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허정은 1896년 부산에서 태어나 보성전문학교를 졸업하고 중국, 영국 등지에서 유학했다. 3·1 운동 이후 중국으로 망명하여 임시정부에서 활동했으며, 미국에서 독립운동을 지원했다. 광복 후 한국민주당에서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교통부, 사회부 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4·19 혁명 이후 대통령 권한대행을 지냈다. 이후 정계를 은퇴하여 국정자문회의 의원 등을 역임했고, 1979년 회고록 《내일을 위한 증언》을 출판했다. 그는 청렴하고 강직한 성품으로 존경받았으며, 격변기 대한민국을 안정시키고 민주 정부 수립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사회부 장관 - 이윤영 (1890년)
3·1 운동 참여, 신사참배 저항 등의 활동을 한 일제강점기 목사이자 교육자이며 해방 후 조선민주당 창당, 제헌 국회의원, 무임소장관, 사회부 장관 등을 역임하고 신흥대학 학장을 지낸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사회부 장관 - 전진한
전진한은 일제강점기 협동조합 운동을 펼치다 해방 후 대한노총 위원장, 5선 국회의원, 초대 사회부 장관 등을 지낸 대한민국의 노동 운동가이자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내각수반 - 장도영
장도영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장교 출신으로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5.16 군사정변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내각수반, 국방부 장관을 지냈으며, 반혁명 혐의로 기소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나 석방 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대학교수로 활동하다가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내각수반 - 김현철 (1901년)
김현철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한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으로, 해방 후 대한민국 정부의 요직을 거쳐 경제기획원 장관, 내각 수반, 주미 한국 대사 등을 역임하며 경제 발전과 외교에 기여했다는 평가와 군사 정권에 협력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대한민국의 부통령 - 김성수 (언론인)
김성수는 인촌이라는 호를 사용한 언론인이자 기업인, 정치인으로, 경성방직 설립, 동아일보 창간, 보성전문학교 인수 및 발전에 기여했으며 제2대 부통령을 역임했으나 친일 논란이 있다. - 대한민국의 부통령 - 장택상
장택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임시정부 활동, 수도경찰청장, 초대 외무부 장관, 국무총리,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이승만 지지 후 야당 정치인으로 반독재 투쟁을 전개했다.
허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허정 |
한자 | 許政 |
로마자 표기 | Heo Jeong |
다른 이름 | 허성수 |
호 | 우양(友洋) |
출생일 | 1896년 4월 8일 |
출생지 | 부산광역시 초량동 |
사망일 | 1988년 9월 18일 |
사망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
배우자 | 백귀란 |
국적 | 대한제국 → 미국 → 대한민국 |
종교 | 유교(성리학) → 개신교(감리회) |
학력 | 보성전문학교 법학과 (1919년) |
정치 경력 | |
직책 |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겸 외무부 장관 서울특별시장 국무총리 서리 겸 사회부 장관 교통부 장관 제헌 국회의원 |
소속 정당 | 한국민주당 자유당 국민의당 민주당 민중당 신민당 |
대통령 권한대행 | |
대통령 권한대행 시작 | 1960년 4월 27일 |
대통령 권한대행 종료 | 1960년 8월 12일 |
이전 대통령 | 이승만 |
다음 대통령 | 윤보선 |
국무총리 | |
국무총리 시작 | 1960년 6월 15일 |
국무총리 종료 | 1960년 8월 18일 |
이전 국무총리 | 허정 (내각 수반) |
다음 국무총리 | 장면 |
대통령 | 허정(권한대행) / 윤보선 (1960/08/13-) |
국무총리 서리 | |
국무총리 서리 시작 | 1951년 11월 6일 |
국무총리 서리 종료 | 1952년 4월 9일 |
이전 국무총리 서리 | 장면 |
다음 국무총리 서리 | 장면 |
대통령 | 이승만 |
내각 수반 (대통령 권한대행) | |
내각 수반 시작 | 1960년 4월 27일 |
내각 수반 종료 | 1960년 6월 15일 |
이전 내각 수반 | 백한성(임시 대리) |
다음 내각 수반 | 허정 |
서울특별시장 | |
서울특별시장 시작 | 1957년 12월 14일 |
서울특별시장 종료 | 1959년 6월 11일 |
이전 서울특별시장 | 고재봉 |
다음 서울특별시장 | 김흥순 |
기타 정보 | |
서명 | '' |
웹사이트 | '' |
2. 생애
허정은 1896년 4월 8일 경상남도 부산부 초량동(草梁洞)에서 아버지 허문일(許文逸)과 어머니 김술이(金述伊) 사이의 5남 1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처음 이름은 허성수(許聖壽)였다.[10] 어린 시절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하다가 개신교 선교사가 운영하는 양국서당에서 신학문을 배웠고, 크리스찬이 되었다.[10] 초량사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로 상경하여 보성중학교에 입학했다. 소년기에 부산 상인의 딸과 결혼했으나, 유학 생활로 소원해져 이혼하였다.
1919년 삼일운동에 참여한 후 중국으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였다.[5] 1920년 프랑스로 건너가 이름을 “허정(許政)”으로 바꾸고, 프랑스 거주 한국인 단체 회장을 역임했다.[81] 1921년 미국으로 건너가 이승만을 도우면서 뉴욕 한국 유학생 회장과 북미 한국 교민 총단장을 역임했다. 1923년에는 미국에서 한국어 신문인 삼일신보(三一新報)의 사장에 취임하였다.[5]
1932년 삼일신보를 이기붕에게 맡기고 귀국하여 한때 음악 교사가 되었으나 사업을 시작했다. 그러나 사업에 실패하고, 1933년 이기붕이 귀국하자 공동으로 광산 경영에 참여했다. 1938년 흥업구락부 사건,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체포·수감되었으나 곧 석방되었다. 이후 정치 문제에 거의 관여하지 않았지만, 이승만의 측근이었던 까닭에 요시찰 인물로 감시를 받았다.
1945년 광복 후, 정치 활동을 재개하여 한국민주당 경상남도 총무를 맡았다.[17] 1948년 제헌 국회의원(경남 부산을)에 당선된 뒤, 교통부 장관(1948년~1950년)과 사회부 장관(1950년~1952년)을 역임하였다. 1951년 11월 6일부터 1952년 4월 9일까지 장면 국무총리가 유엔 총회에 참석하는 동안 국무총리 직무대행을 맡았다.[17] 부산 정치 파동으로 물러난 후, 1957년부터 1959년까지 제8대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하였다.[17]
1959년 한일회담 수석대표로 참석하였고,[17] 1960년 4월 외무부 장관에 임명되었다.[17] 4·19 혁명이 발발하자, 허정은 이승만에게 조기 퇴진을 통한 사태 수습을 제안하였다. 이승만이 대통령직에서 사퇴한 다음 날인 4월 27일부터 국무총리[6](내각 수반) 겸 외무부 장관[7]으로서 사실상 대통령 권한대행이 공석인 국정을 지휘하였다. 6월 15일 대한민국 헌법 개정으로 부활한 국무총리 제6대가 되었고, 이승만 망명부터 신정부 수립까지 이어진 과도정부의 대통령 권한대행(1960년4월 27일 - 1960년8월 12일)을 역임하였다.
제2공화국 수립 후 정계를 은퇴하고 이승만의 복권에 힘썼으나, 5·16 군사 쿠데타로 박정희 군사정권이 수립되자 군정의 영입 제의를 거절했다. 1963년 국민의당을 결성하고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했지만, 민간 정치인 후보 단일화에 따라 윤보선 지지로 돌아섰다. 이후 민주당, 민중당, 신민당 등 야당에서 활동했으나, 1967년 정계에서 은퇴했다.
이후 박정희 정권에서 국토통일원 고문을 맡았고, 최규하, 전두환 정권에서는 국정자문회의 의원을 지냈다.
2. 1. 생애 초기
허정은 1896년 4월 8일 경상남도 부산부 초량동(草梁洞)에서 아버지 허문일(許文逸)과 어머니 김술이(金述伊) 사이의 5남 1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처음 이름은 허성수(許聖壽)였다. 어린 시절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하다가 개신교 선교사가 운영하는 양국서당에서 신학문을 배웠고, 크리스찬이 되었다.[10] 초량사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로 상경하여 보성중학교에 입학했다. 소년기에 부산 상인의 딸과 결혼했으나, 유학 생활로 소원해져 이혼하였다.1919년 삼일운동에 참여한 후 중국으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였다.[5] 1920년 프랑스로 건너가 이름을 “허정(許政)”으로 바꾸고, 프랑스 거주 한국인 단체 회장을 역임했다.[81] 1921년 미국으로 건너가 이승만을 도우면서 뉴욕 한국 유학생 회장과 북미 한국 교민 총단장을 역임했다. 1923년에는 미국에서 한국어 신문인 삼일신보(三一新報)의 사장에 취임하였다.[5]
1932년 삼일신보를 이기붕에게 맡기고 귀국하여 한때 음악 교사가 되었으나 사업을 시작했다. 그러나 사업에 실패하고, 1933년 이기붕이 귀국하자 공동으로 광산 경영에 참여했다. 1938년 흥업구락부 사건,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체포·수감되었으나 곧 석방되었다. 이후 정치 문제에 거의 관여하지 않았지만, 이승만의 측근이었던 까닭에 요시찰 인물로 감시를 받았다.
2. 1. 1. 출생과 유년기
1896년 4월 8일 경상남도 부산부 초량동(草梁洞)에서 허문일(許文逸)[10]과 모친 김술이(金述伊) 사이의 5남 1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11] 처음 이름은 허성수(許聖壽)였다. 아버지 허문일은 해상무역과 물산객주를 운영하여 비교적 유복한 환경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허정의 조상들은 울산군에 살았으나, 아버지 허문일이 사업을 하면서 동래부로 이주하여 정착하였다.소년 허성수는 당시 관례에 따라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하였다.[10] 6세 때 고향 초량동에 영국인 개신교 선교사가 교회를 짓고 그 옆에 작은 집을 지어 동리 아이들에게 신학문을 가르쳤는데, 이곳을 주민들은 양국서당(洋國書堂)이라 불렀으며 허정도 그곳에 다녔다. 그곳에서 크리스찬이 되었다.[10]
2. 1. 2. 소년기
8세 때 초량사립보통학교에 입학하여 신학문을 배웠다.[12] 소년 시절 주시경이 쓴 잔 다르크전을 읽고 잔 다르크의 애국심에 감격했다고 한다.[13] 초량학교 재학 시절 이동휘의 강연을 들었는데, 이동휘는 '여러분의 환영은 고맙지만 이 환영은 두었다가 우리나라가 독립이 되거든 해달라.'라고 하였고 허정은 이에 감명을 받았다고 한다.[13] 1910년 초량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로 상경하여 보성중학교에 입학했다.허정은 소년기에 부산 상인의 딸과 중매로 결혼하였다. 그러나 장기간 유학 생활로 관계가 소원해져 이혼하였다.
2. 2. 청년기
許政중국어은 부산(당시 釜山府)에서 무역상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중앙학교를 거쳐 보성전문학교(현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다. 학생 시절 이동휘의 강연을 듣고 감명을 받아 3·1 운동에 참여한 뒤 중화민국으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였다.[5]1920년 프랑스로 건너가 이름을 "허정(許政)"으로 바꾸고, 육체노동을 하면서 프랑스 거주 한국인 단체 회장을 역임했다. 1921년에는 미국으로 건너가 이승만을 도우면서 뉴욕 한국 유학생 회장과 북미 한국 교민 총단장을 역임했다. 1923년에는 미국에서 한국어 신문을 발행하는 삼일신보의 사장에 취임하였다.[5]
1932년 삼일신보를 이기붕에게 맡기고 귀국하여 한때 음악 교사가 되었으나 사업을 시작했다. 그러나 사업에 실패하고, 1933년 이기붕이 귀국하자 공동으로 광산 경영에 참여했다. 그 이후 허정과 이기붕은 광업에 전념하여 충청북도 영동군의 형석 광산을 인수하기에 이르렀으나, 1938년에는 흥업구락부 사건으로 체포되었다. 1942년에는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다시 체포·수감되었다. 결국 모두 곧 석방되었고, 이후로는 정치 문제에 거의 관여하지 않았지만, 이승만의 측근이었던 까닭에 요시찰 인물로 감시를 받았다.
2. 2. 1. 학창 시절
보성중학교에 입학한 후 경성의 안국동 네거리의 대동기숙사에서 월 3원 50전의 기숙비를 내고 하숙하며 학교에 다녔다.[14] 보성중학교에 다니면서 경성YMCA에서 영어를 배웠다.
1912년 YMCA 기독교청년회 학당에서 임병직, 윤치영, 이원순, 김영섭 등과 함께 이승만에게 배웠다.[15] 이후 허정은 이승만의 추종자가 되었다.[16] 중앙학교를 거쳐 1917년 보성전문학교 상과에 진학하였다. 보성전문학교 상과 졸업 후 중국 상해 오송상선학교와 남경 항해학교, 영국 런던 항해학교[17]에서 수학하였다.
2. 2. 2. 중국 망명과 독립운동
1919년 3·1 만세운동이 벌어지자 허정은 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그 뒤 중국으로 망명하여 상하이 임시정부 조직에 참여, 4월 상하이 임시정부가 결성되자 임정 직원으로 활약하였다. 이어 임시의정원 의원을 지냈다.[17] 4월 초 미국을 방문했다. 3·1 운동 소식을 접한 이승만은 만세운동에 호응하기 위해 4월 초에 공지하여 4월 13일, 필라델피아에서 제1차 한인연합회의(The First Korean Congress)를 소집하였다. 임시의정원 의원인 허정도 4월 13일부터 4월 15일까지 3일간 필라델피아에서 개최된 이 회의에 참석하였다. 이 대회에서 허정도 연사로 참여하였다.이동휘, 안창호 등이 상해를 떠난 뒤 허정은 '이곳에 머물러 있을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들어[18] 1919년 11월 신규식과 중국 국민당(國民黨)의 주선으로 신동식 등 6명의 청년들과 함께 마르세유로 가는 영국 화물선에 승선, 프랑스에 유학하였다. 이때 그는 일본의 추격을 피하기 위해 편법으로 중국인 여권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1920년 프랑스에 도착했다.
화물선 안에서 어릴 적 이름인 허성수(許聖壽)에서 허정으로 이름을 바꾸었고[19], 바다를 보고 우양이라는 아호가 떠올랐다 한다.[19] 이후 그는 호를 우양이라 하였다. 1920년에 프랑스로 건너가 한인거류민회장으로 선출되었다.[81]
2. 2. 3. 프랑스 유학 시절
1920년 프랑스에 6개월 정도 체류하며 프랑스 거주 한국인 거류민 회장을 맡아 교민들을 결속하는 데 힘썼다.[20][81] 노령에서 건너온 한국인 노동자들이 무식함과 외국인 노동자들에게 멸시당하는 것에 충격을 받고, 임시정부 파리위원부의 도움을 얻어 유법한인회(留法韓人會)라는 프랑스 한국인 유학생 친목조직을 결성하였다.[20] 또한 낮에는 막노동, 밤에는 노동 후 돌아온 한국인들에게 한국의 역사, 지리, 국어, 산수 등을 가르쳤다.[20]2. 3. 일제 강점기 활동
허정은 부산에서 무역상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중앙학교를 거쳐 보성전문학교 법학과를 졸업했다. 학생 시절 이동휘의 강연을 듣고 감명을 받아 3·1 운동에 참여한 뒤 중화민국으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였다.[5]1920년 프랑스로 건너가 이름을 "허정(許政)"으로 바꾸고 육체노동을 하면서 프랑스 거주 한국인 단체 회장을 역임했다. 1921년에는 미국으로 건너가 이승만을 도우면서 뉴욕 한국 유학생 회장과 북미 한국 교민 총단장을 역임했다. 1923년에는 미국에서 한국어 신문인 『삼일신보』의 사장에 취임하였다.[5]
1932년 『삼일신보』를 이기붕에게 맡기고 귀국하여 한때 음악 교사가 되었으나 사업을 시작했다. 그러나 사업에 실패하고, 1933년 이기붕이 귀국하자 공동으로 광산 경영에 참여했다. 그 이후 허정과 이기붕은 광업에 전념하여 충청북도 영동군의 형석 광산을 인수하기에 이르렀으나, 1938년에는 흥업구락부 사건으로 체포되었다. 1942년에는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다시 체포·수감되었다. 결국 모두 곧 석방되었고, 이후로는 정치 문제에 거의 관여하지 않았지만, 이승만의 측근이었던 까닭에 요시찰 인물로 감시를 받았다.
2. 3. 1. 미국 체류 초기
1920년 7월 프랑스를 떠나, 미국 뉴욕주 뉴욕 항에 도착하였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서는 생업에 종사하면서 미국 뉴욕 한인유학생회장, 1922년 북미 거주 한국인 교민단 총단장 등을 지냈으며, 1923년 6월 3·1 신보사한국어를 창간했다. 이 무렵 그를 찾아온 안창호를 면담하고 흥사단 단원들이 그에게 가입을 권고했으나 허정은 거절하였다. 비록 그는 자신을 도와달라는 안창호의 요청은 거절하였으나, 후일 안창호와 이승만이 갈등할 때와 국민회와 동지회, 재미 동포사회 간 갈등이 있을 때마다 중재에 적극 나서기도 했다.[21]미국으로 건너온 뒤 학업이 여의치 않자 그는 교민 사업에 헌신하였다.[21] 그의 헌신성에 감격한 이승만과 안창호는 어떻게든 그를 자신의 곁에 두려고 했고, 나중에 그가 귀국할 때는 이승만이 그의 귀국을 만류하기도 했다.
처음에는 이승만을 돕는 것에 대해 소극적이었으나 나중에 이승만이 김현구 등과 그를 영입하면서 이승만을 적극적으로 돕게 된다. 허정은 뉴욕에서 대한인공동회를 만들어 이승만파와 안창호파를 통합하려고 했으나 실패하고 결국 이승만을 지지하는 교민단의 회장직을 맡게 되었다.[21] 그는 서재필 등을 찾아가 이승만과 안창호 사이의 갈등을 조절하려 했지만 서재필 역시 실패하면서 포기하고 동지회와 구미위원부 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1921년 세계군사축소회의가 개최되자 한국인 대표단의 한 사람으로 선출되어 참석했다.
재미국 한인들이 세계군축회의 대표자로 서재필 박사를 파견할 것을 결정하고 이승만을 선출하지 않자, 그는 서재필에게 장거리 전화를 걸어 이승만도 대표로 참여시킬 것을 설득하여 이에 성공하였으며, 이로부터 이승만은 그를 신임하게 되었다.[22]
2. 3. 2. 미국 체류와 독립운동
1923년 미국 교포신문인 〈삼일신보〉 사장에 취임하는 한편, 임시정부의 주미외교위원회에서 일했다. 구미위원부에서 그가 맡은 일은 한인 교포들에 대한 인두세 징수와 구미위원부 기관지인 구미위원부 통보의 발간이었다.[24] 허정에 의하면 '임시정부의 교민단법에 나와 있는 인두세는 국민 모두 납부해야 하는 기본세와 같은 성격을 지닌 것'이라고 하였다.[24] 그는 기사를 쓰고, 문선을 하고 미미오그라프를 돌려 큰 타이프용지 2장을 잇댄 정도의 크기로 구미위원부 기관지인 통보 제1호를 발간했다.[25] 이후 계속 통보를 발행했다.통보에서 그는 3·1운동의 결정체인 임시정부를 독립운동의 최고 기관으로 삼고 임시정부의 활동을 재정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인두세를 납부하는 것은 해외 한국인 교포의 의무임을 강조하는 글을 싣고 인두세를 구미위원부로 보내달라고 호소하였다.[25] 허정은 통보를 구미 각 지역에 보냈을 뿐만 아니라 멀리 만주에 있는 동포들에게까지 발송하였다.[25] 통보를 본 구미의 각 동포들은 각자의 여유에 따라서 10USD, 또는 20USD 등을 구미위원부로 보내주어 얼마 되지 않아 몇천 달러의 돈이 모였다.[25]
허정은 이 돈을 즉시 당시의 임시정부 재정부장 이시영에게 보냈다. 허정은 그때는 미국에서 상하이로 쉽게 송금했다고 한다.[25] 이 돈을 받자 김구와 이시영은 곧 감사와 격려의 편지를 허정에게 보냈고[25], 김구는 자신의 독특한 붓글씨(피격 후유증으로 몸에 박힌 총알 때문에 수전증이 심했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의 글씨체를 떨림체, 김구 자신은 자신의 글씨체를 총알체로 불렀다.)로 쓴 자서전 백범일지를 보내주었다.[25] 1932년 초 향수병으로 허정은 구미위원부 위원직을 사직하고 귀국을 결심한다.
2. 3. 3. 사업 활동
1932년 7월 귀국 후 부산에서 가사를 돌보며 건강 회복에 힘을 쏟았다. 1932년 10월, 이화여자대학교 음악과를 졸업하고 동래 일신여학교 음악 교사로 있던 백귀란과 재혼했다.[11]사업 수완이 없었던 그는 일시적으로 장사를 해 보았으나 실패했다. 1933년 이기붕이 귀국하자 함께 광산 일을 동업하기도 했다.[28]
2. 3. 4. 일제 강점기 후반
1938년 흥업구락부 사건으로 체포되어 고문을 당했고,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다시 체포되어 고문을 받았다.[23] 1940년 조선총독부의 창씨 개명 강요를 거절하였다.1940년대 이후 이승만의 측근이자 요시찰 인물로 감시를 받았으나, 이승만과의 관련설을 부인하였다. 1945년 2월 조선총독부가 조선인 불령선인과 요시찰 인물들을 사살할 것이라는 정보를 입수하고 충북 영동으로 피신하였다.[11]
2. 4. 정치 활동
태평양 전쟁 종전 후 일본이 항복하자 허정은 정치 활동을 재개하여 1945년 9월 21일 한국민주당 경상남도 총무를 맡았다.[17] 1948년 제헌 국회의원(경남 부산을)에 당선된 뒤, 교통부 장관(1948년~1950년)과 사회부 장관(1950년~1952년)을 역임하였다. 1951년 11월 6일부터 1952년 4월 9일까지 장면 국무총리가 유엔 총회에 참석하는 동안 국무총리 직무대행을 맡았다.[17] 부산 정치 파동으로 물러난 후, 1957년부터 1959년까지 제8대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하였다.[17]1959년 한일회담 수석대표로 참석하였고,[17] 1960년 4월 외무부 장관에 임명되었다.[17] 그러나 대통령 선거 부정으로 인해 4·19 혁명이 발발하자, 허정은 이승만에게 조기 퇴진을 통한 사태 수습을 제안하였다. 이승만이 대통령직에서 사퇴한 다음 날인 4월 27일부터 국무총리[6](내각 수반) 겸 외무부 장관[7]으로서 사실상 대통령 권한대행이 공석인 국정을 지휘하였다. 6월 15일 대한민국 헌법 개정으로 부활한 국무총리 제6대가 되었고, 이승만 망명부터 신정부 수립까지 이어진 과도정부의 대통령 권한대행(1960년4월 27일 - 1960년8월 12일)을 역임하였다.
2. 4. 1. 광복 직후
광복 후, 허정은 정치 활동을 재개하여 1945년 9월 21일 한국민주당 경상남도 총무를 맡았다.[17] 1948년 5월에는 제헌 국회의원(경남 부산을)에 당선되었다.2. 4. 2. 단독 정부 수립 참여
이승만이 단독정부 수립론을 주장하자 허정은 이승만의 단독정부 수립론을 지지했다. 장덕수 암살 전까지 그는 이승만과 김구를 화합, 연결시키려 노력하였다. 그러나 1947년 12월 장덕수가 백의사 계열과 한독당 당원들에 의해 피살되자 한독당과의 연대 노력을 포기했다.[31]장덕수 암살 이후, 허정은 한독당을 용의자로 지목했다. 그는 조소앙을 찾아가 "왜 설산을 죽였소?"라고 항의하였으나, 조소앙은 너털웃음을 지으며 직접적인 답변을 회피하였다.[31] 미군정 보고서[32]에 따르면, 김구는 김성수 암살을 기도했다고 한다.[33] 이후 허정은 조소앙 등과는 개인적으로 친분관계를 유지했지만, 김구나 임시정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시각으로 돌아섰다.
1948년 1월 UN한국위원단이 서울에 파견되자 허정은 환영회를 주관하고 위원단의 통역을 담당하였다.
2. 4. 3. 제헌 국회의원과 헌법 기초위원
1948년 5월 10일 부산 을구에서 한국민주당 공천으로 제헌국회의원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5월 30일 제헌국회가 열린 뒤에는 유진오, 백관수, 조봉암 등과 함께 헌법기초위원회 위원에 선출되어 활동하였다. 6월 4일 ~ 6월 21일 헌법기초위원 회의에 참여하였다. 6월 21일 허정, 김도연 등은 내각책임제, 대통령중심제 안건이 나오자 대통령중심제를 강력히 주장하였다.[35] 8월 15일 이승만 정부 수립 직후 허정은 총무처장직을 제의받았으나 거절하였다.2. 4. 4. 정부 수립 이후
1948년부터 1950년까지 교통부 장관을 역임하였다.[17] 1950년부터 1952년까지 사회부 장관을 역임하였다.[17] 1951년 11월 6일부터 1952년 4월 9일까지 장면 국무총리가 유엔 총회에 참석하는 동안 국무총리 직무대행을 맡았다.[17]부산 정치 파동으로 물러난 후, 1957년부터 1959년까지 제8대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하였다.[17] 1959년 한일회담 수석대표로 참석하였다.[17] 1960년 4월 외무부 장관에 임명되었다.[17]
2. 5. 4.19 혁명 전후
1960년 4·19 혁명으로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하고 자유당 정권이 무너지자, 허정은 대통령 권한대행으로서 과도 정부를 이끌게 되었다. 그는 '혁명적 목표를 비혁명적 방법으로 수행한다'는 시정 방침을 발표했지만,[58] 부정선거 관련자 처벌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 비판을 받았다.허정은 과도정부의 당면 과제로 다음 3가지를 제시했다.[59]
- 정·부통령 선거는 국회와 협의하여 실시
- 경찰 중립화 방안 추진
- 과도정부 각료는 비정당인으로 구성
1960년 5월 2일, 첫 국무회의를 열어 혼란한 정국과 경제 위기 타개를 다짐하며, 당면 정책 5가지와 혁명 과업 수행의 기본 정책 4가지를 채택했다.[59]
구분 | 내용 |
---|---|
당면 정책 | |
혁명 과업 수행의 기본 정책 |
그러나 허정 과도정부는 구체제 청산 의지가 부족했고, 민중의 혁명적 열기를 제대로 이어가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11] 그는 치안 유지와 새 정부 수립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었지만, 부정선거 관련자와 부정축재자 처벌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11]
1960년 5월 29일, 허정은 이승만 전 대통령의 하와이 출국을 주선했다. 그는 이승만의 건강 악화와 하와이 교민들의 요청을 이유로 들며, 인도적, 정치적 관점에서 이승만의 출국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했다.[110] 그러나 이 일로 인해 국회와 언론의 거센 비판을 받았으며, 장면 민주당 대표는 과도정부에 진상 규명을 요구하기도 했다.[59]
3·15 부정 선거 관련자 및 부정축재자 처벌에 대한 의지를 보였으나,[58] 미국의 압력과 제1공화국 각료 출신이라는 한계로 인해 적극적인 처벌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교원노조 허용으로 교사들의 파업이 빗발치자, 허정은 강경 대응과 동시에 관련자 처벌을 유보하는 방식으로 사태를 수습했다.
1960년 6월 15일 정식 국무총리에 취임하고, 6월 23일 다시 대통령 권한대행이 되었다. 6월 20일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 방한 시 그와 면담하였다.
허정은 4·19 혁명 이후 수립된 장면 내각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2. 5. 1. 대통령 권한대행에 취임
1960년 4·19 혁명으로 자유당 정권이 붕괴되자, 부통령 장면이 사퇴하고 후임 이기붕은 사망하였으므로 수석국무위원 허정이 과도 정부의 대통령 권한대행이 되었다. 대통령 권한대행에 취임한 허정은 '혁명적 목표를 비혁명적 방법으로 수행한다'[58] 고 시정방침을 발표했다. 그러나 관련자 처벌을 주저하거나 온건한 처벌, 감정이 가라앉은 뒤에 처벌할 것을 호소하자, 비난을 받기도 했다.허정은 취임과 더불어 내외 기자단과 회견, 선거를 위한 과도정부의 당면 과제로 다음 3개항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59]
1. 정·부통령 선거는 국회와 협의하여 실시한다.
2. 경찰중립화 방안을 추진한다.
3. 과도정부의 각료는 비정당인으로써 구성한다.
허정은 '비혁명적인 방법에 의한 혁명'을 수행하겠다는 방침을 천명하면서 4월 28일 과도정부의 입각자 명단을 발표했다.[59] 과도 정부 각료로는 외무에 허정 자신(겸임), 내무 이호, 법무 권승렬(유임), 재무 윤황병, 문교 이병도, 부흥 전예용, 상공 전택무, 보사 김성진, 교통 석상옥, 국방 이종찬, 체신 오정수, 농림 이해익, 공보실장 서석순 등이 임명되었다.[59]
1960년 5월 2일 첫 국무회의를 열어 혼란 상태에 있는 정국을 수습하고 난맥상태에 있는 경제 위기를 타개할 것을 다짐하였다.[59]
허정은 당면정책 5가지와 혁명 과업 수행의 기본 정책 4가지를 채택했다.[59]
- 당면정책 5가지
1. 부정선거 관련자 엄중처벌
2. 경제사범 엄단
3. 경제적 민주화를 지향하는 시책
4. 중소기업 육성의 재정적 뒷받침
5. 악질 세무관리의 엄단
- 혁명 과업 수행의 기본 정책 4가지
1. 반공주의의 더한층 강화
2. 부정선거 처벌대상은 고위책임자와 잔학행위를 한 자에게만 한함
3. 4·19 혁명 당시 미국의 행위를 내정간섭 운운하는 것은 이적행위로 간주
4. 한·일 관계의 정상화 노력과 일본기자의 입국허용
그러나 허정 과도정부는 구체제 청산에 대한 의지가 부족했으며, '혁명적 정치개혁을 비혁명적 방법으로 수행한다'는 슬로건에서도 드러나듯이 민중의 혁명적 열기를 제대로 이어가지는 못했다.[11] 그는 치안을 유지하면서 부정선거관련자와 부정축재자를 철저하게 처벌하는 한편, 새 정부 수립이라는 당면 과제를 해결해야 했다.[11]

2. 5. 2. 혼란 수습
1960년 4·19 혁명으로 자유당 정권이 무너지자, 대통령 권한대행이 된 허정은 '혁명적 목표를 비혁명적 방법으로 수행한다'는 시정방침을 발표했다.[58] 그러나 부정선거 관련자 처벌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 비판을 받았다.허정은 과도정부의 당면 과제로 다음 3가지 사항을 발표했다.[59]
- 정·부통령 선거는 국회와 협의하여 실시
- 경찰 중립화 방안 추진
- 과도정부 각료는 비정당인으로 구성
1960년 5월 2일 첫 국무회의를 열어 혼란한 정국과 경제 위기 타개를 다짐하며, 혁명 과업 수행의 기본 정책으로 다음 5가지를 채택했다.[59]
번호 | 내용 |
---|---|
1 | 부정선거 관련자 엄중 처벌 |
2 | 경제사범 엄단 |
3 | 경제적 민주화를 지향하는 시책 |
4 | 중소기업 육성의 재정적 뒷받침 |
5 | 악질 세무관리 엄단 |
번호 | 내용 |
---|---|
1 | 반공주의 강화 |
2 | 부정선거 처벌 대상은 고위 책임자와 잔학 행위를 한 자로 한정 |
3 | 4·19 혁명 당시 미국의 행위를 내정간섭으로 보는 것은 이적행위로 간주 |
4 | 한일 관계 정상화 노력과 일본 기자 입국 허용 |
그러나 허정 과도정부는 구체제 청산 의지가 부족했고, 민중의 혁명적 열기를 제대로 이어가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11] 그는 치안 유지와 새 정부 수립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었지만, 부정선거 관련자와 부정축재자 처벌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11]
2. 5. 3. 이승만 출국 주선
1960년 5월 29일 새벽, 허정은 이수영 외무부 차관을 이화장으로 보내 이승만 내외를 직접 모셔오게 하고, 자신은 김포국제공항으로 나가 이들을 맞이하였다.[64] 이승만의 출국 정보를 입수한 경향신문은 5월 초부터 이화장에 사람을 보내 이승만의 동태를 감시하고 있었다.[64]허정은 김포공항에서 이승만 내외를 만나 그의 손을 잡고 위로했다. 이승만은 "바쁜데 왜 여기까지..."하며 말을 잇지 못했고, 프란체스카 여사가 기자들의 질문에 대신 답했다.[64] 허정은 당시의 심정을 "나는 이승만의 아픈 심정을 직접 느끼는 듯해서 목이 메었다.[65]"고 회고했다.
허정은 공보실을 통해 이승만의 출국을 발표했고, 국회와 언론은 이 문제로 논란을 벌였다.[65] 허정은 국무회의를 열어 자신의 결정을 설명하고 책임을 지겠다고 밝혔다.[63]
1960년 5월 30일, 국회는 이승만 출국에 대한 책임을 추궁했다.[59] 허정은 국회에서 이승만의 건강 악화와 하와이 거류민단의 요청을 언급하며, 매카나기 주한 미국 대사로부터 미국 입국 허가가 이미 나와 있었음을 밝혔다. 그는 인도적, 정치적 관점에서 이승만의 출국이 나쁘지 않다고 생각했으며, 시국 수습에도 유리할 것이라고 판단했다.[110] 또한, 이승만이 스스로 사임했기 때문에 외교관 여권을 발급했으며, 국민 감정상 90세 노인을 단죄하지 않을 것이라 믿었다고 설명했다.[66] 필요하면 언제든지 이승만을 소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59]
유진산 민주당 의원은 허정에게 이승만과 자유당의 책임을 추궁했지만, 허정은 국민투표를 하더라도 자신의 결정이 찬성을 받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66]
장면 민주당 대표는 이승만의 망명을 비판하고, 과도정부에 진상 규명을 요구했다.[59] 그러나 곽상훈 국회의장 등은 허정을 격려하며 "영감 잘 내보냈소."라고 말했다.[65] 윤치영, 장택상 등 이승만의 측근들은 허정이 이승만을 비밀리에 출국시킨 것을 비판했다.[68]
2. 5. 4. 부정선거 후유증 수습
1960년 3·15 부정 선거 관련자 및 부정축재자를 과감하게 처벌하려는 의지를 보였다.[58] 그러나 미국은 이들에 대한 과격한 처벌을 피하도록 시사하는 공문을 국무총리 허정과 민주당 대표최고위원인 장면에게 보냈다.[69] 허정 역시 제1공화국의 각료 출신이었으므로, 제1공화국 당시 부패 관료를 처벌하려는 시도에는 한계가 있었다는 비판을 받았다.이승만 정권 내내 교원의 정치 중립화라는 명분으로 규제되었던 교원노조가 허용되자, 교사들의 파업이 빗발쳐 각급 학교의 분규 사건과 각처에서 교사 노조가 궐기하여 교원노조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허정은 교사들의 불평불만을 수용하지 않고 강경하게 대응하면서도, 관련자들에 대한 처벌은 유보하여 사태를 수습하였다.
1960년 6월 15일 정식 국무총리에 취임하고 6월 16일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사퇴하였으나, 민의원 의장 곽상훈이 권한대행직을 맡을 수 없다며 허정에게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계속 수행할 것을 권고했다. 6월 23일 다시 대통령 권한대행이 되었다.
1960년 6월 20일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이 방한하자,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였던 허정은 아이젠하워와 면담하였다.
2. 5. 5. 장면 내각에 대한 비판
4·19 혁명 이후 과도 정부를 이끌던 허정은 장면 내각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민주당 구파에 속했지만, 윤보선, 김도연 등 다른 구파 인사들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거나 이들과 교류하는 데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다.2. 6. 생애 후반
제2공화국 수립 후 정계를 은퇴하고 이승만의 복권에 힘썼으나, 5·16 군사 쿠데타로 박정희 군사정권이 수립되자 군정의 영입 제의를 거절했다. 1963년 국민의당을 결성하고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했지만, 민간 정치인 후보 단일화에 따라 윤보선 지지로 돌아섰다. 이후 민주당, 민중당, 신민당 등 야당에서 활동했으나, 1967년 정계에서 은퇴했다.이후 박정희 정권에서 국토통일원 고문을 맡았고, 최규하, 전두환 정권에서는 국정자문회의 의원을 지냈다.
2. 6. 1. 야당 정치인
1963년 국민의당 대표 최고위원을 역임한 뒤 1964년 12월 12일 민주당과 국민의당의 통합에 국민의당 대표 자격으로 통합선언서에 서명하였다.[78] 이후 그는 군사 정권에 대한 강경 투쟁과 야당으로서의 선명성을 유지해야 된다고 역설하였다. 또한 기성 정치인을 부패정치인으로 낙인찍은 것은 군인 출신들의 자기합리화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1964년 12월 12일 서울 시민회관에서 열린 양당 통합전당대회에서 민주당은 박정희 정권의 퇴진을 위해 불굴의 투쟁을 전개할 것을 선언하고 대표최고위원에 박순천을, 최고위원에 허정을 만장일치로 추대하였다.[78] 1965년 민중당 창당에 참여하였고, 이후 민중당 최고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65년 7월 19일 이승만의 부고 소식을 듣고, 7월 22일 비행기를 통해 이승만의 유해가 귀국하자, 오전 8시경 김포공항에 도착하여 그의 유해를 영접하였다. 허정, 윤치영, 이범석, 장택상 등은 국장으로 장례를 치를 것을 요구하였다. 대통령 박정희는 이승만의 국민장을 추진하였으나, 허정, 윤치영, 이범석, 장택상 등은 국장을 고수하였다. 4.19 관련 단체에서는 이에 반발하여 국장은 물론 국민장으로 예우해줘서는 안 된다며 대규모 시위, 집회를 열었다. 장례식 때 그는 친히 추도사를 지어 낭독하기도 했다.
1966년 민중당 고문이 되었다. 1966년 6월 5일 장면의 빈소를 방문한 뒤 장면의 국민장에도 참석하였다.
1966년 12월 24일 야당통합과 대통령후보 단일화 추진을 위한 위원회가 설치되자 후보단일화 추진위원으로 위촉되었다.[79] 1967년 민중당과 신한당이 통합하여 신민당이 되자 신민당에 입당하였다. 그러나 6대 대통령 선거에서 윤보선이 패한 뒤 정계에서 은퇴하였다.
2. 6. 2. 정계 은퇴와 국정 원로
1969년 국토통일원 고문직을 수락하였으며, 1969년부터 1979년 박정희 정권이 붕괴될 때까지 국토통일원 고문을 지냈다.[1] 그러나 이승만의 측근이었고 제1공화국의 각료였던 그의 타협에 대해 야당 인사들은 냉소적이거나 무관심했다.[1]10·26 사태 이후 최규하 정부가 출범하면서 1979년 12월 국정자문회의 의원으로 선출되었다.[1]
2. 6. 3. 만년
1980년부터 1984년까지 국토통일원 고문회의 의장을 역임하였다.[23] 1981년 4월 23일 국정자문회의 위원에 재위촉되어 1988년까지 활동하였다.[17] 1983년 5월 ~ 6월에는 국정자문회의 의원 김용완, 남덕우 등과 함께 동남아시아를 시찰하고 돌아왔으며, 싱가포르 방문 시 주 싱가포르 대사와 밤새 대화하기도 했다. 1988년 청조근정훈장을 수여받았다.[17] 1988년 9월 18일 사망하여 국립서울현충원 국가유공자 제1묘역에 안장되었다.3. 사상과 신념
허정은 성격이 청렴하고 강직하여 한국 정계의 원로로 대우받았다. 학창 시절에 만난 이승만을 존경하여 1919년 이후부터 그의 측근으로 활동하였으나, 자유당에는 가담하지 않았다.[85]
4·19 혁명 이후 그가 보여준 정치적 행동에 대해서는 여러 갈래로 해석되지만, 혁명의 불길을 개혁으로 전환시키면서 사회를 안정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86] 역사학자 이병도는 허정이 4·19 혁명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으로서 어려운 시국을 수습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고 평가했다.[87]
이병도는 허정이 이승만을 출국시킨 일을 두고, '이승만을 서울에 그대로 머무르게 하여 어떤 일이라도 생기게 된다면 피차의 체면이 어찌될 것인가'라며, 허정의 과단성과 정의감에 감탄했다고 평가했다.[63][88] 그는 허정을 '온화한 군자이면서도 내강하여 의지가 굳고 자기의 이념에 비추어 옳다고 생각하는 바는 기어이 관철시키는 성격의 소유자'이며, '정치적·행정적 경험을 많이 쌓은 만큼 정치적인 풍모를 띄고 있는 것도 사실이나, 한편 인정도 있고 의리를 중히 여기는 인격자'[89]라고 평가했다.
소설가 겸 작가 박종화는 허정을 '정계의 거성[90]', '한국 근대 정치사의 산증인[90]'이라고 평가했다.
고려대학교 법학과 교수 유진오는 '빛나는 경력을 가진 정계의 거물이라면 보통은 마주 앉으면 어째 거북함을 느끼는 것이 보통인데, 우양은 남에게 그러한 냄새를 풍기지 않는 분이다. 소탈하다고 할까, 학자 타입이라고 할까, 옛날 선비풍이라고 할까, 우양은 그런 인품의 분이다.'라고 평가했다.[91] 그는 또한, '연하자라고 해서 자기의 고집을 밀어붙이려고 하지 않고, 이승만 박사를 존경한다고 해서 사사친분에 얽매이지 않는다. 모든 계루(係累)를 떠나 자기가 옳다고 생각하는 쪽으로 용기있게 나가는 사람이다.'[91]라고 평가했다.
3. 1. 정치관
허정은 다수의 주장이 곧 민주주의라는 견해에 반대했다. 그는 사람 수나 정당 당원 수가 많다고 해서 그 정당이 우수한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92] 소수의 의견이라도 합리적이고 올바르면 수용하는 것이 민주주의라고 했다.또한 허정은 참된 정치가는 국민의 자유, 권리, 발언, 활동을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이라고 정의했다.[93] 그는 점진적인 민주 개혁을 주장했는데, 이는 때때로 더욱 급진적인 야당 세력과의 마찰을 야기하기도 했다.
3. 2. 민족자주론에 대한 관점
허정은 실력을 갖추고 그 실력을 바탕으로 정치, 외교력을 행사해야 한다며 민족자주, 자주외교론을 비판하였다. 그는 '흔히 민족의 자주성이니 자주 외교니 하는 말을 하지만, 나는 그들이 어느 정도의 경제적 실력을 토대로 이 말을 하는지 헤아려 보고 싶다.'[94]며 입으로 자주성을 들먹이는 정치인을 비판하였다. 동시에 반미주의를 위험한 것이라고 판단했다.그는 민족 자주, 민족 해방, 자주외교에 대한 일부의 주장을 감정적인 것으로 해석했다. '오늘날의 국제정치에 있어서는 경제적 강자가 가장 자주적일 수 있다는 것은 냉혹한 현실인 것이다. 경제적인 자주성이 없는 한, 진정한 민족의 자주성이나 자립 외교는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경제적 번영을 성취하는 것이 선결문제인 것이다.'[94]라며 한국이 미국의 식민지라고 하던 학생운동계 일부의 주장은 근거없는 낭설이라며 반박했다.
또한 민족주의를 표방하며 외세의존적인 정치가들에 대한 비판을 가하기도 했다. '겉으로는 강한 민족주의적 색채를 노출시키면서도 사실은 외국 자본에 매달리는 허식적인 자세는 절대로 긍정할 수 없다. 내자(內資)의 결핍으로 외자(外資, 외국 자본)를 도입한다는 것은 불가피한 문제이지만, 도입한 외자가 국민의 이익을 크게 증진시키지 못하고 일부 재벌, 일부 정객(정치인)이나 정당의 이익에만 공헌하는 겉치레 경제 부흥에 절대로 동조할 수 없다.'[94]는 것이다. 실력을 갖추지 못한 자주성 남발은 국익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었다.
3. 3. 공무원 노조 설립 반대
허정은 교통부 장관으로 임명되자 좌파 계열의 농성과 파업이 치열하게 전개되었던 철도에 행정력을 집중하여 철도와 교통부 직원의 노조활동을 금지시켰다.[11]허정은 교원 노조에도 부정적이었다. 1960년 4월 29일 대구의 여러 중등학교 대표 약 60명이 중등교원노조를 결성한 것을 필두로 국민학교 교원들의 노조도 결성되었다. 5월 22일에는 서울에서 전국의 교원 대표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국교원노조연맹'(全國敎員勞組聯盟)이 조직되었다. 새로 조직된 이 연맹은 종래의 '대한교련'(大韓敎聯)을 즉시 해체하고 연맹을 유일한 전국교원조직으로 정부가 공식적으로 승인해줄 것을 요구했다.[95][96] 교원노조가 전국적인 규모로 확산되자 허정 과도정부는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였다.[96]
허정은 "교육공무원은 법에 의하여 일반공무원과 같은 자격을 가지며 공무원은 정치에 간여할 수 없고 교육자(공무원)는 일반노동자와는 구별되므로 각자가 스스로의 대접을 받아야 된다"고 말하며 교원노조의 부당성을 지적했다.[97][98]
그는 또한 "다른 일반공무원보다는 교육자들의 생활보장면이 우선되어 있고 사회적으로 스승의 대접을 받고 있는데 투쟁에 의해서만 그들이 권익을 옹호하려는 방법에는 납득이 가지 않는다"라는 논리를 폈다.[96][98] 허정은 공무원 및 교직원 노조 결성 움직임을 관계자 문책 및 해임, 파면 등으로 강경하게 대응하였다. 그는 1960년 권한대행으로 재직하는 동안 신흥 교사 노조 운동에 단호한 입장을 취하며, 공무원과 교육자는 일반 노동자와 구분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
3. 4. 자본 경영에 대한 관점
허정은 자본은 민영화, 개인 운영이 타당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한민당 창당 초기에 허정은 자본의 일시적인 국유, 국영화를 주장하여 한국민주당의 당 강령으로 정착시켰다. 허정에 의하면 한민당이 중요 산업의 국영 또는 통제 관리를 정책으로 내세운 것은 한민당이 사회주의 경제를 지향해서가 결코 아니었다.[99]고 해명했다. 허정에 의하면 자유민주주의의 구현이 한민당의 지상 과제인 만큼 경제 정책도 기회 균등이 보장되는 자유 경쟁 체제를 원칙으로 삼고 있었다. 그러나 일본인들이 남겨놓고 간 많은 산업 시설을 인수할 만한 민족 자본이 형성되지 못한 때에 자유 경쟁의 원칙만을 고집하면 경제적 혼란이 오고, 이에 따라 기업 윤리가 혼미에 빠지고 급조 재벌이 횡행하여 민생이 위협받을 것이므로, 건전한 민족 자본과 기업 윤리가 형성될 때까지 국영 또는 통제 관리를 잠정적으로 실시하려고 한 것이다.[99]허정에 의하면 토지 문제에서는 경자유전(耕者有田)을 원칙으로 삼고 있었다. 당시 공산당과 그 계열은 경자유전을 말하면서도 토지의 무상 몰수, 무상 분배를 주장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것은 토지의 국유화를 전제로 해서 가능한 만큼, 토지의 소유권이 농민에게 돌아가는 것이 아니었다.[99] 허정은 농민은 단지 경작권만을 얻을 수 있을 뿐이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농민은 남의 땅 경작이 아니라 자신이 소유하는 땅을 원하고 있었다. 그들은 자기 땅에 자기가 씨앗을 뿌리고 거둬들이는 기쁨을 희구했으며, 남의 땅에 씨앗을 뿌리고 거둬들이는 슬픔을 바라지는 않았다. 따라서 지주가 개인으로부터 국가로 바뀌는 차이밖에 없는 무상 몰수, 무상 분배는 경자유전의 원칙과는 거리가 멀었다.[100] 허정과 한민당은 공산당이 말하는 무상 몰수, 무상 분배는 완전한 국유화, 국영화는 농민을 소작농으로 만드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민당은 유상 매수 또는 유상 분배를 주장했다. 저렴한 대가 내지는 국가에 토지세를 상환해서 갚아나가는 것이었다. 허정에 의하면 한민당은 모든 농민에게 자기 땅에 씨앗을 뿌리는 기쁨을 주기 위해 농민이 땅을 사서 사유화하는 유상 분배의 원칙을 세웠다는 것이다.[100] 가난한 농민을 위해 국가가 지주로부터 토지를 사들여 농민에게 분배하고, 농민은 땅값을 국가에 장기 분할로 갚아나가고, 지주는 토지를 매각한 자금으로 산업 자본가로 전환하는 토지의 합리적 재편성을 의도했다[100]고 하였다.
3. 5. 독립운동가들의 직업 문제
허정은 미국에서 독립운동가들이 일정한 직업 없이 교포들의 기부금에만 의존하는 것을 보고 비판적인 시각을 가졌다.[101] 허정에 따르면, 교포들은 수입의 많은 부분을 독립운동 자금으로 냈고, 이 자금이 독립운동이 아닌 개인 생활비로 쓰이는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101]허정은 서재필, 김규식 등 소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독립운동가들이 자신의 직업을 갖지 않는 것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그는 독립운동이 순수한 시민적 자각에 입각한 봉사여야 하며, 독립운동가들이 도덕적 우월감에 빠져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102] 그는 자신의 생계를 스스로 해결하며 독립운동에 참여했고, 식당 서빙, 접시닦이, 상점 점원 등으로 생활비를 벌면서 독립운동 자금 모집 및 홍보 활동을 병행하였다.
4. 평가
허정은 청렴하고 강직한 성격으로 한국 정계의 원로로 대우받았다. 학창 시절부터 이승만을 존경하여 그의 측근으로 활동했지만, 자유당에는 가담하지 않았다.
4·19 혁명 이후 과도정부의 내각 수반을 맡아 사회를 안정시키고 개혁적인 성격으로 전환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86] 역사학자 이병도는 허정이 어려운 시국을 수습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고 평가했다.[87] 이병도는 이승만을 출국시킨 허정의 과단성과 정의감을 높이 평가했다.[63][88]
소설가 겸 작가 박종화는 허정을 '정계의 거성', '한국 근대 정치사의 산증인'이라고 평가했다.[90] 고려대학교 법학과 교수 유진오는 허정을 소탈하고 학자 타입이며, 옛날 선비풍을 가진 인물이라고 평가했다.[91]
4. 1. 긍정적 평가
허정은 한국의 초기 민주화 과정이라는 격변기에 중요한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 4.19 혁명 이후 국가 안정에 기여하고 여러 정파 간의 조정 역할을 수행한 그의 노력은 역사가들에게 인정받고 있다.[59]4. 2. 부정적 평가
3·15 부정선거 관련자 처벌에 미온적으로 대처했다는 비판과 이승만의 출국을 비밀리에 주선한 것에 대해 이승만의 측근들로부터 비난을 받았다.[85][86]5. 가족 관계
許文逸|허문일중국어(? - ?)과 金述伊|김술이중국어(? - ?)의 아들로 태어났다. 형제는 4명, 누이는 1명이었다. 그는 두 번 결혼했는데, 첫 번째 부인은 이름이 알려지지 않았으며 1931년 이혼했다. 슬하에 아들 허준(許浚, ? - ?)과 며느리 김은영(金恩寧)이 있었다. 1932년 이화여자대학교 음악 교사였던 백귀란(? - 1983년 2월)과 재혼하여 딸 허원(許源, 1934 ~ )을 낳았다.[84] 딸 허원은 첫 남편과 사별 후 폴 한(1933 ~ ?)과 재혼하였다. 외손자는 장윤걸(張潤傑)이다.
6. 상훈
7. 저서
明日のための証言|내일을 위한 증언일본어은 허정이 1979년에 출판한 회고록으로, 그의 정치 경력과 그가 목격한 역사적 사건들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1]
참조
[1]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허정 회고록
샘터사
[2]
서적
한국현대정치사의 이해
오름
[3]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허정 회고록
샘터사
[4]
웹사이트
(기고) 김해허씨의 유래와 인물
http://www.jgtimes.c[...]
2021-10-21
[5]
웹사이트
허정(許政)
https://encykorea.ak[...]
2023-08-17
[6]
서적
現代世相風俗史年表:1945-2008
河出書房新社
[7]
웹문서
[8]
웹인용
::: 강원도민일보 :::
http://www.kado.net/[...]
2010-02-03
[9]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0]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busanilbo[...]
2010-02-04
[12]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3]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4]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5]
서적
우남 이승만 연구
역사비평사
[16]
서적
우남 이승만 연구
역사비평사
[1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opm.go.kr[...]
2008-07-08
[18]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20]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21]
서적
이승만과 한국독립운동:현대한국학연구소 학술총서 8
연세대학교출판부
[22]
뉴스
정계주변 ⑦ 허정씨의 관운과 자유당 바람
조선일보
1959-09-02
[23]
웹사이트
허정 - Daum 백과사전
http://enc.daum.net/[...]
[24]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25]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26]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27]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28]
웹문서
[29]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30]
뉴스
동아일보
1945-12-08
[31]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32]
서적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해방후 민족국가 건설운동과 통일전선
역사비평사
[33]
서적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해방후 민족국가 건설운동과 통일전선
역사비평사
[34]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도서출판 샘터사
[35]
뉴스
제헌에 우여곡절 많았다
경향신문
1957-07-17
[36]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37]
서적
대한민국 건국과 나
창랑기념사업회
1992
[38]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39]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40]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41]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42]
뉴스
八割이 立候補 現議員 廿一名 不出馬
동아일보
1950-05-12
[43]
뉴스
現 國會議員 出馬 動態
조선일보
1950-05-12
[44]
뉴스
石炭公社設置委 委員長에 許政氏
경향신문
1950-05-27
[45]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46]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47]
뉴스
大韓石炭公司發足 總裁에 許政氏 被選
조선일보
1950-11-02
[48]
뉴스
자유신문
1952-02-15
[49]
뉴스
민주신보
1952-02-01
[50]
서적
한국의 국무총리 연구
나남
2006
[51]
서적
한국과 6.25전쟁
연세대학교출판부
2009
[52]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53]
뉴스
경향신문
1957-12-16
[54]
뉴스
역대 서울시장의 면면
동아일보
1998-06-05
[55]
뉴스
스폿트라이트 ⑩ 許政氏 試鍊받는 巨物市長
조선일보
1959-01-16
[56]
뉴스
『살기좋은 市 行政을 期約』
동아일보
1959-06-13
[57]
서적
자화상을 그리듯이 1
범우사
2006
[58]
웹사이트
(깨진 링크)
http://www.xn--3e0bt[...]
민연
2000
[59]
서적
한권으로 보는 해방후 정치사 100장면
가람기획
1999
[60]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61]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62]
서적
(政界秘史) 事實의 全部를 記述한다
希望出版社
1966
[63]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64]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65]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66]
뉴스
李博士 出國 責任追窮 : 許政氏 國政監査에 證言
馬山日報社
1960-10-28
[67]
서적
한알의 밀이 죽지 않고는
가톨릭출판사
1997
[68]
서적
동산회고록:윤치영의 20세기
삼성출판사
1991
[69]
간행물
역사비평 1992 여름호
역사비평사
2007
[70]
서적
한국정치론
오름
2006
[71]
서적
한국언론의 미국관
살림터
2009
[72]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73]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74]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75]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76]
서적
파벌로 보는 한국야당사
에디터
2006
[77]
서적
파벌로 보는 한국야당사
에디터
2006
[78]
서적
한국야당사
백산서당
1987
[79]
서적
장준하(민족주의자의 길)
돌베개
2006
[80]
웹인용
동작동 국립묘지
http://blog.daum.net[...]
2009-04-29
[81]
뉴스
許政 前과도내각 수반 別世
http://gonews.kinds.[...]
동아일보
1988-09-19
[82]
웹인용
고성인터넷뉴스
http://gsinews.co.kr[...]
2009-02-17
[83]
웹사이트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 서울신문
http://www.seoul.co.[...]
[84]
뉴스
경향신문
1983-08-04
[85]
서적
주머니 속의 한국사
가람기획
2003
[86]
웹사이트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people.aks.ac[...]
[87]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88]
기타
이승만을 미국으로 출국시킨 일
[89]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90]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91]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92]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93]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도서출판 샘터사
1979
[94]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허정 회고록
샘터사
1979
[95]
서적
제2공화국과 한국의 민주주의
종로서적
1983
[96]
서적
한국현대정치사의 이해
오름
1999
[97]
서적
한국현대정치사의 이해
오름
1999
[98]
서적
한국현대정치사 3권:제2공화국
성문각
1986
[99]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100]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101]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102]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103]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104]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979
[105]
서적
나의 회고록
도서출판 해동
1986
[106]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07]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08]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09]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허정 회고록
샘터사
[110]
서적
(政界秘史) 事實의 全部를 記述한다 : 歷代 主役들이 實吐한 未公開 政治裏面 秘史
希望出版社
[111]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112]
서적
한국의 정치발전 무엇이 문제인가
을유문화사
[113]
뉴스
(95)국정자문위원
http://www.munhwa.co[...]
munhwa.com
[114]
서적
내일을 위한 증언
샘터사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동생 사고 현장, 살인 현장 다름없어…법 있는데도 안 지켜 문제”
5월15일 알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