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는 2003년 윤이상을 기리기 위해 경상남도, 통영시, MBC경남의 공동 주최로 시작된 국제 콩쿠르이다. 15세에서 29세 사이의 젊은 연주자를 대상으로 첼로, 피아노, 바이올린 부문으로 매년 번갈아 가며 개최된다. 예선, 1, 2차 경연, 결선으로 진행되며, 결선에서는 오케스트라 협연을 통해 최종 수상자를 결정한다. 2006년 국제 음악 콩쿠르 세계 연맹(WFIMC)에 가입되었으며, 2008년 콩쿠르 명칭을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로 변경했다. 1, 2위 남성 수상자에게는 병역 면제 혜택이 주어지며, 2014년부터는 통영국제음악당에서 개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윤이상 - 윤이상관현악단
    윤이상관현악단은 1990년 김일진에 의해 창단된 북한의 관현악단으로, 윤이상음악연구소 부속 관현악단으로 시작하여 윤이상음악당 상주 악단이 되었으며, 다양한 레퍼토리 연주와 해외 공연, 음반 발매 등의 활동을 한다.
  • 윤이상 - 통영 국제 음악제
    통영국제음악제는 윤이상의 음악 정신을 기려 대한민국 통영시에서 매년 열리는 국제적인 음악 축제로, 현대음악 중심의 공연과 아시아 작곡가 발굴 및 지원에 힘쓰며,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진행된다.
  • 통영시의 문화 - 검사내전
    JTBC에서 방영된 2019년 드라마 《검사내전》은 장원지방검찰청 진영지청 형사2부 검사들의 일상을 현실적으로 그린 작품으로, 지방 소도시 검사들의 이야기와 동료 간의 협력 및 갈등, 권력과 맞서는 검사들의 모습을 통해 대한민국 검찰의 현실을 다각적으로 보여준다.
  • 통영시의 문화 - 김약국의 딸들
    《김약국의 딸들》은 구한말 통영을 배경으로 김약국 일가의 몰락과 다섯 딸들의 비극적인 삶을 그린 소설이며, 여성의 억압, 근대화 과정의 갈등, 친일파의 횡포 등 사회적 문제를 다룬다.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기본 정보
이름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장르클래식 음악
장소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
개최 년도2003
웹사이트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이 콩쿠르는 대한민국 지방 정부와 언론사들이 공동 주최해 왔으며, 경상남도, 통영시, MBC경남이 참여했다. 윤이상을 기리기 위해 2003년 경상남도지사는 통영국제음악재단에 국제 콩쿠르 기획 및 운영을 요청했다. 재단은 박성용을 초대 이사장으로 하여, 15세에서 29세 사이의 국제적인 젊은 연주자들을 육성하기 위한 연례 기악 콩쿠르의 일반적인 계획을 수립했다. 행사는 윤이 태어난 도시인 통영시에서 개최되며, 1995년 윤의 사망일인 11월 3일을 포함하도록 콩쿠르 일정을 잡았다. 하지만 2003년, 2004년, 2009년에는 예외가 있었다.

제1회 경남국제음악콩쿠르는 2003년에 개최되었다. 주최 측은 윤이 유명한 첼로 연주자였고, 1975년부터 1976년까지 첼로 협주곡 1번을 작곡했기 때문에 첫 번째로 첼로를 선택했다. 그 다음으로는 바이올린피아노를 선택했는데, 이는 두 악기가 국제 콩쿠르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지는 주요 분야였고, 윤이 이 두 악기를 위한 많은 작품을 썼기 때문이다. 또한 세 번의 대회를 거친 후 우승자들이 피아노 삼중주로 협력하고 연주할 기회를 갖는다는 점도 고려되었다.

국제적인 청중을 유치하기 위해 주최 측은 경남국제음악콩쿠르가 국제음악콩쿠르세계연맹(WFIMC)으로부터 인정을 받기를 원했다. WFIMC 규정에 따라 이 행사는 2003년과 2004년에 성공적인 두 번의 대회를 보여주어야 했다. 이듬해 재단은 WFIMC에 가입 신청서를 제출했다. 2006년 제네바에서 열린 연맹 총회 투표를 거쳐 WFIMC는 경남국제음악콩쿠르를 회원 콩쿠르로 승인했으며, 이는 대한민국에서 이러한 영예를 얻은 최초의 음악 콩쿠르가 되었다.

이후 콩쿠르 명칭을 '윤이상'으로 변경하는 과정과 변경 이후의 발전 과정은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룬다.

2. 1. 창설 배경 및 초기 과정 (2003-2007)

경상남도, 통영시, MBC경남이 공동 주최하여 윤이상을 기리기 위해 2003년 제1회 경남국제음악콩쿠르(첼로 부문)를 개최하였다.[5] 통영국제음악재단이 콩쿠르 기획 및 운영을 맡았으며, 초대 이사장은 박성용이었다. 콩쿠르는 윤이 태어난 도시인 통영시에서 개최되며, 1995년 윤의 사망일인 11월 3일을 포함하도록 콩쿠르 일정을 잡았다. 다만 2003년, 2004년, 2009년에는 예외였다.

주최 측은 윤이 유명한 첼리스트였고 첼로 협주곡을 작곡했기 때문에 첫 번째 부문을 첼로로 정했다. 이후 국제 콩쿠르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지는 주요 분야이자 윤이 많은 작품을 쓴 바이올린피아노를 선택했다. 세 번의 대회를 거친 후 우승자들이 피아노 삼중주로 협력하고 연주할 기회를 갖는다는 점도 고려되었다.

2004년에는 제2회 경남국제음악콩쿠르(바이올린 부문)가, 2005년에는 제3회 경남국제음악콩쿠르(피아노 부문)가 개최되었다.

국제적인 인정을 받기 위해, 주최 측은 국제음악콩쿠르세계연맹(WFIMC) 가입을 추진했다. WFIMC 규정에 따라 2003년과 2004년에 성공적인 두 번의 대회를 개최했고, 2006년 제네바에서 열린 연맹 총회 투표를 거쳐 대한민국 최초로 WFIMC 회원 콩쿠르로 승인받았다.[5]

2007년에는 제5회 경남국제음악콩쿠르(바이올린 부문)가 개최되었다.

연도날짜부문비고
200311월 22일–29일첼로
200411월 13일–20일바이올린
200510월 29일 – 11월 5일피아노윤이상 특별상 추가
200610월 28일 – 11월 4일첼로한국 콩쿠르 역사상 최초로 WFIMC 정회원 자격 획득
200710월 28일 – 11월 4일바이올린박성용 특별상 추가


2. 2. 명칭 변경 및 발전 (2008-현재)

주최 측은 원래 이 행사의 이름을 윤이상으로 짓고 싶었지만, 윤이상 가문은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그들은 이 행사가 지속 가능하거나 다른 국제 콩쿠르와 비교할 만하다고 확신하지 못했다. 주최 측은 계속해서 가문을 설득했고, 행사 성공을 입증한 후에야 윤이상 가문은 결국 동의했다. 이름 변경은 2008년 조지아 트빌리시에서 열린 국제 음악 콩쿠르 세계 연맹(WFIMC) 총회에서 비준되었다. WFIMC는 또한 "Isang Yun"이라는 이름을 모두 대문자로 표기하도록 규정했다.[5]

연도부문비고
2009첼로제7회
2010피아노제8회
2011바이올린제9회
2012첼로제10회
2013피아노제11회
2014바이올린제12회
2015첼로제13회
2016피아노제14회
2017바이올린제15회


3. 경연 부문 및 일정

첼로, 피아노, 바이올린 부문이 매년 순환 개최되며, 예선, 1차 경연, 2차 경연, 결선으로 진행된다. 각 경연 사이에는 휴식일이 있고, 결선 다음 날에는 수상자 연주회가 열린다.[1] 2011년까지 9번의 콩쿠르(3번의 사이클)가 통영국제음악당에서 개최되었다.

연도날짜부문비고
200311월 22일–29일첼로
200411월 13일–20일바이올린
200510월 29일 – 11월 5일피아노윤이상 특별상 추가
200610월 28일 – 11월 4일첼로한국 콩쿠르 역사상 최초로 WFIMC 정회원 자격 획득
200710월 28일 – 11월 4일바이올린박성용 특별상 추가
200811월 2일–9일피아노콩쿠르 공식 명칭을 윤이상 콩쿠르로 변경
200911월 15일–22일첼로
201010월 31일 – 11월 7일피아노순환 부문이 첼로, 피아노 순으로 변경
201110월 30일 – 11월 6일바이올린5위 수상자까지 시상한 마지막 콩쿠르
201210월 27일 – 11월 4일첼로결선 진출자 수를 5명에서 4명으로 축소,
상금 통화를 미국 달러에서 대한민국 원으로 변경
201311월 2일–10일[5]피아노콩쿠르 역사상 처음으로 1, 2위 남성 수상자에게 병역 면제 혜택 부여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1411월 1일–9일바이올린통영시에 새로 건립된 클래식 음악 전용 콘서트홀인 통영 콘서트홀에서 처음으로 개최. 수상자 수를 4명에서 3명으로 축소.
2015첼로
2016피아노
201710월 28일 – 11월 5일바이올린


3. 1. 예선

WFIMC 규정에 따라, 모든 국적의 만 15-29세 음악가가 참가할 수 있다. 참가자는 신청서와 함께 지정된 작곡가의 작품 연주를 녹음 또는 영상으로 제출해야 한다. 예선 심사위원단은 한국인 심사위원 1인을 포함하여 신청서를 검토하고, 본선 진출자 약 25명을 선발한다.[1]

3. 2. 1차 경연

1차 경연은 2일 동안 진행된다. 참가자는 다음 조건에 따라 세 곡을 연주한다.[1]

  • 지정된 작곡가 목록에서 작품 한 곡을 선택한다.
  • 윤이상의 작품 중에서 한 곡을 선택한다.
  • 연주자가 자유롭게 한 곡을 선택한다.
  • 총 연주 시간은 제한 시간 내여야 한다.
  • 예비 심사에서 연주했던 곡은 제외된다.


1차 경연과 2차 경연 사이에는 하루 동안 휴식하며, 참가자들은 다음 경연 진출 여부를 통보받는다.[1]

4. 심사위원

연도심사위원장예선 심사위원장기타 심사위원
2003지크프리트 팔름정명화조영창, 류이스 클라렛, 다비드 게링가스, 발터 그림머, 아르토 노라스, 레슬리 파르나스, 츠요시 츠츠미
2004사슈코 가브릴로프김민배익환, 베라 베츠, 제임스 버스웰, 야오지 린, 이고르 오짐, 재클린 로스, 아키코 타츠미
2005클라우스 헬비히김대진한동일, 카사마 하루코, 롤랜드 켈러, 안나 말리코바, 제롬 로즈, 에리크 타바스츠예르나, 프랑수아즈 티나
2006볼프강 뵈처현민자추이빙, 장-마리 가마르, 하야시 토시아키, 폴 카츠, 이반 모니게티, 나덕성, 우지 비젤
2007제라르 풀레김남윤김의명, 하라다 코이치로, 세르게이 크라브첸코, 미하엘라 마틴, 이츠하크 라슈코프스키, 크시슈토프 베그진, 리나 유
2008로버트 레빈신수정미셸 베로프, 첸훙관, 크리스토퍼 엘튼, 한가야, 마이클 크리스트, 나카무라 히로코, 보리스 페트루샨스키
2009정명화정명화리처드 에런, 카린 조지안, 이와사키 코, 이종영, 옌스-페터 마인츠, 필립 뮬러, 왕젠, 힐렐 조리[8]
2010이대욱이대욱이경숙, 제롬 로웬탈, 지크프리트 마우저, 파벨 네르세시안, 마티 라에칼리오, 우에다 가츠미, 쉬종, 이디스 즈비
2011크리스토프 포펜이경선아리아드네 다스칼라키스, 에스터 하프너, 마이클 마, 자그디쉬 미스트리, 피호영, 다케자와 교코, 베라 추 웨이링
2012로렌스 레서이강호수렌 바그라투니, 안제이 바우어, 드미트리 페이긴, 로코 필리피니, 이동우, 웬신 양, 윤영숙[6]
2013한동일아비람 라이허트바오 후이차오, 에비 아키코, 한영란, 토마스 헤흐트, 페터 파울 카인라트, 김정권, 알렉산더 슈타르크만[7]
2014김영욱김영욱슈무엘 아쉬케나지, 탄야 베커-벤더, 사이먼 블렌디스, 보리스 가를리츠키, 강동석, 시미즈 타카시, 퉁웨이동, 장-피에르 발레
2015라이문트 트렌클러
2016김대진
2017미하엘 헤플리거



심사위원은 9명으로 구성되며, 이 중 2명은 주최국인 대한민국 출신이다. WFIMC 규정에 따라 나머지 7명의 심사위원은 다른 국가 출신이어야 한다. 한국인 심사위원 2명 중 1명은 예선에 참여한다.

5. 수상

Narek Hakhnazaryan|나레크 하흐나자리안hy미수상 (공동)Arnold Choi|아놀드 초이영어Massimiliano Martinelli|마시밀리아노 마르티넬리it2007Hayk Kazazyan|하이크 카자지안hySolenne Païdassi|솔렌 파이디시프랑스어김재영서민정Andrey Baranov|안드레이 바라노프ru2008소피야 굴랴크Stanislav Khristenko|스타니슬라프 크리스텐코ruMariangela Vacatello|마리안젤라 바카텔로it윤홍천Christopher Guzman|크리스토퍼 구즈만영어2009[17]크리스틴 라우배지혜Matthew Zalkind|매튜 자킨드영어Georgy Anichenko|게오르기 아니첸코be장성찬2010[18]천윤지에|천윤지에중국어알레산드로 델자반엘마 가사노프이주은
김성필미수상 (공동)2011[19]유치엔 쩡조진주김영욱Nigel Armstrong|나이젤 암스트롱영어이지윤2012[20][21]Uladzimir Sinkevich|울라지미르 싱케비치be박진영
Aleksey Zhilin|알렉세이 질린ru미수상 (공동)Jonathan Dormand|조나단 도먼드영어2013[22]김홍기한지원손정범인소향2014루크 쉬설민경배원희2015Ella van Poucke|엘라 반 푸케nl이문표김정환2016서형민하규태홍민수
Julia Kociuban|율리아 코지우반pl


5. 1. 상금 (2014년 기준)

2014년 기준 상금은 다음과 같다.

순위상금비고
1위3000만경상남도지사 상
2위2000만
3위1000만
윤이상 특별상200만2차 경연 최고 연주자
박성용 특별상200만가장 유망한 한국인 참가자, 금호아시아나그룹 후원



상금에는 대한민국 세법에 따라 소득세가 부과된다.[8] 1위 수상자를 제외하고 공동 수상이 가능하며, 해당 순위와 다음 순위의 상금을 합산하여 공동 수상자에게 균등하게 분배한다.[8]

5. 2. 수상자 특전

수상자는 통영에서 콘서트와 음반 녹음을 해야 하며, 다시 방문하여 공연을 해야 한다.[8]

5. 3. 역대 주요 수상자

Narek HakhnazaryanhyArnold Choi영어Massimiliano Martinelliit2007Hayk KazazyanhySolenne Païdassi프랑스어김재영서민정Andrey Baranovru2008소피야 굴랴크Stanislav KhristenkoruMariangela Vacatelloit윤홍천Christopher Guzman영어2009[8]크리스틴 라우배지혜Matthew Zalkind영어Georgy Anichenkobe장성찬2010[9]천윤지에중국어알레산드로 델자반엘마 가사노프이주은
김성필2011[10]유치엔 쩡조진주김영욱Nigel Armstrong영어이지윤2012[11][12]Uladzimir Sinkevichbe박진영
Aleksey ZhilinruJonathan Dormand영어2013[13]김홍기한지원손정범인소향2014루크 쉬설민경배원희2015Ella van Pouckenl이문표김정환2016서형민하규태홍민수
Julia Kociubanpl2017송지원Nancy Zhou영어Nigel Armstrong영어



2차 경연에서 윤이상의 작품을 가장 잘 연주한 참가자에게는 윤이상 특별상이 수여된다. 2006년에는 "특별상"으로 불렸으나, 2007년부터 다른 특별상과 구분하기 위해 윤이상의 이름이 붙었다.

연도수상자
2005소피야 굴랴크
Jörg-Hardi Leichnerde
2006이정란
2007하이크 카자잰
2008스타니슬라프 크리스텐코
2009크리스틴 라우
2010오쿠다 아키히토일본어
2011쩡위치엔
2012울라지미르 싱케비치
2013수상자 없음
2014루크 쉬
2015서우형
2016서형민
2017나이젤 암스트롱



2007년부터 금호아시아나그룹의 후원으로 2차 및 결선에서 가장 유망한 한국인 연주자에게 박성용 특별상이 수여된다.

연도수상자
2007김재영
2008윤홍천
2009정윤혜[8]
2010김홍기
2011고은애[10]
2012박진영[12]
2013김홍기[13]
2014김계희
2015김정환
2016하규태
2017Ji Won Song영어


참조

[1] 뉴스 German Cellist Wins Isang Yun Competition https://www.koreatim[...] 2011-08-12
[2] 뉴스 Local Music Contest Admitted to WFIMC http://news.naver.co[...] 2011-08-12
[3] 뉴스 Music Competition to Commemorate Isang Yun http://www.koreahera[...] 2011-08-12
[4] 뉴스 Summary News from the General Assembly in Tbilisi http://www.tbilisipi[...] 2011-08-12
[5] 웹사이트 ISANGYUN Competition 2013 http://www.wfimc.org[...] 2012-11-07
[6] 웹사이트 Isangyun Competition 2012 – Jury http://timf.org/comp[...] TIMF Foundation 2012-10-10
[7] 웹사이트 Isangyun Competition 2013 – Jury http://timf.org/sub4[...] TIMF Foundation 2013-11-15
[8] 웹사이트 German Cellist Wins Isang Yun Competition https://www.koreatim[...] 2012-09-17
[9] 웹사이트 Chinese pianist wins Isang Yun Competition https://www.koreatim[...] 2012-09-17
[10] 웹사이트 Taiwanese violinist tops Isang Yun Competition http://view.koreaher[...] 2012-09-17
[11] 웹사이트 Belarusian triumphs in Tongyeong http://www.thestrad.[...] 2012-11-07
[12] 웹사이트 Competitor – Final Announcement http://timf.org/comp[...] 2012-11-07
[13] 웹사이트 Competitor – Final Announcement http://timf.org/sub4[...] 2013-11-15
[14] 문서 正式名称は国際を附さないが、ギョンナム国際音楽祭の一分野として行われるため便宜上国際を附した。
[15] 웹사이트 Isangyun Competition 2012 – Jury http://timf.org/comp[...] TIMF Foundation 2012-10-10
[16] 웹사이트 Isangyun Competition 2013 – Jury http://timf.org/sub4[...] TIMF Foundation 2013-11-15
[17] 웹사이트 German Cellist Wins Isang Yun Competition http://www.koreatime[...] 2012-09-17
[18] 웹사이트 Chinese pianist wins Isang Yun Competition http://www.koreatime[...] 2012-09-17
[19] 웹사이트 Taiwanese violinist tops Isang Yun Competition http://view.koreaher[...] 2012-09-17
[20] 웹사이트 Belarusian triumphs in Tongyeong http://www.thestrad.[...] 2012-11-07
[21] 웹사이트 Competitor - Final Announcement http://timf.org/comp[...] 2012-11-07
[22] 웹사이트 Competitor - Final Announcement http://timf.org/sub4[...] 2013-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