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창왕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창왕후는 고려 의조의 부인이자 고려 태조 왕건의 증조모로, 고려 왕실에서 추존된 왕후이다. 그녀의 이름은 용녀 또는 저민의로 전해지며, 성씨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전설에 따르면 서해 용왕의 딸로, 의조와의 만남과 결혼, 그리고 이별에 대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성원록》에는 평주 출신 두은점 각간의 딸로 기록되어 있다. 의조와의 사이에서 4명의 아들을 낳았으며, 그 중 장남이 태조의 아버지인 세조이다. 919년 태조에 의해 원창왕후 또는 경헌왕후로 추존되었으며, 능의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추존왕후 - 정화왕후
정화왕후는 고려 태조 왕건의 증조모이자 작제건의 어머니로, 신천 강씨 가문과 고려 왕실의 연결고리를 형성하는 중요한 인물이다. - 고려의 추존왕후 - 선의왕후 (고려)
선의왕후는 고려 태조의 딸이자 대종의 부인으로, 성종을 낳았으며 아들이 왕위에 올라 왕후로 추존되었고, 드라마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에 등장한다. - 생몰년 미상 - 유급
유급은 전한 말기에 신양후에 봉해졌으나, 전한 멸망으로 작위를 잃은 유영의 아들이다. - 생몰년 미상 - 야스케
야스케는 16세기 일본에 기록된 최초의 아프리카인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특별한 대우를 받았으며, 혼노지의 변에서 함께 싸웠으나 이후 행적은 불확실하고,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활용된다.
원창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용녀 (龍女) / 저민의 (渚(焉)旻義) |
작위 | 고려 왕후(추존) |
생몰년 | 미상 |
묘소 | 온혜릉(溫鞋陵) |
가계 | |
부 | 두은점 (豆恩坫), 서해 용왕 (西海龍王), 평주 (平州) 출신 |
배우자 | 의조(懿祖) |
자녀 | 세조(世祖) 왕평달 2명의 아들 (이름 미상) |
왕후 정보 | |
본관 | 평주(平州) |
시대 | 고려 |
시호 | |
시호 | 원창(元昌), 경헌(景獻) |
원창 의미 | 으뜸이고 번성하다 |
경헌 의미 | 훌륭하고 현명하다 |
기타 정보 | |
가문 | 개성 왕씨(혼인으로) |
종교 | 불교 |
봉호 | 원창왕후 (元昌王后), 경헌왕후 (景獻王后) |
재위 기간 | 미상 |
전임 | 정화왕후(貞和王后) |
후임 | 위숙왕후(威肅王后) |
2. 생애
원창왕후의 이름은 용녀(龍女), 또는 저민의(渚旻義, 또는 焉旻義)[16]로 전하며, 성씨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는 것이 없다. 《편년통록》에서는 의조가 자신의 아버지가 당나라 황제인 숙종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그쪽으로 가다가 서해상에서 풍랑을 만나 한 섬에 내렸는데, 이때 서해 용왕의 맏딸이던 그녀를 만나 결혼했다고 전한다. 이후 의조와 용녀는 용왕에게서 돼지 한 마리를 선물로 받았는데, 이 돼지가 알려준 송악산 기슭에 터를 잡고 아들들을 낳으며 살게 된다[17]. 현대의 학자들 중 일부는 이 이야기들을 《삼국유사》의 〈거타지설화〉등을 비롯한 여러 설화를 취했다고 해석하고 있다. 고대의 설화를 인용하여 조상들을 용 등과 결부시켜 신격화하고, 왕실의 혈통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내기 위함이라는 것이다[18][19].
태조는 고려 개국 이듬해인 919년(태조 2년) 음력 3월 13일에 자신의 3대 조상을 추존하면서, 남편 작제건(의조)을 '''의조경강대왕'''(懿祖景康大王)으로, 용녀는 '''원창왕후'''(元昌王后)[23] 또는 '''경헌왕후'''(景獻王后)[15]로 추존하였다. 원창왕후의 능은 어디에 있는지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다.
전설에 의하면 원창왕후는 서해 용왕의 딸로서 자신이 우물로 들어가는 것을 보지 말라고 의조에게 일렀다고 한다. 그러나 호기심을 이기지 못한 의조가 용녀를 훔쳐보자, 의조의 신의없음을 꾸짖고 서해로 가서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고 한다. 그리고 의조는 용녀의 신발로 대신 장사를 치렀다 한다. 한편 고려 왕실의 족보격인 《성원록》은 그녀의 출신이 평주 (황해도 평산)[20]이며, 아버지는 두은점 각간이라고 기록하고 있다[21].
의조와의 사이에서 아들 넷을 낳았는데[22], 그 중 장남이 태조 왕건의 아버지 용건이다.
용녀는 고려가 개국된 이듬해인 919년(태조 2년) 음력 3월 13일 태조가 자신의 3대 조상을 추존할 때 남편 의조는 '''의조경강대왕'''(懿祖景康大王)으로, 그녀는 '''원창왕후'''(元昌王后)[23] 또는 '''경헌왕후'''(景獻王后)로 추존되었다[15]. 그녀의 능은 어디있는지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다.
3. 가계
관계 이름 비고 아버지 서해의 용왕 또는 두은점 각간(頭恩坫角干) 어머니 미상 남편 의조 (왕제건) 아들 세조 (왕륭) ? ~ 897 며느리 위숙왕후 손자 태조 (왕건) 877 ~ 943, 재위: 918 ~ 943 아들 왕평달 며느리 미상 손자 왕식렴 ? ~ 949, 대광 손자 왕신 ? ~ 926, 원윤 손자 왕육 아들 개성 왕씨 며느리 미상 손자 왕희순 손자 왕삼순 아들 개성 왕씨 며느리 미상 손자 왕만세 딸 개성 왕씨 사위 미상 시아버지 국조 시어머니 정화왕후 강보육과 강덕주의 딸[26]
《성원록》에 따르면 원창왕후는 중국평주 출신 두은점각간의 딸이라고 한다.[9]
4. 기타
4. 1. 출신 논란
원창왕후의 성씨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는 것이 없다. 이름은 용녀(龍女), 또는 저민의(渚旻義, 또는 焉旻義)[16]로 전한다. 《편년통록》에서는 의조가 자신의 아버지가 당나라 황제인 숙종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서해상에서 풍랑을 만나 한 섬에 내렸는데, 이때 서해 용왕의 맏딸이던 그녀를 만나 결혼했다고 전한다. 이후 의조와 용녀는 용왕에게서 돼지 한 마리를 선물로 받았는데, 이 돼지가 알려준 송악산 기슭에 터를 잡고 아들들을 낳으며 살게 된다.[17] 현대 학자들 중 일부는 이러한 이야기들을 《삼국유사》의 〈거타지설화〉등을 비롯한 여러 설화를 취했다고 해석하고 있다. 고대의 설화를 인용하여 조상들을 용 등과 결부시켜 신격화하고, 왕실의 혈통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내기 위함이라는 것이다.[18][19]
전설에 따르면 원창왕후는 서해 용왕의 딸로서 자신이 우물로 들어가는 것을 보지 말라고 의조에게 일렀다고 한다. 그러나 호기심을 이기지 못한 의조가 용녀를 훔쳐보자, 의조의 신의 없음을 꾸짖고 서해로 가서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고 한다. 의조는 용녀의 신발로 대신 장사를 치렀다고 한다. 한편 고려 왕실의 족보인 《성원록》은 원창왕후의 출신이 평주 (황해도 평산)[20]이며, 아버지는 두은점 각간이라고 기록하고 있다.[21]
4. 2. 설화
원창왕후의 이름은 용녀(龍女), 또는 저민의(渚旻義, 또는 焉旻義)로 전해지며, 성씨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16] 《편년통록》에 따르면, 작제건(의조)이 자신의 아버지가 당나라 황제 숙종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당나라로 가던 중 서해에서 풍랑을 만나 한 섬에 내렸는데, 이때 서해 용왕의 맏딸인 용녀를 만나 결혼했다고 한다. 이후 작제건과 용녀는 용왕에게서 돼지 한 마리를 선물 받았는데, 이 돼지가 알려준 송악산 기슭에 터를 잡고 아들들을 낳으며 살게 되었다.[17] 현대 학자들은 이러한 이야기가 《삼국유사》의 〈거타지설화〉등 여러 설화를 차용한 것으로 해석한다. 즉, 고대 설화를 인용하여 조상들을 용과 결부시켜 신격화하고 왕실의 혈통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내기 위함이라는 것이다.[18][19]
전설에 따르면, 원창왕후는 서해 용왕의 딸로서 작제건에게 자신이 우물로 들어가는 것을 보지 말라고 일렀다. 그러나 호기심을 이기지 못한 작제건이 용녀를 훔쳐보자, 작제건의 신의 없음을 꾸짖고 서해로 돌아가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고 한다. 작제건은 용녀의 신발로 대신 장사를 치렀다고 한다. 한편, 고려 왕실 족보인 《성원록》에는 원창왕후의 출신이 평주 (황해도 평산)이고,[20] 아버지는 두은점 각간이라고 기록되어 있다.[21]
4. 3. 추존
태조는 고려 개국 이듬해인 919년(태조 2년) 음력 3월 13일에 자신의 3대 조상을 추존하면서, 남편 작제건은 '''의조경강대왕'''(懿祖景康大王)으로, 용녀는 '''원창왕후'''(元昌王后)[23] 또는 '''경헌왕후'''(景獻王后)[15]로 추존하였다. 그녀의 능은 어디에 있는지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다.
참조
[1]
서적
History of Goryeo
[2]
인용문
[3]
뉴스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http://www.segye.com[...]
世界日報 (韓国)
2013-04-02
[4]
뉴스
신천강씨 信川康氏
https://archive.ph/A[...]
韓国民族文化大百科事典
[5]
뉴스
강씨(康氏)의 본관
http://www.rootsinfo[...]
rootsinfo
[6]
서적
誤解だらけの韓国史の真実
https://books.google[...]
イースト・プレス
2015-04-10
[7]
서적
2001
[8]
뉴스
韓国民族文化大百科事典 경강대왕
http://encykorea.aks[...]
韓国民族文化大百科事典
[9]
뉴스
韓国民族文化大百科事典 의조경강대왕
http://encykorea.aks[...]
韓国民族文化大百科事典
[10]
서적
2001
[11]
서적
편년통록
[12]
서적
성원록
[13]
문서
[14]
문서
[15]
서적
조선왕조실록
[16]
뉴스
(23) 용녀 저민의가 왕건의 할머니가 된 까닭
https://news.naver.c[...]
한겨레
2005-04-28
[17]
뉴스
(시론)‘부귀의 상징’ 돼지 해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6-12-29
[18]
웹사이트
작제건설화
https://terms.naver.[...]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19]
뉴스
거타지설화의 현장을 찾아서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07-11-20
[20]
웹사이트
http://www.surname.i[...]
[21]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의조경강대왕〉 항목
http://people.aks.ac[...]
2012-05-19
[22]
뉴스
(홍순래의 꿈으로 본 역사)〈19〉고려 건국 이야기
http://sports.khan.c[...]
스포츠경향
2007-05-21
[23]
서적
세가〉권1 - 태조 2년 3월 - 3대의 시호를 추존하다
[24]
서적
[25]
서적
[2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