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태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태흥은 충청남도 홍성 출신의 법조인이다. 관서대학 전문부 법학과를 졸업하고, 1948년 조선변호사시험에 합격했다. 서울지방법원 수석재판장을 거쳐 대법원 판사로 임명되었으며, 박정희 암살 사건에서 김재규에게 사형을 선고하고,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에 관여했다. 1981년 제10대 대법원장에 임명되었으나, 재판관 인사를 둘러싼 논란으로 탄핵 발의를 겪기도 했다. 2005년 한강에서 투신자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원 유씨 - 유연승
    유연승은 연세대학교 축구부 주장을 거쳐 대전 시티즌,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 안산 그리너스 FC, FC 안양 등에서 활약한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 대한민국의 대법원장 - 민복기
    민복기는 친일파 아버지 아래 일제강점기 판사로 활동 후 해방 후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 최장수 대법원장을 역임하며 사법계에 기여했으나, 인혁당 사건과 친일 행적, 권력 유착으로 논란이 된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대법원장 - 양승태
    양승태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대법원장과 대법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나, 사법행정권 남용 의혹으로 기소되어 대한민국 최초로 구속된 대법원장이 되었다.
  • 탄핵 절차가 진행된 공직자 - 페드로 파블로 쿠친스키
    페드로 파블로 쿠친스키는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으로, 페루 중앙준비은행 총재, 에너지광산부 장관, 경제재정부 장관, 총리 등을 역임했으며, 2016년 대선에서 당선되었으나 오데브레히트 스캔들로 인해 2018년에 사임했다.
  • 탄핵 절차가 진행된 공직자 - 앤드루 존슨
    가난한 환경에서 독학으로 정치 경력을 쌓아 대통령이 된 앤드루 존슨은 남북전쟁 이후 온건한 재건 정책으로 의회와 갈등을 겪고 탄핵 소추를 받았으나 부결되었으며, 이후 상원의원으로 활동한 논쟁적인 인물이다.
유태흥
기본 정보
한글 이름유태흥
한자 이름兪泰興
로마자 표기Yu Tae-heung
일본어 표기ユ・テフン
인물 정보
사망일2005년 1월 17일
사망 원인한강 투신
직업전직 대한민국 대법원장
참고 자료
뉴스 인용한강투신 유태흥 전 대법원장 사망

2. 생애

충청남도 홍성 출신으로, 1941년 관서대학 전문부 제2부 법학과를 졸업하고[1] 1948년 제2회 조선변호사시험에 합격하여 법조인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서울지방법원 수석부장판사로 재직하던 1971년 제1차 사법파동 당시에는 판사들을 대표하여 성명을 낭독하며 사법부 개혁 의지를 표명하기도 했다.

1976년 대법원 판사로 임명되었으며, 재직 중이던 1980년 박정희 암살 사건 재판에서 김재규 중앙정보부 부장에게 내란 목적 살인을 인정하여 사형을 선고하는 데 참여했다. 같은 해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 재판에서도 김대중에게 사형을 선고한 판사 중 한 명이었다.

1981년 제10대 대법원장에 임명되었으나, 1985년 판사 인사에 대한 비판 글을 기고한 판사를 좌천시켜 제2차 사법파동을 일으켰다. 이 사건으로 인해 대법원장에 대한 헌정사상 최초의 탄핵소추안이 발의되는 상황을 맞기도 했다.

2. 1. 초기 생애 및 학업

충청남도 홍성에서 태어났다. 1941년 관서대학 전문부 제2부 법학과를 졸업했으며,[1] 1948년 제2회 조선변호사시험에 합격했다.

2. 2. 법조 경력

서울지방법원 수석재판장을 지내던 1971년 발생한 제1차 사법파동 당시, 재판관을 대표하여 성명을 낭독하고 법원 상층부와 정계에 재판관 개혁 의지를 표명했다. 1976년 대법원 판사로 임명되었다. 대법원 판사 재직 중이던 1980년, 박정희 대통령과 차지철 대통령 경호실장이 암살된 박정희 암살 사건 재판에서 김재규 대한민국 중앙정보부 부장에 대해 내란 목적 살인을 인정하고 사형을 선고했다. 같은 해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에서는 김대중에게 사형을 선고한 재판관 중 한 명이기도 하다. 1981년 제10대 대법원장에 임명되었다. 1985년에는 재판관 인사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글을 법조신문에 기고한 판사를 좌천시켜 제2차 사법파동을 일으켰으며, 이로 인해 대법원장에 대한 최초의 탄핵소추안이 발의되는 일을 겪기도 했다.

2. 3. 주요 판결 및 사건

서울지방법원 수석부장판사 시절인 1971년 발생한 제1차 사법파동 당시, 판사들을 대표하여 성명을 낭독하고 법원 상층부와 정계에 사법부 개혁 의지를 표명했다.

1976년 대법원 판사로 임명되었다. 대법원 판사로 재직하던 1980년, 박정희 대통령과 차지철 대통령 경호실장이 암살된 박정희 암살 사건에서는 김재규 중앙정보부 부장에게 내란 목적의 살인을 인정하고 사형을 선고했다. 또한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에서는 김대중에게 사형을 선고한 재판관으로도 알려져 있다.

1981년 제10대 대법원장에 임명되었다. 1985년에는 재판관 인사의 난맥상을 비판하는 글을 법조신문에 기고한 판사를 좌천시켜 제2차 사법파동을 야기했으며, 이로 인해 대법원장에 대한 헌정사상 최초의 탄핵소추안 발의를 받는 굴욕을 경험하기도 했다.

3. 사망

2005년 1월 17일, 한강에서 투신자살했다.

참조

[1] 블로그 칸칸도릿츠의 중심 칸사이대학 (“関関同立の関西大学”) http://chanpark.tist[...] 박찬운의 아브라카다브라 2018-01-20
[2] 뉴스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3-01-15
[3] 뉴스인용 한강투신 유태흥 전 대법원장 사망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05-0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