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평라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평라선은 평양 간리역과 라선 라진역을 연결하는 총 연장 약 780~790km의 철도 노선이다. 표준궤 1435mm를 사용하며, 135개의 역이 있다. 평양에서 시작하여 평부선, 평남선, 평덕선, 평의선과 연결되며, 평양 지하철 천리마선 영광역, 노면전차 1호선과 환승 가능하다. 역사적으로는 일제강점기에 함경선의 일부로 개통되었으며, 광복 이후 소련과 중국의 지원으로 청라선 공사가 재개되어 1965년 완공되었다. 이후 평원선과 함경선 구간이 청라선과 통합되어 평라선으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선시의 철도 교통 - 홍의선
    홍의선은 함경북도 홍의역과 러시아 하산역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조선-러시아 우정의 다리를 통해 북한과 러시아를 연결하며 유라시아 횡단 철도의 관문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 라선시의 철도 교통 - 함북선
    함북선은 청암역에서 라진역까지 총 325.1km에 걸쳐 표준궤와 광궤가 혼합된 4선 궤도로 건설되었고 직류 3000V로 전철화된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해방 후 대외 무역 통로 역할을 했으나 2020년부터 코로나19로 국제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
  • 평양시의 철도 교통 - 평남선
    평남선은 평양역과 평남온천역을 잇는 총 89.3km의 북한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에 개통되어 해방 후 평안선과 통합되었으며 남포항을 통한 화물 및 여객 운송을 담당하고, 러시아의 지원으로 현대화 사업이 추진되었으나 대북 제재와 경제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평양시의 철도 교통 - 평부선
    평부선은 평양과 개성을 잇는 187.3km의 철도 노선으로, 남북 연결의 상징적 역할을 수행했으나 남북 관계에 따라 운행이 중단과 재개를 반복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요 간선 철도이다.
  • 191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나루토선
    나루토선은 시코쿠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8.5km의 철도 노선으로, 이케노타니역에서 나루토역까지 7개의 역을 운행하며, 단선 비전철 구간에 자동폐색식 폐색 방식을 사용한다.
  • 191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이가 철도 이가선
    미에현 이가시의 이가우에노역과 이가칸베역을 연결하는 16.6km의 이가선은 1922년 개통 후 긴키 닛폰 철도를 거쳐 2007년부터 이가 철도가 운영하며, 현재 이가시가 시설을 소유하고 이가 철도가 운영하는 공유 민영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2019년 '닌자선'이라는 애칭이 제정되어 지역 주민의 발 역할을 하고 있다.
평라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이름평라선
원어 이름평라선(平羅線)
종류중량 철도
여객/화물
도시 간 철도
지역 철도
위치평양
평안남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라선
기점평양역
종점라진역
역 수135개
개통1916년 - 1965년 (단계별 개통)
소유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차량기지평양
서평양
함흥
노선 길이819 km
선로 수단선
전철화직류 3000 V 가공 전차선
평라선 노선도
평라선 노선도
한국어 이름
한글평라선
한자平羅線
문화어평라선
로마자 표기Pyeongna-seon
일본어 이름
일본어平羅線
히라가나へいらせん
가타카나ピョンナソン
로마자 표기Heisen

2. 노선 정보

평라선 노선 정보
구분내용
구간간리역 ~ 라진역
거리약 780km ~ 790km
역 수135개 (양단역 포함)
궤도 간격1435mm (표준궤)
전철화 구간전 구간 (직류 3000V)
복선 구간없음



평라선은 간리역에서 출발하여 고원, 함흥, 김책, 청진을 거쳐 라진역까지 이어지는 철도 노선이다. 이 노선은 평양에서 한반도를 가로질러 동해안으로 연결되며, 함경남도함경북도의 주요 해안 도시들을 지나 러시아 국경에 이르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현재의 평라선은 일제강점기에 건설된 여러 노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 동북리 ~ 고원 구간: 평원선의 일부
  • 고원 ~ 청진 구간: 함경선(함경본선)의 일부
  • 청진 ~ 청암 구간: 청라선


간리에서 동북리까지의 구간은 해방 이후 북한에 의해 새로 건설되었다. 청진에서 라진까지의 구간은 '''청라선'''이라는 이름으로 일제강점기에 공사가 시작되었으나, 청진(현재의 청진청년역)에서 청암(현재의 금바위역)까지의 11km 구간만이 1945년 2월 1일에 개통된 채 해방을 맞았다.[6] 이후 1960년대에 북한은 평라선 전 구간을 전철화하고, 미개통 상태였던 금바위에서 라진까지의 구간을 완공하였다.

나선특별시에서는 함북선(청진~회령~남양~물골~라진)과 연결된다. 함북선과 두만강선(물골~두만강)을 통해 북한과 러시아를 잇는 중요한 교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북한의 경제난과 자원 부족으로 인해 시설이 노후화되면서, 다른 철도 노선들과 마찬가지로 수송 능력과 운행 속도가 크게 저하되었다. 현재 평양에서 청진까지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시설이 비교적 양호했던 일제강점기보다 오히려 더 길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선로 상태가 악화되자 최근에는 러시아와 협력하여 개량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과거에는 평양에서 모스크바까지 주 1회 국제 열차가 운행되었으나, 2007년경부터는 북한의 수송 사정을 고려하여 국경 역인 하산에서 북한 열차와 러시아 열차가 서로 접속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어 운행되고 있다.

3. 역사

현재의 평라선은 여러 노선이 통합되어 형성되었다. 평양시에서 고원까지 구간은 원래 평원선의 일부였고, 고원 이북 구간은 함경선의 일부였다. 본선의 일부 구간인 함경선 문천역영흥역 사이 12.4km 구간이 1916년 7월 21일 조선총독부 철도에 의해 처음 개통된 것이 시초이다.[37]

일제강점기 말, 청진에서 나진까지 동해안을 따라 '''청라선'''(淸羅線)을 부설하는 공사가 남만주철도(선철) 주도로 진행되었다. 1945년 2월 1일에는 청진과 청암(현재의 금바위역) 구간이 개통되었지만,[37][2]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이 패망하면서 나머지 구간 공사는 중단되었다.

광복 이후, 소비에트 연방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지원으로 중단되었던 청라선 공사가 재개되었으며, 전철화도 함께 진행되었다. 청라선은 1965년 6월 10일 마침내 전 구간이 완공되었다.[35] 이후 기존의 평원선 일부(동북리-고원)와 함경선 일부(고원-청진) 구간이 청라선과 통합되면서, 전체 노선이 '''평라선'''으로 명명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한편, 간리에서 배산점역까지 새로운 선로가 건설되면서 원래 서포역에서 분기하던 평원선 구간은 룡성선으로 분리되었다.

평라선은 평양에서 출발하여 한반도를 동서로 가로질러 동해안에 도달한 뒤, 함경남도함경북도의 주요 연안 도시들을 연결하고 러시아 국경까지 이어지는 북한의 핵심 간선 철도이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북한의 경제난으로 인한 시설 노후화와 자원 부족 문제로 인해 열차 운행 속도와 수송 능력이 크게 저하되었다. 현재는 평양에서 청진까지 이동하는 데 일제강점기보다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로 상태 악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러시아와 협력하여 개량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3. 1. 일제강점기

현재의 평라선은 일제강점기에 건설된 여러 노선을 기반으로 한다. 주요 구성 요소는 평양시고원을 잇던 평원선의 일부, 고원청진을 잇던 함경선의 일부, 그리고 청진라진을 연결하려던 청라선 계획이다.

함경선은 본래 원산에서 회령까지 이어지는 노선으로, 1916년 일부 구간 개통을 시작[37]으로 1928년 전 구간이 완성되었다.[17] 이 노선은 경원선과 연계되어 경성(현재 서울)에서 한반도 동북부 및 만주국 동부로 향하는 중요 경로였으며, 특히 1931년 만주 사변 이후 전략적 중요성이 부각되어 급행열차가 운행되기도 했다. 한때 북부 구간(청진선)이 남만주철도(만철)에 경영 위탁되었다가[19] 1941년 조선총독부 관리로 일원화되었다.[27] 함경선의 상세한 개통 역사는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평원선평양시 서포에서 고원까지 계획된 노선으로, 현재 평라선에는 동북리-고원 구간이 포함된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1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나,[34] 당시에는 운행 횟수가 적은 로컬선 성격이 강했다. 평원선의 개통 과정 역시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청라선은 청진에서 라진까지 동해안을 따라 건설될 예정이었으나, 1945년 2월 1일 청진-청암 구간만 개통된 채[37][2] 일제의 태평양 전쟁 패망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

광복 이후, 함경선과 평원선의 일부 구간은 현재의 강원선, 함북선, 룡성선 등으로 재편되었다. 중단되었던 청라선 공사는 소비에트 연방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지원으로 재개되어 1965년 완공되었고, 이후 기존 평원선의 일부(동북리-고원) 및 함경선의 일부(고원-청진)와 통합되어 오늘날의 '''평라선'''으로 이어지고 있다.

3. 1. 1. 함경선 부분 연표

함경선(평라선 고원-청진 구간) 주요 연표
날짜내용
1916년 9월 21일문천 ~ 고원 ~ 영흥(현재의 금야청년역) 구간 개통. (소스상 7월 21일 문천-영흥 최초 개통 기록과 상이하나, 연표 기록 우선)[37]
1916년 11월 5일청진(현재의 청진청년역) ~ 회령 방면 창평 구간 개통.
1919년 12월 10일회령 방면(유선) ~ 나남역 구간 개통.
1919년 12월 15일영흥 ~ 함흥 구간 개통.
1920년 10월 1일나남역 ~ 경성(현재의 승암역) 구간 개통.
1921년 11월 11일경성(현재의 승암역) ~ 주을(현재의 경성역) 구간 개통.
1922년 12월 1일함흥 ~ 서호진(현재의 서호역) 구간 개통.
1923년 9월 25일서호진 ~ 퇴조(현재의 낙원역) 구간 개통.
1924년 10월 11일퇴조 ~ 양화 구간, 길주(현재의 길주청년역) ~ 단천(현재의 단천청년역) 구간, 주을 ~ 수남 구간 개통.[7]
1925년 6월 5일함경선 구간 분할 및 개칭: 원산~양화(함경남부선), 단천~길주(함경중부선), 수남~회령(함경북부선), 청진~유선(청진선).[8]
1925년 11월 1일함경남부선 양화 ~ 속후 구간 개통.[9] 운포역 개업.[10]
1926년 11월 11일함경남부선 속후 ~ 신북청 구간 개통.
1926년 12월 1일함경북부선 봉강 ~ 극동 구간 개통. 수남역 폐지.[11]
1927년 6월 1일함경남부선 내호역 개업.[12]
1927년 8월 1일함경북부선 극동 ~ 룡동 구간 개통.[13]
1927년 12월 1일함경북부선 생기령역 개업. 함경남부선 신북청 ~ 거산 ~ 반송 구간 개통. 함경북부선 군선(현재의 리원역) ~ 단천 구간 및 길주 ~ 룡동 구간 개통.[14] 군선 ~ 회령 구간이 함경북부선으로 통합.[15]
1927년 12월 21일함경남부선 문봉역 개업.
1928년 7월 21일함경남부선 내호역을 이전하고 보통역 승격, 흥남역으로 개칭.[16]
1928년 8월 31일함경남부선 반송역 폐지.[17]
1928년 9월 1일거산 ~ 군선 구간 개통으로 함경선 전 구간(원산~회령) 개통 완료. 노선명을 함경본선으로 개칭.[17]
1929년 6월 15일상룡전역(현재의 상룡반역) 개업.
1931년 6월 15일만춘역 개업.
1931년 9월 10일영안역(현재의 삼향역) 개업.
1931년 12월 26일흥남 본정역 개업.
1932년 10월 1일흥상역함남흥상역(현재의 함주역)으로 개칭.[18]
1933년 10월 1일청진선(청진~유선) 운영을 남만주철도에 위탁.[19]
1935년 5월 1일범포역 개업.
1935년 11월 1일룡평역어대진역으로 개칭.[20]
1937년 1월 1일송단역리원역(현재의 송단역)으로 개칭.[21]
1937년 5월 16일의호역을 원산역 방면으로 1.9km 이전.[22]
1937년 8월 1일의호역강상리역으로 개칭.[23]
1939년 8월 16일학중역(현재의 송상역) 개업.[24]
1939년 9월 16일현흥역마전역 개업.[25]
1939년 11월 1일세포리역과 온수평역 개업.[26]
1940년 6월 30일남만주철도의 청진선 위탁 운영 종료.[27]
1940년 7월 1일함경본선 구간을 원산 ~ 상삼봉으로 변경.[27]
1940년 9월 30일흥남 본정역 폐지.[28]
1941년 4월 16일신성진역(현재의 장평역) 개업.[29]
1941년 12월 1일나남역 ~ 청진 구간 개통. 기존 라남 ~ 유선 구간은 강덕선으로 분리. 청진 ~ 청진항 구간을 청진항선으로 개칭.[30]
1942년 2월 1일선로 개량으로 청진청년역을 현재 위치로 이전.[31] 청진 ~ 유선 구간 1.2km 단축.[32]
1945년 2월 1일중호역 개업.[6]


3. 1. 2. 평원선 부분 연표

평라선 중 동북리~고원 구간은 일제강점기 평원선(平元線)의 일부에 해당한다. 원래 평원선은 서포에서 출발하여 룡성, 동북리를 거쳐 고원까지 이어지는 노선이었으나, 현재 서포~룡성~동북리 구간은 룡성선으로 분리되어 운용되고 있다.

평원선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완성된 노선으로, 1942년 당시 전 구간 직통 여객 열차는 하루 2왕복만 운행하는 로컬선이었다. 평원선의 주요 개통 역사는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1927년 11월 1일평원 서부선 서포~배산점~사인장(현재의 평성역) 구간 개통.
1928년 10월 15일평원 서부선 사인장~순천 구간 개통.
1929년 10월 1일평원 서부선 순천~신창 구간 개통.
1930년 11월 16일평원 서부선 봉하역(현재의 신련포역) 개업.
1931년 10월 1일평원 서부선 신창~장림 구간 개통.
1936년 11월 1일평원 서부선 장림~양덕 구간 개통.
1937년 12월 16일평원 동부선 성내~고원 구간 개통.[33]
1941년 4월 1일양덕~성내 구간의 개통으로 평원선 전 구간 개통. 서포~고원 구간을 평원선으로 명명.[34]


3. 2. 광복 이후

광복 이후 철도 관리를 맡았던 일본인 기술자들이 물러나고, 북한 지역에 진주한 소련군이 철도 자재를 가져간 데다 한국 전쟁까지 겪으면서 철도 운행은 큰 어려움을 겪었다.

전쟁 이후 소련과 중국의 지원을 받아 복구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일제강점기에 계획되었으나 완성되지 못했던 구간들의 건설이 재개되었다. 간리~동북리 구간이 새로 건설되었고, 1960년대에는 금바위~라진 구간이 개통되었다. 또한 1960년대에는 노선 전철화 공사도 진행되었다.

일제강점기 말 잠시 개통되었다가[6] 중단된 후 오랫동안 연결되지 못했던 청진(현 청진청년)~청암(현 금바위) 구간을 포함하여, 청진~나진 전 구간이 1965년 6월 10일 마침내 개통되었다.[35] 이로써 평양에서 러시아 국경까지 이어지는 현재의 평라선 노선이 완성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경제난으로 인한 시설 노후화와 자원 부족 문제로 인해 열차 운행 속도와 수송 능력이 크게 떨어졌다. 현재 평양에서 청진까지 이동하는 데 일제강점기보다 더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로 상태 악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러시아와 협력하여 개량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한때 평양에서 모스크바까지 주 1회 국제 열차가 운행되었으나, 2007년 경부터는 북한 내부 사정으로 두만강역과 러시아 하산에서 열차를 갈아타는 방식으로 변경된 것으로 전해진다.

4. 역 목록

(사인장)平城
(舍人場)평안남도평성시봉학鳳鶴봉학선자산慈山순천시순천順川만포선신련포
(봉하)新蓮浦
(鳳下)대건선은산殷山은산선, 장상선은산군수양首陽천성탄광선신창新倉천성탄광선수덕修德신성천新成川평덕선성천군거흥巨興장림長林신양
(동원)新陽
(東元)신양군인평仁平지수智水양덕陽德양덕군내동內洞석탕온천石湯溫泉거차巨次천을天乙함경남도고원군 (수동구)운곡雲谷요덕
(관평)耀德
(館坪)요덕군토령土嶺고원군 (수동구)문필
(천성)文筆
(泉城)성내城內둔전屯田고원탄광선팔흥
(인흥)八興
(仁興)축전杻田미둔彌屯고원군방화傍花부래산浮來山고원高原강원선현흥玄興금야
(영흥)金野
(永興)금야선금야군인흥
(마장)仁興
(馬場)범포范浦왕장旺場문봉文峰정평군신상新上부평富坪정평定平함주
(함남흥상)咸州
(咸南興上)함주군주서州西함흥咸興신흥선, 서호선함흥시함흥조차장咸興操車場비날론선창흥
(본궁)昌興
(本宮)창흥선함흥시 흥남구역흥남興南비날론선, 서호선서호
(서호진)西湖
(西湖津)서호선마전麻田신중新中락원군려호呂湖락원
(퇴조)樂園
(退潮)세포리細浦里라산羅山삼호三湖룡운龍雲홍원군홍원
(전진)洪原
(前津)경포景浦운포雲浦풍어
(영무)豊漁
(靈武)신포시륙대동六坮洞신포新浦양화陽化강상리江上里금호군속후俗厚양지陽地신북청新北靑덕성선북청군경안
(신창)景安
(新昌)거산居山건자乾自라흥羅興리원선리원군증산曾山리원선염분鹽盆송단
(이원)松端
(利原)리원
(군선)利原
(群仙)쌍암雙岩곡구谷口기암奇巖신단천
(룡강)新端川
(龍崗)단천시오몽리吾夢里두언선단천청년
(단천)端川靑年
(端川)허천선문암門岩여해진汝海津금골선, 두언선룡대龍臺일신日新만춘晩春함경북도김책시쌍룡雙龍김책
(성진)金策
(城津)장평
(신성진)長坪
(新城津)학성
(농성)鶴城
(農城)송상
(학중)松上
(鶴中)업억業億원평院坪로동蘆洞일탄선길주군길주청년吉州靑年백두산청년선금송金松온수평溫水坪명천明川고참탄광선명천군내포內浦명간군룡반龍蟠상룡전上龍田룡동龍洞삼향三鄕극동極洞조막산造幕山봉강鳳岡어랑군어대진漁大津어랑漁郞룡현龍峴대향선경성군경성鏡城생기령生氣嶺승암勝岩라남羅南청진시남강덕南康德강덕선송평松坪수남水南청진청년淸津靑年청진항선청암靑岩함북선금바위金바위승원勝院련진連津사구沙口부거富居삼해三海관해觀海락산洛山방진方津후창厚倉라선시명호明湖라진羅津함북선, 라진항선


5. 운행 계통

2002년 여객 시간표에 따르면 평라선에서 운행된 여객 열차는 다음과 같다.[4]

열차 종류열차 번호운행 구간평라선 운행 구간비고
급행1/2평양 - 혜산청년평양 - 길주
급행3/4서평양 - 혜산청년평양 - 길주
급행7/8평양 - 두만강 - 모스크바평양 - 라진국제열차
급행9/10평양 - 무산평양 - 청진
급행11/12평양 - 금골평양 - 어해진
급행13/14평양 - 평강평양 - 고원
준급행104-107/108-111해주청년 - 만포청년평양 - 순천
준급행113/114서평양 - 운송서평양 - 청진
준급행117/118대동강 - 평강신성천 - 고원
준급행119-122/120-121신천 - 청진청년평양 - 청진은률선 경유, 편도 3일 소요[5]
준급행124-125/126-127신의주청년 - 청진청년평양 - 청진
준급행128-129-130/131-132-133갈마 - 라진고원 - 라진
준급행134-135/136-137만포청년 - 함흥순천 - 함흥
지방202-203-204/205-206-207함흥 - 사리원함흥 - 평양
지방261/262함흥 - 삼기함흥 - 신북청
지방263/264함흥 - 단천청년함흥 - 단천청년
통근311/312, 313/314평양 - 배산점평양 - 배산점과학자 통근용, 주체형 전동차 운행[1]
지방331/332순천 - 운산순천 - 운산
지방335/336순천 - 전송순천 - 신창전송탄광선 경유
지방551/556곡구 - 동대곡구 - 단천
지방601/604청진청년 - 근동청진 - 남강덕
지방602/615청진청년 - 라남청진 - 라남
지방603/603-621라남 - 성평라남 - 성평
지방608/608-609근동 - 성평남강덕 - 성평


참조

[1] 서적 将軍様の鉄道
[2]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1945-01-31
[3] 뉴스 咸南 高原-浮來山간 새 철도건설 http://news.naver.co[...] Yonhap News 1993-09-06
[4] 서적 将軍様の鉄道
[5] 서적 将軍様の鉄道
[6]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昭和第5394号 1945-01-31
[7]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大正第3642号 1924-10-03
[8]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大正第3840号 1925-06-05
[9]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大正第3950号 1925-10-19
[10]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大正第3956号 1925-10-26
[11]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大正第4260号 1926-11-02
[12]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昭和第113号 1927-05-18
[13]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昭和第160号 1927-07-12
[14]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昭和第270号 1927-11-22
[15]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昭和第268号 1927-11-19
[16]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昭和第461号 1928-07-12
[17]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昭和第486号 1928-08-10
[18]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昭和第1718号 1932-09-27
[19]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号外 1933-10-01
[20]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昭和第2631号 1935-10-19
[21]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昭和第2980号 1936-12-18
[22]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昭和第3095号 1937-05-13
[23]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昭和第3142号 1937-07-07
[24]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昭和第3769号 1939-08-12
[25]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昭和第3788号 1939-09-04
[26]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昭和第3825号 1939-10-18
[27]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昭和第4020号 1940-06-17
[28]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昭和第4082号 1940-08-28
[29]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昭和第4261号 1941-04-09
[30]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昭和第4449号 1941-11-22
[31] 웹사이트 百年の鉄道旅行 - 北鮮三港 清津 https://www5f.biglob[...]
[32]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昭和第4479号 1941-12-29
[33]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昭和第3261号 1937-11-27
[34]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昭和第4236号 1941-03-08
[35] 웹사이트 두만강 넘어 대륙과 해양을 향한 라선을 바라보다 (下) : 두만강지역개발의 꿈 https://www.lifein.n[...]
[36] 문서 龍城経由
[37]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5394호 1945-01-3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