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표현의 자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표현의 자유는 사상과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할 권리이며, 전근대 시기에는 제한적인 경우가 많았으나 계몽주의 시대를 거치며 기본권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미국 독립선언과 프랑스 혁명에서 표현의 자유가 천명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바이마르 헌법은 검열을 철폐했다. 국제 연합의 세계 인권 선언은 표현의 자유를 기본적인 권리로 규정했다. 표현의 자유는 언론, 출판, 예술, 상업적 표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사이버 공간에서의 표현도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국제법은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며, 자유권규약은 표현의 자유 제한 요건을 명시하고 있다. 표현의 자유는 민주주의의 근간이며, 자기실현을 위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표현의 자유는 집회·결사의 자유, 언론 및 출판의 자유와 관련되며, 알 권리, 프라이버시권 등과도 연관된다. 표현의 자유는 명예훼손, 프라이버시 침해, 혐오 표현, 사이버 폭력, 성 표현 등 다양한 문제와 관련하여 논쟁의 대상이 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권과 자유권 - 집회의 자유
    집회의 자유는 평화적인 집회와 결사의 자유를 보장하며,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행사되어야 하며, 국가별로 보장 범위가 다르고, 헌법재판소와 대법원 판례는 집회의 자유를 보장하면서도 과도하거나 불법적인 집회에 대한 제한을 인정한다.
  • 민권과 자유권 - 인권 옹호자
    인권 옹호자는 인권을 증진하고 보호하는 개인 또는 단체로서, 유엔 인권 옹호자 선언에 따라 보호받아야 하지만 협박, 체포, 살해 등의 위협에 직면하며 국제사회의 지원이 필요하다.
  • 자유 - 결사의 자유
    결사의 자유는 민주주의 사회의 기본 요소로서, 다양한 단체 결성을 통해 사회 발전을 이끌어내며, 국가별 헌법과 법률 해석에 따라 보장 수준이 다르게 나타나며, 친밀한 결사, 표현적 결사, 조직 노동 등과 관련된 쟁점들이 존재한다.
  • 자유 - 집회의 자유
    집회의 자유는 평화적인 집회와 결사의 자유를 보장하며,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행사되어야 하며, 국가별로 보장 범위가 다르고, 헌법재판소와 대법원 판례는 집회의 자유를 보장하면서도 과도하거나 불법적인 집회에 대한 제한을 인정한다.
  • 표현의 자유 - 집회의 자유
    집회의 자유는 평화적인 집회와 결사의 자유를 보장하며,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행사되어야 하며, 국가별로 보장 범위가 다르고, 헌법재판소와 대법원 판례는 집회의 자유를 보장하면서도 과도하거나 불법적인 집회에 대한 제한을 인정한다.
  • 표현의 자유 - 니시야마 사건
    니시야마 사건은 1971년 오키나와 반환 협정 당시, 니시야마 기자가 입수한 밀약 문서를 폭로하면서 발생했고, 이는 미일 간 오키나와 반환 협정의 이면에 원상복구 비용을 일본 측이 부담한다는 내용의 밀약이 존재함을 드러낸 사건이다.
표현의 자유
표현의 자유
정의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자유롭게 말하고 표현할 수 있는 권리
법적 보호많은 국가의 헌법과 인권법에서 보장
제한 조건타인의 명예훼손
공공질서 위협
선동
증오심 표현
국가 안보 위협
역사적 발전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주장
계몽주의 시대에 더욱 강조
프랑스 혁명미국 독립 혁명 통해 확산
현대적 의미민주주의 사회의 핵심 가치
언론의 자유, 출판의 자유, 집회의 자유 등과 밀접
인터넷, 소셜 미디어 등 새로운 매체의 등장으로 논의 확대
중요성개인의 성장과 자기실현에 필수
사회적 변화와 발전을 이끄는 원동력
비판적 사고와 다양한 의견 존중을 위한 토대
관련 문제점가짜 뉴스와 허위 정보 확산
온라인 괴롭힘과 증오심 표현 증가
검열과 정부 감시 강화 우려
각국 사례미국 수정헌법 제1조
대한민국 헌법 제21조
유럽 인권 협약 제10조
논쟁점표현의 자유와 공공의 이익 사이의 균형
혐오 발언과 차별적 발언의 규제 범위
온라인 플랫폼의 책임
예술적 표현의 자유
주요 단체국제앰네스티
국경없는기자회
인권워치

2. 역사

전근대 사회에서는 표현의 자유가 인정되지 않았다. 동아시아에서는 강상죄[69], 사문난적[70] 등으로 표현을 억압했고, 서양에서는 종교개혁 이전 종교재판[71]을 통해 표현을 통제했다. 낭트 칙령 이후에야 신앙의 자유와 함께 다른 교리에 대한 발언이 인정되었다.[71]

계몽주의 시대에 볼테르 등은 표현의 자유를 중요하게 여겼고, 특히 종교적 관용을 강조했다. 칼라스 사건[72]에서 볼테르는 종교적 편견으로 인한 사법살인을 비판하며 표현의 자유를 옹호했다. 토머스 제퍼슨은 독립선언서[63]에, 프랑스 혁명 이후 인간과 시민의 권리 선언[63]에도 표현의 자유가 명시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바이마르 헌법[73]은 검열을 철폐했지만, 나치는 이를 악용하여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켰다. 전후 독일은 반나치법안을 제정해 나치 옹호 표현을 금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연합은 세계 인권 선언[74]을 통해 표현의 자유를 기본적인 권리로 천명했다. 표현의 자유는 정신적 자유권의 핵심이며, 존 밀턴, 볼테르, 존 스튜어트 밀 등이 그 중요성을 강조했다. 프랑스 인권 선언과 세계인권선언 등에도 명시되어 있다.

표현의 자유는 "자기 실현"과 "자치"의 가치에서 우월적 지위를 가지며, 이는 1936년 미국 연방 대법원 판결에서 확립된 이론이다. 개인의 인격 발전에 필수적이며, 사상의 자유 시장을 통해 진리 발견과 사회 발전에 기여한다. 또한 민주주의 정치의 기반이 되며, 권력에 대한 안전판 역할을 한다.

제임스 매디슨은 지식 없는 정부는 비극으로 이어진다고 경고했고, 에블린 베아트리스 홀은 "나는 당신이 말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지만, 당신이 말할 권리는 죽을 때까지 옹호할 것이다"라는 말로 표현의 자유를 옹호했다.[8] 노엄 촘스키는 싫어하는 의견에 대한 표현의 자유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9]

최근 미국에서는 문화 전쟁, 취소 문화[3][11]가 심각해지고 있으며, 캠브리지 대학교는 검열 요구로부터 언론을 보호하는 규칙을 제정했다.[3]

2. 1. 전근대 시기

전근대 시기 세계 대부분의 문화는 표현의 자유를 인정하지 않았다. 한국 등의 동아시아 지역에서 상위 신분을 비난하는 표현은 강상죄로 금지되었다.[69] 사상에서도 국가가 인정하지 않는 것은 사문난적으로 처벌 대상이었다.[70]

서양의 경우 종교개혁 이전에 로마가톨릭의 교리를 부정하는 것은 종교재판에 의해 처벌되었으며, 낭트 칙령 이후에야 신앙의 자유와 함께 서로 다른 교리의 발언을 인정하였다.[71]

볼테르와 같은 계몽주의 사상가들은 표현의 자유를 다른 모든 자유를 보장하는 근간으로 보았으며 특히 종교적 관용을 주장하였다.[71] 볼테르는 가톨릭 신자였지만, 개신교 신자인 칼라스의 아들이 자살하는 사건이 일어났는데, 재판관들이 종교적 편견으로써 불의하게 재판하여 칼라스가 살인 누명을 쓴 채 악형으로써 처형된 사법살인을 비판하고, 자살 사건의 진상을 밝히고 재심을 요구하는 인권사상을 주장함으로써 종교적 사상에 따른 박해를 받지 않게 할 것을 논증하였다. 볼테르가 논설을 발표하자, 프랑스 법원은 재심을 하여 칼라스의 살인의 누명을 벗겼지만, 이미 칼라스는 사법살인을 당한 뒤였다.[72]

토머스 제퍼슨미국독립전쟁에서 독립선언서를 작성하면서 천부인권의 선언과 함께 표현의 자유를 기본권으로 천명하였고, 바스티유 감옥을 무너뜨리며 시작된 프랑스 혁명 이후 발표된 《인간과 시민의 권리 선언》 역시 표현의 자유를 인권으로 선언하였다.[63]

2. 2. 계몽주의 시대와 시민 혁명

볼테르와 같은 계몽주의 사상가들은 표현의 자유를 다른 모든 자유를 보장하는 근간으로 보았으며, 특히 종교적 관용을 주장하였다.[71] 볼테르는 칼라스의 아들이 자살한 사건에서 재판관들이 종교적 편견으로 칼라스에게 살인 누명을 씌워 처형한 것을 비판하고, 재심을 요구하는 인권 사상을 주장하였다.[72]

토머스 제퍼슨은 독립선언서를 작성하면서 표현의 자유를 기본권으로 천명하였고, 프랑스 혁명 이후 발표된 《인간과 시민의 권리선언》 역시 표현의 자유를 인권으로 선언하였다.[63]

2. 3. 현대

볼테르와 같은 계몽주의 사상가들은 표현의 자유를 다른 모든 자유를 보장하는 근간으로 보았으며, 특히 종교적 관용을 주장하였다.[71] 볼테르는 칼라스의 아들이 자살하는 사건에서 종교적 편견으로 불의하게 재판하여 칼라스가 살인 누명을 쓰고 처형된 사법살인을 비판하고, 재심을 요구하는 인권사상을 주장하였다. 프랑스 법원은 재심을 통해 칼라스의 누명을 벗겼지만, 이미 칼라스는 사법살인을 당한 뒤였다.[72]

토머스 제퍼슨은 독립선언서에서 천부인권과 함께 표현의 자유를 기본권으로 천명하였고, 프랑스혁명 이후 발표된 《인간과 시민의 권리선언》 역시 표현의 자유를 인권으로 선언하였다.[63]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바이마르 헌법은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해 검열을 철폐하였다.[73] 그러나 나치는 이러한 헌법을 이용하여 집권하였고,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켰다. 이는 표현의 자유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전후 독일에서는 반나치법안을 제정하여 나치를 옹호하는 표현을 금지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연합은 세계 인권 선언을 채택하여 표현의 자유가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임을 천명하였다. 세계 인권 선언에 보장된 권리를 부당하게 침해당하여 생명과 활동에 제약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은 난민으로서 인정된다.[74]

표현의 자유는 정신적 자유권의 중심적인 지위를 차지하며, 밀턴, 볼테르, 등에 의해 그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프랑스 인권 선언 제11조는 표현의 자유를 "인간의 가장 귀중한 권리 중 하나"라고 명시하고 있으며, 세계인권선언 제21조,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19조 2항에도 규정되어 있다.

표현의 자유는 "자기 실현의 가치"와 "자치의 가치"에서 우월적 지위를 가진다. 이는 1936년 미국 연방 대법원 판결을 계기로 확립된 이론으로, 표현의 자유가 인권 체계 안에서 우월적 지위를 차지한다는 것이다.

표현의 자유는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생각을 받아들임으로써 인격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다는 "개인 가치의 실현"에 필수적이다. 존 밀턴은 『언론·출판의 자유 아레오파지티카』(1644년)에서 표현에 대한 억압을 "자유롭고 지적인 정신에 대해 가해지는 가장 불쾌하고 모욕적인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표현의 자유는 사람의 생각이 오류를 가질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생각에 접함으로써 시정될 수 있으며, 각자가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함으로써 진리를 발견하고 사회 전체적으로 옳은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는 "사상의 자유 시장론"으로 전개되었다.

민주 정치는 피치자의 동의에 근거하며, 이 동의는 표현의 자유 아래에서 형성되어야 한다. 표현의 자유는 민주주의 정치의 전제가 되는 자유로운 토론을 보장하며, 정치 권력의 자기 정당화의 원천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표현의 자유는 권력에 대한 반대가 폭력 등으로 발전하지 않도록 하는 안전판 역할을 하지만, 권력 비판을 허용하는 것은 권력에 의해 가장 상처받기 쉬운 자유이기도 하다. 제임스 매디슨은 "인민적 지식 또는 그것을 획득하는 수단이 없는 인민적 정부라는 것은, 촌극 또는 비극, 혹은 아마도 그 양쪽의 서막에 불과하다"라고 말했다.

에블린 베아트리스 홀은 『볼테르의 친구』에서 "나는 당신이 말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지만, 당신이 말할 권리는 죽을 때까지 옹호할 것이다"라는 문장으로 표현의 자유의 원칙을 설명했다.[8]

노엄 촘스키는 "표현의 자유를 믿는다면, 싫어하는 의견에 대해서도 표현의 자유를 믿는 것이다"라고 지적했다.[9]

리 보린저는 표현의 자유의 원칙에는 뛰어난 자제심을 갖게 하는 특별한 행위가 포함되며, 관용은 바람직한 태도라고 말했다.[10]

미국에서는 문화 전쟁이나 취소 문화의 심각화가 문제가 되고 있으며,[3][11] 캠브리지 대학교는 2020년에 법률의 범위 안에서 "불쾌하게 느낀다"는 검열 요구를 받은 언론을 보호하는 규칙을 제정하고 있다.[3]

3. 범주

표현의 자유는 정신적 자유권의 중심적인 지위를 차지한다고 여겨진다. 내면의 정신 활동이 아무리 자유롭더라도 그것을 외부에 표명하는 자유가 없다면 거의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표현의 자유의 중요성은 밀턴, 볼테르, 등에 의해 설파되어 왔다. 표현의 자유는 민주주의 정치를 지탱하는 기반으로서, 프랑스 인권 선언 제11조에 "인간의 가장 귀중한 권리 중 하나"라고 명시되어 있으며, 세계인권선언 제21조,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19조 2항에도 규정되어 있다.

표현의 자유는 "자기 실현의 가치"나 "자치의 가치"에서 우월적 지위를 가진다는 이론이 있다. 이는 1936년 미국 연방 대법원 판결을 계기로 확립된 것으로, 표현의 자유가 인권 체계 안에서 우월적 지위를 차지한다는 이론이다.

표현의 자유는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타인의 생각을 받아들임으로써 인격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다는 "개인 가치의 실현"에 필수적이다. 존 밀턴은 『언론·출판의 자유 아레오파지티카』(1644년)에서 표현에 대한 억압을 "자유롭고 지적인 정신에 대해 가해지는 가장 불쾌하고 모욕적인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표현의 자유는 각자가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함으로써 진리를 발견하고 사회 전체적으로 옳은 결론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존 밀턴은 『아레오파지티카』에서 "진리와 허위를 싸움붙여라. 자유로운 공개의 승부에서 진리가 진 적이 있는지를 누가 아는가"라고 주장했다. 올리버 웬델 홈스 주니어는 "진리의 최선의 판정 기준은 시장에서의 경쟁 속에서 스스로를 인정시키는 힘을 그 사상이 가지고 있는가이다"라고 말하며 "사상의 자유 시장론"을 전개했다.

국민 주권 원리에 기반한 민주주의는 국민이 자유롭게 의견을 표현하고 토론하는 것을 본질적인 요소로 한다(자치의 가치). 민주 정치는 피치자의 동의에 근거하며, 이 동의는 표현의 자유 아래에서 형성되어야 한다. 표현의 자유는 민주 정치에 필수적인 조건이며, 정치 권력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원천이기도 하다.

표현의 자유는 권력에 대한 반대가 폭력으로 발전하지 않도록 하는 안전판 역할을 하지만, 권력에 의해 가장 상처받기 쉬운 자유이기도 하다. 올리버 웬델 홈스 주니어는 권력을 가진 인간이 자신의 사상을 확신할수록 대립하는 사상을 억압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제임스 매디슨은 "인민적 지식 또는 그것을 획득하는 수단이 없는 인민적 정부라는 것은, 촌극 또는 비극, 혹은 아마도 그 양쪽의 서막에 불과하다"라고 말했다.

에블린 베아트리스 홀은 1906년 『볼테르의 친구』에서 "나는 당신이 말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지만, 당신이 말할 권리는 죽을 때까지 옹호할 것이다"라는 문장으로 볼테르의 신념을 설명했다.[8] 노엄 촘스키는 "표현의 자유를 믿는다면, 싫어하는 의견에 대해서도 표현의 자유를 믿는 것이다"라고 지적했다.[9]

리 보린저는 표현의 자유 원칙이 사회적 상호 작용의 영역을 개척하고 자제심을 갖게 하는 특별한 행위를 포함한다고 주장하며, 관용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10]

최근 미국에서는 문화 전쟁이나 취소 문화가 심각해지고 있다.[3][11] 캠브리지 대학교는 2020년에 "불쾌하게 느낀다"는 검열 요구를 받은 언론을 보호하는 규칙을 제정했다.[3]

음란표현과 같은 특정 표현들 역시 표현의 자유가 보호하는 권리의 범주에 포함된다.[77] 다만, 상업적 제작이나 유통은 법률의 규제를 받으며, 타인의 신체를 무단으로 촬영하는 행위는 범죄이다.[78]

3. 1. 언론과 출판의 자유

표현의 자유는 견해와 사상을 발표하는 매체를 가리지 않고 적용된다. 담화, 연설, 토론과 같이 구두로 표현하는 경우는 언론의 자유라 칭하고, 책, 발행물 같이 문서로 표현하는 경우는 '출판의 자유'라고 칭한다.[75] 이 외에도 연설, 인터넷을 통한 표현 등도 모두 같은 권리로서 취급된다.

회화, 음악 등의 예술작품 역시 표현으로 인정되어 권리를 보장받는다. 대한민국은 도서와 함께 음반 등을 심의 검열하였으나 제작자에게 일정 조건을 갖출 것을 요구하는 규제는 1993년 철폐되었고,[76] 1996년 음반의 사전 심의가 철폐되었다.

3. 2. 예술 표현의 자유

회화, 음악 등의 예술작품 역시 표현으로 인정되어 권리를 보장받는다.[75] 대한민국은 도서와 함께 음반 등을 심의 검열하였으나, 제작자에게 일정 조건을 갖출 것을 요구하는 규제는 1993년 철폐되었고,[76] 1996년 음반의 사전 심의가 철폐되었다.

3. 3. 상업적 표현의 자유

상업적 광고 역시 표현의 일종으로 보호되며, 광고에 의한 모독이나 명예훼손 역시 동일한 원리에 의해 규제된다.[81]

3. 4. 사이버 공간에서의 표현의 자유

최근들어 인터넷 등의 사이버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표현은 예전보다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그런데 인터넷은 여러 사람들의 표현이 보다 쉽게 전달되어 진위 여부나 모독과 같은 부작용이 부각되기도 한다. 최근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가짜 뉴스의 규제를 놓고 논란을 벌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악의적인 왜곡을 막기 위해서는 반나치법과 같은 의미에서 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고[79] 오픈넷과 같은 단체는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점을 들어 이러한 규제를 반대하고 있다.[80]

4. 국제법과 표현의 자유

볼테르와 같은 계몽주의 사상가들은 표현의 자유를 다른 모든 자유를 보장하는 근간으로 보았으며, 특히 종교적 관용을 주장하였다.[71] 토머스 제퍼슨은 독립선언서를 작성하면서 천부인권 사상과 함께 표현의 자유를 기본권으로 천명하였고, 프랑스혁명 이후 발표된 《인간과 시민의 권리선언》 역시 표현의 자유를 인권으로 선언하였다.[63]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바이마르 헌법은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해 검열을 철폐하였다.[73] 그러나 나치는 이러한 헌법을 이용하여 집권하였고, 결국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켰다. 이는 표현의 자유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전후 독일에서는 반나치법안을 제정하여 나치 옹호 표현을 금지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연합은 세계 인권 선언을 채택하여 표현의 자유가 기본적인 권리임을 천명하였다.

4. 1. 세계인권선언과 자유권규약

세계 인권 선언은 국제 연합이 1948년 12월 10일 총회에서 채택하였다.[74] 세계 인권 선언 제19조는 국가와 민족, 종교, 이념을 가리지 않고 표현의 자유가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임을 천명하였다.[74]

1948년 세계인권선언 제21조, 1976년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자유권규약) 제19조 2항에도 표현의 자유가 규정되어 있다.[12]

표현의 자유는 프랑스 인권 선언에서 "가장 귀중한 권리"로 규정되었으며, 세계인권선언에서 "'''의견 및 표현의 자유'''"로 채택되었다.[12]

자유권규약위원회는 협약국의 자유권규약 이행 상황을 감시하고, 개인통보제도에 의한 개별 사건 심사를 통해 판례를 형성하고 있다. 위원회는 "위원회의 일반적인 성격을 갖는 의견"(일반 의견)을 채택할 수 있도록 허용되어 있으며(자유권규약 40조 4항), 표현의 자유에 대해서는 2001년에 채택된 일반 의견 34가 있다.

4. 2. 자유권규약위원회의 역할

자유권규약위원회(이하 "위원회")는 협약국의 자유권규약 이행 상황을 감시하고, 개인통보제도에 의한 개별 사건 심사를 하고 있지만, 자유권규약이 보장하는 권리의 내용은 개인통보제도에 의한 개별 사건 심사를 통해 판례가 형성되고 있다.[12] 위원회는 "위원회의 일반적인 성격을 갖는 의견"(일반 의견)을 채택할 수 있도록 허용되어 있으며(자유권규약 40조 4항), 그러한 일반 의견은 최근에는 위원회의 판례에 기반한 법리가 제시되고 있다. 표현의 자유에 대해서는, 2001년에 채택된 일반 의견 34가 가장 최신 의견이며, 개인 통보 사건의 판례 등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사례에 따른 법리를 제시하고 있다.

4. 3. 표현의 자유의 제한

프랑스 인권 선언에서 사상 및 의견 전달의 자유는 "가장 귀중한 권리"로 규정되었으며, 세계인권선언에서 "의견 및 표현의 자유"로 채택되었다.[12]

자유권규약 제19조는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한을 허용하는 경우를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 제한은 법률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 제한은 특정한 목적(다른 사람의 권리 또는 명예 존중, 국가 안보, 공공질서 또는 공중보건·도덕의 보호) 중 하나를 위해 이루어져야 한다.
  • 제한은 그 목적을 위해 필요해야 한다.


자유권규약 제20조는 전쟁 선전 및 차별 선동을 법률로 금지할 것을 조약 당사국에 요구하고 있으며, 제19조의 특별법으로 여겨진다.

일본은 인종차별철폐협약 체결 시 관련 규정 적용에 있어 "일본국 헌법하의 집회, 결사 및 표현의 자유 기타 권리의 보장과 저촉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의무를 이행한다는 유보를 달았다.[14][15]

4. 4. 전쟁 선전 및 혐오 선동 금지

자유권규약 제20조는 전쟁 선전 및 차별 선동을 법률로 금지할 것을 조약 당사국에 요구하고 있다.[14][15]

이는 제20조에 해당하는 행위를 법률로 금지하는 것을 조약 당사국에 의무화하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제20조에서 금지하는 전쟁 선전·증오 선동을 표현의 자유의 예외로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행위에 대한 법률상의 금지 또한 표현의 자유 제한이 허용되는 경우를 규정한 제19조 제3항에 따라 정당화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제20조는 제19조의 특별법이라고 여겨진다.

참고로, 제20조에 대해 상당수의 서구 선진국이 유보나 해석 선언을 하고 있지만, 일본은 그렇지 않다.

5. 민주주의와 표현의 자유

밀턴, 볼테르, 등은 표현의 자유가 중요하다고 주장해 왔다. 리 보린저는 "표현의 자유 원칙에는 사회적 상호 작용의 영역을 개척하여 뛰어난 자제심을 갖게 한다는 특별한 행위가 포함된다. 그 목적은 사회적 접촉으로 야기되는 감정을 제어하는 사회적 능력을 개발하고 증명하는 것이다"라고 말하며, 관용이 필수는 아니더라도 바람직한 태도라고 했다.[10]

미국에서는 자신과 다른 견해에 대한 관용이 없는 사람들에 의한 문화 전쟁이나 취소 문화가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3][11] 캠브리지 대학교는 2020년, 법률 범위 안에서 "불쾌하다"는 이유로 검열 요구를 받은 언론을 보호하는 규칙을 제정하기도 했다.[3]

자유권규약위원회는 의견 및 표현의 자유를 존중할 의무에 대해 "조약국은 규약의 권리가 사인 또는 법인 간에 적용될 때, 의견 및 표현의 자유에 관한 권리 향유를 손상시키는 행위로부터 개인을 보호해야 한다"고 밝히며, 규약 19조의 권리에도 수평적 효력이 있음을 전제했다.

5. 1. 민주주의의 근간

내면의 정신 활동이 아무리 자유롭더라도 그것을 외부에 표현하는 자유가 없다면 거의 의미가 없다. 따라서 표현의 자유는 정신적 자유권의 핵심으로 여겨진다.[4]

표현의 자유는 민주주의 정치를 뒷받침하는 기반으로서, 프랑스 인권 선언 제11조에 "인간의 가장 귀중한 권리 중 하나"라고 명시된 것처럼, 각국의 헌법과 인권 선언에 보장 규정으로 포함되어 왔다.[4] 1948년 세계인권선언 제21조, 1976년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19조 2항에도 표현의 자유가 규정되어 있다.

표현의 자유는 "자기 실현의 가치"와 "자치의 가치"를 지니므로, 인권 체계 내에서 우월적 지위를 가진다는 이론이 있다.[8] 이 이론은 1936년 미국 연방 대법원 판결을 계기로 확립되었으며, 헌법 학설에서 일반적인 것으로 여겨진다.[8]

표현의 자유는 자신의 정신 활동의 산물을 외부에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것을 받아들임으로써 인격적인 발전을 이루는 "개인 가치의 실현"에 필수적이다.[8] 존 밀턴은 저서 『언론·출판의 자유 아레오파지티카』(1644년)에서 표현에 대한 억압을 "자유롭고 지적인 정신에 대해 가해지는 가장 불쾌하고 모욕적인 것"이라고 썼다.[9]

또한, 표현의 자유는 사람의 생각이 틀릴 수도 있지만, 다른 사람의 생각에 접하면서 고쳐질 수 있으며, 각자가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함으로써 진리를 발견하고 사회 전체적으로 옳은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는 요소도 있다.[9] 존 밀턴은 『아레오파지티카』에서 "진리와 허위를 싸움붙여라. 자유로운 공개의 승부에서 진리가 진 적이 있는지를 누가 아는가"라고 말했다.[9] 이러한 사상은 올리버 웬델 홈스 주니어의 "사상의 자유 시장론"으로 이어졌다.[9] 자유주의적 신념에 따르면, 각 개인의 자발적인 표현이 "사상의 자유 시장"을 형성하고, 그 자유 경쟁 과정에서 진리가 승리하며, 진리에 근거하여 사회가 진보한다고 한다. 표현의 자유는 진리에 도달하는 데 필수적인 수단으로 여겨진다.

국민 주권 원리에 기반한 민주주의는 주권자인 국민이 자유롭게 의견을 표현하고 토론하며 정치 참여를 하는 것을 본질적인 요소로 한다(자치의 가치).[9] 민주 정치는 피치자의 동의에 근거한 정치이며, 이 동의는 표현의 자유 아래에서 형성되어야 한다. 표현의 자유는 민주 정치의 전제가 되는 자유로운 토론을 보장하며,[9] 민주 정치에 필수적인 조건이다. 동시에 정치 권력은 표현의 자유를 통해 자기 정당성을 확보한다.[9]

표현의 자유는 권력에 대한 반대가 폭력 등으로 발전하지 않도록 하는 안전판 기능을 하며, 권력 안정에 기여한다.[10] 그러나 권력 비판을 허용하는 자유는 권력에 위협이 될 수도 있으므로, 표현의 자유는 권력에 의해 가장 억압받기 쉬운 자유이기도 하다.[10] 올리버 웬델 홈스 주니어는 권력을 가진 인간은 자신의 사상이 옳다고 확신할수록 대립하는 사상을 억압하려 한다고 지적했다. 제임스 매디슨은 "인민적 지식 또는 그것을 획득하는 수단이 없는 인민적 정부라는 것은, 촌극 또는 비극, 혹은 아마도 그 양쪽의 서막에 불과하다"라고 말했다.

에블린 베아트리스 홀은 1906년 볼테르의 전기 『볼테르의 친구』에서 "나는 당신이 말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지만, 당신이 말할 권리는 죽을 때까지 옹호할 것이다"라는 문장을 썼다.[8] 노엄 촘스키는 "표현의 자유를 믿는다면, 싫어하는 의견에 대해서도 표현의 자유를 믿는 것이다"라고 지적했다.[9]

5. 2. 자기실현

표현의 자유는 자신의 정신 활동의 산물을 외부에 표현하거나 다른 사람의 그것을 받음으로써 인격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다는 "개인 가치의 실현"에 필수적이다.[8] 존 밀턴은 저서 『언론·출판의 자유 아레오파지티카(1644년)에서 표현에 대한 억압에 대해 "자유롭고 지적인 정신에 대해 가해지는 가장 불쾌하고 모욕적인 것"이라고 썼다.[9]

6. 표현의 자유의 내용

표현의 자유는 정신적 자유권의 핵심으로, 내면의 생각을 외부에 표현할 자유가 없다면 의미가 없다고 여겨진다.[4] 존 밀턴, 볼테르, 존 스튜어트 밀 등은 표현의 자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는 민주주의의 기반이며, 프랑스 인권 선언 등 여러 인권 문서에 명시되어 있다.[4] 세계인권선언과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에도 표현의 자유가 규정되어 있다.

표현의 자유는 "자기 실현"과 "자치"의 가치 때문에 인권 체계 내에서 우월적 지위를 가진다는 이론이 일반적이다.[8] 이는 미국 연방 대법원 판결을 통해 확립되었다.[8]

표현의 자유는 인격 발전에 필수적이다.[8] 존 밀턴은 표현 억압을 "가장 불쾌하고 모욕적인 것"이라고 비판했다.[9] 또한, 자유로운 의견 교환을 통해 진리를 발견하고 사회 전체가 옳은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9] 밀턴은 "진리와 허위를 싸움붙여라"라고 주장했으며, 올리버 웬델 홈스 주니어는 "사상의 자유 시장론"을 전개했다.[9] 자유주의적 신념에서는 개인의 자발적 표현 경쟁을 통해 진리가 승리하고 사회가 진보한다고 본다.

국민 주권 원리에 따른 민주주의는 자유로운 의견 표현과 토론을 통한 정치 참여를 핵심 요소로 한다(자치의 가치).[9] 민주 정치는 피치자의 동의에 근거하며, 이 동의는 표현의 자유 아래에서 형성되어야 한다. 표현의 자유는 권력에 대한 반대가 폭력으로 발전하지 않도록 하는 안전판 역할을 하지만, 권력에 의해 가장 상처받기 쉬운 자유이기도 하다.[10] 올리버 웬델 홈스 주니어는 권력자가 자신의 사상을 확신할수록 대립 사상을 억압하려 한다고 지적했고, 제임스 매디슨은 지식 없는 인민 정부는 비극의 서막이라고 경고했다.

에블린 베아트리스 홀은 "나는 당신이 말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지만, 당신이 말할 권리는 죽을 때까지 옹호할 것이다"라는 문장으로 표현의 자유 원칙을 설명했다.[8] 노엄 촘스키는 싫어하는 의견에 대한 표현의 자유도 믿어야 한다고 강조했다.[9] 리 보린저는 표현의 자유 원칙이 사회적 자제심을 기르는 특별한 행위를 포함한다고 주장했다.[10]

미국에서는 문화 전쟁과 취소 문화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3][11] 캠브리지 대학교는 검열 요구를 받은 언론을 보호하는 규칙을 제정했다.[3]

알렉산더 미클존은 표현의 자유가 민주주의의 핵심이라고 보았다.[18] 에릭 배런트는 이를 "가장 매력적인 표현의 자유 이론"이라고 평가했다.[19] 마틴 레디시는 표현의 자유의 가장 중요한 가치가 자기실현이라고 주장했다.[20]

표현의 자유와 집회·결사의 자유는 역사적 경위가 다르며, 각국 헌법에서 다르게 다룬다.[4] 집회의 자유는 청원권과 관련하여 발전했고, 결사의 자유는 19세기 중반 벨기에 헌법에서 처음 명문화되었다.[4] 독일 기본법과 이탈리아 헌법은 표현의 자유와 집회·결사의 자유를 별개 조문으로 규정한다.[4] 일본국헌법에서는 "집회, 결사 및 언론, 출판 기타 일체의 표현의 자유"를 하나의 조문(일본국헌법 제21조)으로 규정한다.[4]
목적 심사는 제한의 목적이 합헌적인지 여부를 심사한다.[11]


  • 합리성의 기준: 제한 대상 행위와 해악 발생 사이에 합리적 관련성이 있으면 충분하다는 기준이다. 경제적 자유에는 타당하지만, 표현의 자유에는 더 밀접한 관련성이 필요하다.[11]
  •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의 원칙: 올리버 웬델 홈스 주니어가 제시한 법리로, 실질적 해악을 초래하는 명백하고 긴급한 위험이 있을 때만 언론을 규제할 수 있다.[12] 원래는 법령 해석 방법이었으나, 1940년대에 합헌성 판단 기준으로 인정받았다.[13] 일본 하급심 판결 중 채택 사례가 있지만, 대법원은 부정적 판례를 남겼다.


제한 정도와 수단에 대한 심사 기준은 다음과 같다.

  • 필요 최소한도 기준: 제한이 목적 달성에 필요한 최소한이어야 한다는 법리이다.[18]
  • 더 제한적이지 않은 다른 선택 가능한 수단의 기준(LRA 기준): 더 제한적이지 않은 수단으로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위헌으로 판단한다.[18] 미국 판례에서 전개되었으며, 처음에는 경제적 자유 제한에 사용되다가 미국 수정헌법 제1조 영역에서 사용되게 되었다.[18]

6. 1. 집회 및 결사의 자유

집회 및 결사의 자유는 다수인이 공동의 목적을 위해 집합·결합하는 것 자체의 자유뿐만 아니라, 집합·결합을 통해 집단으로서의 의사를 형성하고, 그것을 집단으로서 외부에 표명하는 자유도 포함한다.[25]

  • 집회: 특정 또는 불특정 다수인이 공동의 목적 아래 일정한 장소에 모이는 일시적인 집합체.[25]
  • 결사: 공동의 목적을 위한 특정 다수인의 지속적인 결합체.[25]


집회와 결사는 공동의 목적을 위한 집단적 행위라는 공통점을 가진다.[25] 자유권규약 제20조는 전쟁 선전 및 차별 선동을 법률로 금지할 것을 조약 당사국에 요구하고 있다.

자유권규약위원회는 의견 및 표현의 자유를 존중할 의무는 조약국이 사인 또는 법인에 의한 어떠한 행위로부터도 개인을 보호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하였다.[13]

일본은 인종차별철폐협약 체결 시 제4조의 규정 적용에 있어서 “일본국 헌법하의 집회의 자유, 결사의 자유 및 표현의 자유 기타 권리의 보장과 저촉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이러한 규정에 따른 의무를 이행한다”는 취지의 유보를 달았다.[14][15]

6. 2. 언론 및 출판의 자유

표현의 자유는 견해와 사상을 발표하는 매체를 가리지 않고 적용된다. 담화, 연설, 토론과 같이 구두로 표현하는 경우는 언론의 자유라 칭하고, 책, 발행물 같이 문서로 표현하는 경우는 '출판의 자유'라고 칭한다.[75] 이 외에도 연설, 인터넷을 통한 표현 등도 모두 같은 권리로서 취급된다.

최근 들어 인터넷 등의 사이버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표현은 예전보다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그런데 인터넷은 여러 사람들의 표현이 보다 쉽게 전달되어 진위 여부나 모독과 같은 부작용이 부각되기도 한다. 최근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가짜 뉴스의 규제를 놓고 논란을 벌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악의적인 왜곡을 막기 위해서는 반나치법과 같은 의미에서 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고[79] 오픈넷과 같은 단체는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점을 들어 이러한 규제를 반대하고 있다.[80]

7. 관련 권리

표현의 자유는 정신적 자유권의 핵심이며, 내면의 생각을 외부에 표현하는 자유가 보장되지 않으면 그 의미가 퇴색된다.[8] 존 밀턴, 볼테르, 존 스튜어트 밀 등은 표현의 자유의 중요성을 역설했다.[8] 표현의 자유는 민주주의를 지탱하며, 프랑스 인권 선언을 비롯한 각국의 헌법과 인권 선언에 보장되어 왔다.[8] 세계인권선언과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에도 명시되어 있다.[8]

표현의 자유는 "자기 실현"과 "자치"의 가치를 통해 그 우월적 지위가 확립되었다.[8] 이는 미국 연방 대법원 판결을 계기로 발전된 이론으로, 표현의 자유가 인권 체계 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8]

표현의 자유는 개인의 인격 발전을 위한 "개인 가치 실현"에 필수적이다. 존 밀턴은 『언론·출판의 자유 아레오파지티카』에서 표현 억압을 "자유롭고 지적인 정신에 대한 가장 불쾌하고 모욕적인 것"이라고 비판했다.[8]

또한, 표현의 자유는 진리 발견과 사회 전체의 올바른 결론 도출에 기여한다. 존 밀턴은 『아레오파지티카』에서 "진리와 허위를 싸움붙여라. 자유로운 공개 승부에서 진리가 진 적이 있는가"라고 주장했다. 올리버 웬델 홈스 주니어는 "진리의 최선 판정 기준은 시장 경쟁 속에서 스스로 인정시키는 힘을 그 사상이 가지는가"라며, "사상의 자유 시장"론을 전개했다.[8] 자유주의적 신념에 따르면, 개인의 자발적 표현이 "사상의 자유 시장"을 형성하고, 이 과정에서 진리가 승리하여 사회가 발전한다.[8]

민주 정치는 피치자의 동의에 기반하며, 이 동의는 표현의 자유 아래에서 형성되어야 한다. 표현의 자유는 민주주의 정치의 전제가 되는 자유로운 토론을 보장하며, 정치 권력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원천이 된다.[8]

표현의 자유는 권력에 대한 반대가 폭력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안전판 역할을 하지만, 권력 비판을 허용하는 것은 권력에 위협이 될 수 있다.[8] 올리버 웬델 홈스 주니어는 권력자가 자신의 사상을 확신할수록 대립 사상을 억압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8] 제임스 매디슨은 "인민적 지식 또는 그것을 획득하는 수단이 없는 인민 정부는 촌극 또는 비극, 혹은 그 양쪽의 서막에 불과하다"라고 경고했다.[8]

에블린 베아트리스 홀은 『볼테르의 친구』에서 "나는 당신 말에 동의하지 않지만, 당신이 말할 권리는 죽을 때까지 옹호할 것이다"라는 문장으로 표현의 자유 원칙을 설명했다.[8] 노엄 촘스키는 "표현의 자유를 믿는다면, 싫어하는 의견에 대해서도 표현의 자유를 믿는 것이다"라고 강조했다.[8]

리 보린저는 표현의 자유 원칙이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자제심을 갖게 하고, 관용적 태도를 함양하는 데 기여한다고 주장했다.[8]

최근 미국에서는 문화 전쟁과 취소 문화가 심화되면서 표현의 자유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8] 캠브리지 대학교는 2020년에 법률 범위 내에서 불쾌감을 유발하는 언론을 보호하는 규칙을 제정했다.[8]

7. 1. 알 권리

국민 주권 원리에 따른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자유로운 논의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국민이 쟁점을 판단하는 데 필요한 의견과 정보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23] '사상의 자유 시장'론에서도 각 개인은 타인의 생각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 요구된다.

알 권리는 국민이 정부에 대해 일반적으로 정보공개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이다. 일본에서도 적극적인 정보청구권으로서의 알 권리는 헌법 제21조의 보장에 포함된다고 해석된다. 다만, 정부에 대한 정보공개를 요구할 권리가 헌법 제21조에 의해 보장된다고 해도, 개개인이 법정에서 이를 청구하기 위해서는 공개의 기준, 요건, 절차에 관해 법률로 구체화될 필요가 있으므로, 헌법 제21조가 보장하는 정보공개청구권은 추상적인 청구권에 그친다고 해석된다.

일본에서는 행정기관이 보유하는 정보의 공개에 관한 법률(平成11年法律第42号)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알 권리"를 근거로 하지 않으며, 공개 대상 범위가 불충분하다는 지적도 있다. 헌법을 개정하여 국가의 최고 법규인 헌법에 명시하려는 주장도 있다.

'알 권리'와 상반되는 개인정보보호권도 있으며, EU는 가맹국들에게 지령에 따른 법률 정비를 촉구하는 동시에, 국내법의 시행 상황을 감시하는 기관을 마련하도록 규정하고 있다.[23]

7. 2. 정보공개청구권

알 권리는 국민이 정부에 대해 일반적으로 정보공개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로 구성된다.[23] 정보공개법과 관련하여, 일본에서도 적극적인 정보청구권으로서의 알 권리는 헌법 제21조의 보장에 포함된다고 해석된다.[23] 다만, 정부에 대한 정보공개를 요구할 권리가 헌법 제21조에 의해 보장된다고 해도, 개개 국민이 법정에서 이를 청구하기 위해서는 공개의 기준, 요건, 절차에 관해 법률로 구체화될 필요가 있으므로, 헌법 제21조가 보장하는 정보공개청구권은 추상적인 청구권에 그친다고 해석된다.[23] 일본에서는 행정기관이 보유하는 정보의 공개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알 권리"를 근거로 하지 않으며, 또한 여전히 공개 대상 범위가 불충분하다는 지적도 있다. 더 나아가, 헌법을 개정하여 국가의 최고 법규인 헌법에 명시하려는 주장도 있다.

7. 3. 언론의 자유 및 취재의 자유

현대 사회에서 국민이 필요로 하는 정보의 상당 부분은 언론 기관의 보도를 통해 전달된다.[8]

일본 최고재판소는 하카타역 TV 필름 제출 명령 사건(최고결 쇼와 44년 11월 26일 형집 23권 11호 1490면)에서 언론의 자유에 대해 다음과 같이 판시했다. "언론 기관의 보도는 민주주의 사회에서 국민이 국정에 참여하는 데 중요한 판단 자료를 제공하고, 국민의 '알 권리'에 봉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상 표현의 자유와 함께 사실 보도의 자유는 표현의 자유를 규정한 헌법 21조의 보장 아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취재의 자유에 대해서도 "언론 기관의 보도가 정확한 내용을 갖기 위해서는 보도의 자유와 함께 보도를 위한 취재의 자유도 헌법 21조의 정신에 비추어 충분히 존중받을 만한 것이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라고 판시했다.[8]

일본국헌법에서는 제21조에 표현의 자유가 규정되어 있다.

7. 4. 사죄 광고

신문에 사과 광고를 게재하도록 명하는 법원의 판결은 대한민국 헌법 제19조 위반이 되지 않는다. 이것은 1956년에 최고재판소 대법정에서 판단된 바 있으며(1956년 7월 4일)[24], “그 광고의 내용이 단순히 사태의 진상을 고백하고 사죄의 뜻을 표명하는 정도의 것”에 대해서는 (구) 민사소송법 제733조에 따라 대집행을 할 수도 있다.

8. 표현의 자유와 관련된 합헌성 심사 기준

표현의 자유는 정신적 자유권의 핵심으로, 내면의 생각을 외부에 표현할 자유가 없으면 그 의미가 거의 없기에 중요하다.[4] 존 밀턴, 볼테르, 존 스튜어트 밀 등은 표현의 자유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이는 민주주의를 지탱하는 기반이며, 프랑스 인권 선언 제11조는 "인간의 가장 귀중한 권리 중 하나"로 명시했고, 각국 헌법과 세계인권선언 제21조,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19조 2항에도 보장되어 있다.[4]

표현의 자유는 "자기 실현"과 "자치"라는 가치를 통해 그 우월성이 인정된다. 1936년 미국 연방 대법원 판결로 확립된 우월적 지위 이론은 표현의 자유가 인권 체계에서 우선적 지위를 갖는다고 본다.[8]

표현의 자유는 개인의 인격 발전을 위한 "자기 실현"에 필수적이다.[8] 밀턴은 『언론·출판의 자유 아레오파지티카』(1644)에서 표현 억압을 "가장 불쾌하고 모욕적인 것"이라 비판했다.[9]

또한, 표현의 자유는 진리 발견과 사회 전체의 올바른 결론 도출에 기여한다.[9] 밀턴은 "진리와 허위를 싸움붙여라. 자유로운 공개 승부에서 진리가 진 적이 있는가"라고 했다.[9] 올리버 웬델 홈스 주니어는 "사상의 자유 시장"론을 통해 진리의 판정 기준을 시장 경쟁에 비유했다.[9] 자유주의 신념은 개인의 자발적 표현이 경쟁하는 "사상의 자유 시장"에서 진리가 승리하고 사회가 발전한다고 본다.

국민 주권에 기반한 민주주의에서 표현의 자유는 국민의 자유로운 의견 표명과 토론을 통한 정치 참여(자치의 가치)를 보장한다.[9] 민주 정치는 피치자의 동의에 기초하며, 이 동의는 강제 없이 표현의 자유 아래에서 형성되어야 한다. 표현의 자유는 권력 반대가 폭력으로 발전하지 않도록 하는 안전판 역할을 하지만, 권력 비판을 허용하기에 권력에 의해 억압받기 쉽다.[10] 제임스 매디슨은 "지식이나 수단이 없는 인민 정부는 촌극이나 비극의 서막"이라고 경고했다.

에블린 베아트리스 홀은 볼테르 전기를 통해 "나는 당신 말에 동의하지 않지만, 말할 권리는 옹호할 것이다"라며 표현의 자유를 설명했다.[8] 노엄 촘스키는 "싫어하는 의견에 대해서도 표현의 자유를 믿는 것"이라 강조했다.[9] 리 보린저는 표현의 자유가 자제심을 갖게 하고, 관용이 필수적이라고 했다.[10]

미국에서는 문화 전쟁, 취소 문화 심화로 표현의 자유 논쟁이 있다.[3][11]

표현의 자유와 관련된 합헌성 심사 기준으로 이중의 기준론이 제시된다. 이 이론은 표현의 자유에 대한 규제가 경제적 자유에 대한 규제보다 더 엄격한 심사 기준을 거쳐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명확성의 이론, 과도한 광범성의 이론, 그리고 사전억제금지의 법리가 표현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법리로 작용한다.

8. 1. 이중 기준론

표현의 자유에 대한 위헌성 심사 기준으로 이중의 기준론이 주장된다.[10] 이중 기준론은 경제적 자유와 정신적 자유를 구별하여, 경제적 자유를 규제하는 입법에 대해서는 합헌성 추정을 폭넓게 인정하고 '합리성의 기준'으로 합헌성을 판단한다. 반면 정신적 자유를 규제하는 입법에 대해서는 합헌성 추정을 배제하고 '합리성의 기준'보다 엄격한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법리이다.[10]

이중 기준론의 근거는 다음과 같다.[10]

  • 표현의 자유에는 경제적 자유에 인정되는 정책적 제한이 인정되지 않는다.
  • 표현의 자유 남용으로 인한 폐해는 경제적 자유 남용으로 인한 폐해보다 객관적으로 명백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표현의 자유 제한이 필요하고 불가피한지 여부는 더욱 엄밀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
  • 경제적 자유가 부당하게 제한되더라도 자유로운 토론이라는 민주주의적 정치 과정을 통해 시정할 수 있다. 그러나 표현의 자유가 부당하게 제한되면 자유로운 토론 자체가 제한되므로, 민주주의적 정치 과정이 제대로 기능하지 않아 시정이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11]


표현의 자유의 우월성으로 인해 특정 경우에는 법령을 문면상 무효로 해야 한다는 요구가 있다.[20]

  • '''명확성의 이론·과도한 광범성의 이론'''
  • '''명확성의 이론'''이란, 법령의 문언이 모호하고 불명확하여 어떤 행위를 규제하려는 것인지 명확하지 않을 때, 그리고 규제가 과도하게 광범위하여 본래 제한해야 할 행위가 아닌 행위도 규제 대상에 포함하는 경우에 법령을 무효로 하는 것이다.[20]
  • 명확성의 이론은 표현의 자유 규제 입법에 고유한 것은 아니다. 사람의 행위를 규제하고 처벌하는 법령의 규정은 명확해야 한다는 것은 적법절차 또는 죄형법정주의 원칙에서 일반적으로 요구된다.[20] 명확성을 갖추지 못한 법령은 국민에게 어떤 행위가 규제 대상이 되는지 적절하게 알릴 수 없고, 자의적인 법 적용을 초래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20]
  • 일본에서는 도쿠시마시 공안조례 사건에서 최고재판소가 형벌 법규가 정하는 범죄 구성 요건이 애매모호할 때는 헌법 제31조에 위반되어 무효가 된다고 판시했다. "일반적인 판단 능력을 가진 일반인의 이해에 있어서, 구체적인 경우에 해당 행위가 그 적용을 받는지 여부의 판단을 가능하게 하는 기준이 읽히는지 여부에 따라 이것을 결정해야 한다"고 판시했다.
  • '''과도한 광범성의 이론'''이란, 법이 어떤 종류의 표현 행위에 대해 합헌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범위를 초과하여 포괄적으로 규제하고 있을 때, 해당 법령의 규정을 문면상 무효로 해야 한다는 법리를 말한다.[21]
  • '''사전억제금지의 법리'''
  • 사전억제금지의 법리란, 법이 표현 행위에 대한 사전 억제를 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제한의 목적을 묻지 않고도 문면상 무효로 한다는 것을 말한다.[23]
  • 사전억제가 금지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첫째, 해당 표현이 시장에 나오기 전에 공권력이 억제한다는 점에서 "사상의 자유 시장" 관념에 반한다.
  • 둘째, 사후억제에 비해 공권력에 의한 규제 범위가 광범위하게 미치고 절차상 보장이나 억제적 효과 면에서도 사후억제에 비해 문제가 많다.
  • 다만, 사전억제에는 여러 형태가 있으며, 예외적으로 일정한 사전억제를 긍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23]
  • 사전억제의 전형은 검열이다. 일본에서는 검열은 헌법 제21조 제2항에 의해 금지되고 있지만, 헌법 제21조 제2항의 "검열"이란 행정권이 표현 내용을 심사하여 표현 행위를 허가받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검열은 일체의 예외가 허용되지 않고 절대적으로 금지된다고 해석된다.[23]
  • 한편, 사법절차를 통해 이루어지는 표현 행위의 사전 금지에도 사전억제금지의 법리가 작용한다. 하지만 억제의 주체가 법원이며, 재판이라는 신중한 절차를 거치므로, 행정권에 의한 사전억제와는 별개로 고려해야 한다고 여겨진다.[24]

8. 2. 목적 심사 기준

표현의 자유에 대한 위헌성 심사 기준으로 이중의 기준론이 주장된다.[10] 이중의 기준론은 경제적 자유와 정신적 자유를 구별하여, 경제적 자유의 규제 입법에 대해서는 합헌성 추정을 폭넓게 인정하고 “합리성의 기준”에 의해 합헌성을 판단하지만, 정신적 자유의 규제 입법에 대해서는 합헌성의 추정을 배제하고 “합리성의 기준”보다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는 이론이다.[10]

이중의 기준론의 근거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제시된다.[10]

  • 표현의 자유에는 경제적 자유에 인정되는 정책적 제한이 인정되지 않는다.
  • 표현의 자유 남용으로 인한 폐해는 경제적 자유 남용으로 인한 폐해보다 객관적으로 명백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표현의 자유 제한이 필요하고 불가피한지 여부를 더 엄밀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
  • 경제적 자유가 부당하게 제한되더라도 자유로운 토론이라는 민주주의적 정치 과정을 거쳐 시정할 수 있지만, 표현의 자유가 부당하게 제한되는 경우에는 자유로운 토론 자체가 제한되므로 민주주의적 정치 과정이 제대로 기능하지 않아 시정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11]


표현의 자유의 우월성으로 인해 특정한 경우에는 법령을 문면상 무효로 해야 한다는 요구가 있다.[20]

  • 명확성의 이론·과도한 광범성의 이론
  • 명확성의 이론은 법령의 문언이 모호하여 어떤 행위를 규제하려는 것인지 명확하지 않거나, 규제가 과도하게 광범위하여 제한해야 할 행위가 아닌 행위도 규제 대상에 포함하는 경우에 법령을 무효로 하는 것이다.[20]
  • 명확성의 이론은 표현의 자유 규제 입법에 고유한 것은 아니며, 사람의 행위를 규제하고 처벌하는 법령의 규정은 명확해야 한다는 적법절차 또는 죄형법정주의 원칙에서 일반적으로 요구된다.[20] 명확하지 않은 법령은 국민에게 어떤 행위가 규제 대상인지 제대로 알리지 못하고, 자의적인 법 적용을 초래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20]
  • 일본에서는 도쿠시마시 공안조례 사건에서 최고재판소가 형벌 법규가 정하는 범죄 구성 요건이 애매모호할 때는 헌법 제31조에 위반되어 무효가 된다고 판시하였다.
  • 과도한 광범성의 이론은 법이 어떤 종류의 표현 행위에 대해 합헌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범위를 초과하여 포괄적으로 규제하고 있을 때, 해당 법령의 규정을 문면상 무효로 해야 한다는 법리이다.[21]

  • 사전억제금지의 법리
  • 사전억제금지의 법리는 법이 표현 행위에 대한 사전 억제를 규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제한 목적과 관계없이 문면상 무효로 한다는 것이다.[23]
  • 사전억제가 금지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표현이 시장에 나오기 전에 공권력이 억제하는 것은 “사상의 자유 시장” 관념에 반한다.
  • 사후억제에 비해 공권력에 의한 규제 범위가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절차상 보장이나 억제적 효과 면에서 사후억제보다 문제가 많다.
  • 다만, 사전억제에는 여러 형태가 있으며, 예외적으로 사전억제를 인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23]
  • 검열은 사전억제의 전형이다. 일본에서는 헌법 제21조 제2항에 의해 검열이 금지되며, 행정권이 표현 내용을 심사하여 표현 행위를 허가하는 검열은 예외 없이 절대적으로 금지된다.[23]
  • 사법절차를 통한 표현 행위의 사전 금지에도 사전억제금지의 법리가 적용되지만, 억제 주체가 법원이고 재판이라는 신중한 절차를 거치므로 행정권에 의한 사전억제와는 다르게 고려해야 한다.[24]

8. 3. 수단 심사 기준

표현의 자유에 대한 위헌성 심사 기준으로 이중의 기준론이 주장된다.[10] 이중의 기준론은 경제적 자유와 정신적 자유를 구별하여, 경제적 자유의 규제 입법에 대해서는 합헌성 추정을 폭넓게 인정하고 '합리성의 기준'으로 합헌성을 판단하지만, 정신적 자유의 규제 입법에 대해서는 합헌성 추정을 배제하고 '합리성의 기준'보다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는 이론이다.[10]

이중의 기준론의 근거는 다음과 같다.[10]

  • 표현의 자유에는 경제적 자유에 대해 인정되는 정책적 제한이 인정되지 않는다.
  • 표현의 자유 남용으로 인한 폐해는 경제적 자유 남용으로 인한 폐해보다 객관적으로 명백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표현의 자유 제한이 필요하고 불가피한지 여부를 더 엄밀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
  • 경제적 자유가 부당하게 제한되더라도 자유로운 토론이라는 민주주의적 정치 과정을 통해 시정할 수 있지만, 표현의 자유가 부당하게 제한되면 자유로운 토론 자체가 제한되므로 민주주의적 정치 과정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시정이 어려워진다.[11]


표현의 자유의 우월성 때문에 특정한 경우에는 법령을 문면상 무효로 해야 한다.[20]

  • 명확성의 이론·과도한 광범성의 이론
  • 명확성의 이론은 법령의 문언이 모호하여 어떤 행위를 규제하려는 것인지 명확하지 않거나, 규제가 과도하게 광범위하여 제한해야 할 행위가 아닌 행위도 규제 대상에 포함하는 경우에 법령을 무효로 하는 것이다.[20]
  • 명확성의 이론은 표현의 자유 규제 입법에 고유한 것은 아니며, 사람의 행위를 규제하고 처벌하는 법령의 규정은 명확해야 한다는 적법절차 또는 죄형법정주의 원칙에서 일반적으로 요구된다.[20] 명확하지 않은 법령은 국민에게 어떤 행위가 규제 대상인지 알리지 못하고, 자의적인 법 적용을 초래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20]
  • 일본에서는 도쿠시마시 공안조례 사건에서 최고재판소가 형벌 법규가 정하는 범죄 구성 요건이 애매모호하면 헌법 제31조에 위반되어 무효가 된다고 판시하였다.
  • 과도한 광범성의 이론은 법이 합헌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범위를 초과하여 포괄적으로 규제하고 있을 때, 해당 법령의 규정을 문면상 무효로 해야 한다는 법리이다.[21]

  • 사전억제금지의 법리
  • 사전억제금지의 법리는 법이 표현 행위에 대한 사전 억제를 규정하고 있는 경우, 원칙적으로 제한 목적과 관계없이 문면상 무효로 한다는 것이다.[23]
  • 사전억제가 금지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표현이 시장에 나오기 전에 공권력이 억제하는 것은 '사상의 자유 시장' 관념에 반한다.
  • 사후억제에 비해 공권력에 의한 규제 범위가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절차상 보장이나 억제적 효과 면에서 사후억제보다 문제가 많다.
  • 다만, 사전억제에는 여러 형태가 있으며, 예외적으로 사전억제를 인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23]
  • 사전억제의 전형은 검열이다. 일본에서는 검열이 헌법 제21조 제2항에 의해 금지되고 있는데, 여기서 '검열'은 행정권이 표현 내용을 심사하여 표현 행위를 허가에 맡기는 것을 의미하며, 검열은 예외 없이 절대적으로 금지된다고 해석된다.[23]
  • 사법절차를 통해 이루어지는 표현 행위의 사전 금지에도 사전억제금지의 법리가 적용되지만, 억제 주체가 법원이고 재판이라는 신중한 절차를 거치므로 행정권에 의한 사전억제와는 다르게 고려해야 한다고 여겨진다.[24]

8. 4. 문면 심사 기준

표현의 자유에 대한 위헌 심사 기준으로 이중의 기준론이 주장된다.[10] 이중의 기준론은 경제적 자유와 정신적 자유를 구별하여, 경제적 자유를 규제하는 입법에 대해서는 합헌성 추정을 폭넓게 인정하고 '합리성의 기준'으로 합헌성을 판단한다. 반면, 정신적 자유를 규제하는 입법에 대해서는 합헌성 추정을 배제하고 '합리성의 기준'보다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는 법리이다.[10]

이중의 기준론이 적용되는 근거는 다음과 같다.[10]

  • 표현의 자유에는 경제적 자유에 인정되는 정책적 제한이 인정되지 않는다.
  • 표현의 자유 남용으로 인한 폐해는 경제적 자유 남용으로 인한 폐해보다 객관적으로 명백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표현의 자유 제한이 필요하고 불가피한지 여부를 더 엄밀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
  • 경제적 자유가 부당하게 제한되더라도 자유로운 토론이라는 민주주의적 정치 과정을 거쳐 시정할 수 있지만, 표현의 자유가 부당하게 제한되는 경우에는 자유로운 토론 자체가 제한되므로 민주주의적 정치 과정이 제대로 기능하지 않아 시정이 어렵다.


표현의 자유의 우월성으로 인해 특정한 경우에는 법령을 문면상 무효로 해야 한다는 요구가 있다.[20]

  • 명확성의 원칙·과도한 광범성의 이론
  • 명확성의 원칙이란, 법령의 문언이 모호하여 어떤 행위를 규제하려는 것인지 명확하지 않을 때, 그리고 규제가 과도하게 광범위하여 제한해야 할 행위가 아닌 행위도 규제 대상에 포함하는 경우에 법령을 무효로 하는 것이다.[20]
  • 명확성의 원칙은 표현의 자유 규제 입법에 고유한 것은 아니며, 사람의 행위를 규제하고 처벌하는 법령의 규정은 명확해야 한다는 적법절차 또는 죄형법정주의 원칙에서 일반적으로 요구된다.[20] 명확성을 갖추지 못한 법령은 국민에게 어떤 행위가 규제 대상이 되는지 알리지 못하고, 자의적인 법 적용을 초래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20]
  • 일본에서는 도쿠시마시 공안조례 사건에서 최고재판소가 형벌 법규가 정하는 범죄 구성 요건이 애매모호할 때는 헌법 제31조에 위반되어 무효가 된다고 판시하였다.
  • 과도한 광범성의 이론이란, 법이 어떤 종류의 표현 행위에 대해 합헌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범위를 초과하여 포괄적으로 규제하고 있을 때, 해당 법령의 규정을 문면상 무효로 해야 한다는 법리이다.[21]

  • 사전억제금지의 법리
  • 사전억제금지의 법리란, 법이 표현 행위에 대한 사전 억제를 규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제한의 목적을 불문하고 문면상 무효로 한다는 것을 말한다.[23]
  • 사전억제가 금지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당해 표현이 시장에 나오기 전에 공권력이 억제한다는 점에서 '사상의 자유 시장' 관념에 반한다.
  • 사후억제에 비해 공권력에 의한 규제 범위가 광범위하게 미치고 절차상 보장이나 억제적 효과 면에서도 사후억제보다 문제가 많다.
  • 다만, 사전억제에는 여러 형태가 있으며, 예외적으로 일정한 사전억제를 인정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23]
  • 사전억제의 전형은 검열이다. 일본에서는 검열은 헌법 제21조 제2항에 의해 금지되고 있으며, 헌법 제21조 제2항의 '검열'은 행정권이 표현 내용을 심사하여 표현 행위를 허가에 맡기는 것을 의미한다. 검열은 예외 없이 절대적으로 금지된다고 해석된다.[23]
  • 한편, 사법절차를 통해 이루어지는 표현 행위의 사전 금지에도 사전억제금지의 법리가 적용되지만, 억제의 주체가 법원이며 재판이라는 신중한 절차를 거치므로 행정권에 의한 사전억제와는 다른 고려를 해야 한다고 여겨진다.[24]

9. 한국의 표현의 자유

대한민국 헌법은 제21조 제1항에서 언론·출판의 자유와 집회·결사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다.[27] 이는 정신적 자유권의 핵심이며, 민주주의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권리이다.

그러나 2014년 이후 한국에서는 집회 및 시위 관련 법률 위반으로 기소되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27] 경찰의 재량권이 넓어 정부 비판을 억제하려는 시도라는 비판도 제기된다.[27] 2019년 "한국 언론 자유를 위한 연합"은 대통령에게 보내는 서한에서 정부가 명예훼손죄를 악용하여 정치적 반대 의견을 검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28]

2014년 대한민국 헌법재판소는 친북 성향의 통합진보당 해산을 결정했는데,[29] 이는 정당 활동의 자유를 제한하여 민주주의의 위기라는 비판을 받았다.[29]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한국방송공사(KBS) 사장이 청와대의 압력을 받아 정부 비판을 자제하도록 지시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어[30] KBS 노조가 파업을 벌였고, 해당 사장은 해임되었다.

같은 시기 박근혜 대통령 관련 기사를 작성한 일본 산케이 신문 서울지국장이 기소되었으나,[31][32] 2015년 무죄를 선고받았다.[33]

일본군 위안부 문제 관련 『제국의 위안부』 저자 세종대학교 박유하 명예교수는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2024년 파기환송심에서 무죄가 확정되었다.[34] 산케이신문은 이 사건을 한국에서 일본 관련 문제에 대한 언론 자유 억압 사례로 지적했다.[34]

9. 1. 대한민국 헌법과 표현의 자유

대한민국 헌법은 제21조 제1항에서 집회·결사·언론·출판의 자유를 규정하고 있다.[27]

2014년 이후 한국에서는 집회 및 시위 관련 법률 위반으로 인한 기소 건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해당 법률 적용에는 경찰의 재량이 넓게 인정되고 있어 정부에 대한 비판을 통제하려는 시도라는 시각도 있다.[27] 2019년에는 “한국 언론 자유를 위한 연합”이 “한국 정부는 명예훼손을 악용하여 정치적으로 반대 의견을 검열하고 있다”는 내용의 대통령에게 보내는 서한을 공개하기도 했다.[28]

대한민국 헌법재판소2014년 12월 19일 정부의 해산 청구를 인용, 친북한 성향의 소수 야당인 통합진보당 해산을 명하는 판결을 내렸다. 이는 민주주의의 기본적 권리인 정당 활동 및 결사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이어서 “민주주의의 위기”라는 비판도 제기되었다.[29]

2014년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한국방송공사(KBS)의 길환영 사장이 청와대의 의중을 받아 정부 비판을 자제하도록 지시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30] KBS 이사회는 사장 해임안 제출 여부를 묻는 표결을 연기했고, 이에 반발한 전국언론노조 KBS본부와 KBS노동조합은 5월 말부터 파업에 돌입했다.[30] 이후 6월에 길환영 사장은 해임되었다.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박근혜 대통령의 행적을 둘러싸고 작성된 기사 때문에 일본 산케이 신문 서울지국장(당시)이 재택기소되는 사건도 발생했다.[31][32] 국제 NGO가 기소를 비난하고, 서울 외신기자클럽 이사회는 출국금지 조치의 지속에 우려를 표명하는 등 한국 측 조치에 대한 비판이 높아졌지만, 2015년 4월 출국금지 조치는 해제되었다.[31][32] 같은 해 12월 17일, 서울중앙지법은 지국장에게 무죄 판결(구형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했다.[33]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 『제국의 위안부』의 내용이 “원 위안부의 명예를 훼손했다”는 이유로 2014년부터 명예훼손죄로 기소되었던 세종대 박유하 명예교수에 대한 파기환송심에서 무죄 판결이 2024년 확정되었다. 산케이신문은 표현의 자유가 존중되는 당연한 사법 판단이 내려지기까지 약 10년이나 걸린 것은 한국에서 일본 관련 문제에 있어 자유로운 언론이 억압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하고 있다.[34]

9. 2. 표현의 자유의 제약

일본국 헌법하에서도 표현 행위가 타인과의 관계를 전제로 하는 이상, 표현의 자유에는 타인의 이익이나 권리와의 관계에서 일정한 내재적 제약이 존재한다.[5] 내재적 제약이란, 첫째로 인권의 행사는 타인의 생명이나 건강을 해치는 방법으로 행해져서는 안 되며, 둘째로 타인의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6]

일본국 헌법에서 표현의 자유 제약의 근거에 대해서는 학설이 분분하다. 통설은 표현의 자유는 일본국 헌법 제13조의 “공공복리”에 의한 제약을 받는다고 한다.[6] “공공복리”라는 용어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제한(외재적 제약, 정책적 제약)을 포함한 포괄적인 제약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비판도 있다. 이에 헌법 제13조는 훈시적 규정이며 인권의 제약을 직접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인권의 내재적 제약은 각각의 인권의 속성에 따라 당연히 인정된다는 학설[25]도 있다. 그러나 그러한 견해에 의해서도 내재적 제약과 정책적 제약과의 구별이 반드시 명확해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다.[6] 또한, 헌법 제13조를 훈시적 규정으로 하면 위헌심사 기준인 필요 최소한의 기준의 헌법상 근거가 모호해진다는 지적도 있다.[6]

표현의 자유 제약의 헌법상 근거를 헌법 제13조로 하면서, 헌법 제13조의 “공공복리”의 의미는 내재적 제약으로 한정하고, 그 구체적 의미를 확정할 필요가 있다는 학설도 있다.[6]

초기 판례(대법원 판결 쇼와 24년 5월 18일 형집 3권 6호 839면 등)는 헌법 제13조의 “공공복리”의 의미 내용을 극히 포괄적·추상적으로 파악했기 때문에 학설의 대부분은 비판적이었다.[7] 학설에는 비교형량론을 주장하는 것도 있었지만, 최고재판소의 판례에서도 특히 1965년 이후가 되면 몇몇 분야에서 비교형량의 방법이 채택되었다.[7] 예를 들어 하카타역 TV 필름 제출 명령 사건은 취재 필름 제출 명령에 대해 “공정한 형사 재판의 실현”이라는 관점에서 비교형량을 실시하고 있다(대법원 결정 쇼와 44년 11월 26일 형집 23권 11호 1490면). 학설에서는 정신적 자유권과 대립하는 이익도 헌법상 중요한 인권인 경우(인격권 등)에는 개별적 비교형량 이론이 적용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무원칙·무정량의 비교형량을 피하기 위해서도 이익형량을 위한 기준이 필요하다.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의 기준, 과도한 모호성의 기준, LRA의 기준 등이 이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26]

9. 3. 검열의 금지

일본국헌법 제21조 제2항은 “검열은 이를 해서는 안 된다. 통신의 비밀은 이를 침해해서는 안 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북방저널 사건에서 최고재판소는 “헌법 21조 2항 전단에 말하는 검열이란, 행정권이 주체가 되어, 사상 내용 등의 표현물을 대상으로 하여, 그 전부 또는 일부의 발표 금지를 목적으로 하여, 대상이 되는 일정한 표현물에 관하여 포괄적 일반적으로, 발표 전에 그 내용을 심사한 뒤, 부적당하다고 인정하는 것의 발표를 금지하는 것을, 그 특질로서 갖추는 것을 가리킨다”라고 판시하였다.(최고재판소 판결 쇼와 61년 6월 11일 민집 제40권 4호 872면).

세관검사에 대해 최고재판소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검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시했다(최고재판소 판결 쇼와 59년 12월 12일 민집 제38권 12호 1308면).

# 수입 금지 표현물은 일반적으로 국외에서 이미 발표된 것이므로, 수입을 금지해도 해당 표현물의 사전 발표 자체를 일체 금지하는 것은 아니다.

# 사상 내용 자체를 포괄적으로 심사하여 규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 세관은 관세 확정 및 징수가 본래 직무 내용이며, 사상 내용 등을 대상으로 규제하는 것을 독자적인 사명으로 하지 않는다. 또한, 사상 내용 등의 표현물에 관하여 세관장 통지가 있을 때 사법 심사 기회가 주어지므로, 행정권 판단이 최종적인 것이 아니다.

또한, 교과서 검정에 대해, 최고재판소는 가네나가 교과서 재판(제1차 소송)에서 “일반 도서로서의 발행을 전혀 방해하는 것이 아니고, 발표 금지 목적이나 발표 전의 심사 등의 특질이 없으므로, 검열에 해당하지 않고, 헌법 21조 2항 전단의 규정에 위반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판시했다(최고재판소 판결 헤이세이 5년 3월 16일 민집 제47권 5호 3483면).

9. 4. 표현의 자유 관련 주요 판례

(내용 중립 규제)알 권리미국 판례[38]



미국에서는 페이스북(Facebook), 유튜브(YouTube), 스포티파이(Spotify), 애플 등 소셜 미디어 대기업들이 알렉스 존스(Alex Jones)의 콘텐츠를 금지한 사건을 두고 표현의 자유 침해라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38] 뉴욕 타임스(The New York Times)는 표현의 자유 문제 전문 변호사를 초청하여 규제에 반대하는 기사를 게재했는데, "'차별적인 표현'이라는 헤이트 스피치는 모호하고 사람에 따라 천차만별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객관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었다.[38]

10. 다른 나라의 표현의 자유

존 밀턴, 볼테르, 존 스튜어트 밀 등은 표현의 자유가 중요하다고 강조해왔다.[8] 표현의 자유는 민주주의 정치를 지탱하는 기반으로서, 프랑스 인권 선언 제11조에 "인간의 가장 귀중한 권리 중 하나"라고 명시된 것처럼, 각국의 헌법과 인권 선언에 보장되어 왔다.[8] 1948년 세계인권선언 제21조, 1976년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19조 2항에도 표현의 자유가 규정되어 있다.

표현의 자유는 자신의 생각을 외부에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생각을 받아들임으로써 인격 발전을 이루는 "개인 가치의 실현"에 필수적이다.[8] 존 밀턴은 『언론·출판의 자유 아레오파지티카』(1644년)에서 표현의 자유 억압을 "자유롭고 지적인 정신에 대해 가해지는 가장 불쾌하고 모욕적인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표현의 자유는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생각과 교류함으로써 진리를 발견하고 사회 전체적으로 올바른 결론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8] 존 밀턴은 『아레오파지티카』에서 "진리와 허위를 싸움붙여라. 자유로운 공개의 승부에서 진리가 진 적이 있는지를 누가 아는가"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사상은 올리버 웬델 홈스 주니어의 "사상의 자유 시장론"으로 이어져, 표현의 자유가 진리 탐구에 필수적인 수단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국민 주권 원리에 기반한 민주주의 정치에서 표현의 자유는 국민이 자유롭게 의견을 표현하고 토론하며 정치에 참여하는 "자치의 가치"를 실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8] 민주 정치는 국민의 동의를 바탕으로 하지만, 이 동의는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는 환경에서 형성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은 정치 체제는 정당성을 잃게 된다. 표현의 자유는 민주 정치의 전제 조건이자 정치 권력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원천이다.

표현의 자유는 권력에 대한 반대가 폭력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안전판 역할을 하며 권력 안정에 기여하지만, 권력 비판을 허용하는 자유는 권력에 의해 억압받기 쉽다는 특징도 가지고 있다.[8] 올리버 웬델 홈스 주니어는 권력을 가진 사람이 자신의 사상을 확신할수록 대립하는 사상을 억압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으며, 제임스 매디슨은 "인민적 지식 또는 그것을 획득하는 수단이 없는 인민적 정부라는 것은, 촌극 또는 비극, 혹은 아마도 그 양쪽의 서막에 불과하다"라고 경고했다.

에블린 베아트리스 홀은 1906년 볼테르의 전기 『볼테르의 친구』에서 "나는 당신이 말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지만, 당신이 말할 권리는 죽을 때까지 옹호할 것이다"라는 문장으로 볼테르의 신념을 설명했는데,[8] 이 문장은 표현의 자유 원칙을 설명하는 데 자주 인용된다.

노엄 촘스키는 "표현의 자유를 믿는다면, 싫어하는 의견에 대해서도 표현의 자유를 믿는 것이다. 스탈린이나 히틀러와 같은 독재자는 좋아하는 의견에 대해서만 표현의 자유를 지지했다. 표현의 자유를 지지한다는 것은, 즉, 당신이 경멸하고 있는 견해에 대해 표현의 자유를 지지하고 있다는 것이다"라고 지적했다.[9]

리 보린저는 "표현의 자유 원칙에는, 사회적 상호 작용의 하나의 영역을 개척하여, 뛰어난 자제심을 갖게 한다는 특별한 행위가 포함된다. 그 목적은 많은 사회적 접촉에 의해 야기되는 감정을 제어하는 사회적 능력을 개발하고 증명하는 것이다"라고 주장하며, 관용을 강조했다.[10]

10. 1. 미국

미국에서는 1936년 연방 대법원 판결을 계기로 표현의 자유(혹은 넓게 정신적 자유)가 인권 체계 안에서 우월적 지위를 차지한다는 우월적 지위 이론이 확립되었다.[8] 이 이론은 헌법 학설에서 일반적인 것이 되었다.[8]

올리버 웬델 홈스 주니어는 "진리의 최선의 판정 기준은 시장에서의 경쟁 속에서 스스로를 인정시키는 힘을 그 사상이 가지고 있는가이다"라고 말하며 "사상의 자유 시장론"을 전개했다.[9] 이는 각 개인의 자발적인 표현이 경쟁하는 "사상의 자유 시장"(free market of ideas)에서 진리가 승리하고, 그 진리에 근거하여 사회가 진보한다는 자유주의적인 신념을 나타낸다.[9]

제4대 미국 대통령인 제임스 매디슨은 "인민적 지식 또는 그것을 획득하는 수단이 없는 인민적 정부라는 것은, 촌극 또는 비극, 혹은 아마도 그 양쪽의 서막에 불과하다"라고 말했다.[8]

에블린 베아트리스 홀은 1906년 볼테르의 전기 『볼테르의 친구』에서 "나는 당신이 말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지만, 당신이 말할 권리는 죽을 때까지 옹호할 것이다"라는 문장을 썼다.[8] 이 문장은 표현의 자유 원칙을 설명하기 위해 자주 인용된다.[8]

노엄 촘스키는 "표현의 자유를 믿는다면, 싫어하는 의견에 대해서도 표현의 자유를 믿는 것이다."라고 지적했다.[9]

리 보린저는 표현의 자유 원칙이 사회적 상호 작용의 영역을 개척하고 자제심을 갖게 하며, 관용을 증진시킨다고 주장했다.[10]

최근 미국에서는 문화 전쟁이나 취소 문화가 심각해지면서, 자신과 다른 견해에 대한 관용이 없는 사람들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3][11] 캠브리지 대학교는 2020년에 법률 범위 안에서 "불쾌하게 느낀다"는 검열 요구를 받은 언론을 보호하는 규칙을 제정했다.[3]

미국에서는 1969년 브랜든버그 대 오하이오주 사건[35] 판결에서 폭력적인 행위와 혁명에 대해 공개적으로 말할 권리를 인정했다.

헤이트 스피치는 1992년 R.A.V. 대 세인트폴 시 사건에서 판결된 대로 미국 헌법 수정 제1조에 의해 보호된다.[36]

오리건주 헌법의 표현의 자유 조항은 미국 헌법 수정 제1조보다 더 강력하게 표현의 자유를 보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36] 주 대 헨리 사건에서 외설물을 금지하는 주법이 무효화되었고, 이에 1994년 오리건주 주민투표 19가 제안되었지만 미국 자유인권협회 등의 반대로 부결되었다.

다음은 미국의 표현의 자유와 관련된 주요 판례들이다.

판례명
셰크 대 미국 사건(Schneck v. United States)
테르미니에로 대 시카고 시 사건(Terminiello v. Chicago)
조셉 버스틴사 대 윌슨 사건(Joseph Burstyn, Inc. v. Wilson)
메모와르 판결(Memoirs v. Massachusetts)
레드랩 대 뉴욕주 사건(Redrup v. New York)
스탠리 대 조지아주 사건(Stanley v. Georgia)
브랜덴버그 대 오하이오주 사건(Brandenburg v. Ohio)
코이스 대 위스콘신주 사건(Kois v. Wisconsin)
밀러 대 캘리포니아주 사건(Miller v. California)
헤스 대 인디애나주 사건(Healy v. James)
엘즈노즈닉 대 잭슨빌 시 사건(Erznoznik v. Jacksonville)
미국 국가사회당 대 스코키 마을 사건(National Socialist Party of America v. Village of Skokie)
미국 서적업 협회 대 해드넛 재판(American Booksellers Association v. Hudnut)
허슬러 매거진 대 팔웰 사건(Hustler Magazine v. Falwell)
인민 대 프리먼 사건(People v. Freeman)
세이블 커뮤니케이션즈 오브 캘리포니아 대 FCC 사건(Sable Communications of California, Inc. v. FCC)
텍사스주 대 존슨 사건(Texas v. Johnson)
미국 대 아이크만 사건(United States v. Eichman)
미국 대 플레이보이 엔터테인먼트 그룹 잉크 사건(United States v. Playboy Entertainment Group, Inc.)
애슈크로프트 대 표현의 자유 연합 재판(Ashcroft v.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스나이더 대 펠프스 사건(Snyder v. Phelps)
브라운 대 엔터테인먼트 상업 협회 사건(Brown v. Entertainment Merchants Association)
패킹햄 대 노스캐롤라이나주 사건(Packingham v. North Carolina)
마탈 대 탐 사건(Matal v. Tam)
이안크 대 브루네티 사건(Iancu v. Brunetti)


10. 2. 일본

일본에서는 존 밀턴존 스튜어트 밀 등이 표현의 자유의 중요성을 역설했으며, 이는 민주주의를 지탱하는 기반으로서 프랑스 인권 선언 제11조에 "인간의 가장 귀중한 권리 중 하나"로 명시된 것처럼, 각국의 헌법과 인권 선언에 보장되어 왔다.[8] 1948년 세계인권선언 제21조, 1976년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19조 2항에도 표현의 자유가 규정되어 있다.

표현의 자유는 자신의 생각을 외부에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생각을 받아들임으로써 인격 발전을 이루는 "개인 가치의 실현"에 필수적이다.[8] 존 밀턴은 『언론·출판의 자유 아레오파지티카』(1644년)에서 표현의 자유 억압을 "자유롭고 지적인 정신에 대해 가해지는 가장 불쾌하고 모욕적인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표현의 자유는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생각과 교류함으로써 진리를 발견하고 사회 전체적으로 올바른 결론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8] 존 밀턴은 『아레오파지티카』에서 "진리와 허위를 싸움붙여라. 자유로운 공개의 승부에서 진리가 진 적이 있는지를 누가 아는가"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사상은 올리버 웬델 홈스 주니어의 "사상의 자유 시장론"으로 이어져, 표현의 자유가 진리 탐구에 필수적인 수단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국민 주권 원리에 기반한 민주주의 정치에서 표현의 자유는 국민이 자유롭게 의견을 표현하고 토론하며 정치에 참여하는 "자치의 가치"를 실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8] 민주 정치는 국민의 동의를 바탕으로 하지만, 이 동의는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는 환경에서 형성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은 정치 체제는 정당성을 잃게 된다. 표현의 자유는 민주 정치의 전제 조건이자 정치 권력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원천이다.

표현의 자유는 권력에 대한 반대가 폭력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안전판 역할을 하며 권력 안정에 기여하지만, 권력 비판을 허용하는 자유는 권력에 의해 억압받기 쉽다는 특징도 가지고 있다.[8] 올리버 웬델 홈스 주니어는 권력을 가진 사람이 자신의 사상을 확신할수록 대립하는 사상을 억압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으며, 제임스 매디슨은 "인민적 지식 또는 그것을 획득하는 수단이 없는 인민적 정부라는 것은, 촌극 또는 비극, 혹은 아마도 그 양쪽의 서막에 불과하다"라고 경고했다.

에블린 베아트리스 홀은 1906년 볼테르의 전기 『볼테르의 친구』에서 "나는 당신이 말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지만, 당신이 말할 권리는 죽을 때까지 옹호할 것이다"라는 문장으로 볼테르의 신념을 설명했는데,[8] 이 문장은 표현의 자유 원칙을 설명하는 데 자주 인용된다.

노엄 촘스키는 "표현의 자유를 믿는다면, 싫어하는 의견에 대해서도 표현의 자유를 믿는 것이다. 스탈린이나 히틀러와 같은 독재자는 좋아하는 의견에 대해서만 표현의 자유를 지지했다. 표현의 자유를 지지한다는 것은, 즉, 당신이 경멸하고 있는 견해에 대해 표현의 자유를 지지하고 있다는 것이다"라고 지적했다.[9]

리 보린저는 "표현의 자유 원칙에는, 사회적 상호 작용의 하나의 영역을 개척하여, 뛰어난 자제심을 갖게 한다는 특별한 행위가 포함된다. 그 목적은 많은 사회적 접촉에 의해 야기되는 감정을 제어하는 사회적 능력을 개발하고 증명하는 것이다"라고 주장하며, 관용을 강조했다.[10]

한편, 대한민국에서는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박근혜 대통령의 행적에 대한 기사를 작성한 일본 산케이 신문 서울지국장(당시)이 재택기소된 사건,[31][32] 일본군 위안부 문제 관련 저서로 명예훼손죄 기소되었던 세종대 박유하 명예교수에 대한 파기환송심 무죄 판결 확정[34] 등은 한국에서 표현의 자유, 특히 일본 관련 문제에 대한 언론의 자유가 억압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지적되기도 한다.

11. 논쟁

표현의 자유는 정신적 자유권의 핵심으로, 존 밀턴, 볼테르, 존 스튜어트 밀 등이 그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 프랑스 인권 선언 제11조는 표현의 자유를 "인간의 가장 귀중한 권리 중 하나"라고 명시했으며, 세계인권선언 제21조,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19조 2항에도 관련 규정이 있다.

표현의 자유는 개인의 인격 발전에 필수적이다. 밀턴은 『언론·출판의 자유 아레오파지티카』에서 표현의 억압을 "자유롭고 지적인 정신에 대해 가해지는 가장 불쾌하고 모욕적인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표현의 자유는 다양한 의견 교환을 통해 진리 발견과 사회 발전에 기여한다. 밀턴은 같은 책에서 "진리와 허위를 싸움붙여라. 자유로운 공개의 승부에서 진리가 진 적이 있는지를 누가 아는가"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사상은 올리버 웬델 홈스 주니어의 "사상의 자유 시장론"으로 이어졌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표현의 자유는 국민의 정치 참여를 위한 필수 조건이다. 자유로운 토론과 비판은 권력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권력에 대한 견제 기능을 수행한다. 제임스 매디슨은 "인민적 지식 또는 그것을 획득하는 수단이 없는 인민적 정부라는 것은, 촌극 또는 비극, 혹은 아마도 그 양쪽의 서막에 불과하다"라고 경고했다.

에블린 베아트리스 홀은 『볼테르의 친구』에서 "나는 당신이 말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지만, 당신이 말할 권리는 죽을 때까지 옹호할 것이다"라는 문장으로 표현의 자유 원칙을 설명했다.[8] 노엄 촘스키는 "표현의 자유를 믿는다면, 싫어하는 의견에 대해서도 표현의 자유를 믿는 것이다"라고 강조했다.[9]

리 보린저는 표현의 자유 원칙이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 자제심을 기르고 관용적인 태도를 함양하는 데 기여한다고 주장했다.[10] 그러나 미국에서는 문화 전쟁과 취소 문화로 인해 표현의 자유가 위협받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3][11]

11. 1. 명예훼손 및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

명예와 프라이버시는 인격권의 내용을 이루는 것으로서 보호되어야 할 인권의 하나로 생각되고 있다. 명예훼손적인 언론은 형법상 처벌의 대상이 되고, 민법상 불법행위 책임을 물을 수 있다.[46]

한편으로는 언론 내용의 공공성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46] 특히 명예훼손죄는 역사적으로 개인의 인격권 침해라는 관점보다는 오히려 공공질서 위반·치안 방해라는 관점에서, 특히 공인에 대한 명예훼손을 중시함으로써 언론에 의한 권력 비판을 봉쇄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었다고 말해진다.[46] 따라서 공공성이 있는 사항에 관한 책임 있는 발언이라면, 해당 언론은 여전히 보호되어야 한다는 것을 원칙으로, 명예·프라이버시와 표현의 자유와의 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되고 있다.[46] 일본에서는 형법 제230조의 2에 관련 규정이 있다.

11. 2. 혐오 표현 규제 논란

대한민국 헌법은 제21조 제1항에서 집회·결사·언론·출판의 자유를 규정하고 있다.

2014년 이후 한국에서는 집회 및 시위 관련 법률 위반으로 기소되는 사례가 늘고 있는데, 경찰의 재량이 넓게 인정되어 정부 비판을 통제하려는 시도라는 비판도 있다.[27] 2019년에는 “한국 언론 자유를 위한 연합”이 “한국 정부는 명예훼손을 악용하여 정치적으로 반대 의견을 검열하고 있다”는 내용의 서한을 대통령에게 보내기도 했다.[28]

2014년 12월 19일, 대한민국 헌법재판소는 친북한 성향의 소수 야당인 통합진보당을 해산하라는 정부의 청구를 인용했다. 이는 정당 활동 및 결사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으로, “민주주의의 위기”라는 비판을 받았다.[29]

2014년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한국방송공사(KBS)의 길환영 사장이 청와대의 의중을 받아 정부 비판을 자제하도록 지시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KBS 이사회는 사장 해임안 표결을 연기했고, 이에 반발한 전국언론노조 KBS본부와 KBS노동조합은 파업에 들어갔다.[30] 이후 6월에 길환영 사장은 해임되었다.

같은 해, 박근혜 대통령의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행적에 대한 기사를 쓴 일본 산케이 신문 서울지국장(당시)이 재택기소되었다. 국제 NGO는 이 기소를 비난했고, 서울 외신기자클럽 이사회는 출국금지 조치에 우려를 표명했다.[31][32] 2015년 4월 출국금지 조치는 해제되었고,[31][32] 같은 해 12월, 서울중앙지법은 지국장에게 무죄를 선고했다(구형 징역 1년 6개월).[33]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저서에서 “원 위안부의 명예를 훼손했다”는 이유로 명예훼손죄로 기소되었던 세종대 박유하 명예교수는 파기환송심 끝에 2024년 무죄가 확정되었다. 산케이신문은 표현의 자유가 존중되는 당연한 판결이 나오기까지 약 10년이나 걸린 것은 한국에서 일본 관련 문제에 대한 자유로운 언론이 억압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34]

2015년, 한국 방송사 JTBC(주식회사 JTBC)의 드라마 「소녀탐정 박해솔」에서 여고생들의 키스신이 방영되자 일부 기독교 단체들이 반발했다. 한국 정부의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품위"를 훼손했다는 이유로 행정처분을 내렸지만, 인권단체들은 강하게 반발했다.[62]

11. 3. 사이버 폭력 문제

제시된 원본 소스에는 '사이버 폭력 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11. 4. 성 표현 규제 논란

1996년 통신품위법(CDA)은 인터넷상의 포르노그래피를 규제하기 위한 미국 의회의 최초의 주요 시도였다.[46] 그러나 이듬해인 1997년 레노 대 미국 자유인권협회 사건이라는 획기적인 사이버법 사건에서 미국 연방 대법원은 해당 법을 부분적으로 무효화하는 판결을 내렸다.[46]

미국에서는 준아동 포르노를 전면 규제했던 Child_Pornography_Prevention_Act_of_1996영어2002년 애슈크로프트 대 표현의 자유 연합 재판에서 헌법 수정 제1조(언론, 출판 등의 자유) 위반으로 위헌 판결되었으나, 새롭게 시행된 PROTECT_Act_of_2003영어에서는 범위를 좁혀 대법원이 정의하는 외설의 범주에 해당하는 것은 그림이나 만화 등도 규제 대상으로 하고 있다.[47][48][49][50][51] 실제로 PROTECT Act of 2003을 적용한 외설 아동 포르노 만화 소지 혐의로 체포된 사람도 있다.[52]

참조

[1] 웹사이트 freedom of expressionの意味・使い方 https://eow.alc.co.j[...] 2024-04-08
[2] 웹사이트 freedom of speech http://www.oxforddic[...]
[3] 뉴스 Cambridge University votes to safeguard free speech https://www.bbc.com/[...] 2020-12-09
[4] 웹사이트 〈注目〉こんなに怖い「キャンセルカルチャー」KADOKAWAのトランスジェンダーに関する本はなぜ、出版中止となったのか?(Wedge(ウェッジ)) https://news.yahoo.c[...] 2024-04-08
[5] 웹사이트 【主張】表現の自由と判事 職責による制約は当然だ https://www.sankei.c[...] 2019-03-18
[6] PDF 衆議院 EU憲法及びスウェーデン・フィンランド憲法調査議員団報告書 https://www.shugiin.[...]
[7] 웹사이트 表現の自由 https://kotobank.jp/[...]
[8] 서적 They Never Said It: A Book of Fake Quotes, Misquotes, and Misleading Attribu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9] 영상매체 Manufacturing Consent: Noam Chomsky and the Media
[10] 서적 The Tolerant Society: Freedom of Speech and Extremist Speech in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Cancel culture widely viewed as threat to democracy, freedom https://www.thefire.[...] 2022-01-31
[12] 웹사이트 Freedom expression and opinion https://www.ohchr.or[...] 국제연합
[13] 웹사이트 衆議院 EU憲法及びスウェーデン・フィンランド憲法調査議員団報告書 https://www.shugiin.[...] 衆議院憲法審査会 2004-12
[14] 웹사이트 人種差別撤廃条約 日本の批准状況 https://www.nichiben[...] 日本弁護士連合会
[15] 웹사이트 人種差別撤廃条約 Q&A https://www.mofa.go.[...] 外務省
[16] 웹사이트 民主主義の原則 - 言論の自由 |About THE USA|アメリカンセンターJAPAN https://americancent[...] 2024-04-08
[17] 서적 Limits to tolerance: freedom of expression and the public debate in Chile Human Rights Watch 2020-11-11
[18] 서적 Propaganda and the Ethics of Persuasion Broadview Press 2020-11-11
[19] 서적 Propaganda and the Ethics of Persuasion Broadview Press 2020-11-11
[20] 서적 アメリカ憲法判例の物語 성문당
[21] 서적 法律学講座双書憲法第3版 홍문당
[22] 서적 憲法原論 유비각
[23] 간행물 知る権利・アクセス権とプライバシー権に関する基礎的資料―情報公開法制・個人情報保護法制を含む―(平成15年5月15日の参考資料) 衆議院
[24] 웹사이트 謝罪広告を命ずる判決と強制執行(昭和31年7月4日最高裁判所大法廷 https://wikisource.o[...]
[25] 서적 憲法新版 홍문당
[26] 서적 法律学講座双書憲法第3版 홍문당
[27] 뉴스 国家保安法違反での起訴減少 デモ関連は大幅増=韓国 http://www.chosunonl[...] 2014-09-10
[28] 뉴스 知韓派の米識者「韓国政府の言論弾圧は深刻」 http://www.chosunonl[...] 2019-05-06
[29] 뉴스 親北朝鮮野党の解散決定=「民主主義の危機」の声も-韓国憲法裁 http://www.jiji.com/[...] 2014-12-19
[30] 뉴스 KBS社長解任案表決が延期 労組はスト=沈没事故報道で http://www.chosunonl[...] 2014-05-29
[31] 뉴스 朴大統領元側近「記事は虚偽」 産経前支局長公判に出廷 http://www.asahi.com[...] 2015-01-20
[32] 뉴스 産経前支局長の出国禁止解除 韓国当局、対日関係配慮か http://www.asahi.com[...] 2015-04-14
[33] 뉴스 本紙前ソウル支局長に無罪判決 https://www.sankei.c[...] 2015-12-17
[34] 웹사이트 <主張>朴名誉教授「無罪」 表現の自由を守る判決だ 社説 https://www.sankei.c[...] 2024-04-18
[35] 판례 Brandenburg v. Ohio
[36] 웹사이트 ABA Division for Public Education: Students: Debating the "Mighty Constitutional Opposites": Hate Speech Debate http://www.americanb[...] 2016-10-12
[37] 웹사이트 「表現の自由」はなぜ認められるのか 時事オピニオン 情報・知識&オピニオン imidas - イミダス https://imidas.jp/ji[...] 2024-04-08
[38] 뉴스 Facebookの検閲は許されるのか。左右が問題視し、NYタイムズ紙も懸念の声 https://headlines.ya[...] 2018-08-09
[39] 뉴스 「殺せ」連呼 デモ横行 言論の自由か 規制の対象か 朝日新聞 2013-03-16
[40] 뉴스 「殺せ」「たたき出せ」 デモ 目立つ過激言動 毎日新聞 2013-03-18
[41] 뉴스 ヘイトスピーチ 白昼堂々 欧州と違い 法規制なし 東京新聞 2013-03-29
[42] 웹사이트 「SNS中傷対策と表現の自由」(視点・論点) https://www.nhk.or.j[...] NHK 2020-08-04
[43] 웹사이트 ネットの中傷対策、法規制は表現の自由を害するか 憲法学者の見方は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2-02-13
[44] 웹사이트 混同してる?「表現の自由」と「人権侵害」誹謗中傷・脅迫を書き込まない https://ryukyushimpo[...] 琉球新報 2018-03-26
[45] 웹사이트 「いいね」で賠償命じる初判断、原告代理人は「特定の事例における特定の判断」と強調 https://www.bengo4.c[...] 弁護士ドットコム 2022-10-20
[46] 서적 Cyber Rights: Defending Free Speech in the Digital Age MIT Press
[47] 웹사이트 Fact Sheet PROTECT Act http://www.usdoj.gov[...] Department of Justice 2003-04-30
[48] 웹사이트 S.151 - PROTECT Act 108th Congress (2003-2004) https://www.congress[...] 미국 의회 도서관 2020-07-24
[49] 웹사이트 One Hundred Eighth Congres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ttp://frwebgate.acc[...]
[50] 웹사이트 Track.us. S. 151--108th Congress (2003): Prosecutorial Remedies and Other Tools to End the Exploitation of Children Today Act of 2003 http://www.govtrack.[...] GovTrack.us (database of federal legislation) 2010-07-10
[51] 웹사이트 バーチャル児童ポルノを禁じる新法案が米下院を通過 https://web.archive.[...] WIRED.jp 2002-07-01
[52] 웹사이트 日本のマンガを集めていた米国人、児童ポルノ禁止法違反で有罪に http://wired.jp/wv/2[...] WIRED.jp 2009-05-28
[53] 웹사이트 情報化時代における言論・表現の自由(5.2 言論・表現の自由の指導原理とは) http://orion.t.hosei[...] 2009-09-21
[54] 서적 エロスと「わいせつ」のあいだ 表現と規制の戦後攻防史 朝日新聞出版
[55] 웹사이트 ろくでなし子裁判・最高裁判決は何を裁いたのか ――刑事罰は真に必要なことに絞るべき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0-07-17
[56] 웹사이트 わいせつ物頒布罪は廃止すべきである https://agora-web.jp[...] アゴラ 2016-05-19
[57] 웹사이트 特集「山田太郎の5つのプロジェクト始動」 https://taroyamada.j[...] 参議院議員 山田太郎 オフィシャル Web サイト 2022-07-29
[58] 웹사이트 児童ポルノと表現の自由②~実際にあった表現の自由の危機と赤松健~ - 赤松健 - 公式サイト https://kenakamatsu.[...] 2022-04-24
[59] 웹사이트 マンガ、アニメ、コミケ…“オタク”集票力は宗教以上 漫画家の自民議員「もはや無視できない政治勢力」〈dot.〉(AERA dot.) https://news.yahoo.c[...] 2022-08-14
[60] 웹사이트 「表現の自由守る」自民・赤松健氏、当選確実。ネットで支持伸ばす(BuzzFeed Japan) https://news.yahoo.c[...] 2022-07-11
[61] 웹사이트 支援団体なく臨んだ今回の参院選、非常に厳しい戦いでした。結果は約53万票の得票で全政党の比例候補者中トップ当選。ひとえに赤松健を支えてくださった皆さま一人一人のおかげです。この負託にこたえるべく本日から掲げた公約の実現に邁進します。本当に有難うございました。 https://twitter.com/[...] 赤松健公式Twitter 2022-07-11
[62] 뉴스 韓国政府、ドラマ「ソナム女子高探偵団」を処分 「同性愛は品位乱す」 http://www.sankei.co[...] 2015-05-05
[63] 서적 인권의 발명 돌베개
[64] 간행물 세계인권선언
[65] 논문 문학 표현의 자유와 한계(1) : 독일 문학권의 사례 https://s-space.snu.[...]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1995-01
[66] 간행물 대한민국헌법
[67] 간행물 대한민국헌법 제 21조 4항
[68] 논문 인터넷상 표현의 자유의 국제법적 고찰 https://dspace.inha.[...] 인하대학교
[69] 웹사이트 강상죄 http://waks.aks.ac.k[...]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70] 웹사이트 사문난적 http://contents.hist[...] 우리역사넷
[71] 간행물 볼테르의 관용 사상과 ‘보편적 관용’의 문제 2007
[72] 웹인용 “야만의 형벌, 반이성의 재판을 심판하라” https://www.hani.co.[...] 2022-05-17
[73] 위키 바이마르공화국 헌법
[74] 웹사이트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 http://hrlibrary.umn[...]
[75] 웹인용 표현의 자유 https://kapa21.or.kr[...] 한국행정학회 2021-08-02
[76] 판례 91헌바17 http://search.ccourt[...]
[77] 판례 2006헌바109 2009-05-28
[78] 웹인용 "화장실 몰카가 예술의 자유?" 헌법재판소, 성범죄자 헌법소원에 `기각` https://www.mk.co.kr[...] 메일뉴스 2020-10-07
[79] 뉴스 홍영표 “중대한 역사왜곡 처벌…한국판 ‘반나치법’ 만든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19-02-11
[80] 웹인용 정치인들의 끊임없는 가짜뉴스 방지법 입법 시도를 비판한다 https://opennet.or.k[...] 오픈넷 2021-02-09
[81] 판례 2000헌마764 2002-12-1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