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는 2003년 윤이상을 기리기 위해 경상남도, 통영시, MBC경남의 공동 주최로 시작된 국제 콩쿠르이다. 15세에서 29세 사이의 젊은 연주자를 대상으로 첼로, 피아노, 바이올린 부문으로 매년 번갈아 가며 개최된다. 예선, 1, 2차 경연, 결선으로 진행되며, 결선에서는 오케스트라 협연을 통해 최종 수상자를 결정한다. 2006년 국제 음악 콩쿠르 세계 연맹(WFIMC)에 가입되었으며, 2008년 콩쿠르 명칭을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로 변경했다. 1, 2위 남성 수상자에게는 병역 면제 혜택이 주어지며, 2014년부터는 통영국제음악당에서 개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윤이상 - 윤이상관현악단
윤이상관현악단은 1990년 김일진에 의해 창단된 북한의 관현악단으로, 윤이상음악연구소 부속 관현악단으로 시작하여 윤이상음악당 상주 악단이 되었으며, 다양한 레퍼토리 연주와 해외 공연, 음반 발매 등의 활동을 한다. - 윤이상 - 통영 국제 음악제
통영국제음악제는 윤이상의 음악 정신을 기려 대한민국 통영시에서 매년 열리는 국제적인 음악 축제로, 현대음악 중심의 공연과 아시아 작곡가 발굴 및 지원에 힘쓰며,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진행된다. - 통영시의 문화 - 검사내전
JTBC에서 방영된 2019년 드라마 《검사내전》은 장원지방검찰청 진영지청 형사2부 검사들의 일상을 현실적으로 그린 작품으로, 지방 소도시 검사들의 이야기와 동료 간의 협력 및 갈등, 권력과 맞서는 검사들의 모습을 통해 대한민국 검찰의 현실을 다각적으로 보여준다. - 통영시의 문화 - 김약국의 딸들
《김약국의 딸들》은 구한말 통영을 배경으로 김약국 일가의 몰락과 다섯 딸들의 비극적인 삶을 그린 소설이며, 여성의 억압, 근대화 과정의 갈등, 친일파의 횡포 등 사회적 문제를 다룬다.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
장르 | 클래식 음악 |
장소 |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 |
개최 년도 | 2003 |
웹사이트 |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이 콩쿠르는 대한민국 지방 정부와 언론사들이 공동 주최해 왔으며, 경상남도, 통영시, MBC경남이 참여했다. 윤이상을 기리기 위해 2003년 경상남도지사는 통영국제음악재단에 국제 콩쿠르 기획 및 운영을 요청했다. 재단은 박성용을 초대 이사장으로 하여, 15세에서 29세 사이의 국제적인 젊은 연주자들을 육성하기 위한 연례 기악 콩쿠르의 일반적인 계획을 수립했다. 행사는 윤이 태어난 도시인 통영시에서 개최되며, 1995년 윤의 사망일인 11월 3일을 포함하도록 콩쿠르 일정을 잡았다. 하지만 2003년, 2004년, 2009년에는 예외가 있었다.
제1회 경남국제음악콩쿠르는 2003년에 개최되었다. 주최 측은 윤이 유명한 첼로 연주자였고, 1975년부터 1976년까지 첼로 협주곡 1번을 작곡했기 때문에 첫 번째로 첼로를 선택했다. 그 다음으로는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선택했는데, 이는 두 악기가 국제 콩쿠르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지는 주요 분야였고, 윤이 이 두 악기를 위한 많은 작품을 썼기 때문이다. 또한 세 번의 대회를 거친 후 우승자들이 피아노 삼중주로 협력하고 연주할 기회를 갖는다는 점도 고려되었다.
국제적인 청중을 유치하기 위해 주최 측은 경남국제음악콩쿠르가 국제음악콩쿠르세계연맹(WFIMC)으로부터 인정을 받기를 원했다. WFIMC 규정에 따라 이 행사는 2003년과 2004년에 성공적인 두 번의 대회를 보여주어야 했다. 이듬해 재단은 WFIMC에 가입 신청서를 제출했다. 2006년 제네바에서 열린 연맹 총회 투표를 거쳐 WFIMC는 경남국제음악콩쿠르를 회원 콩쿠르로 승인했으며, 이는 대한민국에서 이러한 영예를 얻은 최초의 음악 콩쿠르가 되었다.
이후 콩쿠르 명칭을 '윤이상'으로 변경하는 과정과 변경 이후의 발전 과정은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룬다.
2. 1. 창설 배경 및 초기 과정 (2003-2007)
경상남도, 통영시, MBC경남이 공동 주최하여 윤이상을 기리기 위해 2003년 제1회 경남국제음악콩쿠르(첼로 부문)를 개최하였다.[5] 통영국제음악재단이 콩쿠르 기획 및 운영을 맡았으며, 초대 이사장은 박성용이었다. 콩쿠르는 윤이 태어난 도시인 통영시에서 개최되며, 1995년 윤의 사망일인 11월 3일을 포함하도록 콩쿠르 일정을 잡았다. 다만 2003년, 2004년, 2009년에는 예외였다.주최 측은 윤이 유명한 첼리스트였고 첼로 협주곡을 작곡했기 때문에 첫 번째 부문을 첼로로 정했다. 이후 국제 콩쿠르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지는 주요 분야이자 윤이 많은 작품을 쓴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선택했다. 세 번의 대회를 거친 후 우승자들이 피아노 삼중주로 협력하고 연주할 기회를 갖는다는 점도 고려되었다.
2004년에는 제2회 경남국제음악콩쿠르(바이올린 부문)가, 2005년에는 제3회 경남국제음악콩쿠르(피아노 부문)가 개최되었다.
국제적인 인정을 받기 위해, 주최 측은 국제음악콩쿠르세계연맹(WFIMC) 가입을 추진했다. WFIMC 규정에 따라 2003년과 2004년에 성공적인 두 번의 대회를 개최했고, 2006년 제네바에서 열린 연맹 총회 투표를 거쳐 대한민국 최초로 WFIMC 회원 콩쿠르로 승인받았다.[5]
2007년에는 제5회 경남국제음악콩쿠르(바이올린 부문)가 개최되었다.
연도 | 날짜 | 부문 | 비고 |
---|---|---|---|
2003 | 11월 22일–29일 | 첼로 | – |
2004 | 11월 13일–20일 | 바이올린 | – |
2005 | 10월 29일 – 11월 5일 | 피아노 | 윤이상 특별상 추가 |
2006 | 10월 28일 – 11월 4일 | 첼로 | 한국 콩쿠르 역사상 최초로 WFIMC 정회원 자격 획득 |
2007 | 10월 28일 – 11월 4일 | 바이올린 | 박성용 특별상 추가 |
2. 2. 명칭 변경 및 발전 (2008-현재)
주최 측은 원래 이 행사의 이름을 윤이상으로 짓고 싶었지만, 윤이상 가문은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그들은 이 행사가 지속 가능하거나 다른 국제 콩쿠르와 비교할 만하다고 확신하지 못했다. 주최 측은 계속해서 가문을 설득했고, 행사 성공을 입증한 후에야 윤이상 가문은 결국 동의했다. 이름 변경은 2008년 조지아 트빌리시에서 열린 국제 음악 콩쿠르 세계 연맹(WFIMC) 총회에서 비준되었다. WFIMC는 또한 "Isang Yun"이라는 이름을 모두 대문자로 표기하도록 규정했다.[5]연도 | 부문 | 비고 |
---|---|---|
2009 | 첼로 | 제7회 |
2010 | 피아노 | 제8회 |
2011 | 바이올린 | 제9회 |
2012 | 첼로 | 제10회 |
2013 | 피아노 | 제11회 |
2014 | 바이올린 | 제12회 |
2015 | 첼로 | 제13회 |
2016 | 피아노 | 제14회 |
2017 | 바이올린 | 제15회 |
첼로, 피아노, 바이올린 부문이 매년 순환 개최되며, 예선, 1차 경연, 2차 경연, 결선으로 진행된다. 각 경연 사이에는 휴식일이 있고, 결선 다음 날에는 수상자 연주회가 열린다.[1] 2011년까지 9번의 콩쿠르(3번의 사이클)가 통영국제음악당에서 개최되었다.
3. 경연 부문 및 일정
연도 날짜 부문 비고 2003 11월 22일–29일 첼로 – 2004 11월 13일–20일 바이올린 – 2005 10월 29일 – 11월 5일 피아노 윤이상 특별상 추가 2006 10월 28일 – 11월 4일 첼로 한국 콩쿠르 역사상 최초로 WFIMC 정회원 자격 획득 2007 10월 28일 – 11월 4일 바이올린 박성용 특별상 추가 2008 11월 2일–9일 피아노 콩쿠르 공식 명칭을 윤이상 콩쿠르로 변경 2009 11월 15일–22일 첼로 – 2010 10월 31일 – 11월 7일 피아노 순환 부문이 첼로, 피아노 순으로 변경 2011 10월 30일 – 11월 6일 바이올린 5위 수상자까지 시상한 마지막 콩쿠르 2012 10월 27일 – 11월 4일 첼로 결선 진출자 수를 5명에서 4명으로 축소,
상금 통화를 미국 달러에서 대한민국 원으로 변경2013 11월 2일–10일[5] 피아노 콩쿠르 역사상 처음으로 1, 2위 남성 수상자에게 병역 면제 혜택 부여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14 11월 1일–9일 바이올린 통영시에 새로 건립된 클래식 음악 전용 콘서트홀인 통영 콘서트홀에서 처음으로 개최. 수상자 수를 4명에서 3명으로 축소. 2015 첼로 2016 피아노 2017 10월 28일 – 11월 5일 바이올린
3. 1. 예선
WFIMC 규정에 따라, 모든 국적의 만 15-29세 음악가가 참가할 수 있다. 참가자는 신청서와 함께 지정된 작곡가의 작품 연주를 녹음 또는 영상으로 제출해야 한다. 예선 심사위원단은 한국인 심사위원 1인을 포함하여 신청서를 검토하고, 본선 진출자 약 25명을 선발한다.[1]
3. 2. 1차 경연
1차 경연은 2일 동안 진행된다. 참가자는 다음 조건에 따라 세 곡을 연주한다.[1]
1차 경연과 2차 경연 사이에는 하루 동안 휴식하며, 참가자들은 다음 경연 진출 여부를 통보받는다.[1]
4. 심사위원
연도 | 심사위원장 | 예선 심사위원장 | 기타 심사위원 |
---|---|---|---|
2003 | 지크프리트 팔름 | 정명화 | 조영창, 류이스 클라렛, 다비드 게링가스, 발터 그림머, 아르토 노라스, 레슬리 파르나스, 츠요시 츠츠미 |
2004 | 사슈코 가브릴로프 | 김민 | 배익환, 베라 베츠, 제임스 버스웰, 야오지 린, 이고르 오짐, 재클린 로스, 아키코 타츠미 |
2005 | 클라우스 헬비히 | 김대진 | 한동일, 카사마 하루코, 롤랜드 켈러, 안나 말리코바, 제롬 로즈, 에리크 타바스츠예르나, 프랑수아즈 티나 |
2006 | 볼프강 뵈처 | 현민자 | 추이빙, 장-마리 가마르, 하야시 토시아키, 폴 카츠, 이반 모니게티, 나덕성, 우지 비젤 |
2007 | 제라르 풀레 | 김남윤 | 김의명, 하라다 코이치로, 세르게이 크라브첸코, 미하엘라 마틴, 이츠하크 라슈코프스키, 크시슈토프 베그진, 리나 유 |
2008 | 로버트 레빈 | 신수정 | 미셸 베로프, 첸훙관, 크리스토퍼 엘튼, 한가야, 마이클 크리스트, 나카무라 히로코, 보리스 페트루샨스키 |
2009 | 정명화 | 정명화 | 리처드 에런, 카린 조지안, 이와사키 코, 이종영, 옌스-페터 마인츠, 필립 뮬러, 왕젠, 힐렐 조리[8] |
2010 | 이대욱 | 이대욱 | 이경숙, 제롬 로웬탈, 지크프리트 마우저, 파벨 네르세시안, 마티 라에칼리오, 우에다 가츠미, 쉬종, 이디스 즈비 |
2011 | 크리스토프 포펜 | 이경선 | 아리아드네 다스칼라키스, 에스터 하프너, 마이클 마, 자그디쉬 미스트리, 피호영, 다케자와 교코, 베라 추 웨이링 |
2012 | 로렌스 레서 | 이강호 | 수렌 바그라투니, 안제이 바우어, 드미트리 페이긴, 로코 필리피니, 이동우, 웬신 양, 윤영숙[6] |
2013 | 한동일 | 아비람 라이허트 | 바오 후이차오, 에비 아키코, 한영란, 토마스 헤흐트, 페터 파울 카인라트, 김정권, 알렉산더 슈타르크만[7] |
2014 | 김영욱 | 김영욱 | 슈무엘 아쉬케나지, 탄야 베커-벤더, 사이먼 블렌디스, 보리스 가를리츠키, 강동석, 시미즈 타카시, 퉁웨이동, 장-피에르 발레 |
2015 | 라이문트 트렌클러 | ||
2016 | 김대진 | ||
2017 | 미하엘 헤플리거 |
심사위원은 9명으로 구성되며, 이 중 2명은 주최국인 대한민국 출신이다. WFIMC 규정에 따라 나머지 7명의 심사위원은 다른 국가 출신이어야 한다. 한국인 심사위원 2명 중 1명은 예선에 참여한다.
5. 수상
Narek Hakhnazaryan|나레크 하흐나자리안hy
김성필
Aleksey Zhilin|알렉세이 질린ru
Julia Kociuban|율리아 코지우반p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