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울산광역시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울산광역시의회는 울산광역시의 입법 및 행정을 감시하고 견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지방 의회이다. 1991년 지방 선거를 통해 울산시의회와 울산군의회가 처음 개원했으며, 1997년 울산광역시 승격에 따라 초대 울산광역시의회가 출범했다. 2022년 6월 1일 제8회 지방 선거를 통해 22명의 의원을 선출했으며, 현재 국민의힘이 다수당을 차지하고 있다. 의장단,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사무처로 구성되어 있으며, 의회운영위원회, 행정자치위원회 등 5개의 상임위원회를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광역시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울산광역시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울산광역시의회 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압승하여 지역구 15석과 비례대표 2석을 포함, 총 17석을 차지하며 자유한국당을 제치고 의회를 장악했다.
  • 울산광역시의 정치 - 울산시·울주군 (1978년 선거구)
    울산시·울주군 선거구는 1973년 동래군 폐지로 울산시·울주군·동래군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1978년부터 1985년까지 존속하다가 울산시 분구 및 울주군 분리로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울산 남구 소재의 관공서 - 울산박물관
    울산박물관은 2011년 6월 22일에 개관하여 다양한 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정기 휴관일과 임시 휴관일을 제외하고 매일 09시부터 18시까지 관람 가능하다.
  • 울산 남구 소재의 관공서 - 울산광역시청
    울산광역시청은 울산광역시의 행정 사무를 총괄하며, 시장을 중심으로 소방본부, 자치경찰위원회 등을 포함한 다양한 실·국 및 부서로 구성되어 있고, 2022년 총예산은 약 4조 4103억 원이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특별시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실·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정보 제공,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교원 평가 및 학생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부산광역시의회
    부산광역시의회는 의장, 부의장,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등을 통해 부산 시정을 심의하고 감독하는 자치입법기관으로, 의회사무처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며, 역대 의장들은 다양한 정당 소속으로 구성되어 왔다.
울산광역시의회 - [의회]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울산광역시의회 휘장
휘장
원어명울산광역시의회
로마자 표기Ulsan Gwang-yeoksi Uihoe
한자 표기蔚山廣域市議會
의회제8대 울산광역시의회
설립일1997년 7월 15일
주소울산광역시 남구 신정동
웹사이트울산광역시의회
의회 구성
의회 종류단원제
의장김기환
소속 정당국민의힘
부의장이성룡
소속 정당국민의힘
부의장강대길
소속 정당국민의힘
의석수22석
임기4년
선거 제도병립형 비례대표제
소선거구제 (19석)
비례대표제 (3석)
최근 선거
최근 선거2022년 6월 1일
의석 분포
울산시의회 8대 의석 분포
울산시의회 8대 의석 분포
정당별 의석수국민의힘 (21석)
더불어민주당 (1석)

2. 연혁


  • 1991년 4월 15일: 초대 울산시의회울산군의회가 개원하였다.[1]
  • 1995년 1월 1일: 울산시와 울산군이 통합됨에 따라 통합 울산시의회가 개원하였다.
  • 1997년 7월 15일: 울산광역시 승격에 따라 초대 울산광역시의회가 개원하였다.[1]
  • 1998년 7월 9일: 제2대 울산광역시의회 전반기가 개원하였다.
  • 2000년 7월 9일: 제2대 울산광역시의회 후반기가 개원하였다.
  • 2002년 7월 9일: 제3대 울산광역시의회 전반기가 개원하였다.
  • 2004년 7월 12일: 제3대 울산광역시의회 후반기가 개원하였다.
  • 2006년 7월 1일: 제4대 울산광역시의회 전반기가 개원하였다.
  • 2008년 7월 1일: 제4대 울산광역시의회 후반기가 개원하였다.
  • 2010년 7월 1일: 제5대 울산광역시의회 전반기가 개원하였다.
  • 2012년 7월 8일: 제5대 울산광역시의회 후반기가 개원하였다.
  • 2014년 7월 16일: 제6대 울산광역시의회 전반기가 개원하였다.
  • 2016년 7월 15일: 제6대 울산광역시의회 후반기가 개원하였다.
  • 2018년 7월 6일: 제7대 울산광역시의회 전반기가 개원하였다.
  • 2020년 9월 8일: 제7대 울산광역시의회 후반기가 개원하였다.
  • 2022년 7월 8일: 제8대 울산광역시의회 전반기가 개원하였다.

2. 1. 의회 설립 이전

1991년 3월 26일 지방 선거가 실시되어 울산시의원 50명과 울산군의원 14명이 선출되었다.[1] 1991년 4월 15일, 초대 울산시의회울산군의회가 개원하면서 울산 지역의 지방 자치가 시작되었다.[1]

2. 2. 초대 ~ 8대 의회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열린우리당, 새정치민주연합 계열)국민의힘
(한나라당, 새누리당, 자유한국당 계열)민주노동당기타 정당 및 무소속2대1998년17석1석11석-5석3대2002년19석-15석3석1석4대2006년19석-15석4석-5대2010년26석-13석7석6석6대2014년22석1석21석--7대2018년22석17석5석--8대2022년22석1석21석--

2. 2. 1. 초대 의회 (1997년)

1997년 7월 15일, 기존의 울산시의회 의원들과 울산시에서 선출된 경상남도의회 의원 72명으로 제1대 울산광역시의회가 개원하였다.

2. 2. 2. 2대 의회 (1998년)

1998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17명의 제2대 울산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에서는 지역구 의원 14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9211
새정치국민회의011
무소속5-5



정당별 득표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 수
한나라당159,48244.4%2
새정치국민회의24,5226.8%1
자유민주연합20,9455.8%0
무소속154,08142.9%-


2. 2. 3. 3대 의회 (2002년)

2002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19명의 제3대 울산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16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13215
민주노동당213
무소속1-1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한나라당222,77760.24%2
민주노동당106,13628.70%1
새천년민주당31,8618.61%0
사회당9,0162.43%0


2. 2. 4. 4대 의회 (2006년)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19명의 제4대 울산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에서는 지역구 의원 16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13215
민주노동당314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 (%)당선자수
한나라당240,63858.532
민주노동당110,17226.791
열린우리당60,28214.660


2. 2. 5. 5대 의회 (2010년)

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26명의 제5대 울산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로 지역구 의원 19명, 비례대표 의원 3명, 교육의원 4명이 선출되었다.[1]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11213
민주노동당617
무소속2-2
교육의원--4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한나라당219,23348.39%2
민주노동당157,33334.73%1
국민참여당37,3518.24%0
진보신당27,9336.16%0
미래연합8,3161.83%0
사회당2,8250.62%0


2. 2. 6. 6대 의회 (2014년)

2014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22명의 제6대 울산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에서는 지역구 의원 19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새누리당19221
새정치민주연합011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 수
새누리당278,70955.46%2
새정치민주연합119,40223.76%1
통합진보당60,83612.10%0
노동당25,0654.98%0
정의당18,4723.67%0


2. 2. 7. 7대 의회 (2018년)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22명의 제7대 울산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에서는 지역구 의원 19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더불어민주당15217
자유한국당415



더불어민주당은 지역구 15석과 비례대표 2석을 차지하여 총 17석을 확보하며 압승을 거두었다. 반면, 자유한국당은 지역구 4석과 비례대표 1석을 얻는 데 그쳐 총 5석으로 참패했다.[2]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더불어민주당281,77247.00%2
자유한국당199,50533.28%1
정의당38,6806.45%0
민중당31,9325.32%0
바른미래당31,4145.24%0
노동당10,4391.74%0
대한애국당2,8720.47%0
녹색당2,8240.47%0


2. 2. 8. 8대 의회 (2022년)

2022년 6월 1일에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22명의 제8대 울산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에서는 지역구 의원 19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국민의힘19221
더불어민주당011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국민의힘279,75357.90%2
더불어민주당166,99734.56%1
정의당19,6284.06%0
진보당14,3672.97%0
기본소득당2,4010.49%0


3. 조직

울산광역시의회는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 그리고 여러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로 구성된다.

상임위원회는 의회운영위원회, 행정자치위원회, 환경복지위원회, 산업건설위원회, 교육위원회가 있다.

특별위원회는 예산결산특별위원회와 윤리특별위원회가 있다.

3. 1. 의장단

울산광역시의회는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된 의장단을 둔다.[1]

3. 1. 1. 역대 의장단

대수이름정당임기부의장/정당
초대오해용신한국당1997년 7월 15일 - 1998년 6월 30일이진용/신한국당이수만/신한국당
2대전반기한나라당1998년 7월 9일 - 2000년 7월 8일김무열/한나라당이수만/한나라당
후반기김무열2000년 7월 10일 - 2002년 6월 30일김광수/한나라당심규화/한나라당
3대전반기김철욱2002년 7월 9일 - 2004년 7월 8일송시상/한나라당서진기/한나라당
후반기2004년 7월 9일 - 2006년 6월 30일김춘생/한나라당
4대전반기2006년 7월 1일 - 2008년 6월 30일김재열/한나라당윤명희/한나라당
후반기윤명희2008년 7월 1일 - 2009년 6월 30일박부환/한나라당이재현/민주노동당
5대전반기박순환2010년 7월 1일 - 2012년 6월 30일서동욱/한나라당
후반기서동욱새누리당2012년 7월 1일 - 2014년 3월 27일권명호/새누리당
6대전반기박영철2014년 7월 15일 - 2016년 7월 14일허령/새누리당배영규/새누리당
후반기윤시철새누리당2016년 7월 15일 - 2018년 4월 16일이성룡/새누리당변식룡/새누리당
7대전반기황세영더불어민주당2018년 7월 1일 - 2020년 6월 30일이미영/더불어민주당고호근/자유한국당
후반기박병석더불어민주당2020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손종학/더불어민주당안수일/국민의힘
8대전반기김기환국민의힘2022년 7월 1일 - 2024년 6월 30일이성룡/국민의힘강대길/국민의힘
후반기이성룡국민의힘2024년 7월 1일 -김종섭/국민의힘김수종/국민의힘


3. 2. 위원회

울산광역시의회는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를 두고 있다. 상임위원회에는 의회운영위원회, 행정자치위원회, 환경복지위원회, 산업건설위원회, 교육위원회가 있다. 특별위원회에는 윤리특별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가 있다.[1]

3. 2. 1. 상임위원회

3. 2. 2. 특별위원회

울산광역시의회는 예산결산특별위원회와 윤리특별위원회를 두고 있다.[1]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윤리특별위원회'''

3. 3. 사무기구

울산광역시의회 사무처는 시의회의 의정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설치된 기구이다.[5] 사무처에는 의정담당관실,[6] 입법정책담당관실,[6] 전문위원이 있다.

4. 역대 선거 결과

울산광역시의회는 1998년 6월 4일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2022년 6월 1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까지 총 7번의 선거를 통해 구성되었다.

한나라당은 초기 선거에서 높은 지지율을 보였으며, 이후 자유한국당국민의힘으로 이어지는 보수 정당의 변화 속에서도 꾸준히 의석을 확보했다. 민주노동당은 진보 정당으로서 일부 선거에서 의미 있는 의석을 확보하며 울산 지역 정치 지형에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민주당은 제7대 지방선거에서 크게 약진하여 다수 의석을 차지했으나, 제8대 지방선거에서는 국민의힘에 다시 밀려났다. 각 선거별 결과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4. 1. 제2대 ~ 제8대 지방 선거 결과

1998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17명의 제2대 울산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14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9211
새정치국민회의011
무소속5-5



정당별 득표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한나라당159,48244.4%2
새정치국민회의24,5226.8%1
자유민주연합20,9455.8%0
무소속154,08142.9%-



2002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19명의 제3대 울산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16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13215
민주노동당213
무소속1-1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한나라당222,77760.24%2
민주노동당106,13628.70%1
새천년민주당31,8618.61%0
사회당9,0162.43%0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22명의 제4대 울산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19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13215
민주노동당314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한나라당240,63858.53%2
민주노동당110,17226.79%1
열린우리당60,28214.66%0



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26명의 제5대 울산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19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 교육의원 4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11213
민주노동당617
무소속2-2
교육의원--4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한나라당219,23348.39%2
민주노동당157,33334.73%1
국민참여당37,3518.24%0
진보신당27,9336.16%0
미래연합8,3161.83%0
사회당2,8250.62%0



2014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22명의 제6대 울산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19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새누리당19221
새정치민주연합011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새누리당278,70955.46%2
새정치민주연합119,40223.76%1
통합진보당60,83612.10%0
노동당25,0654.98%0
정의당18,4723.67%0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22명의 제7대 울산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19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더불어민주당15217
자유한국당415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더불어민주당281,77247.00%2
자유한국당199,50533.28%1
정의당38,6806.45%0
민중당31,9325.32%0
바른미래당31,4145.24%0
노동당10,4391.74%0
대한애국당2,8720.47%0
녹색당2,8240.47%0



2022년 6월 1일에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22명의 제8대 울산광역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19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국민의힘19221
더불어민주당011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국민의힘279,75357.90%2
더불어민주당166,99734.56%1
정의당19,6284.06%0
진보당14,3672.97%0
기본소득당2,4010.49%0


5. 정당별 의석 수

정당의석 수
국민의힘style="background:#D22730;"|21
더불어민주당style="background:#1470B8;"|1
합계22


5. 1. 교섭단체

울산광역시의회는 5명 이상의 의석을 확보한 정당이나, 어느 교섭단체에도 속하지 않은 의원 5명이 모여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7]

정당의석 수
국민의힘21
더불어민주당1
합계22



현재 울산광역시의회에는 교섭단체 구성에 대한 별도의 규정이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제7대 울산시의회 개원…본격 의정활동 개시 http://news1.kr/arti[...] 2018-08-18
[2] 웹사이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http://info.nec.go.k[...]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3] 문서 자유한국당
[4] 문서 미래통합당
[5] 문서 지방이사관 또는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6] 문서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7] 웹인용 울산광역시의회 기본 조례 https://www.law.go.k[...] 대한민국 법제처 2022-06-0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