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령 칠정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령 칠정려는 조선시대 진양 강씨 문중의 일곱 명의 충신, 효자, 열녀를 기리기 위해 건립된 정려각으로, '삼강문'이라고도 불린다. 강우, 강서, 강수남, 강기룡, 열부 허씨, 강재중, 효부 조씨 등 7명의 인물을 기리는 6동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임진왜란과 같은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인물들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양 강씨 - 강재형 (아나운서)
강재형은 영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1987년 MBC 아나운서로 입사하여 MBC 플레이비 대표이사 및 MBC 아나운서국 국장급 아나운서로 재직하며, 다수의 프로그램 진행과 《우리말 나들이》 기획 및 연출을 통해 우리말의 중요성을 알리고 2020년 문화포장을 수훈했으며, 저서와 영화 출연 경력이 있다. - 정려 - 안산 화정동 오정각
안산 화정동 오정각은 조선 세조 때 단종 복위 운동에 가담한 김문기 등 5명의 충절과 효행을 기리기 위해 1870년에 세워진 정각으로,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7호로 지정되었다. - 정려 - 효자 이면주 정려
효자 이면주 정려는 조선 시대 효자 이면주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고종의 특명으로 건립되었으며, 헌신적인 효행을 기리는 현판과 비석이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해 있다. - 의령군의 건축물 - 의령버스터미널
의령버스터미널은 경상남도 의령군에 위치하며 영남권 및 수도권 방면 시외버스 노선과 의령군 내 군내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버스 터미널이다. - 의령군의 건축물 - 일붕사
일붕사는 경상북도 칠곡군 봉황산에 위치하며 혜초 스님이 창건한 사찰로, 지장보살을 모시고 삼천불이 봉안된 지장전과 문무왕의 진터였던 봉황대가 있으며, 세계 최대 석굴 법당과 일붕 존자의 진신 사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의령 칠정려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의령 칠정려 |
로마자 표기 | Uiryeong Chiljeongnyeo |
![]() |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경상남도 의령군 백산로 43 (의령읍, 칠정려) |
문화재 정보 | |
유형 | 기념물 |
지정 번호 | 35 |
지정일 | 1977년 12월 28일 |
시대 | 조선 시대 |
소유자 | 진양강씨문중 |
관리자 | 진양강씨문중 |
수량 | 6동 |
꼬리표 | 의령 동동리 |
문화재청 ID | 23,00350000,38 |
2. 건립 배경
의령 칠정려는 조선시대 진양 강씨 문중에서 배출한 일곱 명의 충신, 효자, 열녀를 기리기 위해 건립된 정려각이다.[3] '삼강문(三綱門)'이라고도 불리며, 6동의 건물이 한곳에 모여 있다.[3]
- 제1려 강우(姜瑀): 자는 백규(伯圭), 호는 모암(慕庵)이다. 1513년 성균진사가 되었고, 1517년 모친상 중 여막에서 생활하였으며, 1744년 효자로 정려를 받았다. 1847년 충효사에 배향되었다.[3]
- 제2려 강서(姜瑞): 자는 숙규(菽圭), 호는 매곡(梅谷)이며, 강우의 동생이자 남명의 문인이다. 1537년 성균진사가 되었고, 1540년 부친상에 극진히 슬퍼했으며, 1544년 효자로 정려를 받았다.[3]
- 제3려 강수남(姜壽男): 자는 인수, 호는 사월정(沙月亭)이며, 강서의 아들이다. 1580년 별시 문과에 급제하여 주서, 전적, 양성현감, 호조·병조 정랑 등을 역임했다.[3] 임진왜란 때인 1592년 충장공 심대의 종사관으로 출전하여 삭령 전투에서 순절하였다.[3] 1608년 도승지로 추증되었고, 1609년 이조참판, 1709년 이조판서로 추증되었으며 충렬(忠烈)이라는 시호를 받았다.[3] 1712년 "일체정려(一體旌閭)" 4자가 어필로 특별히 내려졌고,[3] 1791년 삭령 표절사에 사액 및 제향되었으며, 의령 정곡 어강서원에도 제향되었다.[3]
- 제4려 강기룡(姜起龍): 자는 응문(應文), 호는 동호(東湖)이며, 강우의 본생손이다. 임진왜란 때 창의하여 진주성 전투에 참전했다가 1593년 순절하였다.[3] 1847년 충효사에 배향되었고, 1861년 이조참의로 추증되고 충정(忠旌)을 받았다.[3]
- 제5려 열부 허씨 정려: 강시주의 처 김해 허씨의 열정을 기리기 위해 1882년에 지어졌다.[3]
- 제6려 강재중(姜在重): 자는 거보(擧甫), 호는 수재(修齋)이며, 강우의 9세손이다. 부부가 함께 지극한 효성을 보여 1905년 효자로 정려를 받았다.[3]
- 제7려 강효부 조씨(姜孝婦 趙氏): 강재중의 처로, 생육신 조려의 후예이다. 1869년 왕명으로 강재중과 함께 효자로 정려를 받았다.[3]
3. 칠정려 인물
3. 1. 강우(姜瑀)
3. 2. 강서(姜瑞)
3. 3. 강수남(姜壽男)
3. 4. 강기룡(姜起龍)
3. 5. 열부 허씨(烈婦 許氏)
3. 6. 강재중(姜在重)
3. 7. 효부 조씨(孝婦 趙氏)
4. 건축 양식
5. 문화재적 가치
6. 현대적 의의
참조
[1]
고시
경상남도 지정문화재(문화재자료) 명칭변경 고시
http://210.104.249.3[...]
경상남도지사
2018-12-20
[2]
서적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의령 체험활동 길라잡이2
경상남도의령교육지원청
2012
[3]
기타
현지 안내문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