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응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응물은 737년경 태어난 당나라 시인으로, 명문가 출신으로 관직을 거쳐 자연을 읊는 시를 주로 썼다. 그는 맹호연, 왕유와 함께 산수 시풍을 계승했으며, 도연명의 영향을 받아 세속적인 것에 초월한 시를 썼다. 그의 시는 간결하면서도 풍부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백거이 등으로부터 칭찬을 받았다. 위응물의 시는 《당시삼백수》에 수록되었으며, 레드 파인에 의해 영문으로 번역되기도 했다.
위응물은 당나라 시대의 시인이자 관리이다. 그는 737년경 명문가인 경조 위씨 가문에서 태어나 젊은 시절 당 현종의 경호원으로 활동했다.[1] 안사의 난 이후 관직을 잃고 학문에 힘썼으며, 이후 호현, 악양현의 현령과 초주, 강주, 소주의 자사 등 여러 지방관을 역임했다.[1][3] 그는 혼란했던 시대 상황 속에서 자연의 고요함과 평온함을 노래하는 시를 많이 남겼으며, 맹호연, 왕유의 뒤를 잇는다는 평가를 받는다. 백거이와 같은 후배 시인들에게도 존경을 받았다. 그의 사망 시기에 대해서는 792년 설과 827년 이후까지 생존했다는 설이 있다.[1][3]
2. 생애
2. 1. 출생과 가문
위응물은 737년경 장안에서 태어났다.[1] 그는 북주 왕조 시대부터 이어져 온 명문가인 경조 위씨 소요공 분가 출신으로, 귀족으로 태어났다.[1] 그의 증조부 위대기는 무측천 재위 기간 동안 재상을 지냈다.[1]
젊은 시절에는 태학에서 공부했으며, 귀족 출신이었기 때문에 과거를 치를 필요가 없었다.[2] 15세에는 당 현종의 황실 경호원(삼위랑)으로 임명되어 현종을 가까이에서 섬겼다.[1] 그는 현종의 총애를 받았지만, 강직한 성품을 지녔던 것으로 보인다.
2. 2. 초기 관직 생활
위응물은 737년경 장안에서 태어났다. 그는 명문가인 경조 위씨 소요공 분가 출신이었으며, 그의 증조부 위대기는 무측천 재위 기간 동안 재상을 지냈다. 귀족 출신이었기 때문에 과거를 치를 필요가 없었다.[2]
젊은 시절 태학에서 공부했으며, 15세에는 당 현종의 황실 경호원(삼위랑)으로 발탁되어 현종의 총애를 받았다.[1] 그러나 755년 안사의 난이 발발하고 당 현종이 사망하는 등 혼란기를 겪으며 직위를 잃고 고향으로 돌아가 한동안 빈궁하게 지냈다. 이 시기 그는 마음을 다잡고 학문에 더욱 힘썼다.
이후 다시 관직에 나아가 하급 지방관을 전전했다. 낙양 현승으로 재직할 때는 군병들의 부정행위를 엄하게 단속하기도 했다. 그 후 병을 이유로 잠시 사임하는 등 관직 생활에 부침을 겪기도 했으나, 호현과 악양현의 현령을 지냈으며, 이후 초주(784년), 강주(785년), 소주(787년~792년)의 자사를 역임했다.[1][3]
2. 3. 지방관 생활
안사의 난(755년-763년) 이후 관직을 잃고 고향으로 돌아가 잠시 빈궁한 생활을 보냈다. 이 시기에 마음을 다잡고 학문에 힘썼으며, 이후 하급 지방관으로 다시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낙양 현승으로 재직할 때는 군인들의 부정행위를 엄격하게 단속하기도 했다. 이후 병을 이유로 사임하거나 다시 관직에 오르는 것을 반복하며 여러 지역의 지방관을 역임했다.[2] 당 현종이 사망한 후에는 호현과 악양현의 현령을 지냈다.[1]
주요 지방관 경력은 다음과 같다.
- '''*''' 다른 기록에는 786년에 부임했다는 설도 있다.
소주 자사로 재직하던 중 백거이가 부임하자 관직에서 물러나 사찰에 머물렀다. 백거이는 위응물을 존경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응물의 사망 시기에 대해서는 두 가지 기록이 존재한다. 하나는 792년 소주에서 사망했다는 기록[1][3]이고, 다른 하나는 대화 연간(827년 - 835년)까지 생존했으며 유우석의 추천을 받았다는 기록이지만, 후자는 확실하지 않다.
우징훙은 위응물이 활동하던 시기의 혼란스러운 사회 상황과 중앙 정부의 약화가 그의 시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예를 들어, 그의 시 "서계 초주에서"에 등장하는 '조종하는 사람 없는 배'의 이미지는 당시 리더십 부재 상태의 국가를 상징한다고 보았다.[4]
2. 4. 은퇴와 죽음
786년에는 소주 자사가 되었다. 이후 백거이가 부임해 오자 은퇴하여 사찰에 머물렀다.그의 사망 시기에 대해서는 기록이 엇갈린다. 한 기록에 따르면 그는 792년 소주에서 사망했다고 한다.[1][3] 그러나 다른 기록에 따르면 그의 최후는 분명하지 않으며, 대화 연간(827년 - 835년)까지 생존해 있었고 유우석에 의해 관직에 추천되었다는 설도 있으나 확증은 없다.
3. 시 세계
위응물은 중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시인으로, 특히 당나라 시대의 대표적인 자연 시인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그의 시 세계는 5세기 시인 도연명에게 깊은 영향을 받았으며, 세속적인 욕심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서 평온함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인다.[5] 이러한 특징은 사고전서의 편집자들이 그의 시를 "단순하지만 저속하지 않고, 풍부하지만 현학적이지 않다"라고 평가한 데서도 잘 드러난다.
위응물의 시는 주로 오언시(五言詩)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산과 강 등 자연 풍경을 섬세하게 묘사하는 산수시(山水詩)가 주를 이룬다.[5] 동시대의 저명한 시인 백거이는 위응물의 시가 자연 경관에서 비롯된 감정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언급하며, 그의 작품이 지닌 "우아하고 한가로운" 정취를 높이 평가했다.[6] 위응물의 시는 자연의 고요함과 평온함을 담백하게 그려내어 독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으며, 후대의 많은 문인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의 시 세계에 대한 더 자세한 특징과 평가는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특징
위응물은 5세기 시인 도연명에게 큰 영향을 받았으며, 그의 시는 세속에 대한 무관심을 반영한다. 사고전서의 편집자들은 그의 시가 "단순하지만 저속하지 않고, 풍부하지만 현학적이지 않다"라고 평했다. 위응물의 가장 칭송받는 시는 당나라 시대에 두드러졌던 오언시(五言詩)로 구성되어 있다. 그의 시는 대부분 산과 강 등 자연 풍경을 묘사하는데, 이는 산수시(山水詩)의 특징과 일치한다.[5] 백거이는 위응물의 시가 자연 풍경에서 비롯된 감정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평가하며, 그의 작품을 "우아하고 한가롭다"라고 극찬했다.[6] 후대의 문학 평론가들은 종종 위응물을 유종원과 연관지었다.전종서는 저서 칠추집(七綴集)에서 왕유와 위응물을 비교하며 이탈리아 문학 평론가 베네데토 크로체의 이론을 인용했다. 크로체는 위응물을 un grande-piccolo poetait 또는 大的小詩人중국어("위대한 시인 중의 작은 시인")으로, 왕유를 un piccolo-grande poetait 또는 小的大詩人중국어("작은 시인 중의 위대한 시인")으로 평가했다.[7]
그는 자연을 노래하는 시에 능숙했으며, 특히 자연의 고요함과 평온함을 담은 작품이 뛰어나다. 성당(盛唐) 시기의 맹호연과 왕유를 계승했다고 여겨지며, 유종원과 함께 '왕맹위류(王孟韋柳)'로 불리기도 한다. 또한, 산수시를 확립한 시인 도연명(陶淵明, 본명 도잠(陶潛))을 후대에 처음으로 제대로 평가한 공로도 인정받는다.
그의 시집으로는 『위소주집(韋蘇州集)』 10권이 전해진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오언고시 형식의 「유거(幽居)」, 오언절구 형식의 「문안(聞雁)」 등이 있다.
위응물의 시 중 일부는 유명한 시선집인 ''당시삼백수''에 포함되었으며, 위터 바이너가 영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수록된 시는 다음과 같다.
- "Entertaining Literary Men in my Official Residence on a Rainy Day" (비 오는 날 관저에서 문인들을 접대하며)
- "Setting Sail on the Yangzi to Secretary Yuan" (위안 서기에게 양쯔강에서 돛을 올리며)
- "A Poem to a Taoist Hermit Chuanjiao Mountain" (전교산의 도사 은자에게 바치는 시)
- "On Meeting my Friend Feng Zhu in the Capital" (수도에서 친구 펑주를 만나)
- "Mooring at Twilight in Yuyi District" (유이 지구에서 황혼에 정박하며)
- "East of the Town" (마을 동쪽)
- "To my Daughter on Her Marriage Into the Yang Family" (양씨 가문에 시집가는 딸에게)
- "A Greeting on the Huai River to my Old Friends from Liangchuan" (회하에서 량촨의 오랜 친구들에게 보내는 인사)
- "A Farewell in the Evening Rain to Li Cao" (저녁 비 속에서 이차오에게 보내는 작별)
- "To my Friends Li Dan and Yuanxi" (친구 이단과 원시에게)
- "An Autumn Night Message to Qiu" (가을밤에 추에게 보내는 메시지)
- "At Chuzhou on the Western Stream" (서쪽 개울의 추저우에서)
문안(聞雁) | |
---|---|
원문 | 해석 |
故園眇何處 | 고원(故園) 아득하여 어느 곳인가 |
歸思方悠哉 | 귀향의 생각 간절하구나 |
淮南秋雨夜 | 회남의 가을비 내리는 밤 |
高齋聞雁來 | 높은 집에서 기러기 오는 소리 듣네 |
3. 2. 영향
위응물은 5세기 시인 도연명에게 큰 영향을 받았으며, 그의 시는 세속에 대한 무관심을 반영한다. 사고전서의 편집자들은 그의 시가 "단순하지만 저속하지 않고, 풍부하지만 현학적이지 않다"라고 평했다. 위응물의 가장 칭송받는 시는 당나라 시대에 두드러졌던 오언시(五言)로 구성되어 있다. 위응물의 시는 대부분 산과 강과 같은 다양한 자연 풍경을 묘사하며, 이는 산수시풍(山水)과 일치한다.[5] 백거이에 따르면, 위응물의 시는 자연 경관에서 불러일으켜진 감정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백거이는 위응물의 작품을 "우아하고 한가롭다"라고 극찬했다.[6]위응물은 자연을 읊는 시에 능숙했으며, 특히 자연의 고요함과 평온함을 주제로 하는 작품에 뛰어났다. 성당(盛唐) 시기의 시인 맹호연과 왕유의 시풍을 계승했다고 여겨지며, 유종원과 함께 '왕맹위류(王孟韋柳)'로 불리기도 한다. 또한, 산수시를 확립한 도연명(陶淵明)을 후대에 처음으로 정당하게 평가한 공적도 크다.
후대의 문학 평론가들은 종종 위응물을 유종원과 연관지었다. 전종서는 그의 저서 칠추집(七綴集)에서 왕유와 위응물을 비교했다. 전종서는 이탈리아 문학 평론가 베네데토 크로체의 이론을 인용했는데, 크로체는 위응물을 "un grande-piccolo poeta" 또는 大的小詩人zho ("위대한 시인 중의 작은 시인")으로 칭하며, 왕유를 "un piccolo-grande poeta" 또는 小的大詩人zho ("작은 시인 중의 위대한 시인")으로 묘사했다.[7]
위응물의 시는 선집인 ''당시삼백수''에 수록되었으며, 위터 바이너(Witter Bynner)에 의해 다음과 같은 작품들이 영어로 번역되었다.
- "Entertaining Literary Men in my Official Residence on a Rainy Day" (비 오는 날 관저에서 문인들을 접대하며)
- "Setting Sail on the Yangzi to Secretary Yuan" (위안 서기에게 양쯔강에서 돛을 올리며)
- "A Poem to a Taoist Hermit Chuanjiao Mountain" (전교산의 도사 은자에게 바치는 시)
- "On Meeting my Friend Feng Zhu in the Capital" (수도에서 친구 펑주를 만나)
- "Mooring at Twilight in Yuyi District" (유이 지구에서 황혼에 정박하며)
- "East of the Town" (마을 동쪽)
- "To my Daughter on Her Marriage Into the Yang Family" (양씨 가문에 시집가는 딸에게)
- "A Greeting on the Huai River to my Old Friends from Liangchuan" (회하에서 량촨의 오랜 친구들에게 보내는 인사)
- "A Farewell in the Evening Rain to Li Cao" (저녁 비 속에서 이차오에게 보내는 작별)
- "To my Friends Li Dan and Yuanxi" (친구 이단과 원시에게)
- "An Autumn Night Message to Qiu" (가을밤에 추에게 보내는 메시지)
- "At Chuzhou on the Western Stream" (서쪽 개울의 추저우에서)
3. 3. 평가
위응물은 5세기 시인 도연명에게 큰 영향을 받았으며, 그의 시는 세속에 대한 무관심을 반영한다. 사고전서의 편집자들은 그의 시가 "단순하지만 저속하지 않고, 풍부하지만 현학적이지 않다"라고 평했다. 위응물의 가장 뛰어난 시는 당시의 한 형태인 오언시(五言詩)이며, 대부분 산과 강 같은 자연 풍경을 묘사하는 산수(山水) 시풍을 따른다.[5] 그는 자연을 읊는 시에 능숙했으며, 특히 자연의 고요함과 평온함을 주제로 하는 작품에 뛰어났다. 성당(盛唐) 시대의 시인 맹호연과 왕유의 시풍을 계승했다고 여겨져, 유종원과 함께 '왕맹위류(王孟韋柳)'로 불리기도 한다. 또한 위응물은 산수시를 확립한 도연명(陶淵明)을 후대에 처음으로 정당하게 평가한 공적이 크다.백거이는 위응물의 시가 자연 경관에서 불러일으킨 감정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보았으며, 그의 작품을 "우아하고 한가롭다"라고 높이 평가했다.[6] 후대의 문학 평론가들은 종종 위응물을 유종원과 함께 언급한다. 전종서는 그의 저서 칠추집(七綴集)에서 왕유와 위응물을 비교했다. 전종서는 이탈리아 문학 평론가 베네데토 크로체가 위응물을 "un grande-piccolo poeta" 또는 大的小詩人|다더샤오스런중국어("위대한 시인 중의 작은 시인")으로, 왕유를 "un piccolo-grande poeta" 또는 小的大詩人|샤오더다스런중국어("작은 시인 중의 위대한 시인")으로 묘사한 것을 인용했다.[7]
그의 시 여러 편은 저명한 시 선집인 ''당시삼백수''에 수록되었으며, 위터 바이너가 영어로 번역한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Entertaining Literary Men in my Official Residence on a Rainy Day" (비 오는 날 관저에서 문인들을 접대하며)
- "Setting Sail on the Yangzi to Secretary Yuan" (위안 서기에게 양쯔강에서 돛을 올리며)
- "A Poem to a Taoist Hermit Chuanjiao Mountain" (전교산의 도사 은자에게 바치는 시)
- "On Meeting my Friend Feng Zhu in the Capital" (수도에서 친구 펑주를 만나)
- "Mooring at Twilight in Yuyi District" (유이 지구에서 황혼에 정박하며)
- "East of the Town" (마을 동쪽)
- "To my Daughter on Her Marriage Into the Yang Family" (양씨 가문에 시집가는 딸에게)
- "A Greeting on the Huai River to my Old Friends from Liangchuan" (회하에서 량촨의 오랜 친구들에게 보내는 인사)
- "A Farewell in the Evening Rain to Li Cao" (저녁 비 속에서 이차오에게 보내는 작별)
- "To my Friends Li Dan and Yuanxi" (친구 이단과 원시에게)
- "An Autumn Night Message to Qiu" (가을밤에 추에게 보내는 메시지)
- "At Chuzhou on the Western Stream" (서쪽 개울의 추저우에서)
4. 작품
위응물은 5세기 시인 도연명에게 큰 영향을 받았으며, 그의 시는 세속에 대한 무관심을 반영한다. 사고전서의 편집자들은 그의 시가 "단순하지만 저속하지 않고, 풍부하지만 현학적이지 않다"라고 평했다. 위응물의 가장 뛰어난 시는 당시 시대에 유행했던 오언시(五言詩) 형식이며, 주로 산과 강 같은 다양한 자연 풍경을 묘사하여 산수시(山水詩)의 특징을 보인다.[5] 특히 자연의 고요함과 평온함을 주제로 하는 작품에 뛰어났다.
백거이는 위응물의 시가 자연 경관에서 비롯된 감정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보았으며, 그의 작품을 "우아하고 한가롭다"고 높이 평가했다.[6] 후대의 문학 평론가들은 종종 위응물을 유종원과 연관 지었으며, 성당(盛唐) 시기의 맹호연과 왕유의 시풍을 계승했다고 여겨 유종원과 더불어 '왕맹위류'(王孟韋柳)로 불리기도 한다.
전종서는 그의 저서 칠추집(七綴集)에서 왕유와 위응물을 비교했다. 이탈리아 문학 평론가 베네데토 크로체의 이론을 인용하여, 위응물을 "un grande-piccolo poetait" 또는 "大的小詩人|다더샤오시런중국어"("위대한 시인 중의 작은 시인")으로, 왕유를 "un piccolo-grande poetait" 또는 "小的大詩人|샤오더다시런중국어"("작은 시인 중의 위대한 시인")으로 묘사했다.[7]
위응물의 시는 시 선집인 ''당시삼백수''에 여러 편 수록되었으며, 위터 바이너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기도 했다. ''당시삼백수''에 실린 대표적인 작품은 다음과 같다.
원제 | 영어 번역 제목 |
---|---|
관저우중연문사 (官齋雨中宴文士) | Entertaining Literary Men in my Official Residence on a Rainy Day |
부양자강증원비서 (賦揚子江贈元秘書) | Setting Sail on the Yangzi to Secretary Yuan |
기전초산중도사 (寄全椒山中道士) | A Poem to a Taoist Hermit Chuanjiao Mountain |
경락봉풍주 (京洛逢 Feng Zhu) | On Meeting my Friend Feng Zhu in the Capital |
석차우이 (夕次盱眙) | Mooring at Twilight in Yuyi District |
동교 (東郊) | East of the Town |
송양씨녀 (送楊氏女) | To my Daughter on Her Marriage Into the Yang Family |
회상희견양천고인 (淮上喜見梁川故人) | A Greeting on the Huai River to my Old Friends from Liangchuan |
모우송이조 (暮雨送李曹) | A Farewell in the Evening Rain to Li Cao |
증이단원석 (贈李儋元錫) | To my Friends Li Dan and Yuanxi |
추야기구원외 (秋夜寄邱員外) | An Autumn Night Message to Qiu |
저주서간 (滁州西澗) | At Chuzhou on the Western Stream |
대표작으로는 『유거(幽居)』(오언고시), 『문안(聞雁)』(오언절구) 등이 있으며, 시집 『위소주집』(韋蘇州集) 10권이 전해진다. 또한, 도연명(陶淵明)을 후대에 처음으로 정당하게 평가한 공적도 크다고 여겨진다.
다음은 대표적인 오언절구 시 『문안(聞雁)』이다.
문안(聞雁) | |
---|---|
원문 | 번역 |
故園渺何處 (고원묘하처) | 고향 정원 아득한데 어느 곳인가 |
歸思方悠哉 (귀사방유재) | 돌아갈 생각만 끝없이 이네 |
淮南秋雨夜 (회남추우야) | 회남 땅 가을비 내리는 밤 |
高齋聞雁來 (고재문안래) | 높은 서재에서 기러기 소리 듣네 |
5. 번역
위응물의 시는 여러 선집에 일부 포함된 것을 제외하면, 당나라 시대의 다른 유명 시인들에 비해 번역이 활발하지 않은 편이다. 시인이자 번역가인 레드 파인(빌 포터)은 위응물의 시 전체를 번역한 영문판 ''In Such Hard Times: The Poetry of Wei Ying-wu''를 Copper Canyon Press에서 2009년에 출판했다. 이 번역서는 로체스터 대학교 출판사가 수여하는 최우수 번역 도서상과 미국 문학 번역가 협회(ALTA)가 제정한 첫 번째 루시앙 스트릭 아시아 번역상(2010)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참조
[1]
웹사이트
韦应物
https://sou-yun.com/[...]
2017-12-12
[2]
서적
唐代基層文官
https://books.google[...]
聯經出版事業公司
[3]
서적
唐詩選箋: 中唐-晚唐
https://books.google[...]
Showwe Information Co Ltd
[4]
문서
Wu, 162
[5]
서적
鲁迅古籍藏書漫谈, Part 1
https://books.google[...]
福建教育出版社
[6]
문서
Bai Juyi, ''Letter to Yuanjiu'': 如近歲韋蘇州歌行,才麗之外,頗近興諷,其五言詩又高雅閑澹,自成一家之體
[7]
서적
Qizhui Ji(七綴集)
Joint Publi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