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리소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웹 리소스는 웹에서 식별, 이름 지정, 참조 또는 처리될 수 있는 모든 것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초창기에는 문서나 파일과 같은 정적인 객체를 의미했지만, 현재는 추상적인 개념까지 포함한다. RFC 2396에서 "정체성을 가진 모든 것"으로 정의되었으며, RDF 및 시맨틱 웹에서 리소스는 메타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REST에서는 URI로 식별되고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표현이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원 - 생산요소
생산요소는 경제학에서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 투입되는 자원을 의미하며, 고전 경제학에서는 토지, 노동, 자본을 주요 요소로 보았고 현대 경제에서는 기술, 지식 등이 추가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 자원 - 지하자원
지하자원은 인간이 활용하는 땅속의 천연 자원이며, 산업 발전에 필수적이지만 무분별한 개발은 환경 파괴와 자원 고갈을 야기할 수 있어 지속 가능한 개발과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시맨틱 웹 - 시맨틱 네트워크
시맨틱 네트워크는 개념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지식 표현 방법으로, 노드와 링크를 사용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며 인공지능, 언어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시맨틱 웹 - 웹 온톨로지 언어
웹 온톨로지 언어(OWL)는 시맨틱 웹 구축을 위한 지식 표현 언어로, W3C 웹 표준이며, 온톨로지 명시적 표현을 통해 데이터 공유 및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기술 논리에 기반하여 표현력 수준에 따라 다양한 종류를 제공한다. - 월드 와이드 웹 - 구글
구글은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개발한 웹 검색 엔진에서 출발하여 검색 기술 혁신을 통해 유튜브, 안드로이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기술 기업으로 성장했지만, 개인정보보호 및 독점 논란에도 직면하고 있다. - 월드 와이드 웹 - 온라인 언론
온라인 언론은 인터넷을 통해 뉴스 및 정보를 제공하며, 디지털 기술 발달과 함께 성장하여 시민 저널리즘 부상, 정보 전달 속도 혁신 등의 특징을 보이지만 정보 신뢰성 문제, 전통 언론 쇠퇴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웹 리소스 |
---|
2. 역사
리소스의 개념은 웹의 역사와 함께 진화해 왔다. 초기에는 정적으로 참조 가능한 문서나 파일을 지칭했지만, 점차 더 넓고 추상적인 정의로 바뀌었다. 현재는 웹에서 식별, 이름 지정, 참조, 처리될 수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선언적, 기능적 측면은 초기 웹 사양에서 명확히 구분되지 않았고, 이 개념은 오랫동안, 그리고 현재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2. 1. 문서 및 파일에서 웹 리소스로
초기 웹(1990-1994)에서는 "리소스"라는 용어가 거의 사용되지 않았고, 웹은 주로 정적인 파일 및 문서의 네트워크로 설계되었다. 1994년 6월 RFC 1630에서는 리소스를 식별 가능한 객체로 암묵적으로 정의하며, URI, URL, URN 개념을 도입했다.[1] 1994년 12월 RFC 1738에서는 "리소스" 용어가 더 체계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여전히 명시적인 정의는 없었다.[1]2. 2. 웹 리소스에서 추상 리소스로
RFC 2396(1998년 8월)에서 리소스에 대한 최초의 명시적인 정의가 등장했다.[1] 리소스는 "정체성을 가진 모든 것"으로 정의되었다.[1] 예를 들어 전자 문서, 이미지, 서비스, 다른 리소스의 모음 등이 있다.[1] 사람, 기업, 도서관의 제본된 책과 같이 네트워크에서 검색 가능하지 않은 것도 리소스로 간주될 수 있다.[1] 이 정의는 추상적인 리소스 개념으로 확장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RFC 3986(2005년 1월)에서는 추상적인 개념도 리소스가 될 수 있음을 명확히 했다.[2] 예를 들어, 수학 방정식의 연산자와 피연산자, 관계 유형(예: "부모" 또는 "직원"), 숫자 값(예: 0, 1, 무한대) 등이 있다.[2]
3. RDF 및 시맨틱 웹에서의 리소스
1999년에 처음 출시된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자원 기술 프레임워크)는 리소스의 메타데이터를 표준 방식으로 기술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RDF 설명은 (주어, 술어, 객체)의 집합으로 구성되며, '주어'는 설명할 리소스를, '술어'는 리소스와 관련된 속성 유형을, '객체'는 데이터 또는 다른 리소스가 될 수 있다. 술어 자체도 리소스로 간주되며 URI로 식별된다. "제목", "저자"와 같은 속성은 RDF에서 리소스로 표현되며, 재귀적인 방식으로 다른 삼중항의 주어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재귀적 원리를 바탕으로 RDF 스키마(RDFS), 웹 온톨로지 언어(OWL), 단순 지식 구성 시스템(SKOS)과 같은 RDF 어휘는 클래스, 속성, 개념과 같은 추상 리소스의 정의를 쌓아 올리며, 이 모든 것은 URI로 식별된다.
RDF는 URI로 절대적으로 식별되지 않는 익명 리소스 또는 빈 노드의 정의를 지정한다.
3. 1. HTTP URI를 사용하여 추상 리소스 식별
URL (특히 HTTP URI)은 클래스, 속성 또는 기타 종류의 개념과 같은 추상적 자원을 식별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URI가 HTTP 프로토콜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이 프로토콜을 통해 어떤 표현을 얻어야 하는지, 그리고 URI 자체의 구문이 "추상적" 자원과 "정보" 자원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HTTP URI가 식별해야 하거나 식별해서는 안 되는 자원의 일반적인 질문은 W3C에서 [http://www.w3.org/2001/tag/issues.html#httpRange-14 httpRange-14] 문제로 알려져 있었으며, W3C TAG(Technical Architecture Group)에서 정의한 목록의 이름을 따랐다. TAG는 2005년에 이 문제에 대한 최종 답변을 제시했는데, "정보 자원"과 "비정보" 자원 간의 구분을 "GET" 요청에 대한 서버의 응답 유형에 따라 달라지도록 하는 것이었다.
- 2xx 성공은 자원이 정보 자원임을 나타낸다.
- 303 다른 것을 보십시오는 자원이 정보적이거나 추상적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리디렉션 대상이 이를 알려줄 수 있다.
- 4xx 클라이언트 오류는 전혀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더블린 코어, FOAF, 워드넷과 같은 어휘집은 실용적인 이유로 해시 대신 슬래시를 계속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타협은 시맨틱 웹 커뮤니티에서 합의를 이룬 것으로 보이지만, 팻 헤이즈와 같은 저명한 구성원은 기술적 실행 가능성과 개념적 기반 모두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패트릭 헤이즈의 관점에 따르면, "정보 자원"과 "다른 자원" 사이의 구별은 찾을 수 없으며 전혀 지정하지 않는 것이 더 좋으며, 참조된 자원의 모호성은 모든 명명 메커니즘과 마찬가지로 URI에 내재되어 있다.
4. 리소스 소유권, 지적 재산권 및 신뢰성
RDF에서는 "누구나 무엇에 관해 무엇이든 선언할 수 있다"는 원칙이 적용된다.[1] 리소스는 누구나 웹을 통해 게시, 복사, 수정 및 게시할 수 있는 공식적인 설명으로 정의된다.[1] 고전적인 의미의 웹 리소스(웹 페이지 또는 온라인 파일)의 콘텐츠는 명확하게 게시자가 소유하고 지적 재산권을 주장할 수 있는 반면, 추상 리소스는 반드시 단일 게시자에 의해 제어되지 않고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는 RDF 설명의 축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1] 리소스가 명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소유권과 함께 권위 있는 정의를 가져야 하는지, 그리고 이 경우 이 설명을 다른 설명과 기술적으로 구별하는 방법은 열린 문제이다.[1] 병행되는 문제는 지적 재산이 이러한 설명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이다.[1]
5. REST에서의 리소스
REST에서 리소스는 URI로 식별되며, 표준화된 CRUD 인터페이스(HTTP의 POST, GET, PUT, DELETE)를 가지며, 네트워크를 통해 그 표현(XML 등)이 교환된다. 리소스와 그 표현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6. 한국 웹 환경에서의 리소스
한국은 높은 인터넷 보급률과 발달된 IT 인프라를 바탕으로 웹 리소스 활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웹 2.0 환경에서 사용자가 직접 생산하고 공유하는 콘텐츠(UCC)가 증가하면서, 웹 리소스의 다양성과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공공 데이터 개방 정책, 오픈 API 활성화 등을 통해 웹 리소스의 활용을 촉진하고, 새로운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다만, 웹 리소스의 불균형한 접근, 디지털 격차, 저작권 문제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남아있다.
참조
[1]
문서
RFC 3986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Generic Syntax
https://tools.ietf.o[...]
[2]
문서
Roy T. Fielding's Dissertation
https://www.ics.uci.[...]
[3]
문서
What do HTTP URIs Identify?
https://www.w3.org/D[...]
[4]
문서
RFC 1738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5]
문서
RDF Current Status
https://www.w3.org/s[...]
[6]
문서
RFC 3986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Generic Syntax
https://tools.ietf.o[...]
[7]
문서
Roy T. Fielding's Dissertation
https://www.ics.uci.[...]
[8]
문서
What do HTTP URIs Identify?
https://www.w3.org/D[...]
[9]
문서
RFC 1738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10]
문서
RDF Current Status
https://www.w3.org/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