postleit‌zahlde('우편 번호')의 약자이다.
  • '''우편번호''': 캐나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 '''Postcode''': 많은 영어권 국가에서 널리 사용되며 네덜란드 표준 용어이기도 하다.
  • '''우편 지수''': 벨라루스, 몰도바, 러시아, 우크라이나동유럽 국가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 '''PSČ''': 슬로바키아체코 표준 용어로, Poštové smerovacie číslosk 또는 Poštovní směrovací číslocs의 약자이며, 모두 '우편 번호'를 의미한다.
  • '''ZIP 코드''': 미국필리핀 표준 용어로, ''Zone Improvement Plan''(구역 개선 계획)의 약자이다.


프랑스 해외 레지옹 및 해외 영토는 5자리 프랑스 우편번호 체계를 사용하며, 모나코 또한 프랑스 시스템에 통합되어 있다. 영국 왕관령인 건지, 저지, 맨섬은 영국 우편번호 시스템의 일부이며, 앵귈라, 버뮤다,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케이맨 제도는 자체 별도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팔라우,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연방은 독립 후에도 미국 우편번호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다. 산마리노바티칸 시국이탈리아 우편번호 시스템, 리히텐슈타인스위스 시스템을 사용한다. 체코슬로바키아체코슬로바키아 우편번호를 사용한다.

현대적 우편번호 시스템은 1932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처음 도입되었으나,[28] 1939년에 폐지되었다. 이후 1941년 독일,[29] 1958년 아르헨티나, 1959년 영국,[30] 1963년 미국,[31] 1964년 스위스[32]에서 도입되었다.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우편번호는 '㉾'로 표기하며, 1970년 7월 1일에 도입되었다. 당시에는 우체국 단위로 번호가 부여되었는데, 단위인 경우에는 3자리+2자리(예: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수색동…120-01), 구 단위인 경우에는 3자리(예: 서울특별시 중구…100) 번호가 부여되었다. 초기 우편번호의 1자리 지역 구분은 다음과 같았다.

1988년 2월 1일에는 행정구역별로 , , 을 단위로 하는 6자리 번호가 새로 부여되었다. 이와 함께 인천직할시와 경기도는 1에서 4로, 대구직할시와 경상북도는 6에서 7로, 제주도는 5에서 6으로 1자리 지역 구분이 변경되었다. 2000년 5월 1일에는 1988년의 번호를 기본으로 하되, 배달 편의를 위해 집배원 담당 구역별 번호가 추가되었다.

2015년 8월 1일, 6자리 우편번호 체계는 5자리 국가기초구역번호 체계로 변경되었다.

3. 1. 1. 2015년 이전 우편번호

2015년 8월 1일 우편번호 개편 이전에는 6자리 우편번호가 사용되었다. 이 번호는 지역별로 할당된 3자리 번호(발송용 번호)와 세부 주소별로 할당된 3자리 번호(배달용 번호)를 합쳐 구성되었다.



발송용 번호는 수취인의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부여되었으며, 집배국에서 발송 분류용으로 사용되었다. 발송용 번호의 첫째 자리는 광역행정구역(특별시·광역시·도·특별자치도 등)별로 구분되었다. 둘째 자리는 주민생활권역이나 집중국 권역별, 셋째 자리는 시·군·구별로 할당되었다.

배달용 번호는 우편물을 각 가구에 배달할 때 사용하는 번호로, 각 집배원의 담당 구역과 일치하도록 세분화되어 할당되었다. 동이나 면 단위, 또는 건물이나 사서함 단위까지 구분되는 경우도 있었다.

3. 1. 2. 2015년 이후 우편번호

2015년 8월 1일부터 국가기초구역에 부여된 5자리 구역번호인 국가기초구역번호를 우편번호로 사용한다.[1]

기존 6자리(3+3)에서 5자리로 변경되었으며, 앞 1, 2자리는 광역행정구역(특별시·광역시·도·특별자치도 등), 3자리는 시·군·구, 4, 5자리는 일련번호이다.[1]

3. 2. 일본

일본에서는 대체로 도도부현, 시구정촌의 집배우체국별로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3자리의 발송용 번호와 4자리의 숫자를 이용하는 7자리(3자리+4자리) 형식이다. 1998년까지는 3자리 또는 5자리(3자리+2자리)였으나, 같은 해부터 7자리(3자리+4자리)로 변경되었다.[1] 예를 들어 〒100-0000은 도쿄도 지요다구의 우편번호이며, 100-0001은 고쿄가 있는 도쿄도 지요다구 지요다에 할당되어 있다.[1]

3. 3. 미국

미국에서는 '''ZIP'''(Zone Improvement Plan) 또는 '''ZIP Code'''라고 불리는 형식의 우편번호 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미국 우정청(United States Postal Service)의 상표이다. 기본 우편번호는 다섯 자리 숫자로 구성된다. 처음 세 자리는 특정 우편집중국(sectional center facility) 즉, 중앙 분류 시설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주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지리적 지역을 나타낸다. 다음 두 자리는 도시 지역이나 대규모 교외 지역에 있는 경우 도시의 특정 지역을 담당하는 우체국 또는 소규모 교외 지역이나 농촌 지역에 있는 경우 마을, 읍, 소도시 전체와 그 주변 지역을 담당하는 우체국을 나타낸다.

ZIP+4로 알려진 확장 형식은 다섯 자리 우편번호에 하이픈과 네 자리 숫자가 추가된다. 이 숫자들은 건물의 한쪽 면, 아파트 단지, 대형 사무실 건물의 여러 층과 같이 특정 배달 경로를 나타낸다. ZIP+4를 사용하면 미국 우정청(USPS) 내에서 정확도가 높아지고, 주소 중복이 줄어들며, 분류 효율이 향상되지만, 선택 사항이며 일반 대중이 널리 사용하지는 않는다. 주로 기업 우편 발송인이 사용한다.

자동 우편 발송기를 사용하는 대량 우편 발송 기업을 위해 USPS는 인텔리전트 메일 바코드 표준을 제정했는데, 이는 ZIP+4 코드와 두 자리 배달 지점을 포함하는 바코드이다. 이 11자리 숫자는 이론적으로 전국의 모든 주소에 대한 고유 식별자이다.

3. 4. 영국

영국은 영문자와 숫자를 조합한 5~7자리 우편번호를 사용한다.[30] 우편번호는 공백으로 구분된 두 부분으로 나뉘며, 앞부분(Outward Code)과 뒷부분(Inward Code)으로 구성된다. 앞부분은 다시 우편번호 지역과 우편번호 구역으로, 뒷부분은 우편번호 부문과 우편번호 단위로 나뉜다.[16]

우편번호
Outward CodeInward Code
우편번호 지역우편번호 구역우편번호 부문우편번호 단위
SW1W0NY


  • Outward Code (앞부분)
  • 우편번호 지역: 1~2자의 영문자로 구성된다. (예: 런던의 경우 'SW')
  • 우편번호 구역: 1~2자의 숫자 또는 1자의 숫자와 1자의 영문자로 구성된다. (예: 런던의 경우 '1W')
  • Inward Code (뒷부분)
  • 우편번호 부문: 1자의 숫자로 구성된다. (예: '0')
  • 우편번호 단위: 2자의 영문자로 구성된다. (예: 'NY')


이러한 조합을 통해 영국 내 특정 지역을 세분화하여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런던 빅토리아 역 근처 에버리 스트릿의 우편번호는 'SW1W 0NY'이다.

일반 가정의 경우 하나의 우편번호는 최대 100개의 인접한 주택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주택 번호나 이름과 함께 사용하더라도, 특히 시골 지역에서는 우편번호가 항상 고유하지 않을 수 있다. 대규모 사업체나 외딴 주택은 고유한 우편번호를 가질 수 있으며, 매우 큰 조직은 부서별로 여러 개의 우편번호를 가질 수도 있다.

최초의 우편번호 시스템은 1857년 그레이터 런던에서 시작되었으며,[28] 이후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현재와 같은 통일된 우편번호 시스템은 1959년 노퍽노리치에서 시험 운영을 거쳐 1974년에 전국적으로 보급되었다.[30]

3. 5. 독일

독일에서는 우편번호를 Postleitzahlde(약칭: PLZ)이라고 하며, 전국에 5자리 숫자를 부여하고 있다. 하나의 도시 안에서도 여러 지역으로 나뉘어 있으므로, 도시 지도 검색에도 우편번호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독일에서는 우편물에 우편번호를 정확하게 기재하지 않은 경우, 주소가 정확하더라도 배달될지 여부는 보장할 수 없다. 독일 우편번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en:Postal codes in Germany를, 목록은 독일의 우편번호 목록을 참조.

독일. 우편번호 상위 2자리

3. 6. 캐나다

캐나다는 6자리(3+3) 영숫자 조합 형식의 우편번호를 사용한다. A1A 1A1과 같이 3자리+3자리로 구성된 6자리 영숫자 코드이다. 앞 3자리는 일본의 우편번호 앞 3자리와 유사한 의미를 지닌다. 캐나다의 기계식 우편물 처리기에는 우체국 명칭이 표시되지 않고 우편번호만 표기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캐나다 우편번호 목록을 참조하면 된다.

3. 7.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는 주 혹은 준주를 나타내는 한 자리 숫자와 발송용 번호 3자리를 조합한 4자리 숫자 형식의 우편번호를 사용한다.

3. 8. 기타 국가


  • '''CAP''': 이탈리아 표준 용어로, codice di avviamento postaleit('우편 배달 코드')의 약자이다.
  • '''CEP''': 브라질 표준 용어로, código de endereçamento postalpt('우편 주소 코드')의 약자이다.
  • '''Eircode''': 아일랜드 표준 용어이다.
  • '''NPA''': 프랑스어 사용 스위스(numéro postal d'acheminement프랑스어)와 이탈리아어 사용 스위스(numero postale di avviamentoit)에서 사용된다.
  • '''PIN''': 인도 표준 용어로, Postal Index Number(우편 지수 번호)의 약자이며 PIN 코드라고도 한다.
  • '''PLZ''': 독일, 오스트리아, 독일어 사용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표준 용어로, Postleit‌zahlde('우편 번호')의 약자이다.
  • '''우편번호''': 캐나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 '''Postcode''': 많은 영어권 국가에서 널리 사용되며 네덜란드 표준 용어이기도 하다.
  • '''우편 지수''': 벨라루스, 몰도바,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동유럽 국가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 '''PSČ''': 슬로바키아와 체코 표준 용어로, Poštové smerovacie číslosk 또는 Poštovní směrovací číslocs의 약자이며, 모두 '우편 번호'를 의미한다.
  • '''ZIP 코드''': 미국과 필리핀 표준 용어로, ''Zone Improvement Plan''(구역 개선 계획)의 약자이다.


프랑스 해외 레지옹 및 해외 영토는 5자리 프랑스 우편번호 체계를 사용하며, 각 우편번호는 3자리 레지옹 식별 번호로 시작한다. 모나코 또한 프랑스 시스템에 통합되어 있으며 자체 시스템은 없다.

영국 왕관령인 건지, 저지, 맨섬은 영국 우편번호 시스템의 일부이다. 이들은 AAN NAA 및 AANN NAA 체계를 사용하며, 처음 두 글자는 고유 코드(각각 GY, JE, IM)이다. 대부분의 해외 영토는 영국식 우편번호를 사용하며, 각 영토 또는 속령마다 단일 우편번호가 있지만, 여전히 영국 왕립우편청에서는 국제 목적지로 취급하며 영국 국내 요금이 아닌 국제 요금이 부과된다. 앵귈라, 버뮤다,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케이맨 제도는 자체 별도 시스템과 형식을 가지고 있다.

팔라우, 마셜 제도, 미크로네시아 연방은 독립 국가가 된 후에도 여전히 미국 우편번호 시스템의 일부이다.

산마리노바티칸 시국이탈리아 우편번호 시스템의 일부이며, 리히텐슈타인스위스 시스템을 사용한다. 캄피오네 디탈리아(이탈리아의 외딴 지역)와 뷔징엔 암 호흐라인(독일의 외딴 지역)도 마찬가지이며, 각각 자국 우편번호 시스템에도 속한다.

체코슬로바키아는 여전히 전 체코슬로바키아 우편번호를 사용하며, 그 범위는 겹치지 않는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슬로바키아는 시스템 개혁을 준비했지만 계획은 연기되었고 아마도 폐기되었을 것이다. 체코에서는 시스템을 수정하려는 상당한 노력이 없었다.

4. 우편번호의 구성 및 형식

우편번호는 전국적으로 통일된 코드 체계를 사용하지만, 국가마다 고유한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일본처럼 숫자로만 구성되기도 하고, 영국처럼 알파벳과 숫자를 조합하여 구성되기도 한다.[10]

4. 1. 문자 집합

대부분의 국가에서 우편번호는 아라비아 숫자(0~9)를 사용하며, 일부 국가는 ISO 기본 라틴 알파벳 문자를 함께 사용한다.

네덜란드의 우편번호는 원래 기술적인 이유로 'F', 'I', 'O', 'Q', 'U', 'Y'는 사용하지 않았지만, 2005년부터 새로운 지역에는 이러한 문자를 허용했다. 다만, "SS"(Schutzstaffelde), "SD"(Sicherheitsdienstde), "SA"(Sturmabteilungde)와 같은 문자 조합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점령과의 연관성 때문에 사용되지 않는다.

캐나다 우편번호는 자동 분류에 사용되는 광학 문자 판독(OCR) 장비가 다른 문자와 숫자와 쉽게 혼동할 수 있기 때문에 D, F, I, O, Q, U 문자를 포함하지 않는다. W와 Z는 사용되지만 현재는 첫 번째 문자로 사용되지 않는다.[10]

아일랜드에서는 Eircode 시스템이 A, C, D, E, F, H, K, N, P, R, T, V, W, X, Y 문자만 사용한다. 이는 OCR에서의 혼동을 피하고, Eircode의 마지막 네 글자가 임의적이기 때문에 우연한 이중적 의미(말장난)를 피하기 위해서이다.

인도에서는 우편번호를 우편번호(PIN)(Postal Index Number, PIN)라고 한다(때때로 PIN 코드라고도 함). PIN 시스템은 1972년 8월 15일 인도우체국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인도 내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고유한 6자리 코드를 지리적 번호로 사용한다. PIN의 형식은 ZSDPPP로 정의되며, 첫 번째 숫자는 총 9개 구역(8개 지역 구역과 1개 기능 구역)을 나타낸다.

우편번호는 전국적으로 통일된 코드 체계가 사용되지만, 코드 체계는 국가마다 독자적이다. 일본처럼 숫자로만 구성되는 체계도 있고, 영국처럼 알파벳과 숫자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체계도 있다.

4. 1. 1. 영숫자 우편번호

영숫자 우편번호는 숫자와 문자를 모두 사용하여 구성되며, 같은 자릿수로 더 많은 지역을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두 자릿수 숫자 코드는 100개의 지역을 나타낼 수 있지만, 숫자 10개와 문자 20개를 사용하는 두 글자 영숫자 코드는 900개의 지역을 나타낼 수 있다.

영숫자 우편번호 시스템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국가는 다음과 같다.

캐나다의 우편번호는 A9A 9A9[10] 형식으로, 문자-숫자-문자-공백-숫자-문자-숫자 순서로 구성된다. 자동 분류에 사용되는 광학 문자 판독(OCR) 장비가 다른 문자와 혼동할 수 있기 때문에 D, F, I, O, Q, U 문자는 사용하지 않는다.

네덜란드의 우편번호는 NNNN AA 형식으로, 숫자-숫자-숫자-숫자-공백-문자-문자 순서로 구성된다. 원래 F, I, O, Q, U, Y 문자는 사용하지 않았으나, 2005년부터 새로운 지역에는 이러한 문자를 허용하고 있다. 다만, 나치 독일 점령 시기와의 연관성 때문에 "SS", "SD", "SA"와 같은 문자 조합은 사용하지 않는다.

아일랜드에서는 2015년에 Eircode라는 새로운 우편번호 시스템을 도입했다. 각 주소마다 고유한 7자리 영숫자 코드를 부여하며, 처음 세 자리는 우편 지역을 나타내는 라우팅 키이고, 마지막 네 자리는 개별 주소를 나타내는 고유 식별자이다.

4. 2. 국가 코드 접두사

유럽표준화위원회와 만국우편연합은 1994년부터 ISO 3166-1 alpha-2 국가 코드를 우편번호와 함께 사용하도록 권장했지만,[12]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다. 안도라, 아제르바이잔, 바베이도스, 에콰도르, 라트비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은 우편번호에 ISO 3166-1 alpha-2를 접두사로 사용한다.

일부 국가(예: 4자리 또는 5자리 숫자 우편번호 형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럽 대륙)에서는 해당 국가로 국제 우편물을 보낼 때 숫자 우편번호 앞에 국가 코드를 접두사로 붙이는 경우가 있다.

4. 3. 코드 배치

대부분의 영어권 국가에서는 우편 번호가 도시 또는 마을 이름 뒤에 위치하며, 주소의 마지막 항목을 구성한다. 반면, 유럽 대륙 국가의 대부분에서는 우편 번호가 도시 또는 마을 이름 앞에 온다. 우편 번호가 도시 이름 뒤에 올 경우, 같은 줄에 있거나 새 줄에 있을 수 있다.

벨라루스, 키르기스스탄, 러시아, 투르크메니스탄에서는 주소의 시작 부분에 우편 번호를 작성한다. 일본에서는 일본어로 작성할 경우 주소의 시작 부분에, 라틴 알파벳으로 작성할 경우 끝 부분에 우편 번호를 작성한다.

5. 지리적 적용 범위

우편번호는 일반적으로 특정 지리적 영역에 할당된다. 하지만 정부 기관이나 대규모 상업 회사처럼 많은 양의 우편물을 받는 곳은 개별 주소나 기관에 고유한 코드가 할당되기도 한다. 프랑스의 세덱스 시스템이 이러한 예이다.

5. 1. 행정 구역과의 관계

프랑스에서는 코르시카의 두 행정구역(2A 및 2B 코드)이 우편번호로 20을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행정구역의 숫자 코드가 우편번호의 앞 두 자리로 사용된다. 코드는 우편 배달을 담당하는 행정구역의 코드이므로, 한 행정구역 내의 위치가 인접 행정구역의 번호로 시작하는 우편번호를 가질 수 있다.

미국의 우편번호 첫 번째 자릿수는 개별 주를 나타낸다. 처음 세 자릿수로 주를 추정할 수 있지만, 인접 주의 중앙 우체국이 관할하는 지역처럼 예외가 몇 가지 있다.[1]

캐나다 우편에서는 첫 번째 문자가 주 또는 준주를 나타낸다. 다만 퀘벡주와 온타리오주는 여러 개의 문자로 된 하위 지역으로 나뉘며(예: 몬트리올라발은 H), 노스웨스트 준주누나부트 준주는 X를 공유한다.[2]

독일의 우편번호 앞 두 자리는 행정 구역과는 무관하게 지역을 정의한다. 첫 번째 자릿수의 부호 공간은 0~9까지 모두 사용되며, 앞 두 자릿수를 조합한 경우 89%가 사용된다. 즉, 89개의 우편 지역이 정의되어 있다. 11번 지역은 지리적으로 특정 지역과 연결되지 않는다.[3]

영국 우편 서비스인 로열 메일은 효율적인 배송을 위해 영국의 우편번호를 설계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특정 지역과 우편번호를 연관시켜 특정 우편번호를 선호하거나 꺼리는 경우가 생겼다. 우편번호 복권을 참조.[4]

브라질의 8자리 우편번호는 5자리 지역 우편번호의 발전된 형태이다. 1990년대 브라질의 5자리 우편번호(DDDDD)에 3자리 접미사(DDDDD-SSS)가 추가되었지만, 이 접미사는 행정 구역 계층 구조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이 접미사는 오로지 물류적인 이유로 만들어졌다.[5]

도로로 둘러싸인 도시 블록들, 서로 다른 8자리 우편번호(접미사 001~899)를 가진 도로들


도시 블록의 면과 내부로의 확장. 각 색상은 일반적으로 도로의 한쪽(홀수 또는 짝수 번호)에 할당된 8자리 우편번호


도시 블록의 면과 도시 블록 사이의 확장. 같은 색상(다각형)은 같은 우편번호를 나타냄


특수한 경우에는 우편번호를 개별 토지에 할당할 수 있다. 브라질에서는 이를 "대형 수취인"이라고 하며 900~959의 접미사를 받는다. 우편번호를 전체 토지 면적과 연관짓는 것은 오류이다(그림 참조). 우편번호는 종종 토지와 관련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도로의 접근 지점과 관련이 있다. 중소형 주택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정문만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배달 지점이다. 공원, 쇼핑센터와 같은 대형 사업장 및 대형 주택은 여러 개의 출입구와 배달 지점을 가질 수 있다.[6]

5. 2. 정밀도

국가별로 우편번호의 정밀도는 다양하다. 싱가포르에서는 6자리 번호를 사용하는데, 처음 3자리는 거리나 작은 지역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우편번호는 건물이나 분양 주택을 특정한다. 1995년 9월 1일부터 싱가포르의 모든 건물에는 고유한 6자리 우편번호가 부여되었다.[6]

영국의 경우, 하나의 우편번호는 인접한 최대 100개의 주택을 포함할 수 있다. 주택 번호 또는 이름과 함께 사용되는 우편번호는 특히 시골 지역에서는 항상 고유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GL20 8NX/1은 약 400미터 떨어진 1 Frampton Cottages 또는 1 Frampton Farm Cottages를 모두 가리킬 수 있다.

6. 비우편 용도

우편번호는 우편물 배달을 신속하게 하기 위해 도입되었지만, 다음과 같은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 가장 가까운 지점 찾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대상 주소와 지점의 우편번호를 사용하여 거리 순으로 가장 가까운 지점을 나열한다. 이는 기업이 잠재 고객에게 방문할 곳을 알려주거나, 고용센터가 구직자를 위한 일자리를 찾거나, 지역 주민에게 도시계획 신청을 알리는 등 기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26]
  • 세분화된 우편번호: 위성항법장치 시스템에서 도로 번호와 우편번호를 사용하여 주소로 이동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 지리적 영업 지역: 제약 업계의 담당자는 우편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업무량 지수에 따라 영업 지역이 할당된다.
  • 인구 통계 분석: 인구 데이터는 통계 분석을 위해 우편번호별로 분리, 그룹화 및/또는 정리될 수 있다.

참조

[1] 논문 General Addressing Issues https://www.upu.int/[...] Universal Postal Union 2021-08-03
[2] 논문 Advertisement for machine tools, 1920 https://books.google[...]
[3] 논문 Advertisement for a drill press, 1920 https://books.google[...]
[4] 웹사이트 The First Postal (ZIP) Code in the World http://www.upns.org/[...] Ukrainian Philatelic and Numismatic Society 2009-04-20
[5]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postcode http://www.deutschep[...]
[6] 웹사이트 Six-digit postal code system http://eresources.nl[...] National Library Board 2016-07-13
[7] 웹사이트 ZIP (Zone Improvement Plan) Code http://glossary.ippa[...] International Paper Company
[8] 웹사이트 Company History: Schweizerische Post-Telefon-und-Telegrafen-Betriebe http://www.fundingun[...] Funding Universe
[9] 뉴스 A short history of the postcode https://www.independ[...]
[10] 웹사이트 GreatData.com (a licensee of Canada Post data) http://greatdata.com
[11] 웹사이트 Post Code Project Suspended Indefinitely http://www.jamaicapo[...] 2007-02-12
[12] 웹사이트 Frank's Compulsive Guide to Postal Addresses http://www.columbia.[...] Columbia University 2008-05-17
[13] 웹사이트 Declara oficial para efectos administrativos, la aprobación de la División Territorial Administrativa de la República N°41548-MGP http://www.pgrweb.go[...] 2019-03-19
[14] 서적 División Territorial Administrativa de la República de Costa Rica https://www.imprenta[...] Editorial Digital de la Imprenta Nacional 2017-03-08
[15] 웹사이트 Posta Kodum Ne http://www.postakodu[...]
[16] 웹사이트 BS7666 Address http://www.cabinetof[...] UK National Archives 2009-10-02
[17] 뉴스 40 facts about the postcode to mark 40th anniversary as vital part of daily life https://www.mirror.c[...] 2014-08-26
[18] 웹사이트 VAT: insolvency https://www.gov.uk/g[...]
[19] 뉴스 Who answers all the letters sent to Father Christmas? https://www.telegrap[...] 2013-12-05
[20] 뉴스 Santa: 'I'm not a Superman, but I do exist' http://news.bbc.co.u[...] 2002-12-11
[21] 웹사이트 Welcome to the Santa Claus´ Main Post Office https://my.posti.fi/[...]
[22] 서적 Not For Parents Travel Book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Publications 2012-11-01
[23] 웹사이트 Over one million children write letters to Santa http://www.canadapos[...] 2007-01-27
[24] 웹사이트 Ook dit jaar, helpt bpost de Sint http://www.bpost.be/[...] bpost
[25] 웹사이트 Cette année également, bpost apporte son aide à Saint-Nicolas http://www.bpost.be/[...] bpost
[26] 뉴스 Guardian newspaper article on postcodes https://www.theguard[...]
[27] 문서 Oxford Dictionaries 「A group of numbers or letters and numbers that are added to a postal address to assist the sorting of mail.」
[28] 웹사이트 The First Postal (ZIP) Code in the World http://www.upns.org/[...] Ukrainian Philatelic and Numismatic Society 2009-04-20
[29]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postcode http://www.deutschep[...] Deutsche Post
[30] 뉴스 A short history of the postcode http://www.independe[...] The Independent
[31] 웹사이트 ZIP (Zone Improvement Plan) Code http://glossary.ippa[...] International Paper Company
[32] 웹사이트 Company History: Schweizerische Post-Telefon-und-Telegrafen-Betriebe http://www.fundingun[...] Funding Univer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