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난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난실은 1965년 전라남도 강진에서 태어났으며, 민주화 운동에 헌신한 가족력을 가지고 있다. 1986년 노동운동에 뛰어들어 민주노총 광주전남본부 등에서 활동했으며, 2002년 민주노동당 광주광역시 의원으로 당선되어 조례 제정을 주도했다. 이후 광주MBC 라디오 프로그램 진행, 진보신당 부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풀뿌리 민주주의와 사회혁신 활동에 기여했다. 김경수 경상남도지사 사회혁신추진단 단장을 맡아 진주의료원 재개원 등을 이끌었으며, 대통령비서실 제도개혁비서관을 거쳐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산구청장 예비후보로 활동했다. 저서로는 《진보 콘서트》, 《아름다운 왕따들》, 《윤난실을 드립니다》가 있으며, 2020년 주민주도 지역문제 해결 유공으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서광중학교 동문 - 달수빈
달수빈은 2011년 걸그룹 달샤벳으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로, 솔로 가수 활동과 더불어 드라마, 영화, 예능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고 있다. - 광주서광중학교 동문 - 이보나 (사격 선수)
이보나는 대한민국의 사격 선수로, 2004년 하계 올림픽 더블 트랩 개인전 은메달, 트랩 개인전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2004년 윤곡상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했다. - 광주여자고등학교 동문 - 윤미라
1969년 영화 데뷔 후 1970년대 대종상 신인상과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며 주목받았던 윤미라는 간통 스캔들 이후 활동을 중단했다가 TV 드라마로 복귀하여 다수의 인기 드라마에 출연하며 MBC와 KBS 연기대상 최우수연기상을 수상하는 등 꾸준히 활동하고 CF와 뮤직비디오에도 출연했다. - 광주여자고등학교 동문 - 서향순
- 광주광역시의원 - 강은미
강은미는 민주노동당 광주광역시당 부위원장으로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정의당 주요 당직과 제21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정의당 광주광역시당위원장 및 지역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광주광역시의원 - 전진숙
전진숙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광주 북구을 국회의원이며 보건복지위원회 및 여성가족위원회 위원, 여성단체 활동가, 광주 북구의회 의원, 광주광역시의회 의원,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대통령 후보 캠프 활동가, 그리고 더불어민주당 당대표특보단 민생특보단 특보를 역임했다.
| 윤난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윤난실 |
| 출생일 | 1965년 12월 23일 |
| 출생지 | 전라남도 강진군 |
| 본관 | 해남 윤씨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 대통령 | 문재인 |
| 임기 | 2021년 6월 11일 ~ 2022년 1월 20일 |
| 국가 | 대통령 비서실 |
| 장관 | 노영민(대통령 비서실장) |
| 총리 | 김부겸(국무총리) |
| 부모 | 윤태선(부), 오숙민(모) |
| 직책 | 시민사회제도개혁비서관 |
| 웹사이트 | 블로그 |
| 경력 | |
2. 걸어온 길
윤난실은 1965년 전라남도 강진에서 아버지 윤태선과 어머니 오숙민 사이의 3남 2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윤난실의 가족은 아버지 윤태선을 비롯해 큰 삼촌 윤광장은 전교조 해직교사, 둘째 삼촌 윤한봉은 광주항쟁의 마지막 수배자, 셋째 삼촌 윤영배는 농민운동으로 투옥되는 등 민주화 운동에 헌신했다.
1984년 광주교육대학교에 입학했으나, 군사교육 반대 투쟁을 주도하다 무기정학을 받고 3학년 때 중퇴했다. 1986년부터 노동운동에 뛰어들어 광주 지역 노동자들의 기본권 확보와 노동자 정치 운동의 기틀을 다졌다.
2002년 민주노동당 소속으로 광주광역시 의원(비례대표)에 당선되어 광주광역시 태양에너지 조례 제정, 시내버스 준공영제 도입, 중증장애인 자립생활지원 조례 제정 등을 주도했다. 2006년 광주 MBC 라디오 시사 프로그램 <시선집중 광주>를 진행하며 광주 현안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으로 주목받았다.
2013년 광산구공익활동지원센터장을 맡아 ‘아이키우기 좋은마을 광산운동본부’를 출범시키는 등 풀뿌리 민주주의 확산에 기여했다. 2019년 김경수 경상남도지사의 <사회혁신추진단> 단장으로 활동하며 진주의료원 재개원 등 주민 주도 지역 문제 해결에 앞장섰고, 2020년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2021년 문재인 정부 대통령비서실 제도개혁비서관으로 임명되어 2022년 1월까지 활동했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광주광역시 광산구청장 출마를 준비하고 있다.
2. 1. 민주화 운동 가족력과 학생 운동
윤난실은 1965년 전라남도 강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윤태선은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투옥되었고, 큰 삼촌 윤광장은 전교조 해직교사였으며, 둘째 삼촌 윤한봉은 광주항쟁의 마지막 수배자였고, 셋째 삼촌 윤영배는 농민운동으로 투옥되는 등 가족 대부분이 민주화 운동에 헌신하였다.1984년 광주교육대학교에 입학했으나, 총학생회 부회장으로 출마하여 군사교육 반대 투쟁을 주도하다 무기정학을 받고 3학년 때 대학을 중퇴했다.
2. 2. 노동운동과 진보정당 운동 (1986~2002)
1986년 학력을 속이고 방직공장과 메리야스공장에 들어가면서 노동운동에 뛰어들었다. 노동야학, 광주지역노동조합협의회, 민주노총 광주전남본부에서 활동하며 광주 지역 노동자들의 기본권 확보와 노동자 정치 운동의 기틀을 다졌다. 윤한봉 선생은 윤난실에게 늘 삶의 나침판이자 든든한 동지였다.2. 3. 광주광역시 의원 시절 (2002~2006)
2002년 6월, 민주노동당 소속으로 제4대 광주광역시 의원(비례대표)에 당선되었다. 광주광역시 태양에너지 조례 제정, 시내버스 준공영제 도입, 중증장애인 자립생활지원 조례 제정 등을 주도하여 '광주일란(光州一蘭)'이라는 별칭을 얻었다.2. 4. 광주MBC <시선집중 광주> 진행 및 진보신당 활동 (2006~2010)
2006년 1년 6개월간 광주 MBC 라디오 시사 프로그램 <시선집중 광주>를 진행하며, 매일 광주의 현안과 해법을 날카롭게 짚어내 광주에서 영향력 있는 정치인으로 많은 관심을 받았다. 2009년 진보신당 부대표를 역임했으며, 2010년 6.2 지방선거에서 광주광역시장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2. 5. 풀뿌리 민주주의와 사회혁신 활동 (2012~2021)
2013년부터 광산구공익활동지원센터 센터장을 역임하며 시민자치와 마을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풀뿌리 민주주의의 토양을 굳건히 다지는 데 힘썼다. ‘아이키우기 좋은마을 광산운동본부’를 출범시켜 ‘병원아동보호서비스 사업’ 등의 성과를 만들었다.2019년부터 김경수 경상남도지사가 추진하는 <사회혁신추진단>의 단장을 맡아 공공의료 정책 공론화를 통해 진주의료원 재개원, 경남마을공동체지원센터, 공익활동지원센터, 청년 중간지원조직인 청년온나, 청년창업지원펀드인 ‘청년하모’, 전국최초의 중소영세사업장 노동자의 작업복 세탁소 설치, 다랑이논 지원프로젝트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뤄냈다. 2020년에는 주민주도 지역문제 해결 유공으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2. 6. 대통령비서실 제도개혁비서관 및 광산구청장 출마 (2021~현재)
2021년 5월부터 2022년 1월까지 문재인 정부 대통령비서실 제도개혁비서관으로 임명되어 제도개혁과 사회혁신 업무를 추진하였다. 2018년 1월 31일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했으며, 2018년과 2022년 더불어민주당 광주광역시당 부위원장을 역임했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광주광역시 광산구청장 출마를 준비하고 있다.3. 학력
4. 경력
| 기간 | 경력 |
|---|---|
| 1985년 ~ 2002년 | 노동야학, 광주지역노동조합협의회, 민주노총 광주전남본부 등 노동운동 |
| 1991년 | 한국사회주의노동당, 진보정당추진위, 민주노동당 등 진보정당운동 |
| 2002년 ~ 2006년 | 제4대 광주광역시의회 의원 / 대중교통개선특별위원장 |
| 2005년 | 빛고을생활협동조합 고문 |
| 2005년 | 민주노총 기획국장 |
| 2006년 12월 ~ 2008년 7월 | 광주MBC 라디오 프로그램 《시선집중 광주》 진행자 |
| 2007년 | 들불열사기념사업회 부이사장 |
| 2009년 | 진보신당 부대표 |
| 2009년 | 광주전남 북한이주민 지원센타 이사 |
| 2010년 | 6.2 지방선거 광주광역시장 후보 |
| 2012년 | [https://web.archive.org/web/20180514080925/http://sophiaschool.or.kr/ (사)지혜학교] 이사장 |
| 2012년 | 광주시민정책연구소 이사장 |
| 2013년 ~ 2017년 | [http://www.maeulings.or.kr/ 광산구공익활동지원센터] 센터장 |
| 2017년 | 아이키우기 좋은 마을 광산운동본부 상임대표 |
| 2018년 1월 31일 | 더불어민주당 입당 |
| 2018년 | 더불어민주당 광주광역시당 부위원장 |
| 2018년 | 광주광역시 광산구청장 예비후보자 |
| 2018년 | 경상남도 사회혁신보좌관 |
| 2019년 ~ 2021년 | 경상남도청 사회혁신추진단장 |
| 2021년 ~ 2022년 1월 20일 | 대통령비서실 시민사회수석비서관실 제도개혁비서관 |
| 2022년 ~ | 더불어민주당 광주광역시당 부위원장 |
| 2022년 3월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광역시 광산구청장 예비후보 |
5. 저서
6. 수상
| 연도 | 수상 내용 |
|---|---|
| 2003년 | 광주시민단체협의회 우수의원 |
| 2005년 | 제1회 장애인인권상 |
| 2005년 | 한국지방자치학회 우수조례특별상 |
| 2018년 | (사)지역발전정책연구원 한국지역발전대상 |
| 2020년 | 주민주도 지역문제 해결 유공 대통령 표창 |
7. 역대 선거 결과
|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 2002년 | 지방 선거 | 민주노동당 | 58,089표 (14.78%) | 비례대표 1번 | 당선 | 광주광역시의원 (초선) |
| 2006년 | 지방 선거 | 민주노동당 | 8,327표 (32.76%) | 2위 | 낙선 | 광주광역시의원 (광주 서구 제2선거구) |
| 2010년 | 지방 선거 | 진보신당 | 30,834표 (5.89%) | 5위 | 낙선 | 광주광역시장 |
| 2012년 | 총선 | 통합진보당 | 2,198,405표 (10.30%) | 비례대표 13번 | 없음 | 승계 전 사퇴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