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정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정일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1945년에 태어나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다. 1972년 대전지방검찰청 검사로 임용된 후, 대검찰청 중수부 과장, 법무부 검찰과장, 법무부 차관 등을 역임했다. 1997년 제37대 법무부 차관을 지냈으며, 이후 광주고등검찰청 검사장을 마지막으로 공직에서 물러났다. 퇴임 후에는 변호사로 활동하며, 한국ABC협회 인증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배우자는 서양화가 홍정희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주 원씨 - 원희룡
    원희룡은 서울대 법대 졸업 후 사법시험 수석 합격, 검사, 변호사를 거쳐 3선 국회의원과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국토교통부 장관을 역임한 정치인이지만, 총선 낙선과 여러 논란을 겪었다.
  • 원주 원씨 - 원유철
    원유철은 고려대학교 졸업 후 5선 국회의원, 새누리당 원내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핵무장을 주장하고 불법 정치자금 수수 의혹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 대한민국의 법무부 차관 - 김희옥
    김희옥은 검사 출신 법조인으로서 법무부 차관과 헌법재판소 재판관을 역임하고 동국대학교 총장,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장, 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 KBL 프로농구연맹 총재, 한국프로스포츠협회 회장 등을 지낸 대한민국의 교육자, 스포츠인,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법무부 차관 - 오탁근
    오탁근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검찰총장 및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검사로 활동하다 10·26 사건 처리 후 강제 퇴임, 이후 법무부 장관, 한국가스공사 이사장, 변호사 등으로 활동했다.
  • 대한민국의 고등검찰청 검사장 - 박성재 (법조인)
    박성재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검사 경력을 거쳐 법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으며, 주요 기업 비리 사건 수사를 지휘했다.
  • 대한민국의 고등검찰청 검사장 - 김희옥
    김희옥은 검사 출신 법조인으로서 법무부 차관과 헌법재판소 재판관을 역임하고 동국대학교 총장,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장, 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 KBL 프로농구연맹 총재, 한국프로스포츠협회 회장 등을 지낸 대한민국의 교육자, 스포츠인, 정치인이다.
원정일 - [인물]에 관한 문서

2. 생애

원정일은 1945년에 태어나 경기고등학교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다. 다양한 분야에 박학다식하며 야생 동물학과 인문지리에 조예가 깊다.[2]

2. 1. 검사 시절

경기고등학교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1967년 제7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10기 사법연수원을 수료하고 1972년 대전지방검찰청 검사에 임용되었다.[1] 제6회 사법시험 합격자는 17명, 제8회는 80명이었던 것과 달리, 제7회는 5명만 합격했는데 김진세, 심재륜과 함께 3명이 검찰에 지원했다. 시험 1등으로 합격하여 부산지검, 서울지검을 거치며 70년대 소매치기 전문검사로 이름을 알렸던 김진세에 이어, 원정일은 대검찰청과 법무부에서 쌓은 경력을 바탕으로 검찰의 황태자라고 불린 법무부 검찰1과장에 올랐다.[1]

대검찰청 중수부과장, 법무부 검찰과장, 보호국장, 교정국장, 인천지방검찰청청주지방검찰청, 광주고등검찰청에서 검사장, 대검찰청 강력부장 등을 거쳤다.[1]

법무부 검찰1과 과장을 3년 동안 맡으면서 검찰 인사 제도의 마스터 플랜을 마련하는 등 기획과 행정 분야에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았다.[2]

2. 2. 법무부 차관 시절

1997년 8월 6일부터 8월 8일까지 대한민국 법무부 차관 직무대행 서리 직위를 이틀 간 맡았고, 8월 8일에 제37대 대한민국의 법무부 차관에 임명되어 정권교체 이후인 1998년 3월 18일까지 역임했다.[1]

원정일은 법무부 검찰1과 과장을 3년 동안 맡으면서 검찰 인사 제도의 마스터 플랜을 마련하는 등 기획과 행정 분야에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았다.[2]

2. 3. 퇴임 이후

광주고등검찰청 검사장을 마지막으로 "한평생 국가와 검찰 걱정으로 살아왔다"며 "후배들을 위해 자리를 비켜주는 게 검찰의 아름다운 관행이지만 하고 싶은 일이 있었는데 그 꿈을 실현하지 못하고 떠나게 돼 아쉽다"고 하면서 공직에서 물러났다.[4] 2002년 11월 5일에 김정길 (법조인) 법무부 장관과 이명재 (법조인) 검찰총장의 사표가 수리됨에 따라 후임으로 중립적인 인사로 거명되기도 했다.[5]

원정일은 문화일보 기획 시리즈인 광복 58년사(1945년 해방둥이 세대의 시련과 도전, 성공과 좌절 그리고 재기의 기록)에서 5·16 군사정변에 대해 "이후 어쨌든 경제발흥의 시대가 열렸던 사실을 평가해야 한다."고 말했다.[6] 또, "사회에서 한걸음 물러서 있는 세대가 됐다"는 점에 대해 "20~30대는 사회적으로 책임질 수 있는 연령이 아니다”며 “경륜을 통해 지혜와 경험을 쌓고 사회를 걱정할 수 있는 세대는 역시 50대 이후”라고 했다. 노무현 정부 출범 이후에는 "이렇든 저렇든 민주적인 절차를 통해 탄생한 정부가 잘되도록 도와줘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요즘은 ‘도움을 줄 수도 없고 도와봤자 되지도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많으며 요즘 젊은이들은 깊이가 없다"거나 "한 분야에만 쏠렸지 폭넓은 지식이 부족하다"고 했다.[7]

2015년 4월 9일, 한국ABC협회(회장 이성준) 정기 이사회에서 일간신문 등 모든 인쇄매체 부수공사결과에 대한 독립적인 인증권한을 갖는 제3기 ABC협회 인증위원회 위원장에 위촉됐다. 임기는 2년이다.[8]

3. 경력

연도경력
1972년대전지방검찰청 검사
1974년서울지방검찰청 검사
1977년법무부 검찰4과 검사
1980년부산지방검찰청 검사
1981년법무부 검찰1과 검사
1982년대검찰청 형사부 형사2과 과장
1983년대검찰청 중앙수사부 중앙수사3과 과장
1985년법무부 검찰2과 과장
1987년서울지방검찰청 형사5부 부장검사
1988년서울지방검찰청 형사3부 부장검사
1989년서울지방검찰청 형사1부 부장검사
1990년마산지방검찰청 차장검사
1991년수원지방검찰청 차장검사
1992년 8월 ~ 1993년 3월제4대 부산지방검찰청 동부지청 지청장
1993년대구고등검찰청 차장검사
1993년법무부 보호국장
1993년 4월 29일법무부 교정국장 겸임[9]
1993년 9월 21일 ~ 1994년 9월 15일제41대 청주지방검찰청 검사장
1994년법무부 교정국 국장
1995년 9월 20일 ~ 1997년 1월 22일제11대 인천지방검찰청 검사장
1997년대검찰청 강력부 부장
1997년 8월 8일 ~ 1998년 3월 18일제37대 대한민국의 법무부 차관
1998년 3월 19일 ~ 1999년 5월 26일제28대 광주고등검찰청 검사장
1998년 ~변호사 원정일 법률사무소 변호사
2015년 4월 9일 ~ 2017년 4월 9일제3기 한국ABC협회 인증위원회 위원장
2022년 1월 ~앞서가는시민들의모임 발기인


4. 가족 관계

배우자홍정희 (1945년 6월 5일 ~ 2021년 12월 19일) - 화백, 서양화가
자녀원택륜, 원혜원


참조

[1] 뉴스 경향신문 1995-09-18
[2] 뉴스 경향신문 1998-03-17
[3] 뉴스 https://news.naver.c[...]
[4] 뉴스 https://news.naver.c[...]
[5] 뉴스 https://news.naver.c[...]
[6] 뉴스 https://news.naver.c[...]
[7] 뉴스 https://news.naver.c[...]
[8] 뉴스 http://mbn.mk.co.kr/[...]
[9] 뉴스 한겨레 1993-0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