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광역시의 기념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산광역시의 기념물은 선사 시대 유적으로 지석묘와 패총이 있으며, 역사 시대 유적으로 고분, 봉수대, 성곽, 종교 유적, 기타 유적이 있다. 일제 강점기 및 근현대 유적은 추가 조사를 통해 보강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광역시의 문화유산 - 울산광역시의 무형문화재
울산광역시의 무형문화재는 시가 지정한 다양한 종목의 문화재 목록, 상세 정보, 지정 현황 등을 담고 있으며, 울산쇠부리소리, 울산마두희, 판각장 등이 포함되어 있고, 시는 보존과 전승을 위해 교육 프로그램 및 보존 단체를 지원한다. - 울산광역시의 문화유산 - 울산광역시의 문화유산자료
울산광역시의 문화유산자료는 건축물, 서적, 유물, 화석 등 다양한 형태의 문화재를 포괄하며, 국가지정 및 시도지정 문화유산으로 관리되고, 울산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대한민국의 시도기념물 -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부산광역시의 기념물은 시가 지정한 문화재로, 선사시대 유적부터 근대 건축물 및 자연 유산까지 다양한 유산을 포괄하며, 부산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기념물 - 충청북도의 기념물
충청북도의 기념물은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있는 도내 문화재로서 사당, 묘소, 유적지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현재 151개가 지정되어 있고, 일부는 지정 해제되기도 했다.
울산광역시의 기념물 | |
---|---|
울산광역시 기념물 | |
종류 | |
유형 | 유적건조물 |
지정 정보 | |
지정 번호 | 울산광역시 기념물 |
지정 일자 |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1호 ~ 제35호 (1997년 12월 31일)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36호 ~ 제40호 (2014년 10월 9일)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41호 ~ 제42호 (2015년 9월 3일)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43호 (2016년 6월 9일)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44호 (2017년 8월 3일)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45호 (2018년 7월 5일)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46호 (2019년 5월 2일)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47호 (2019년 12월 5일)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48호 (2020년 4월 9일)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49호 (2020년 7월 2일)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50호 (2021년 4월 8일)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51호 (2021년 7월 8일)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52호 (2021년 11월 4일)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53호 (2022년 5월 19일)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54호 (2022년 9월 29일)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55호 (2023년 5월 11일)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56호 (2023년 9월 7일) |
2. 선사 시대 유적
울산광역시 지역의 선사 시대 유적은 주로 청동기 시대의 지석묘와 신석기 시대 이후 형성된 패총으로 대표된다. 이 외에도 선사 시대 바위 그림 신앙 유적인 방기리알바위 등이 울산광역시의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2. 1. 지석묘
지석묘는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이다. 울산광역시에는 다음과 같은 지석묘가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번호 | 명칭 | 사진 | 소재지 | 지정일 |
---|---|---|---|---|
2호 | 언양지석묘 (彦陽支石墓) | ![]() | 울산 울주군 언양읍 서부리 234-6 | 1997년 10월 9일 |
21호 | 은편리지석묘군 (銀片里支石墓群) | 울산 울주군 두동면 은편리 923외 1필지 | 1998년 10월 19일 | |
22호 | 향산리지석묘 (香山里支石墓) | 울산 울주군 상북면 향산리 286 | 1998년 10월 19일 | |
23호 | 지내리지석묘 (池內里支石墓) | 울산 울주군 상북면 지내리 22 | 1998년 10월 19일 | |
26호 | 인보리지석묘군 (仁甫里支石墓群) | 울산 울주군 두서면 인보리 산37 | 2000년 11월 9일 | |
27호 | 반곡리지석묘군 (盤谷里支石墓群) | 울산 울주군 언양읍 반곡리 633, 658 | 2000년 11월 9일 | |
28호 | 복안리지석묘 (伏安里支石墓) | 울산 울주군 두서면 복안리 717 | 2000년 11월 9일 | |
29호 | 만화리지석묘 (萬和里支石墓) | 울산 울주군 두동면 만화리 412 | 2000년 11월 9일 | |
30호 | 상안동지석묘 (常安洞支石墓) | ![]() | 울산 북구 상안동 223-1번지 일원[3] | 2000년 11월 9일 |
31호 | 창평동지석묘군 (倉坪洞支石墓群) | 울산 북구 창평동 167, 산45-2 | 2000년 11월 9일 | |
32호 | 검단리지석묘군 (檢丹里支石墓群) | 울산 울주군 웅촌면 검단리 88일원 | 2000년 11월 9일 |
2. 2. 패총
패총(貝塚)은 선사 시대 사람들이 먹고 버린 조개껍데기나 생활 쓰레기가 쌓여 만들어진 유적으로, 당시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울산광역시에는 다음과 같은 패총이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3. 역사 시대 유적
울산 지역에는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역사 시대 유적이 남아 있다. 이러한 유적들은 당시 울산의 정치, 사회, 문화, 군사적 상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대표적인 역사 시대 유적으로는 삼국 시대 지배층의 무덤인 고분, 군사 통신 시설이었던 봉수대, 방어 시설인 성곽, 불교 사찰 터인 간월사지, 율리영축사지, 운흥사지와 같은 절터, 그리고 동학 창시자 최제우 관련 유적인 수운최제우유허지 등이 있다. 또한, 신라의 충신 박제상 관련 유적, 고려 시대 명장 김취려의 묘, 조선 시대의 제철 유적인 달천철장과 대안동쇠부리터, 생활 유적 등 다양한 종류의 유적이 울산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각 유적 유형별 상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고분
울산광역시 내에는 삼국 시대 지배층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여러 고분 유적이 울산광역시의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이러한 고분들은 당시 울산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대표적인 고분 유적은 다음과 같다.번호 | 명칭 | 소재지 | 관리자(단체) | 지정일 |
---|---|---|---|---|
9호 | 중산동고분군 (中山洞古墳群) | 울산 북구 중산동 616-1 일원 | 북구 | 1997년 10월 9일 |
11호 | 다운동고분군 (茶雲洞古墳群) | 울산 중구 다운동 산147 일원 | 중구 | 1997년 10월 9일 |
20호 | 대대리고분 (大垈里古墳) | 울산 울주군 웅촌면 대대리 573외 1필지 | 울주군 | 1998년 10월 19일 |
33호 | 대대리상대고분 (大垈里上垈古墳) | 울산 울주군 웅촌면 대대리 산112일원 | . | 2000년 11월 9일 |
이 고분 유적들은 체계적인 관리와 연구를 통해 그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고 후대에 전승해야 할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3. 2. 봉수대
wikitext번호 | 사진 | 명칭 | 소재지 | 관리자 | 지정일 |
---|---|---|---|---|---|
3호 | ![]() | 주전봉수대 | 울산 동구 주전동 산192-2번지 일원 | 동구 | 1997년 10월 9일 |
13호 | ![]() | 우가산 유포봉수대 | 울산 북구 당사동 산171번지 일원[1] | 북구 | 1998년 10월 19일 |
14호 | ![]() | 화정 천내봉수대 | 울산 동구 봉수로 29-2 (화정동) | 동구 | 1998년 10월 19일 |
15호 | ![]() | 서생 이길봉수대 | 울산 울주군 서생면 나사리 산36 | 울주군 | 1998년 10월 19일 |
16호 | ![]() | 언양 부로산봉수대 | 울산 울주군 삼남면 교동리 산90번지 | 울주군 | 1998년 10월 19일 |
36호 | ![]() | 하산봉수대 | 울산 울주군 온산읍 강양리 산66번지 일원 | 울주군 | 2000년 11월 9일 |
3. 3. 성곽
성곽은 외부의 침입을 막기 위해 돌이나 흙 등으로 쌓아 만든 방어 시설을 말한다. 울산광역시의 기념물로 지정된 성곽은 다음과 같다.번호 | 사진 | 명칭 | 소재지 | 관리자 | 지정일 | ||||||||||||||||||||||||||||||||||||||||||||||||||||||||||||||||||||||||||||||||||||||||||||||||||||||||||||||||||||||
---|---|---|---|---|---|---|---|---|---|---|---|---|---|---|---|---|---|---|---|---|---|---|---|---|---|---|---|---|---|---|---|---|---|---|---|---|---|---|---|---|---|---|---|---|---|---|---|---|---|---|---|---|---|---|---|---|---|---|---|---|---|---|---|---|---|---|---|---|---|---|---|---|---|---|---|---|---|---|---|---|---|---|---|---|---|---|---|---|---|---|---|---|---|---|---|---|---|---|---|---|---|---|---|---|---|---|---|---|---|---|---|---|---|---|---|---|---|---|---|---|---|---|---|
6호 | ![]() | 개운포성지 {{lang|ko-Hani|開雲浦城址|} | } || 울산 남구 성암동 81번지 일원 || || 1997년 10월 9일
번호 | 명칭 | 소재지 | 관리자(단체) | 지정일 |
---|---|---|---|---|
5호 | 간월사지 | 울산 울주군 상북면 등억리 512-1 | 울주군 | 1997년 10월 9일 |
12호 | 수운최제우유허지 | 울산 중구 유곡동 639외 | 중구 | 1997년 10월 9일 |
24호 | 율리영축사지 | 울산 울주군 청량면 율리 822외 1필지 | 울주군 | 1998년 10월 19일 |
43호 | 운흥사지 | 울산 울주군 옹촌면 고연리 산175 외 | 울산광역시 울주군 | 2004년 12월 16일 |
3. 5. 기타 유적
wiki번호 | 사진 | 명칭 | 소재지 | 관리자(단체) | 지정일 |
---|---|---|---|---|---|
1호 | 박제상 유적 | 울산 울주군 두동면 만화리 산30-2, 범서면 척과리 산152 | 울주군 | 1997년 10월 9일 | |
4호 | 처용암 | 울산 남구 황성동 668-1 | 남구 | 1997년 10월 9일 | |
7호 | 위열공 김취려 묘 | 울산 울주군 언양읍 송대리 산15 | 언양김씨종친회 | 1997년 10월 9일 | |
8호 | 은현리 적석총 | 울산 울주군 웅촌면 은현리 207-1외 | 울주군 | 1997년 10월 9일 | |
10호 | 방기리 알바위 | 울산 울주군 삼남면 방기리 444-5 | 울주군 | 1997년 10월 9일 | |
12호 | 수운 최제우 유허지 | 울산 중구 유곡동 639외 | 중구 | 1997년 10월 9일 | |
37호 | 삼동 하잠리 요지군 | 울산 울주군 삼동면 하잠리 81일원 | 울주군 | 2000년 11월 9일 | |
38호 | 곽암 | 울산 북구 강동동 판지마을해수면하 | 울산박씨대종회 | 2001년 12월 20일 | |
39호 | 외솔 최현배 선생 생가터 | 울산 중구 동동 613 | 중구 | 2001년 12월 20일 | |
40호 | ![]() | 달천 철장[4] | 울산 북구 달천동 산20-1번지 일원 | 북구 | 2003년 4월 24일 |
41호 | 중산동 취락 유적 | 울산 북구 중산동 656-1 일원 | 북구 | 2003년 4월 24일 | |
42호 | ![]() | 강동 화암 주상절리[5] | 울산 북구 산하동 952-1번지 일원 | 북구 | 2003년 4월 24일 |
44호 | ![]() | 대안동 쇠부리터[6] | 울산 북구 대안동 산177번지 | 울산광역시 북구 | 2006년 1월 26일 |
45호 | 울산 매곡동 생활 유적 | 울산 북구 매곡동 351-10 | 울산광역시 북구 | 2007년 11월 22일 | |
46호 | 울주 교동리 생활 유적 | 울산 울주군 삼남면 교동리 192-37 | 2007년 11월 22일 |
참조
[1]
웹인용
우가산유포봉수대
https://www.bukgu.ul[...]
2022-01-29
[2]
웹인용
유포석보
https://www.bukgu.ul[...]
2022-01-29
[3]
웹인용
상안동 지석묘
https://www.bukgu.ul[...]
2022-01-29
[4]
웹인용
달천철장
https://www.bukgu.ul[...]
2022-01-29
[5]
웹인용
강동화암 주상절리
https://www.bukgu.ul[...]
2022-01-29
[6]
웹인용
강동화암 주상절리
https://www.bukgu.ul[...]
2022-0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