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령군의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령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2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482.95 km²이다. 신라 시대에 의령현으로 개명되었고, 고려 시대에는 의춘으로 일시 개명되기도 했다. 조선 시대에는 의령현으로 유지되었으며, 임진왜란 당시 곽재우 휘하 의병의 항전이 있었다. 1895년 진주부 의령군으로 개편된 후, 1896년 경상남도 의령군으로 개편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행정구역이 개편되었으며, 1979년 의령면이 의령읍으로 승격되었다. 2015년 12월 말 기준 인구는 27,543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령군 - 천강문학상
천강문학상은 구상 솟대 문학상에서 이름이 바뀐 문학상으로, 시, 시조, 소설, 아동문학, 수필 부문에서 대상과 우수상을 시상하며 매년 수상 작품을 선정하고 고은, 김승희, 정호승 등 유명 문인들이 역대 수상자에 포함되어 있다. - 의령군 - 의령도서관
의령도서관은 경상남도 의령군에 위치한 도서관으로, 1974년 개관하여 1991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 2010년 신축 이전했으며, 2019년 경상남도 지역 인문학 센터로 지정되어 지역 주민의 인문학적 소양 함양과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매주 월요일과 법정 공휴일에 휴관한다. - 경상남도의 시군별 행정 구역 - 하동군의 행정 구역
하동군은 1개의 읍과 12개의 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동읍은 군의 중심지이고 나머지 면들은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행정 구역 개편과 읍 승격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 경상남도의 시군별 행정 구역 - 남해군의 행정 구역
남해군은 1개의 읍과 9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해도와 창선도를 중심으로 여러 섬으로 이루어져 리아스식 해안을 가지며, 군청 소재지인 남해읍은 남해대교와 창선-삼천포대교를 통해 육지와 연결된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의령군의 행정 구역 | |
---|---|
개요 | |
국가 | 대한민국 |
도 | 경상남도 |
행정 구역 | |
종류 | 군 |
하위 행정 구역 | 3읍 10면 |
지도 | |
읍 | |
읍 목록 | 의령읍 가례면 칠곡면 |
면 | |
면 목록 | 용덕면 정곡면 지정면 낙서면 궁류면 봉수면 화정면 유곡면 대의면 부림면 |
2. 역사
신라 경덕왕 16년인 757년에 행정 명칭 개혁으로 '''의령현(宜寧縣)'''으로 개명되어 함안군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 현종 9년인 1018년에는 의춘(宜春)으로 잠시 개명되어 진주목의 속현이 되었으며, 공양왕 2년인 1390년에는 감무(監務)가 설치되었고 이듬해 신번현을 합병하였다.
조선 시대인 1413년에 다시 의령현이 되었고, 1592년 임진왜란 발발 시에는 곽재우가 이끄는 의병이 의령과 창녕 일대에서 일본군에 맞서 싸웠다. 1895년 6월 23일 23부제 실시에 따라 진주부 의령군으로 개편되었고,[3] 이듬해 1896년 8월 4일 13도제 시행으로 경상남도 의령군이 되었다.[4]
일제 강점기인 1914년 4월 1일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합천군 궁소면을 편입하는 등 행정구역 개편이 있었다.[5] 1933년 1월 1일에는 화양면과 상정면을 폐지하고 화정면을 신설하였다.[6]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79년 5월 1일 의령면이 의령읍으로 승격되었고,[7] 1983년 2월 15일에는 합천군 적중면의 일부 리를 부림면에 편입하였다. 2003년 7월 16일에는 궁유면의 명칭을 궁류면으로 변경하였다.
2. 1. 신라 시대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에 행정명칭 개혁으로 '''의령현'''(宜寧縣)으로 개명되어 함안군의 영현이 되었다.2. 2. 고려 시대
1018년 (현종 9년)에는 의춘(宜春)으로 잠시 이름이 바뀌어 진주목에 속한 현이 되었다. 1390년 (공양왕 2년)에는 감무(監務)가 파견되어 지역을 관리하기 시작했으며, 1391년 (공양왕 3년)에는 인근의 신번현(新繁縣)을 의령현에 통합하였다.2. 3. 조선 시대
1390년 공양왕 2년 감무(監務)가 설치되었고, 1391년 공양왕 3년에는 신번현(新繁縣)을 합병하였다.조선 태종 13년인 1413년 의령현(宜寧縣)으로 개칭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홍의장군 곽재우가 이끄는 의병이 의령과 창녕 일대에서 일본군과 항전하였다.
1895년 6월 23일(고종 32년 음력 윤 5월 1일) 23부제 실시에 따라 진주부 의령군으로 개편되었다.[3] 이듬해인 1896년 8월 4일 13도제 시행으로 경상남도 의령군으로 개편되었다.[4]
2. 4. 일제 강점기
1914년 4월 1일 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합천군 궁소면(宮所面)을 편입하고 아래와 같이 행정구역을 개편하였다.[5]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
의령군 화양면(華陽面) | 화양면 | 중촌리(中村里), 하촌리(下村里), 상일리, 상이리, 부곡리(釜谷里) |
의령군 상정면(上井面) | 상정면 | 가수리, 덕교리, 저성리(苧成里), 하촌리(下村里) |
의령군 낙서면(洛西面) | 낙서면 | 내제리, 전화리, 아근리, 율산리, 여의리, 정곡리 |
의령군 일가례면(一嘉禮面) | 가례면 | 갑을리, 개승리, 괴진리, 수성리, 양성리 |
의령군 이가례면(二嘉禮面) | 가례리, 대천리, 봉두리, 운암리 | |
의령군 풍덕면(風德面) | 풍덕면 | 서동, 정암리, 무전리, 중동, 동동 |
의령군 덕곡면(德谷面) | 상리, 하리, 중리 | |
의령군 대곡면(大谷面) | 대의면 | 다사리, 마쌍리, 심지리, 천곡리, 추산리 |
의령군 모의면(募義面) | 신전리, 중촌리, 하촌리, 행정리 | |
의령군 칠곡면(七谷面) | 칠곡면 | 내조리, 외조리, 신포리, 산남리, 산북리, 도산리 |
의령군 덕암면(德巖面) | 용덕면 | 가미리, 가악리, 교암리, 이목리, 신촌리, 와요리, 죽전리 |
의령군 용암면(龍巖面) | 소상리, 용소리, 연리, 운곡리, 정동리 | |
의령군 화곡면(禾谷面) | 정곡면 | 석곡리, 오방리, 죽전리, 중교리 |
의령군 일정동면(一正東面) | 가현리, 백곡리, 상촌리, 성황리, 예둔리, 적곡리 | |
의령군 이정동면(二正東面) | 지정면 | 득소리, 마산리, 백야리, 성당리 |
의령군 지산면(芝山面) | 두곡리, 유곡리, 성산리, 봉곡리, 오천리, 태부리 | |
의령군 보림면(寶林面) | 부림면 | 감암리, 막곡리, 신반리 |
의령군 경산면(景山面) | 경산리 | |
의령군 부산면(富山面) | 단원리, 대곡리, 손오리, 입산리, 여배리, 익구리 | |
의령군 봉산면(鳳山面) | 봉수면 | 서암리, 신현리, 죽전리, 청계리 |
의령군 가수면(佳樹面) | 삼가리, 서득리, 천락리 | |
의령군 능인면(能仁面) | 유곡면 | 상곡리, 신촌리, 오목리 |
의령군 정곡면(定谷面) | 당동리, 덕천리, 마장리, 세간리, 칠곡리 | |
의령군 이류곡면(二柳谷面) | 마두리, 상촌리, 송산리 | |
의령군 일류곡면(一柳谷面) | 궁류면 | 계현리, 다현리, 압곡리, 토곡리 |
합천군 궁소면(宮所面) | 벽계리, 운계리, 평촌리 |
1933년 1월 1일 화양면, 상정면을 폐지하고 화정면을 신설하였다.[6]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화양면 중촌리, 하촌리 | 의령면 일부 (대산리, 만천리) |
화양면 상일리, 상이리, 부곡리 | 화정면 일원 (화양리, 상정리 등) |
상정면 일원 |
2. 5. 대한민국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읍면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km²) | 법정리 |
---|---|---|---|---|---|
의령읍 | 宜寧邑 | 3,939 | 9,661 | 34.3km2 | 대산리, 만천리, 동동리, 중동리, 서동리, 정동리, 상리, 중리, 하리, 무전리, 정암리 |
가례면 | 嘉禮面 | 911 | 2,044 | 35.55km2 | 가례리, 갑을리, 개승리, 괴진리, 수성리, 운암리, 양성리, 봉두리, 대천리 |
칠곡면 | 七谷面 | 636 | 1,276 | 22.37km2 | 내조리, 외조리, 도산리, 산남리, 산북리, 산포리 |
대의면 | 大義面 | 633 | 1,207 | 35.88km2 | 마쌍리, 중촌리, 천곡리, 하촌리, 심지리, 다사리, 행정리, 추산리, 신전리 |
화정면 | 華正面 | 838 | 1,720 | 38.29km2 | 가수리, 덕교리, 상일리, 석천리, 화양리, 상정리, 상이리 |
용덕면 | 龍德面 | 864 | 1,804 | 33.83km2 | 가미리, 죽전리, 정동리, 이목리, 신촌리, 연리, 와요리, 운곡리, 용소리, 소상리, 교암리 |
정곡면 | 正谷面 | 933 | 1,789 | 40.17km2 | 가현리, 백곡리, 석곡리, 예둔리, 적곡리, 중교리, 죽전리, 오방리, 성황리, 상촌리 |
지정면 | 芝正面 | 1,088 | 2,140 | 46.91km2 | 두곡리, 봉곡리, 성산리, 태부리, 유곡리, 오천리, 득소리, 마산리, 성당리, 백야리 |
낙서면 | 洛西面 | 500 | 978 | 23.44km2 | 내제리, 아근리, 전화리, 정곡리, 율산리, 여의리 |
부림면 | 富林面 | 1,718 | 3,516 | 47.96km2 | 감암리, 가락리, 입산리, 익구리, 여배리, 단원리, 대곡리, 막곡리, 신반리, 손오리, 경산리, 묵방리, 권혜리 |
봉수면 | 鳳樹面 | 689 | 1,212 | 33.06km2 | 청계리, 서암리, 신현리, 죽전리, 삼가리, 서득리, 천락리 |
궁류면 | 宮柳面 | 807 | 1,371 | 43.57km2 | 계현리, 벽계리, 운계리, 평촌리, 토곡리, 압곡리, 다현리 |
유곡면 | 柳谷面 | 773 | 1,436 | 47.56km2 | 당동리, 마장리, 상곡리, 마두리, 덕천리, 상촌리, 송산리, 세간리, 칠곡리, 오목리, 신촌리 |
4. 지리
(내용 없음)
4. 1. 지형
(내용 없음)참조
[1]
웹사이트
의령군의 행정 구역
http://www.uiryeong.[...]
2011-07-12
[2]
웹사이트
의령군 월별인구통계
http://www.uiryeong.[...]
2011-07-12
[3]
문서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4]
문서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5]
간행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6]
간행물
경상남도령 제17호
1932-10-31
[7]
간행물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