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거이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다. 이성계의 추천으로 관직에 진출하여 개국원종공신에 올랐으며, 제1차, 제2차 왕자의 난에서 공을 세워 정사공신과 좌명공신에 책봉되었다. 사병 혁파를 반대하여 좌천되기도 했으나, 영의정부사, 기로회 설립 등 활동을 펼쳤다. 이후 사병 혁파 반대 죄로 탄핵을 받아 진천으로 낙향했으며, 1412년에 사망했다. 묘소는 충청북도 진천군에 있으며, 드라마 《용의 눈물》과 《태종 이방원》에 등장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48년 출생 - 하륜
하륜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학자, 정치가로 이색의 문하에서 수학했으며, 위화도 회군 이후 이성계를 지지하여 조선 건국에 기여하고 태종 이방원의 측근으로 왕권 강화에 기여, 영의정부사를 지낸 인물이다. - 1348년 출생 - 의안대군 (1348년)
의안대군 이화는 환조 이자춘과 정안옹주 김씨의 아들이자 태조 이성계의 이복 동생으로, 고려 말 무관으로 활동하다 위화도 회군에 동참하여 조선 건국에 기여하고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된 후 왕자의 난에서 이방원을 도와 조선 초기 정치적 안정에 기여했으며 사후 의안부원대군으로 추봉되었다. - 청주 이씨 - 이태희 (1911년)
이태희는 일제 강점기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한 법조인으로 해방 후 검찰총장, 이화여자대학교 법정대학장 등을 역임했으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 청주 이씨 - 이혜성
이혜성은 2016년 KBS 공채 아나운서로 입사하여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에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아나운서이자 방송인이다. - 1412년 사망 - 마르그레테 1세
마르그레테 1세는 14세기 말 칼마르 동맹을 성립시켜 스칸디나비아 3국을 통합한 덴마크 여왕이자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섭정으로, 아들 올라프 2세 사후 에리크를 후계자로 삼아 3국의 왕으로 옹립하여 동맹을 통치하며 북유럽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412년 사망 - 정안왕후
정안왕후는 경주 김씨로 정종의 비이며, 세자빈에서 왕비가 되었고, 정종 양위 후에는 순덕왕대비로 존숭되었으며, 사후 정안왕후 시호를 받았다.
이거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거이 |
원어 이름 | 李居易 |
작위 |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
출생일 | 1348년 |
사망일 | 1412년 (65세) |
국적 | 고려 → 조선 |
본관 | 청주 |
배우자 | 경주 최씨 |
자녀 | 5남 2녀(장남 이애, 4남 이백강) |
형제 | 이유신(첫째형), 이거인(둘째형), 이거의(셋째형) |
경력 | |
관직 | |
국가 | 조선 |
직책 | 영의정 |
2. 생애
이거이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다. 1384년 이성계의 추천으로 관직에 나아가, 조선 건국 후 여러 요직을 거쳤다. 제1차 왕자의 난과 제2차 왕자의 난에서 공을 세워 각각 정사공신(定社功臣)과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봉되었다.
1402년 (태종 2년)에는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에 올랐으며, 70세 이상 노재상들의 친목 모임인 기로회(耆老會)를 처음 설립하기도 했다. 그러나 1404년(태종 4년) 사병 혁파에 반대하다 탄핵을 받아 진천으로 유배되었고, 1412년(태종 12년)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다.
2. 1. 고려 말기 활동
1384년 이성계의 추천으로 음서 천거되어 강계관군만호가 되었다. 조선 건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올랐다.1393년(태조 2년) 우산기상시(右散旗常侍)가 되었고, 1398년(태조 7년) 평안도병마절제사로 왜구를 격퇴하였다. 제1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定社功臣)이 되었고, 곧 이어서 참찬문하부사 겸 의흥삼군부중군동지절제사가 되었다.
1400년(정종 2년) 제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이 되었다. 곧이어 사병혁파(私兵 革罷)가 추진될 때 이를 반대하여 계림부사로 좌천되었다. 그 후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로 복귀하였다. 태종 즉위 후 관제 개편으로 문하좌정승(門下左政丞)이 되었다.
1402년(태종 2년)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가 되었다. 그는 70세 이상의 노재상들이 모이던 친목 모임인 기로회(耆老會)를 첫 설립하였다. 다시 영사평부사(領司平府事)가 되었다.
1404년(태종 4년) 사병 혁파 반대한 죄로 탄핵을 받아 진천으로 낙향하였다. 이는 태종의 왕권 강화를 위한 외척 제거의 신호탄이라 하겠다. 1412년(태종 12년) 8월 25일 진천에서 졸하였다.
2. 2. 조선 개국 이후
1384년 이성계의 추천으로 음서 천거되어 강계관군만호가 되었다. 조선 건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올랐다.1393년(태조 2년) 우산기상시(右散旗常侍)가 되었고, 1398년(태조 7년) 평안도병마절제사로 왜구를 격퇴하였다. 제1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定社功臣)이 되었고, 곧 이어서 참찬문하부사 겸 의흥삼군부중군동지절제사가 되었다.
1400년(정종 2년) 제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이 되었다. 곧이어 사병혁파(私兵 革罷)가 추진될 때 이를 반대하여 계림부사로 좌천되었다. 그 후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로 복귀하였다. 태종 즉위 후 관제 개편으로 문하좌정승(門下左政丞)이 되었다.
1402년(태종 2년)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가 되었다. 그는 70세 이상의 노재상들이 모이던 친목 모임인 기로회(耆老會)를 첫 설립하였다. 다시 영사평부사(領司平府事)가 되었다.
1404년(태종 4년) 사병 혁파 반대한 죄로 탄핵을 받아 진천으로 낙향하였다. 이는 태종의 왕권 강화를 위한 외척 제거의 신호탄이라 하겠다. 1412년(태종 12년) 8월 25일 진천에서 졸하였다.
2. 3. 왕자의 난과 공신 책봉
1398년(태조 7년) 평안도병마절제사로 왜구를 격퇴하였다. 제1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定社功臣)이 되었고, 곧 이어서 참찬문하부사 겸 의흥삼군부중군동지절제사가 되었다.1400년(정종 2년) 제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이 되었다. 곧이어 사병 혁파(私兵 革罷)가 추진될 때 이를 반대하여 계림부사로 좌천되었다가,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로 복귀하였다. 태종 즉위 후 관제 개편으로 문하좌정승(門下左政丞)이 되었다.
2. 4. 사병 혁파 반대와 좌천
1398년(태조 7년) 평안도병마절제사로 왜구를 격퇴하였다. 제1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定社功臣)이 되었고, 곧 이어서 참찬문하부사 겸 의흥삼군부중군동지절제사가 되었다.1400년(정종 2년) 제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이 되었다. 곧이어 사병 혁파(私兵 革罷)가 추진될 때 이를 반대하여 계림부사로 좌천되었다. 그 후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로 복귀하였다. 태종 즉위 후 관제 개편으로 문하좌정승(門下左政丞)이 되었다.
2. 5. 영의정부사와 기로회 설립
1398년(태조 7년) 평안도병마절제사로 왜구를 격퇴하였다. 제1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定社功臣)이 되었고, 곧 이어서 참찬문하부사 겸 의흥삼군부중군동지절제사가 되었다.1400년(정종 2년) 제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이 되었다. 곧이어 사병 혁파(私兵 革罷)가 추진될 때 이를 반대하여 계림부사로 좌천되었다. 그 후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로 복귀하였다. 태종 즉위 후 관제 개편으로 문하좌정승(門下左政丞)이 되었다.
1402년(태종 2년)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가 되었다. 그는 70세 이상의 노재상들이 모이던 친목 모임인 기로회(耆老會)를 처음 설립하였다. 다시 영사평부사(領司平府事)가 되었다.
2. 6. 탄핵과 유배, 그리고 죽음
1384년 이성계의 추천으로 음서 천거되어 강계관군만호가 되었다. 조선 건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올랐다.1404년(태종 4년) 사병 혁파를 반대한 죄로 탄핵받아 진천으로 유배되었는데, 이는 태종의 왕권 강화를 위한 외척 제거의 신호탄이었다. 1412년(태종 12년) 8월 25일 진천에서 사망하였다.
3. 가계
4. 사후
묘소는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상계리에 있다. 1994년 6월 24일 충청북도의 기념물 제95호로 지정되었다.
5. 기타
현재 공개된 자료에는 이거이에 관한 추가 정보가 없다.
5. 1.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