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편집중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편집중국은 우편물 처리 및 운송 관리를 주요 업무로 수행하는 시설이다. 대한민국에는 23개의 우편집중국이 운영되고 있으며, 각 우편집중국은 특정 지역의 우편물을 담당한다. 우편물의 발송 및 도착지 구분, 운송 용기 관리 등을 수행하며, 수도권, 강원, 충청, 전라, 경상 지역 등에 위치해 있다.
우편집중국은 다음과 같은 주요 업무를 수행한다.
대한민국에는 23개의 우편집중국이 운영되고 있으며, 각 우편집중국은 특정 지역의 우편물을 담당한다.
2. 우편집중국의 역할 및 기능
== 우편물 처리 ==
우편집중국은 관할 지역 내에서 접수된 우편물을 발송지를 기준으로 구분하고, 배달된 우편물의 도착지를 기준으로 구분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우편물 운송의 거점으로서 운송 용기의 수급 및 관리를 담당한다.
== 운송 관리 ==
우편집중국은 관할 내에서 접수된 우편물을 발송국별로 구분하고, 배달된 우편물을 도착국별로 구분한다. 또한 우편물 운송의 중간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운송용기의 수급을 관리한다.
2. 1. 우편물 처리
우편집중국은 관할 지역 내에서 접수된 우편물을 발송지를 기준으로 구분하고, 배달된 우편물의 도착지를 기준으로 구분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우편물 운송의 거점으로서 운송 용기의 수급 및 관리를 담당한다.
2. 2. 운송 관리
우편집중국은 관할 내에서 접수된 우편물을 발송국별로 구분하고, 배달된 우편물을 도착국별로 구분한다. 또한 우편물 운송의 중간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운송용기의 수급을 관리한다.
3. 대한민국의 우편집중국 목록
=== 수도권 지역 ===
동서울우편집중국(011)은 1996년 3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일일 최대 900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중구(100), 종로구(110), 동대문구(130), 강동구(134), 강남구(135), 송파구(138), 용산구(140), 하남시(465), 양평군(476), 가평군(477), 남양주시(472)이다.
수원우편집중국(040)은 1999년 10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일일 최대 75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수원시(440~443), 화성시(445), 오산시(447), 평택시(450~451, 459), 안성시(456)이다.
부천우편집중국(041)은 2001년 4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일일 최대 250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영등포구(150), 강서구(157), 양천구(158), 인천광역시(400~407, 409, 417), 김포시(415), 부천시(420~422), 시흥시(429)이다.
의정부우편집중국(042)은 2002년 7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일일 최대 300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도봉구(132), 성북구(136), 노원구(139), 강북구(142), 철원군(269), 구리시(471), 남양주시(472), 양평군(476), 가평군(477), 양주시(482), 동두천시(483), 연천군(486), 포천시(487)이다.
고양우편집중국(043)은 2002년 7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일일 최대 225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서대문구(120), 마포구(121), 은평구(122), 고양시(410~412), 파주시(413)이다.
성남우편집중국(044)은 2002년 7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일일 최대 225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용인시(446, 448~449), 성남시(461~463), 광주시(464), 이천시(467)이다.
안양우편집중국(045)은 2002년 7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일일 최대 225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관악구(151), 동작구(156), 구로구(152), 금천구(153), 광명시(423), 안산시(425~426), 안양시 (430~431), 과천시(427), 군포시(435), 의왕시(437)이다.
=== 강원 지역 ===
원주우편집중국(020)은 2000년 5월에 운영을 시작하여 하루 최대 75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춘천시(200), 화천군(209), 원주시(220), 횡성군(225), 영월군(230), 평창군(232), 정선군(233), 태백시(235), 홍천군(250), 인제군(252), 양구군(255), 제천시(390), 단양군(395), 여주시(469)이다.
강릉우편집중국(021)은 2002년 7월에 운영을 시작하여 하루 최대 50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강릉시(210), 양양군(215), 속초시(217), 고성군(219), 동해시(240), 삼척시(245)이다.
=== 충청 지역 ===
대전우편집중국(030)은 1999년 10월에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대전광역시와 금산군, 공주시, 논산시, 계룡시,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 보령시, 영동군, 옥천군, 무주군 지역을 관할한다. 하루 최대 125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청주우편집중국(031)은 1999년 10월에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세종특별자치시, 청주시, 진천군, 괴산군, 증평군, 음성군, 보은군, 충주시 지역을 관할한다. 하루 최대 75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천안우편집중국(032)은 2002년 9월에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천안시, 아산시, 예산군, 당진시, 홍성군, 서산시, 태안군 지역을 관할한다. 하루 최대 50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 전라 지역 ===
광주우편집중국(050)은 1999년 10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일일 최대 125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광주광역시(500~503, 506), 영광군(513), 장성군(515), 곡성군(516), 담양군(517), 화순군(519), 나주시(520), 함평군(525), 구례군(542)이다.
전주우편집중국(051)은 2000년 10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일일 최대 75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전주시(560~561), 완주군(565), 임실군(566), 진안군(567), 익산시(570), 군산시(573), 김제시(576), 부안군(579), 정읍시(580), 고창군(585), 남원시(590), 순창군(595), 장수군(597)이다.
제주우편집중국(052)은 2000년 5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일일 최대 35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제주시(690), 서귀포시(697)이다.
순천(053)은 2002년 9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일일 최대 50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순천시(540), 광양시(545), 보성군(546), 고흥군(548), 여수시(550, 555~556)이다.
영암(054)은 2007년 8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일일 최대 50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목포시(530), 무안군(534), 신안군(535), 해남군(536), 완도군(537), 진도군(539), 영암군(526), 강진군(527), 장흥군(529)이다.
=== 경상 지역 ===
부산우편집중국(060)은 2000년 8월에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부산광역시(600~602, 604, 606~609, 611, 613~614, 616~618), 김해시(621), 밀양시(627)를 관할한다. 하루 최대 250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울산우편집중국(063)은 2007년 8월에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울산광역시(680~683, 689), 양산시(626), 부산 해운대구(612), 기장군(619)을 관할한다. 하루 최대 75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창원우편집중국(061)은 2002년 7월에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창원시(630~631, 641, 645), 창녕군(635), 함안군(637), 고성군(638), 통영시(650), 거제시(656)를 관할한다. 하루 최대 125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진주우편집중국(062)은 2002년 7월에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의령군(636), 진주시(660), 사천시(664), 산청군(666), 하동군(667), 남해군(668), 거창군(670), 함양군(676), 합천군(678)을 관할한다. 하루 최대 50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대구우편집중국(070)은 1999년 12월에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대구광역시(700~706, 711), 경산시(712), 청도군(714), 군위군(716), 고령군(717), 칠곡군(718), 성주군(719), 구미시(730), 김천시(740)를 관할한다. 하루 최대 250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안동우편집중국(071)은 2002년 7월에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상주시(742), 문경시(745), 영주시(750), 봉화군(755), 예천군(757), 안동시(760), 청송군(763), 영양군(764), 의성군(769)을 관할한다. 하루 최대 50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포항우편집중국(072)은 2007년 8월에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경주시(780), 포항시(790~791), 영덕군(766), 울진군(767), 울릉군(799), 영천시(770)를 관할한다. 하루 최대 80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 기타 시설 ===
중부권광역우편물류센터, 국제우편물류센터(800), 부산국제우체국(801)은 국제 우편을 담당하고 있다. 동서울우편물류센터(012)는 2006년 7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서초구(137), 중랑구(131), 광진구(143)의 우편을 담당한다. 그 외에도 서서울우편물류센터, 부천우편물류센터, 안양우편물류센터 등이 있다.
3. 1. 수도권 지역
동서울우편집중국(011)은 1996년 3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일일 최대 900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중구(100), 종로구(110), 동대문구(130), 강동구(134), 강남구(135), 송파구(138), 용산구(140), 하남시(465), 양평군(476), 가평군(477), 남양주시(472)이다.
수원우편집중국(040)은 1999년 10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일일 최대 75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수원시(440~443), 화성시(445), 오산시(447), 평택시(450~451, 459), 안성시(456)이다.
부천우편집중국(041)은 2001년 4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일일 최대 250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영등포구(150), 강서구(157), 양천구(158), 인천광역시(400~407, 409, 417), 김포시(415), 부천시(420~422), 시흥시(429)이다.
의정부우편집중국(042)은 2002년 7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일일 최대 300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도봉구(132), 성북구(136), 노원구(139), 강북구(142), 철원군(269), 구리시(471), 남양주시(472), 양평군(476), 가평군(477), 양주시(482), 동두천시(483), 연천군(486), 포천시(487)이다.
고양우편집중국(043)은 2002년 7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일일 최대 225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서대문구(120), 마포구(121), 은평구(122), 고양시(410~412), 파주시(413)이다.
성남우편집중국(044)은 2002년 7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일일 최대 225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용인시(446, 448~449), 성남시(461~463), 광주시(464), 이천시(467)이다.
안양우편집중국(045)은 2002년 7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일일 최대 225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관악구(151), 동작구(156), 구로구(152), 금천구(153), 광명시(423), 안산시(425~426), 안양시 (430~431), 과천시(427), 군포시(435), 의왕시(437)이다.
3. 2. 강원 지역
원주우편집중국(020)은 2000년 5월에 운영을 시작하여 하루 최대 75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춘천시(200), 화천군(209), 원주시(220), 횡성군(225), 영월군(230), 평창군(232), 정선군(233), 태백시(235), 홍천군(250), 인제군(252), 양구군(255), 제천시(390), 단양군(395), 여주시(469)이다.
강릉우편집중국(021)은 2002년 7월에 운영을 시작하여 하루 최대 50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강릉시(210), 양양군(215), 속초시(217), 고성군(219), 동해시(240), 삼척시(245)이다.
3. 3. 충청 지역
대전우편집중국(030)은 1999년 10월에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대전광역시와 금산군, 공주시, 논산시, 계룡시,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 보령시, 영동군, 옥천군, 무주군 지역을 관할한다. 하루 최대 125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청주우편집중국(031)은 1999년 10월에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세종특별자치시, 청주시, 진천군, 괴산군, 증평군, 음성군, 보은군, 충주시 지역을 관할한다. 하루 최대 75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천안우편집중국(032)은 2002년 9월에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천안시, 아산시, 예산군, 당진시, 홍성군, 서산시, 태안군 지역을 관할한다. 하루 최대 50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3. 4. 전라 지역
광주우편집중국(050)은 1999년 10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일일 최대 125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광주광역시(500~503, 506), 영광군(513), 장성군(515), 곡성군(516), 담양군(517), 화순군(519), 나주시(520), 함평군(525), 구례군(542)이다.
전주우편집중국(051)은 2000년 10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일일 최대 75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전주시(560~561), 완주군(565), 임실군(566), 진안군(567), 익산시(570), 군산시(573), 김제시(576), 부안군(579), 정읍시(580), 고창군(585), 남원시(590), 순창군(595), 장수군(597)이다.
제주우편집중국(052)은 2000년 5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일일 최대 35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제주시(690), 서귀포시(697)이다.
순천(053)은 2002년 9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일일 최대 50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순천시(540), 광양시(545), 보성군(546), 고흥군(548), 여수시(550, 555~556)이다.
영암(054)은 2007년 8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일일 최대 50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관할 지역은 목포시(530), 무안군(534), 신안군(535), 해남군(536), 완도군(537), 진도군(539), 영암군(526), 강진군(527), 장흥군(529)이다.
3. 5. 경상 지역
부산우편집중국(060)은 2000년 8월에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부산광역시(600~602, 604, 606~609, 611, 613~614, 616~618), 김해시(621), 밀양시(627)를 관할한다. 하루 최대 250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울산우편집중국(063)은 2007년 8월에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울산광역시(680~683, 689), 양산시(626), 부산 해운대구(612), 기장군(619)을 관할한다. 하루 최대 75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창원우편집중국(061)은 2002년 7월에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창원시(630~631, 641, 645), 창녕군(635), 함안군(637), 고성군(638), 통영시(650), 거제시(656)를 관할한다. 하루 최대 125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진주우편집중국(062)은 2002년 7월에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의령군(636), 진주시(660), 사천시(664), 산청군(666), 하동군(667), 남해군(668), 거창군(670), 함양군(676), 합천군(678)을 관할한다. 하루 최대 50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대구우편집중국(070)은 1999년 12월에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대구광역시(700~706, 711), 경산시(712), 청도군(714), 군위군(716), 고령군(717), 칠곡군(718), 성주군(719), 구미시(730), 김천시(740)를 관할한다. 하루 최대 250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안동우편집중국(071)은 2002년 7월에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상주시(742), 문경시(745), 영주시(750), 봉화군(755), 예천군(757), 안동시(760), 청송군(763), 영양군(764), 의성군(769)을 관할한다. 하루 최대 50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포항우편집중국(072)은 2007년 8월에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경주시(780), 포항시(790~791), 영덕군(766), 울진군(767), 울릉군(799), 영천시(770)를 관할한다. 하루 최대 80만 통의 우편물을 처리할 수 있다.
3. 6. 기타 시설
중부권광역우편물류센터, 국제우편물류센터(800), 부산국제우체국(801)은 국제 우편을 담당하고 있다. 동서울우편물류센터(012)는 2006년 7월에 운영을 시작했으며 서초구(137), 중랑구(131), 광진구(143)의 우편을 담당한다. 그 외에도 서서울우편물류센터, 부천우편물류센터, 안양우편물류센터 등이 있다.
4. 추가 정보
4. 1. 각주
4. 2. 외부 링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