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지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지광은 1927년 이천 출생으로, 단국대학교 중퇴 후 군 장교로 복무했다. 1955년 이정재의 권유로 '삼우회'를 조직, 정치 깡패로 활동하며 이승만 독재정권에 반대하는 야당 인사들에게 테러를 가했다. 4.19 혁명 이후 10년형을 선고받았고, 5.16 군사정변 후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으나 15년형으로 다시 감형받아 복역 후 석방되었다. 1978년 이천으로 낙향하여 슈퍼마켓을 운영하며 봉사 활동을 하였고, 1988년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다. 자서전으로 '대명'이 있으며, 여러 드라마와 영화에서 그의 삶이 다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치 폭력 - 하나회
하나회는 1951년 육군사관학교 출신 전두환, 노태우 등이 결성한 군내 사조직으로, 12·12 군사 반란과 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 관여했으며, 1993년 김영삼 정부에 의해 해체되었다. - 정치 폭력 - 쿠 클럭스 클랜
쿠 클럭스 클랜(KKK)은 미국에서 여러 차례 등장한 백인 우월주의 비밀결사체로, 흑인 권리 억압, 백인 지배 질서 유지, 가톨릭 신자·유대인·이민자 탄압, 그리고 극단적인 폭력을 자행하며 미국 사회의 인종 갈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이천시 출신 - 차지철
차지철은 5·16 군사 정변에 가담하여 정계에 입문한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국회의원을 지내다 박정희 대통령 경호실장으로 재직하며 권력 남용으로 비판받았고 10·26 사건 때 김재규에게 살해당했다. - 이천시 출신 - 이경재 (1941년)
대한민국의 언론인 출신 정치인인 이경재는 동아일보 기자, 대통령비서실 공보수석비서관, 공보처 차관을 거쳐 4선 국회의원과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며 환경 및 방송통신 분야에서 활동했고 한나라당 주요 당직을 맡았다. - 한국의 회고록 작가 - 김영삼
김영삼은 1929년 거제 출생으로, 제14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금융실명제 실시 등의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IMF 외환 위기를 겪고 2015년 서거했다. - 한국의 회고록 작가 - 박봉식 (정치학자)
박봉식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교육자로, 서울대학교 교수 및 총장, 부산외국어대학교와 금강대학교 총장을 역임하며 국가보위입법회의 위원 활동, 총선 무소속 출마, 토지매입 알선 사기 사건 연루, 서울대학교 본부 점거 사태 관련 발언 등으로 논란이 있었다.
유지광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유지광 |
원어명 | 柳志光 |
사망지 | 경기도 이천시 |
출생지 | 경기도 이천시 |
거주지 | 대한민국 서울 대한민국 경기도 이천 |
정치 | |
정당 | 무소속 |
군 복무 | |
군대 | 대한민국 육군 |
복무 기간 | 1950년 ~ 1953년 |
최종 계급 | 대한민국 육군 중위 |
지휘 | 소대장 |
참전 전투/전쟁 | 한국전쟁 |
기타 정보 | |
학력 | 알 수 없음 |
직업 | 알 수 없음 |
경력 | 알 수 없음 |
웹사이트 | 알 수 없음 |
2. 생애
1927년 경기도 이천에서 태어나 단국대학교 정치과 3학년을 중퇴한 뒤 군 장교로 복무했다.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갑종장교로 입대했으며 휴전 후 제대했다. 이정재, 곽영주와 함께 이천 3인방으로 불렸다. 1955년 이정재의 권유로 '삼우회'를 조직하여 주먹 세계에 뛰어들었고, 행동대장으로 활동했다. 이 조직은 나중에 '화랑동지회'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승만 독재 정권에 반대하는 야당정치인 등에게 공공연하게 테러를 가하는 등 정치 깡패로 활동했다. 대표적으로 1957년 야당 인사들의 대규모 집회였던 '장충단 야당 집회 방해사건'의 주동자로 활약했다.[2]
4.19 혁명으로 이승만 정권이 몰락한 후, 허정 과도 정부와 제2공화국에서 10년 형을 선고받았다.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재조사를 받았으며, 처음에는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이후 혐의사실을 인정하여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3]
이정재, 임화수 등은 사형을 언도받았고, 유지광은 처음엔 사형을 언도받았으나 이후 혐의 사실을 인정하여 정상이 참작되어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 다시 무기징역에서 15년형으로 감형받았다가 5년 6개월간 복역 후 석방되었고, 1978년에 고향인 이천으로 낙향하여 그곳에서 동부연쇄점이라는 슈퍼마켓을 운영하며 지역 사회 발전과 봉사 활동 등에 힘쓰며 여생을 보냈다.
1988년 11월 12일 결혼식 주례를 보던 도중 갑작스러운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다. 그의 장례식에는 한국 폭력조직들은 물론 대만의 삼합회, 일본의 야쿠자들도 참석했다.[4][5] 그의 자서전으로 '대명'이 있다.
2. 1. 정치 깡패 활동
1927년 경기도 이천에서 태어나, 단국대학교 정치과전문부 3학년을 중퇴한 뒤 군 장교로 복무했다.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갑종장교로 입대했으며 휴전 후 제대했다. 이정재, 곽영주와 함께 이천 3인방으로 불린 유지광은 1955년 사돈 관계였던 이정재의 권유로 '삼우회'를 조직하여 주먹 세계에 뛰어들었고, 행동대장으로 활동했다. 이 조직은 나중에 '화랑동지회'로 이름을 바꾸었다.이승만 독재 정권에 반대하는 야당정치인 등에게 공공연하게 테러를 가하는 등 정치 깡패로 활동했다. 대표적으로 1957년 야당 인사들의 대규모 집회였던 '장충단 야당 집회 방해사건'의 주동자로 활약했다.[2]
2. 2. 4.19 혁명 이후
4.19 혁명으로 이승만 정권이 몰락한 후, 허정 과도 정부와 제2공화국에서 유지광은 10년 형을 선고받았다.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재조사를 받았으며, 처음에는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이후 혐의사실을 인정하여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3] 재판 과정에서 임화수와 이정재는 서로 책임을 회피하는 진술을 했지만, 유지광은 자신의 혐의를 인정하는 태도를 보였다.[3]2. 3. 수감, 석방, 그리고 사망
이정재, 임화수, 곽영주, 신정식, 최인규 등은 사형을 언도받았고, 유지광은 처음엔 사형을 언도받았으나 이후 혐의 사실을 인정하여 정상이 참작되어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다시 무기징역에서 15년형으로 감형받았다가 5년 6개월간 복역 후 석방되었고, 1978년에 고향인 이천으로 낙향하여 그곳에서 동부연쇄점이라는 슈퍼마켓을 운영하며 지역 사회 발전과 봉사 활동 등에 힘쓰며 여생을 보냈다.
1988년 11월 12일 결혼식 주례를 보던 도중 갑작스러운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다. 그의 장례식에는 한국 폭력조직들은 물론 대만의 삼합회, 일본의 야쿠자들도 참석했다.[4][5] 그의 자서전으로 '대명'이 있다.
3. 평가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4. 저서
- 대명
5. 유지광을 연기한 배우들
참조
[1]
뉴스
데모襲撃(습격) 警察(경찰)과 靑年團(청년단)이 事前謀議(사전모의)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60-07-10
[2]
뉴스
李丁載(이정재) 柳志光(유지광) 林和秀(임화수) 十年懲役(십년징역)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60-08-31
[3]
뉴스
임화수(林和秀)와 유지광(柳志光)의 최후진술 - "임: 문화사업을 하다 깡패로 걸려들어 억울 유: 고대생습격의 책임의 8할은 임화수에게 있다" -
경향신문
1961-08-22
[4]
뉴스
아직도 李博士(이박사)사진 지키는 柳志光(유지광)씨 蹴球(축구)·奉仕(봉사)사업에 정열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86-05-17
[5]
뉴스
柳志光(유지광)씨 장례식에 韓日(한일)주먹스타 집결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88-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