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통영 국제 음악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영 국제 음악제는 작곡가 윤이상의 정신을 기리고 현대 음악을 소개하기 위해 매년 통영에서 열리는 음악 축제이다. 1999년 윤이상 음악의 밤을 시작으로, 2002년 재단법인 설립을 통해 국제적인 규모로 발전했다. 매년 새로운 주제를 정하고, 윤이상 작품의 부제를 테마로 삼아 공연을 개최한다. 아시아 작곡가 발굴 및 20세기 현대 음악 소개에 힘쓰며, 알렉산더 리에브라이히, 플로리안 림, 진은숙 등이 예술 감독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윤이상 - 윤이상관현악단
    윤이상관현악단은 1990년 김일진에 의해 창단된 북한의 관현악단으로, 윤이상음악연구소 부속 관현악단으로 시작하여 윤이상음악당 상주 악단이 되었으며, 다양한 레퍼토리 연주와 해외 공연, 음반 발매 등의 활동을 한다.
  • 윤이상 -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는 통영시에서 윤이상의 음악 정신을 기리고 젊은 음악가들을 발굴하고자 2003년 시작되었으며, 첼로, 바이올린, 피아노 부문이 순환 진행되는 국제 음악 콩쿠르로서 국제 음악 콩쿠르 세계 연맹 회원 콩쿠르이다.
  • 2002년 시작된 음악제 - A-nation
    a-nation은 1990년대 디스코 이벤트에서 시작되어 2002년 정식 투어 이벤트로 자리 잡은 일본의 대형 여름 음악 축제이다.
  • 2002년 시작된 음악제 - 오스틴 시티 리미츠 뮤직 페스티벌
    오스틴 시티 리미츠 뮤직 페스티벌은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매년 열리는 대규모 음악 축제로, PBS 음악 프로그램의 특별 이벤트로 시작하여 록, 인디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선보이며 45만 명 이상이 찾는 행사로 성장했고,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취소되기도 했지만 국제적으로 확장되기도 했다.
  • 통영시의 문화 - 검사내전
    JTBC에서 방영된 2019년 드라마 《검사내전》은 장원지방검찰청 진영지청 형사2부 검사들의 일상을 현실적으로 그린 작품으로, 지방 소도시 검사들의 이야기와 동료 간의 협력 및 갈등, 권력과 맞서는 검사들의 모습을 통해 대한민국 검찰의 현실을 다각적으로 보여준다.
  • 통영시의 문화 - 김약국의 딸들
    《김약국의 딸들》은 구한말 통영을 배경으로 김약국 일가의 몰락과 다섯 딸들의 비극적인 삶을 그린 소설이며, 여성의 억압, 근대화 과정의 갈등, 친일파의 횡포 등 사회적 문제를 다룬다.
통영 국제 음악제
기본 정보
음악제 이름통영국제음악제
통영국제음악제 공식 로고
위치대한민국 통영시
활동 기간2002년–현재
개최 시기
장르클래식 음악
웹사이트통영국제음악제 공식 웹사이트
추가 정보
예술 감독진은숙

2. 역사

2002년부터 2013년까지 '재단법인 통영국제음악제'가 통영국제음악제를 주관했고, 2014년부터는 '재단법인 통영국제음악재단'이 주관하고 있다. '재단법인 통영국제음악재단'은 2013년 11월 29일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재단법인이다.

구 재단법인인 '재단법인 통영국제음악제'는 2002년 2월 14일 설립되었다. 2010년 3월 윤이상 기념공원이 완공되면서 사무실을 이전했고, 2013년 11월 통영국제음악당이 완공되면서 신규 재단법인 통영국제음악재단에 통합되었다.

통영 국제 음악제는 윤이상을 기리는 정신에서 비롯되었다. 윤이상은 통영 인근 산청에서 태어나 독일에서 생애 후반부를 보낸 세계적인 작곡가였다.[3]

TIMF 2002는 새로운 법인에 의해 조직적인 힘을 발휘하여 개최되었다. 사무국의 프로그래머들은 지난 2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3월에 8일간 진행되는 통영 국제 음악제 2002를 구성했다.

프로그래머들은 매년 새로운 테마를 결정했으며, 테마는 항상 윤이상 작품의 부제에서 유래되었다. 통영시민문화회관이 항상 공식적인 공연장이었다.

2. 1. 설립 배경

2002년 윤이상(Isang Yun; 1917–1995)을 기리기 위해 통영국제음악제가 시작되었다.[3] 윤이상은 통영 인근 산청에서 태어나 독일 베를린에서 생애 후반부를 보낸 세계적인 작곡가였다.[3] 39세에 윤이상은 베를린 국립 예술 대학교에서 공부하기 위해 유럽으로 갔으며, 전임 교수로 재직하며 작곡가, 연주자 등 많은 젊은 예술가들을 가르쳤는데, 그의 제자 중 다수가 한국인이었다.

윤이상의 한국인 제자들이 TIMF 프로젝트를 실현 가능하게 이끌었다. 그들은 1999년에 '윤이상 음악의 밤'이라는 소개 콘서트를 개최하여 한국 예술가들의 호평 속에 성공을 거두었다.

제자들은 이 성공에 힘입어 3일간의 축제 형태인 통영 현대 음악 축제로 발전시켰다.

2년간의 축제 형태의 실험을 통해 서양 음악의 내용이 통영의 환경과 협력적으로 공존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이에 축제를 국제적인 형태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여론이 일어났다.

발기인들은 법인 재단법인을 설립하였다. 이는 축제를 주최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중립적이어야 하며 정치인이나 정부에 의해 방해받을 수 없기 때문이었다. 발기인들은 이사회를 구성하고 정부의 도움을 받아 재단 설립을 위한 제안을 결정하고 박성용(1932–2005)을 TIMF 재단의 초대 이사장으로 선출했다. 재단은 2002년 2월 14일 설립 및 등록되었다.[3]

2. 2. 재단 설립

2002년 2월 14일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재단법인 '통영국제음악제'가 설립되어 2013년까지 통영국제음악제를 주관했다.[3] 2010년 3월 윤이상 기념공원이 완공되면서 사무실을 이전했고, 2013년 11월 29일 신규 재단법인 '통영국제음악재단'이 설립되면서 통합되었다. '통영국제음악재단'은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재단법인으로, 사무실은 통영국제음악당에 있다.

통영국제음악제 재단 설립은 음악제가 정치적으로 중립적인 위치에서 주최되어야 하며, 정치인이나 정부에 의해 방해받지 않아야 한다는 필요성에 의해 추진되었다. 발기인들은 이사회를 구성하고 도와 시 정부의 도움을 받아 재단 설립을 제안했으며, 박성용(1932–2005)을 초대 이사장으로 선출했다.

2. 3. 연도별 주제

연도주제기간
2002팡파르 & 기념3월 8일 ~ 3월 15일
20033월 25일 ~ 4월 2일
2004에스파스3월 22일 ~ 3월 27일, 6월 20일, 8월 30일, 12월 12일
2005기억3월 17일 ~ 3월 22일, 7월 3일 ~ 7월 8일, 10월 28일 ~ 11월 6일
2006플럭스3월 21일 ~ 3월 26일, 10월 27일 ~ 11월 6일
2007랑콩트르3월 23일 ~ 3월 29일, 7월 2일 ~ 7월 7일, 10월 26일 ~ 11월 4일
2008자유3월 21일 ~ 3월 26일, 11월 1일 ~ 11월 9일
2009동 & 서3월 27일 ~ 4월 2일, 6월 29일 ~ 7월 4일, 11월 14일 ~ 11월 22일
2010음악 +3월 19일 ~ 3월 25일
2011움직이는 차원3월 26일 ~ 4월 1일
2012무거리3월 23일 ~ 3월 29일
2013자유 & 고독3월 22일 ~ 3월 28일


3. 프로그램

통영국제음악제는 현대음악 프로그램의 독창성을 추구하며, 이는 통영 출신 작곡가 윤이상의 창의적인 정신을 계승하려는 노력에서 비롯된다. 윤이상이 유럽에서 활동할 당시 후원자들의 도움을 받았던 것처럼, 통영국제음악제(TIMF)는 윤이상의 유산을 이어갈 젊은 작곡가들을 발굴하는 데 힘쓰고 있다. 특히, 음악계에서 주변부로 여겨지는 아시아 지역의 작곡가들을 중심으로 발굴하고 지원하며, 새로운 작품을 위촉하기도 한다.

통영국제음악제는 작곡가뿐만 아니라 뛰어난 음악가와 연주자도 선보인다. 유명 연주자와 재능 있는 신인 연주자를 균형 있게 초청하여 실험적인 공연과 대규모 프로젝트를 함께 선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다음은 통영국제음악제에 참여한 주요 아티스트 목록이다.

통영국제음악제 주요 참여 아티스트
연도신인 아티스트유명 아티스트
2009바르토시 코지악(첼로), 강윤지(비올라), 아시안 페스티벌 앙상블노던 심포니아 (토마스 체헤트마이어 지휘 및 바이올린), 로비 라카토스(집시 바이올린), 뮌헨 실내 관현악단 (알렉산더 리브라이히 지휘)
2008한국예술종합학교 스트링 앙상블 & 솔렌 페이디시(바이올린), 나레크 하흐나자리안(첼로), 파커 스트링 콰르텟, 나상아(플루트)런던 실내 관현악단 (장한나 첼로), 유로파 갈란테 (파비오 비온디 바이올린), 프라이부르크 바로크 오케스트라, 존 할로웨이(바이올린), 백혜선(피아노), 자크 루시에(재즈 피아노), BBC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지안안드레아 노세다 지휘), 힐러리 한(바이올린), 손열음(피아노)
2007최예은(바이올린), 양준모(바리톤), 줄리 앨버스(첼로), 에린 키프(바이올린) & 제갈소망(피아노)잉글리시 체임버 오케스트라 (랄프 고토니 지휘), 조르디 사발(비올라 다 감바), 야마시타 카즈히토(기타), 클로드 볼링(재즈 피아노), 임동민(피아노), 크로노스 콰르텟 (우만 비파)
2006탁영아(피아노), 윤지윤(하프), 이동규(카운터테너), 이보경(바이올린), 노리에 타카하시(피아노)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유리 테미르카노프 지휘), 블라디미르 펠츠만(피아노), 리처드 용재 오닐(비올라), 모스크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유리 시모노프 지휘)
2005김선욱(피아노), 린 위에(바이올린), 가야금 앙상블 사계, 보리스 안드리안노프(첼로) & 드미트리 일라리오노프(기타)슈투트가르트 실내 관현악단(페터 폰 빈하르트 피아노), 아르디티 콰르텟, 강동석(바이올린), 손열음(피아노)
2004백나영(첼로), 매트 하이모비츠(첼로)존 엘리엇 가디너 경 지휘 with 몬테베르디 합창단 and 잉글리시 바로크 솔로이스츠, 정 트리오, 미샤 마이스키(첼로), 탄둔 지휘, 실레지안 현악 사중주단, 러시아 국립 심포니 카펠라 (발레리 폴리얀스키 지휘), 레이첼 리(바이올린), 나탈리 클라인(첼로), 백혜선(피아노)
2003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주빈 메타 지휘), 사라 장(바이올린), 세종 솔로이스츠 with 린 차오량(바이올린), 하인츠 홀리거(지휘 & 오보에)
2002임동혁(피아노)정명훈 지휘 with 프랑스 국립 방송 오케스트라, 제네키스 앙상블



그 외에도 통영국제음악제는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TIMF아카데미, 통영 그랑프리 동요제, 윤이상 동요제 등의 행사를 개최한다.[1]

3. 1. 주요 프로그램

통영국제음악제는 현대음악 프로그램의 독창성을 추구하며, 이는 통영 출신 작곡가 윤이상의 창의적인 정신을 계승하려는 노력에서 비롯된다. 윤이상이 유럽에서 활동할 당시 후원자들의 도움을 받았던 것처럼, 통영국제음악제(TIMF)는 윤이상의 유산을 이어갈 젊은 작곡가들을 발굴하는 데 힘쓰고 있다. 특히, 음악계에서 주변부로 여겨지는 아시아 지역의 작곡가들을 중심으로 발굴하고 지원한다.

지난 10년간 통영국제음악제가 발굴한 주요 아시아 작곡가들은 다음과 같다.

출생-사망이름(국가)
1930~1996다케미츠 도루(일본)
1934~강석희(한국)
1934~김정길(한국)
1936~백병동(한국)
1945~박영희(한국)
1951~첸 치강(중국)
1952~취 샤오송(중국)
1953~2004이강율(한국)
1955~호소카와 토시오(일본)
1957~탄둔(중국)
1959~임준희(한국)
1961~진은숙(한국)
1968~최우정(한국)
1971~김남국(한국)
1973~홍성지(한국)



통영국제음악제는 아시아 작곡가들의 작품뿐만 아니라 20세기 현대음악 작품들도 꾸준히 소개해왔다. '현대'라는 개념을 새로운 형태를 향한 개혁적인 시도로 정의하며, 다양한 작품과 작곡가들을 소개하여 젊은 관객들에게 현대음악의 아름다움을 알리고 있다.

다음은 통영국제음악제를 통해 소개된 주요 20세기 작곡가들이다.

출생-사망이름(국가)
1854~1928레오시 야나체크(체코)
1857~1934에드워드 엘가(영국)
1860~1909이삭 알베니즈(스페인)
1860~1911구스타프 말러(오스트리아)
1862~1918클로드 드뷔시(프랑스)
1864~1949리하르트 슈트라우스(독일)
1872~1915알렉산드르 스크랴빈(러시아)
1872~1958랄프 본 윌리엄스(영국)
1873~1943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러시아)
1874~1951아르놀트 쇤베르크(오스트리아)
1874~1954찰스 아이브스(미국)
1875~1937모리스 라벨(프랑스)
1876~1946마누엘 데 파야(스페인)
1881~1945벨러 버르토크(헝가리)
1882~1937카롤 시마노프스키(폴란드)
1882~1967졸탄 코다이(헝가리)
1883~1945안톤 베베른(오스트리아)
1883~1965에드가르 바레즈(프랑스)
1885~1935알반 베르크(오스트리아)
1887~1959에이토르 빌라로부스(브라질)
1890~1959보후슬라프 마르티누(체코)
1891~1953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러시아)
1892~1974다리우스 미요(프랑스)
1895~1963파울 힌데미트(독일)
1899~1963프랑시스 풀랑크(프랑스)
1904~1975루이지 달라피콜라(이탈리아)
1905~1974앙드레 졸리베(프랑스)
1905~1988자친토 셸시(이탈리아)
1906~1975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러시아)
1908~1992올리비에 메시앙(프랑스)
1908~2012엘리엇 카터(미국)
1910~1981새뮤얼 바버(미국)
1912~1992존 케이지(미국)
1913~1976벤자민 브리튼(영국)
1913~1994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폴란드)
1916~1983알베르토 히나스테라(아르헨티나)
1916~앙리 뒤티외(프랑스)
1921~1992아스토르 피아졸라(아르헨티나)
1922~2001야니스 크세나키스(그리스)
1923~2006죄르지 리게티(헝가리)
1924~1990루이지 노노(이탈리아)
1925~2003루치아노 베리오(이탈리아)
1925~피에르 불레즈(프랑스)
1926~죄르지 쿠르탁(헝가리)
1928~2007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독일)
1931~2008마우리시오 카겔(독일)
1931~소피아 구바이둘리나(러시아)
1933~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폴란드)
1934~1998알프레트 슈니트케(러시아)
1935~아르보 패르트(에스토니아)
1936~스티브 라이히(미국)
1939~하인츠 홀리거(스위스)
1947~프랑기스 알리-자데(아제르바이잔)
1947~살바토레 셰리노(이탈리아)
1952~볼프강 림(독일)



그 외에도 통영국제음악제는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 TIMF아카데미, 통영 그랑프리 동요제, 윤이상 동요제 등의 행사를 개최한다.

3. 2. 주요 참여 작곡가 (아시아)

통영국제음악제(TIMF)는 윤이상의 정신을 이어받아 아시아 지역의 젊은 작곡가들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데 힘쓰고 있다. 특히, 음악계에서 주변부로 여겨지는 아시아 작곡가들에게 창작 기회를 제공하고 그들의 레퍼토리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난 10년간 통영국제음악제가 주목한 아시아 작곡가들은 다음과 같다.[1]

이름국적출생-사망
다케미츠 도루일본1930~1996
강석희대한민국1934~
김정길대한민국1934~
백병동대한민국1936~
박영희대한민국1945~
첸 치강중국1951~
취 샤오송중국1952~
이강율대한민국1953~2004
호소카와 토시오일본1955~
탄둔중국1957~
임준희대한민국1959~
진은숙대한민국1961~
최우정대한민국1968~
김남국대한민국1971~
홍성지대한민국1973~


3. 3. 주요 참여 작곡가 (20세기)

통영국제음악제는 20세기 주요 현대 음악 작곡가들의 작품을 선보이며, 새로운 형태를 향한 개혁적인 시도를 '현대'라는 개념으로 정의하여 다양한 작품과 작곡가들을 소개해왔다. 특히 젊은 관객들에게 현대 음악의 아름다움을 알리고자 노력해왔다.

출생-사망이름국적
1854~1928레오시 야나체크체코
1857~1934에드워드 엘가영국
1860~1909이삭 알베니즈스페인
1860~1911구스타프 말러오스트리아
1862~1918클로드 드뷔시프랑스
1864~1949리하르트 슈트라우스독일
1872~1915알렉산드르 스크랴빈러시아
1872~1958랄프 본 윌리엄스영국
1873~1943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러시아
1874~1951아르놀트 쇤베르크오스트리아
1874~1954찰스 아이브스미국
1875~1937모리스 라벨프랑스
1876~1946마누엘 데 파야스페인
1881~1945벨러 버르토크헝가리
1882~1937카롤 시마노프스키폴란드
1882~1967졸탄 코다이헝가리
1883~1945안톤 베베른오스트리아
1883~1965에드가르 바레즈프랑스
1885~1935알반 베르크오스트리아
1887~1959에이토르 빌라로부스브라질
1890~1959보후슬라프 마르티누체코
1891~1953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러시아
1892~1974다리우스 미요프랑스
1895~1963파울 힌데미트독일
1899~1963프랑시스 풀랑크프랑스
1904~1975루이지 달라피콜라이탈리아
1905~1974앙드레 졸리베프랑스
1905~1988자친토 셸시이탈리아
1906~1975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러시아
1908~1992올리비에 메시앙프랑스
1908~2012엘리엇 카터미국
1910~1981새뮤얼 바버미국
1912~1992존 케이지미국
1913~1976벤자민 브리튼영국
1913~1994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폴란드
1916~1983알베르토 히나스테라아르헨티나
1916~앙리 뒤티외프랑스
1921~1992아스토르 피아졸라아르헨티나
1922~2001야니스 크세나키스그리스
1923~2006죄르지 리게티헝가리
1924~1990루이지 노노이탈리아
1925~2003루치아노 베리오이탈리아
1925~피에르 불레즈프랑스
1926~죄르지 쿠르탁헝가리
1928~2007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독일
1931~2008마우리시오 카겔독일
1931~소피아 구바이둘리나러시아
1933~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폴란드
1934~1998알프레트 슈니트케러시아
1935~아르보 패르트에스토니아
1936~스티브 라이히미국
1939~하인츠 홀리거스위스
1947~프랑기스 알리-자데아제르바이잔
1947~살바토레 셰리노이탈리아
1952~볼프강 림독일


4. 예술 감독

통영 국제 음악제는 2009년에 처음으로 예술감독을 임명했다. 초대 예술감독은 뮌헨 실내 관현악단의 수석 지휘자였던 알렉산더 리에브라이히였다.[3] 이후 독일 문화 기획자 플로리안 림을 거쳐, 2022년부터 작곡가 진은숙이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

5. 공연장

통영시민문화회관은 통영 국제 음악제의 공식적인 공연장으로 사용되었다. 통영시민문화회관은 대극장(880석)과 소극장(290석)을 갖추고 있다.[3]

참조

[1] 웹사이트 Home http://www.timf.org/
[2] 웹사이트 Unsuk Chin appointed Artistic Director of Tongyeong Festival https://www.boosey.c[...] 2022-09-30
[3] 웹사이트 Ein grenzüberschreitender Nomade https://www.goethe.d[...] 2017-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