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가는 초한 전쟁 시기 유방을 섬긴 인물로, 변설에 능하여 외교 사신으로 활약했다. 그는 남월과의 외교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유방에게 태중대부로 임명되었으며, 유방과의 정치 철학 논쟁을 통해 『신어』를 저술했다. 여태후 시대에는 은퇴하여 호지에 거처하며, 문제 시대에 다시 등용되어 남월과의 관계를 재정립했다. 저서로는 『신어』와 『초한춘추』가 있으며, 유교 사상을 바탕으로 무위의 정치를 강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70년 사망 - 박소 (전한)
    박소는 전한 고제 유방의 후궁 박씨의 동생으로, 문제 유항 즉위에 기여하여 중용되었으나, 사자를 살해한 죄로 자결하여 외척 처벌의 전례가 되었다.
  • 기원전 170년 사망 - 진서 (복양강후)
    진서는 한고조 유방을 도와 항우를 공격하여 한나라 건국에 기여한 개국공신으로, 복양후에 봉해졌으며 그의 공적은 《사기》, 《한서》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한나라의 외교관 - 반초
    반초는 후한 시대의 군인이자 외교관으로,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외교적 수완을 발휘하여 서역 경영에 크게 기여하고 실크로드를 확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 한나라의 외교관 - 장건
    장건은 한나라의 외교관이자 탐험가로, 한무제의 명을 받아 흉노 견제를 위한 대월지 동맹을 추진하며 서역에 파견되어 실크로드 개척의 계기를 마련하고 중국과 서역의 교류를 촉진하는 데 기여했다.
육가
기본 정보
이름륙가
한어 병음Lù Jiǎ
출생불명
사망불명
시대전한
출신지초나라
주요 활동고조의 신하, 외교관, 작가
관직 및 직위
주요 관직태중대부
주군한고조
혜제
여후
문제
저서
주요 저서《신어》

2. 생애

육가는 『사기』와 이를 거의 답습한 『한서』를 통해 알려지는 인물이다. 초한 전쟁 때 유방의 진영에 객으로 있었으며, 말솜씨로 명성이 자자하여 종종 제후들에게 사신으로 파견되었다.[6] 육가의 생몰년은 사서에 명확하지 않으나, 진나라 시대에 태어나 초한 전쟁 즈음에 20대였다고 한다면, 생년은 기원전 235년 (진 시황 12년)과 멀지 않다고 여겨진다.[7]

진나라 이세 황제 2년(기원전 207년) 9월, 새로 옹립된 진왕 자영 아래에서 𡸳관[8]을 지키는 장수를 역이기와 함께 설득하여 항복을 받아냈다. 그러나 유방은 이 항복을 믿지 않고 우회 공격을 감행하여 진군을 크게 격파했다.[9] 한나라 4년(기원전 202년), 항우와 유방이 광무라는 산에서 대치 중일 때, 항우에게 사신으로 파견되어 포로가 된 유방의 아버지와 아내를 돌려줄 것을 설득했으나[10] 이때는 실패했고, 이어서 사신으로 나선 후공이 화해와 아버지와 아내의 인도를 성공시켰다.[11]

유방항우를 꺾고 천하통일을 한 후, 육가는 유교의 경전인 『시경』이나 『서경』을 널리 인용하며 칭찬했다. 유방은 "나는 말 위에서 천하를 얻었다. 시서 따위에 신경 쓸 겨를이 있겠는가"라고 꾸짖었으나,[1] 육가는 "말 위에서 천하를 얻었더라도, 말 위에서 천하를 다스릴 수 있겠습니까"라고 말하며[1] 문무의 병용이 오래가는 길이라고 설파했다.[1] 유방은 불쾌했지만, 육가의 말의 옳음을 인정하고[1] 진나라가 천하를 잃고 자신이 천하를 얻게 된 이유, 그리고 여러 나라의 성공과 실패에 대해 써달라고 육가에게 부탁했다.[1] 육가는 나라의 존망을 풀어 쓴 12편의 책을 저술했고, 한 편이 완성될 때마다 올렸다.[1] 유방은 그때마다 칭찬했고, 좌우의 사람들이 "만세"라고 외쳤다.[1] 이것이 『신어』이다.[1]

고조 사후 기원전 195년 혜제가 즉위하자, 고조의 후궁이자 혜제의 어머니인 여치의 권력이 커졌다. 육가는 여태후의 전횡이 시작되자 병을 칭하며 은퇴하여, 수도 장안에서 북서쪽으로 수십 킬로미터 떨어진 호지에 거처를 마련했다.[18] 이후, 우승상 진평의 집을 방문하여, 생각에 잠긴 진평의 고민이 여씨 일족과 어린 황제에 관한 것이라고 정확히 짚어냈다. 태위 주발과 결속을 다져야 한다고 조언하며, 서로를 초대하여 친교를 돈독히 하도록 했다.[20] 진평은 육가에게 노비 100명, 수레와 말 50대, 돈 을 하사하고 조정의 공경들과 교류하도록 했다. 여씨를 토벌하고 문제를 옹립하는 쿠데타(여씨의 난)를 준비하는 데 육가의 공이 컸다.[21]

2. 1. 초기 활동 및 한나라 건국 기여

육가는 『사기』와 이를 거의 답습한 『한서』를 통해 알려진다. 초한 전쟁 때 유방의 진영에 객으로 있었으며, 말솜씨로 명성이 자자하여 종종 제후들에게 사신으로 파견되었다.[6] 육가의 생몰년은 사서에 명확하지 않으나, 진나라 시대에 태어나 초한 전쟁 즈음에 20대였다고 한다면, 생년은 기원전 235년 (진 시황 12년)과 멀지 않다고 여겨진다.[7]

진나라 이세 황제 2년(기원전 207년) 9월, 새로 옹립된 진왕 자영 아래에서 𡸳관[8]을 지키는 장수를 역이기와 함께 설득하여 항복을 받아냈다. 그러나 유방은 이 항복을 믿지 않고 우회 공격을 감행하여 진군을 크게 격파했다.[9]

한나라 4년(기원전 202년), 항우와 유방이 광무라는 산에서 대치 중일 때, 항우에게 사신으로 파견되어 포로가 된 유방의 아버지와 아내를 돌려줄 것을 설득했다.[10] 그러나 이때는 실패했고, 이어서 사신으로 나선 후공이 화해와 아버지와 아내의 인도를 성공시켰다.[11]

2. 2. 남월과의 외교 관계 수립

한나라 11년(기원전 196년), 육가는 남월 왕 위타(조타)에게 사신으로 파견되었다.[12] 육가는 위타에게 왕으로 임명하는 도장을 가지고 왔다고 말하며, 만약 남월이 한나라에 적대하면 한나라에 멸망할 것이라고 경고하며 한나라에 따를 것을 설득했다. 위타는 무례한 태도를 바꾸어 사과하고 육가와 이야기를 나누는 것을 좋아했으며, 천 금 가치의 진주 한 자루와 별도로 천 금을 선물했다. 육가는 위타를 남월왕으로 임명하고, 한나라에 신하로서 복종할 것을 약속하게 했다.[13] 유방은 기뻐하며 육가를 태중대부로 임명했다.[14]

2. 3. 유방과의 정치 철학 논쟁

유방항우를 꺾고 천하통일을 한 후, 육가는 유교의 경전인 『시경』이나 『서경』을 널리 인용하며 칭찬했다. 유방은 "나는 말 위에서 천하를 얻었다. 시서 따위에 신경 쓸 겨를이 있겠는가"라고 꾸짖었다.[1] 육가는 "말 위에서 천하를 얻었더라도, 말 위에서 천하를 다스릴 수 있겠습니까"라고 말했다.[1] 더 나아가, 오왕 부차와 진의 지백(지요)은 무력에 의존했기 때문에 멸망했고, 반역으로 천하를 얻어 은과 주를 흥하게 한 탕왕·무왕의 예를 들어 문무의 병용이 오래가는 길이라고 설파했다.[1] 나아가 "만약 이 천하를 통일한 후, 인의에 따라 고대의 성왕을 본받았다면, 폐하께서 천하를 얻으실 수 있었을까요"라고 말했다.[1] 유방은 불쾌했지만, 육가의 말의 옳음을 인정했다.[1] 유방은 진이 천하를 잃고 자신이 천하를 얻게 된 이유, 그리고 여러 나라의 성공과 실패에 대해 써달라고 육가에게 부탁했다.[1] 육가는 나라의 존망을 풀어 쓴 12편의 책을 저술했고, 한 편이 완성될 때마다 올렸다.[1] 유방은 그때마다 칭찬했고, 좌우의 사람들이 "만세"라고 외쳤다.[1] 이것이 『신어』이다.[1]

2. 4. 여후(呂后) 시대의 처신

고조(유방) 사후 기원전 195년 혜제가 즉위하자, 고조의 후궁이자 혜제의 어머니인 여태후(여치)의 권력이 커졌다. 이때, 육가가 친하게 지내던 주건의 어머니가 사망했다. 가난한 주건은 어머니의 장례 비용 마련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를 알게 된 육가는 여태후의 총애를 받으며 세력을 떨치던 심이기의 집을 방문하여 주건을 후하게 대하도록 조언했다.[16] 심이기가 과거에 주건과의 교제를 원했지만 거절당한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심이기는 주건의 어머니를 위해 백 금을 바치고, 훌륭한 장례를 치를 수 있도록 했다.[17]

그 후, 여태후의 전횡이 시작되자 병을 칭하며 은퇴하여, 수도 장안에서 북서쪽으로 수십 킬로미터 떨어진 호지에 거처를 마련했다.[18] 남월왕으로부터 받은 진주를 팔아 그 대금을 다섯 아들에게 나누어 주고 독립시켰다. 아들들에게는 종자를 데리고 1년에 2, 3번 찾아갈 테니, 그때 10일 동안 극진히 대접하라고 약속했다. 누군가의 집에서 죽으면, 그 집의 주인인 아들에게 육가가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니는 보검과 수레와 말, 종자를 주기로 약속했다.[19]

그 후, 우승상 진평의 집을 방문하여, 생각에 잠긴 진평의 고민이 여씨 일족과 어린 황제에 관한 것이라고 정확히 짚어냈다. 그리고 육가가 친하게 지내는 태위 주발과 결속을 다져야 한다고 조언하며, 서로를 초대하여 친교를 돈독히 하도록 했다.[20] 진평은 육가에게 노비 100명, 수레와 말 50대, 돈 을 하사하고 조정의 공경들과 교류하도록 했다. 여씨를 토벌하고 문제를 옹립하는 쿠데타(여씨의 난)를 준비하는 데 육가의 공이 컸다.[21]

2. 5. 문제(文帝) 시대의 재등용과 남월과의 관계 재정립

문제는 즉위 원년(기원전 179년)에 남월왕에게 사신을 보내기로 결정하고, 승상 진평에게 사신을 고르도록 했다.[22] 진평은 이전에 성공했던 육가를 추천했다.[23] 문제는 육가를 다시 태중대부로 임명하여 남월로 보냈다.[24] 육가가 도착하자 조타는 사죄 서신을 보내고 황제처럼 행동하는 것을 멈추겠다고 약속했다.[25]

3. 저서

육가는 『신어』와 『초한춘추』를 저술했다. 『한서』는 『초한춘추』를 육가의 저작으로 기록하고[27], 사마천이 『사기』를 쓸 때 참조했다고 전한다[28]。『한서』 목록에서는 『초한춘추』가 춘추(역사서), 육가 23편이 유가, 육가부 3편이 시부로 분류되어 있지만, 『신어』는 없다[29]。육가 23편에 대해서는 이 안에 『신어』 12편이 포함되어 있었다는 설이 있다. 『신어』 전 12편은 현재 전해지지만 위작설이 있다[30]。부 3편은 완전히 유실되었다.

3. 1. 《신어(新語)》

한 고조가 (秦)이 멸망한 원인과 한(漢)이 흥한 원인에 대하여 논해 보라는 명에 응하여 육가가 1편을 바칠 때마다 칭찬을 받았다고 하는 책이다. 지금 전해 오는 책의 12편의 수는 《사기(史記)》, 《한서(漢書)》의 〈육고전(陸賈傳)〉에서 볼 수 있는 《신어》 12편과 일치하지만, 내용으로 보면, 이 때의 상주(上奏)로서는 적합치 않은 글귀도 있다. 어쩌면 《한서》〈예문지(藝文志)〉에 〈육가 23편〉이라고 한 것의 잔권(殘卷)이 오늘날의 책 속에 포함되어 있는지도 모른다.[31]

《신어》에는 〈무위편(無爲篇)〉의 “그 도(道)는 무위(無爲)보다 더 큰 것이 없고, 행(行)은 근경(謹敬)보다 더 큰 것이 없다”라는 어구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무위(無爲)를 정치의 이상으로 하는 사상이 흐르고 있다. 무위에 따라 천하가 잘 다스려진 것이 요순(堯舜)의 시대요, 그 반대로 애매하고 까다로운 법령과 엄중한 형벌에 따라 다스린 진 시황제는 실패하였다. 백성에게 선을 권장하는 데는 상위자(上位者)가 중화(中和)의 덕으로써 자연스럽게 교화하여 가는 것이 좋다고 설명하였다.[31]

이와 같이 육가는 ‘무위’를 말하는 점에서 도가적 인상을 주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진(秦)이 행한 것과 같은 법(法)·형(刑)의 만능주의를 배격함을 주안으로 한 것이지 결코 노자류의 소국과민(小國寡民)을 궁극의 이상으로 삼는 것은 아니다.[31]

따라서 《신어》의 기본적 입장은 유가(儒家)라고 해도 좋다.[31]

3. 2. 《초한춘추(楚漢春秋)》

육가는 『신어』와 『초한춘추』를 저술했다. 『한서』는 『초한춘추』를 육가의 저작으로 기록하고 있으며[27], 사마천은 『사기』를 저술할 때 이를 참조했다고 전한다[28]。『한서』 목록에는 『초한춘추』가 춘추(역사서), 육가 23편이 유가, 육가부 3편이 시부로 분류되어 있으나, 『신어』는 없다[29]。육가 23편에 『신어』 12편이 포함되었다는 설이 있다. 현재 『신어』 12편이 전해지지만 위작설이 제기되고 있다[30]。육가부 3편은 완전히 유실되었다.

4. 사상

육가는 '무위(無爲)'를 말하는 점에서 도가적 인상을 주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이 행한 것과 같은 법(法)·형(刑)의 만능주의를 배격함을 주안으로 한 것이지 결코 노자류의 소국과민(小國寡民)을 궁극의 이상으로 삼는 것은 아니다.[31]

따라서 《신어》의 기본적 입장은 유가라고 해도 좋다.[31]

5. 평가 및 영향

육가는 한 고조에게 (秦)이 멸망한 원인과 한(漢)나라가 흥한 원인을 논하라는 명을 받고 《신어》를 지어 바쳤는데, 1편을 바칠 때마다 칭찬을 받았다고 한다. 현재 전해지는 《신어》는 12편으로, 《사기(史記)》와 《한서(漢書)》의 〈육고전(陸賈傳)〉에 나오는 《신어》 12편과 일치한다. 그러나 내용 중에는 당시 상소문으로 적합하지 않은 표현도 있어, 《한서》 〈예문지(藝文志)〉에 나오는 〈육가 23편〉의 일부가 포함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신어》 〈무위편(無爲篇)〉에는 "그 도(道)는 무위(無爲)보다 더 큰 것이 없고, 행(行)은 근경(謹敬)보다 더 큰 것이 없다"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처럼 무위를 정치의 이상으로 삼는 사상이 나타난다. 무위로 천하가 잘 다스려진 요순(堯舜) 시대와 달리, 애매하고 까다로운 법령과 엄중한 형벌로 다스린 진 시황제는 실패했다. 육가는 백성을 선으로 이끄는 데는 윗사람이 중화(中和)의 덕으로 자연스럽게 교화하는 것이 좋다고 주장했다.

육가는 '무위'를 주장하는 점에서 도가적 인상을 주지만, 이는 진나라의 법과 형벌 만능주의를 비판하기 위한 것이지, 노자처럼 소국과민(小國寡民)을 이상으로 삼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신어》의 기본 입장은 유가라고 할 수 있다.[31]

6. 관련 작품


  • 미야기타니 마사미쓰의 소설 《장성의 그늘》 중 「돌길의 끝」 (분게이슌주 출판)

참조

[1] 서적 China: The World's Oldest Living Civilization Revealed https://books.google[...] Thames & Hudson
[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1 The Ch'in and Han Empires, 221 BC - AD 22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3] 문서 Han Shu 漢書, chapter 43
[4] 서적 Lu Jia's New Discourses: A Political Manifesto from the Early Han Dynasty https://books.google[...] Brill 2020
[5] 서적 Readings in Han Chinese Thought Hackett Publishing 2006
[6] 문서 『史記』酈生陸賈列伝第37、岩波文庫版『史記列伝』第3巻110頁。『漢書』酈陸朱劉叔孫伝第13、ちくま学芸文庫版『漢書』第4巻403頁。
[7] 문서 "[[#miyazaki1965|宮崎 (1965)]],p.135"
[8] 문서 『史記』に[[武関]]、『漢書』に𡸳関。『史記』の誤りか(新釈漢文体系『史記』第2巻530頁訳注)
[9] 문서 『史記』高祖本紀第8、新釈漢文体系『史記』第2巻529頁。『漢書』高祖本紀第1上、ちくま学芸文庫版『漢書』第1巻22頁。
[10] 문서 『漢書』高祖本紀第1上、ちくま学芸文庫版『漢書』第1巻42頁。
[11] 문서 『史記』項羽本紀第7、新釈漢文体系『史記』第2巻490頁。『漢書』高祖本紀第1上、ちくま学芸文庫版『漢書』第1巻42 - 43頁。
[12] 문서 『史記』南越列伝第53、岩波文庫版『史記列伝』第4巻119頁。『漢書』西南夷両粤朝鮮伝第65、ちくま学芸文庫版『漢書』第8巻20頁。
[13] 문서 『史記』酈生陸賈列伝第37、岩波文庫版『史記列伝』第3巻、110 - 113頁。『漢書』酈陸朱劉叔孫伝第13、ちくま学芸文庫版『漢書』第4巻403 - 405頁。
[14] 문서 『史記』酈生陸賈列伝第37、岩波文庫版『史記列伝』第3巻113頁。『漢書』酈陸朱劉叔孫伝第13、ちくま学芸文庫版『漢書』第4巻406頁。
[15] 문서 『史記』酈生陸賈列伝第37、岩波文庫版『史記列伝』第3巻113 - 114頁。『漢書』酈陸朱劉叔孫伝第13、ちくま学芸文庫版『漢書』第4巻406頁。
[16] 문서 『史記』郦生陸賈列伝第37、岩波文庫版『史記列伝』第3巻117頁。『漢書』酈陸朱劉叔孫伝第13、ちくま学芸文庫版『漢書』第4巻409頁。
[17] 문서 『史記』酈生陸賈列伝第37、岩波文庫版『史記列伝』第3巻117頁。『漢書』酈陸朱劉叔孫伝第13、ちくま学芸文庫版『漢書』第4巻410頁。
[18] 문서 『史記』酈陸朱劉叔孫伝第37、岩波文庫版『史記列伝』第3巻114頁。『漢書』酈陸朱劉叔孫伝第13、ちくま学芸文庫版『漢書』第4巻406 - 407頁。
[19] 문서 『史記』酈生陸賈列伝第37、岩波文庫版『史記列伝』第3巻114頁。『漢書』酈陸朱劉叔孫伝第13、ちくま学芸文庫版『漢書』第4巻407頁。
[20] 문서 『史記』酈生陸賈列伝第37、岩波文庫版『史記列伝』第3巻114 - 116頁。『漢書』酈陸朱劉叔孫伝第13、ちくま学芸文庫版『漢書』第4巻407 - 408頁。
[21] 문서 『史記』酈生陸賈列伝第37、岩波文庫版『史記列伝』第3巻116頁。『漢書』酈陸朱劉叔孫伝第13、ちくま学芸文庫版『漢書』第4巻408頁。
[22] 문서 『史記』南越列伝第53、岩波文庫版『史記列伝』第4巻120頁。『漢書』西南夷両粤朝鮮伝第65、ちくま学芸文庫版『漢書』第8巻20頁。
[23] 문서 『史記』南越列伝第53、岩波文庫版『史記列伝』第4巻120 - 121頁。『漢書』西南夷両粤朝鮮伝第65、ちくま学芸文庫版『漢書』第8巻20 - 21頁。
[24] 문서 『史記』南越列伝第53、岩波文庫版『史記列伝』第4巻121頁。『漢書』西南夷両粤朝鮮伝第65、ちくま学芸文庫版『漢書』第8巻21頁。
[25] 문서 『史記』南越列伝第53、岩波文庫版『史記列伝』第4巻121 - 122頁。『漢書』西南夷両粤朝鮮伝第65、ちくま学芸文庫版『漢書』第8巻23頁。謝罪の文は、『史記』と『漢書』で異なるところが多い。
[26] 문서 『史記』酈生陸賈列伝第37、岩波文庫版『史記列伝』第3巻116頁。『漢書』酈陸朱劉叔孫伝第13、ちくま学芸文庫版『漢書』第4巻409頁。
[27] 문서 『漢書』芸文志第10、ちくま学芸文庫版『漢書』第3巻525頁。
[28] 문서 『漢書』司馬遷伝第32、ちくま学芸文庫版『漢書』第5巻521頁。
[29] 문서 『漢書』芸文志第10、ちくま学芸文庫版『漢書』第3巻554頁
[30] 문서 福井重雅『陸賈「新語」の研究』、第1節・第2節。
[31] 웹사이트 다음 글로벌 세계대백과. 한·당의 사상 http://donation.e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