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산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은산군은 평안남도에 위치한 지역으로, 여러 차례 행정구역 개편을 거쳤다. 고구려 시대에 순천군의 일부였으며, 고려 시대에는 은주, 은산군으로 불렸다. 조선 시대에는 자산군에 편입되었다가 다시 은산현으로 설치되었으며, 1895년 은산군으로 승격되어 평안남도에 속했다. 이후 순천군에 편입되어 폐지되었으나, 1952년 순천군에서 분리되어 다시 설치되었고, 1974년 순천군에 통합되었다가, 1992년 순천시, 북창군, 성천군의 일부를 통합하여 재설치되었다. 현재는 1읍, 5노동자구, 16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라선, 은산선 등 철도가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8년 폐지 - 지평군
지평군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경기도에 존재했던 군으로, 숫돌 생산지이자 교통 요충지였으나 1908년 양근군과 통합되어 양평군으로 편입되었다. - 1908년 폐지 - 양근군
양근군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 말까지 경기도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시대에 따라 여러 이름으로 불리다가 양근현으로 개칭된 후 익화군으로 승격되기도 했으며, 조선시대 갈산으로 치소가 옮겨진 뒤 춘천부에 편입, 다시 경기도로 환원, 1908년 지평군과 통합되어 양평군으로 개편되었다. - 평안남도의 군 - 양덕군
양덕군은 평안남도에 위치한 산지가 많은 고원 지대의 군으로, 고려 시대 양덕현을 기원으로 하며 평라선 양덕역과 양덕온천문화휴양지가 있다. - 평안남도의 군 - 대동군
대동군은 평안남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평양직할시 등과 접하고, 일제강점기에 신설되어 행정 구역 변동을 겪었으며, 현재 1읍, 1구, 21리로 구성되고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1974년 폐지 - 반도호텔
반도호텔은 1936년에 건설되어 미군정청 본부, 주한 미국 대사관 사무실 등으로 사용되다가 롯데그룹에 인수되어 철거된 호텔이다. - 1974년 폐지 - 제23지원단
제23지원단은 주한 미군의 시설 관리 및 지원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창설되었으며, 여러 차례 부대 명칭 변경과 재편성을 거쳐 2006년 전시 편성부대로 지정되어 해산되었다.
은산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한글 표기 | 은산군 |
한자 표기 | 殷山郡 |
로마자 표기 | Eunsan-gun |
행정 구역 | |
종류 | 군 |
상위 행정 구역 | 평안남도 |
하위 행정 구역 | 1읍, 5로동구, 16리 |
통계 정보 | |
면적 | 501.4km² |
인구 (2008년) | 206,407명 |
인구 밀도 | 411.66명/km² |
2. 지리
서쪽으로 순천시, 북쪽으로 북창군, 남쪽과 동쪽으로 성천군과 접한다.
은산 지역은 고구려 시대에 현재의 순천군 지역에서 헌덕군으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시대인 983년에는 은주(殷州)라 불렸고, 1278년에는 은산현(殷山縣)이 설치되었다. 조선 시대에 들어 1414년 잠시 자산군에 편입되었다가 다음 해 다시 은산현으로 복구되었다. 1895년 갑오개혁 이후 군(郡)으로 승격되어 은산군이 되었으나, 1907년(또는 1908년[2]) 순천군에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사
광복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치하에서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1952년 다시 은산군이 설치되었으나, 1974년 다시 폐지되어 순천군 등으로 편입되었다. 이후 1992년 순천시 등에서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다시 은산군이 설치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2] 상세한 행정구역 변천 과정은 아래 문단에서 다룬다.
3. 1. 고대 및 고려 시대
초기 고구려 시대에 현재 은산군 지역에 해당하는 헌덕군이 당시 순천군 지역에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고려 시대인 983년(성종 2년)에는 이곳에 은주(殷州)가 설치되었으며, 1278년(충렬왕 4년)에는 은산현(殷山縣)으로 개편되었다.
3. 2. 조선 시대
조선 시대인 1414년, 은산 지역은 자산군에 잠시 편입되었다가 이듬해인 1415년에 다시 은산현으로 설치되었다. 이후 조선 말기인 1895년,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시행된 행정 구역 개편(23부제)에 따라 군(郡)으로 승격되어 은산군이 되었다. 다음 해인 1896년에는 13도제가 시행되면서 평안남도 소속의 군이 되었다. 그러나 1907년 대한제국 시기 행정구역 통폐합 정책에 따라 순천군에 편입되면서 은산군은 다시 폐지되었다.[2]
3. 3. 일제강점기
(내용 없음)
3. 4. 광복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후, 북한 정부에 의해 은산군은 설치와 폐지, 재설치를 반복하는 과정을 겪었다.
1952년 12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평안남도 순천군의 은산면, 신창면, 밀전면 전역과 북창면, 선조면의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은산군'''이 처음 설치되었다. 당시 행정구역은 1개 읍(은산읍), 1개 노동자구(자동로동자구), 19개 리로 구성되었다.[4]
이후 행정구역 조정이 이루어졌다. 1954년에는 기존의 은산읍과 수원리 일부를 합쳐 신창리를 만들고, 진산리와 서남리 일부를 합쳐 새로운 은산읍을 구성했다.[2][4] 1963년에는 구봉리가 구봉로동자구로 승격되었고,[4] 1967년에는 천성리가 천성로동자구로,[4] 1972년에는 부산리가 부산로동자구로 각각 승격되었다.[4]
그러나 1974년 5월, 은산군은 다시 폐지되어 대부분 지역이 순천군으로, 일부 지역(남옥리, 숭화리 일부)은 성천군으로 편입되었다.[2][4]
1992년 1월, 순천시와 북창군, 성천군의 각 일부 지역을 분할하여 '''은산군'''이 다시 설치되었다. 이때 은산읍, 5개 노동자구(자동, 구봉, 천성, 직동, 부흥), 17개 리로 구성되었다.[4] 재설치 과정에서 순천시의 은산동, 은포동, 장선동, 봉우동 일부가 통합되어 은산읍이 되었고, 일부 동(洞)은 리(里)나 노동자구로 변경되었다.[4]
재설치 이후에도 행정구역 변경은 계속되었다. 1992년 12월에는 직동노동자구와 부흥노동자구가 다시 순천시로 편입되었고,[4] 1994년에는 신평리가 북창군으로 이관되었다.[2][4] 1995년에는 순천시의 성산동과 학산동이 은산군으로 편입되어 각각 성산노동자구와 학산노동자구로 개편되었다.[4]
1990년대에는 구봉로동자구가 대규모 탄광 마을로 개발되어 4,600채 이상의 주택과 병원, 문화 회관, 학교 등 편의 시설이 들어섰다.[3]
2003년 기준으로 은산군은 1개 읍(은산읍), 5개 노동자구(자동, 구봉, 천성, 성산, 학산), 16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4]
연도 | 내용 | 비고 (행정구역 수) |
---|---|---|
1952년 12월 | 순천군 일부를 분리하여 은산군 신설 | 1읍 1노동자구 19리 |
1954년 | 은산읍, 신창리 등 개편[2] | 1읍 1노동자구 19리 |
1963년 | 구봉리 → 구봉로동자구 승격 | 1읍 2로동자구 18리 |
1967년 | 천성리 → 천성로동자구 승격 | 1읍 3로동자구 17리 |
1972년 | 부산리 → 부산로동자구 승격 | 1읍 4로동자구 16리 |
1974년 5월 | 은산군 폐지, 순천군 및 성천군으로 분할 편입[2] | |
1992년 1월 | 순천시, 북창군, 성천군 일부를 분리하여 은산군 재설치 | 1읍 5노동자구 17리 |
1992년 12월 | 직동·부흥로동자구 순천시 편입 | 1읍 3노동자구 17리 |
1994년 | 신평리 북창군 편입[2] | 1읍 3노동자구 16리 |
1995년 | 순천시 성산동·학산동 편입 (성산·학산로동자구로 개편) | 1읍 5노동자구 16리 |
4. 행정 구역
은산군은 1개의 읍, 5개의 로동자구 및 16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
5. 교통
은산군의 주요 교통망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이며, 평라선과 은산선 등 여러 노선이 군을 통과한다. 과거 구봉로동자구에는 룡대광산까지 운행하는 무궤도전차 노선도 있었다.[3]
5. 1. 철도
은산군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의 평라선과 은산선 등이 지나간다.구봉로동자구에는 룡대광산을 운행하는 무궤도전차가 있었다. 이 노선은 약 10리(4km) 길이에 4개의 정류장이 있었으며, 노동자 지구와 룡대광산 2번 갱 입구를 연결했다. 연중무휴 24시간 운행했다고 알려져 있다.[3]
은산군을 지나는 철도 노선 및 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
노선 | 역 목록 |
---|---|
평라선 | 은산역 - 수양역 - 신창역 - 수덕역 |
평덕선 | 원창역 - 구정역 |
은산선 | 은산역 - 학산역 |
천성탄광선 | 신창역 - 망일리역 - 천성역 (수양지선: 수양역 - 망일리역) |
령대선 | 원창역 - 령대역 |
자동선 | 구정역 - 자동역 |
참조
[1]
서적
Road map of Korea, North and South
Freytag and Berndt, Vienna, Austria
2010-12
[2]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2023-08-07
[3]
뉴스
무궤도전차와 통근려객렬차가 달린다
Korean Central News Agency
1993-06-12
[4]
웹사이트
평안남도 은산군 역사
http://www.cybernk.n[...]
[5]
간행물
남북협력 확대 대비 교통물류 협력 여건 및 전망: 11. 평성-순천권
https://www.koti.re.[...]
한국교통연구원
2021-06-22
[6]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