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순공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순공주는 조선 태종의 딸로, 1385년에 태어나 1460년에 사망했다. 1399년 이거이의 아들 이백강과 혼인하였고, 태종 즉위 후 정순공주에 봉해졌다. 시아버지 이거이가 모반을 꾀했다는 이유로 남편 이백강과 함께 서인으로 강등되었으나, 이후 다시 직첩을 받고 생활했다. 세조는 정순공주에게 음식을 하사하고, 사망 시에는 부의를 내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85년 출생 - 레러이
레러이는 후 레 왕조의 창업주이자 초대 황제로, 람선 봉기를 통해 명나라로부터 대월의 독립을 쟁취하고 국가 제도를 정비하며 자주적인 외교 정책을 펼쳐 베트남 민족의 독립과 국가 재건에 기여했다. - 1385년 출생 - 갈레아초 말라테스타
갈레아초 말라테스타 위키백과 페이지는 이탈리아 말라테스타 가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I Malatesta" 외 다수 저작물을 참고했습니다. - 1460년 사망 - 질 뱅슈아
질 뱅슈아는 15세기 초 유럽의 주요 작곡가 중 한 명으로,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 르 봉의 궁정 예배당에서 활동하며 종교 음악과 세속 샹송을 작곡했으며, 후대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1460년 사망 - 기건
기건은 조선 세종 때 포의로 발탁되어 여러 관직을 역임하며 선정과 백성 교화에 힘썼고, 대사헌으로 강맹경 등을 탄핵했으나 계유정난 이후 은둔하며 절개를 지킨 인물이다. - 조선 태종의 자녀 - 양녕대군
양녕대군은 조선 태종의 장남으로 왕세자였으나 폐위되었고, 동생 세종을 도왔으며 숭례문 현판 글씨를 쓰는 등 예술적 재능을 보였다. - 조선 태종의 자녀 - 함녕군
함녕군 이인은 조선 태종의 아들이자 외교적 업적을 남겼으며 세종의 신임을 받았고, 단종과 세조 시대에도 활동하다 1467년에 사망한 인물이다.
정순공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정순공주 |
작위 | 태종의 공주 |
별칭 | 청평군궁주(淸平君宮主) 정순궁주(貞順宮主) 정신궁주(定愼公主) |
혼인과 가족 | |
배우자 | 청평부원군(淸平府院君) 이백강 |
자녀 | 1녀 이계린의 처 이씨(李氏) |
아버지 | 태종 |
어머니 | 원경왕후 민씨 |
생몰 | |
출생일 | 1385년 |
사망일 | 1460년 9월 18일 (양력) |
묘소 | |
능묘 | 이백강 · 정순공주묘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면 용정리 산209-4 |
2. 생애
1385년(우왕 11년),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인 이방원(태종)과 부인 민씨(원경왕후)의 장녀로 태어났다.
1399년(정종 1년) 이거이의 넷째 아들인 청평위(淸平尉) 이백강(李伯剛)과 혼인하였다. 1401년(태종 1년), 아버지 방원이 태종으로 즉위하면서 '''정순공주'''(貞順公主)에 봉해졌다.
1404년(태종 4년), 시아버지인 이거이가 모반을 품었다 하여 아들 이저와 함께 태종에 의해 서인으로 강등되었다.[1] 이거이의 두 아들이 왕실의 부마가 되면서[2] 세력이 커질 것을 경계하였기 때문이다. 이때 태종은 사위인 이백강 또한 서인으로 삼고 동성(童城, 경기도 김포)에 안치하였다가 통주(通州)로 이배하였는데, 신하들은 이백강과 정순공주를 이혼시킬 것을 청하기도 하였다.[3]
이후 종친과 공신들이 이거이 부자를 처형할 것을 청하자 태종은 이거이와 이저가 왕자의 난 당시 큰 공을 세웠고, 이거이의 또다른 아들인 이백강이 정순공주의 부마이기 때문에 이들을 차마 죽일 수 없다며 거절하였다.[4]
1405년(태종 5년), 태종은 이백강의 직첩을 돌려주고 서울로 올라와 살게 하였다.[5] 1451년(문종 1년), 이백강과 사별하였다.
1458년(세조 4년), 충청도 온양의 온천으로 목욕하러 가자 세조는 정순공주에게 음식을 지급할 것을 명하였다. 이때 온양군사 조매가 정순공주를 대접하는 일을 소홀히 하자 세조는 노하여 조매를 추국하였다.[6]
1460년(세조 6년) 8월 25일 사망하였다. 정순공주가 세상을 떠나자 세조가 쌀·콩 아울러 70석과 포(布) 50필, 종이 1백권을 부의하였다.[7]
2. 1. 출생과 혼인
1385년(우왕 11년),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인 이방원(태종)과 부인 민씨(원경왕후)의 장녀로 태어났다.1399년(정종 1년) 이거이의 넷째 아들인 청평위(淸平尉) 이백강(李伯剛)과 혼인하였다. 1401년(태종 1년), 아버지 방원이 태종으로 즉위하면서 '''정순공주'''(貞順公主)에 봉해졌다.
1404년(태종 4년), 시아버지인 이거이가 모반을 품었다 하여 아들 이저와 함께 태종에 의해 서인으로 강등되었다. 이거이의 두 아들이 왕실의 부마가 되면서 세력이 커질 것을 경계하였기 때문이다. 이때 태종은 사위인 이백강 또한 서인으로 삼고 동성(童城, 경기도 김포)에 안치하였다가 통주(通州)로 이배하였는데, 신하들은 이백강과 정순공주를 이혼시킬 것을 청하기도 하였다.
이후 종친과 공신들이 이거이 부자를 처형할 것을 청하자 태종은 이거이와 이저가 왕자의 난 당시 큰 공을 세웠고, 이거이의 또다른 아들인 이백강이 정순공주의 부마이기 때문에 이들을 차마 죽일 수 없다며 거절하였다.
1405년(태종 5년), 태종은 이백강의 직첩을 돌려주고 서울로 올라와 살게 하였다.
2. 2. 시련과 극복
1399년(정종 1년), 이거이의 넷째 아들인 청평위(淸平尉) 이백강(李伯剛)과 혼인하였다. 1401년(태종 1년), 아버지 태종이 즉위하면서 '''정순공주'''(貞順公主)에 봉해졌다.1404년(태종 4년), 시아버지인 이거이가 모반을 품었다 하여 아들 이저와 함께 태종에 의해 서인으로 강등되었다. 이거이의 두 아들이 왕실의 부마가 되면서 세력이 커질 것을 경계하였기 때문이다. 이때 태종은 사위인 이백강 또한 서인으로 삼고 동성(童城, 경기도 김포)에 안치하였다가 통주(通州)로 이배하였는데, 신하들은 이백강과 정순공주를 이혼시킬 것을 청하기도 하였다.
이후 종친과 공신들이 이거이 부자를 처형할 것을 청하였으나, 태종은 이거이와 이저가 왕자의 난 당시 큰 공을 세웠고, 이거이의 또다른 아들인 이백강이 정순공주의 부마이기 때문에 이들을 차마 죽일 수 없다며 거절하였다.
1405년(태종 5년), 태종은 이백강의 직첩을 돌려주고 서울로 올라와 살게 하였다. 1451년(문종 1년), 이백강과 사별하였다.
1458년(세조 4년), 충청도 온양의 온천으로 목욕하러 가자 세조는 정순공주에게 음식을 지급할 것을 명하였다. 이때 온양군사 조매가 정순공주를 대접하는 일을 소홀히 하자 세조는 노하여 조매를 추국하였다.
1460년(세조 6년) 8월 25일 사망하였다. 정순공주가 세상을 떠나자 세조가 쌀·콩 아울러 70석과 포(布) 50필, 종이 1백권을 부의하였다.
2. 3. 말년
1385년(우왕 11년),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인 이방원과 부인 민씨의 장녀로 태어났다.1401년(태종 1년), 아버지 방원이 왕위에 오르면서 정순공주(貞順公主)에 봉해졌다. 1404년(태종 4년), 시아버지 이거이가 모반을 꾀했다는 이유로 서인으로 강등될 때, 남편 이백강도 연좌되어 유배되었으나, 태종은 이거이 부자를 처형하라는 신하들의 청을 왕자의 난 당시의 공과 정순공주의 남편이라는 이유로 거절하였다.
1405년(태종 5년), 태종은 이백강의 직첩을 돌려주고 서울로 올라와 살게 하였다. 1451년(문종 1년) 이백강과 사별하였다.
1458년(세조 4년), 충청도 온양의 온천에 갔을 때 세조가 음식을 지급하라고 명하였으나 온양군사 조매가 대접을 소홀히 하여 세조가 조매를 추국하였다.
1460년(세조 6년) 8월 25일 사망하자, 세조는 쌀, 콩 70석과 포 50필, 종이 100권을 부의하였다.
3. 가족 관계
- 조부 : 태조(1335~1408)
- 조모 : 신의왕후 한씨(1337~1391)
- * '''아버지''' : 태종(1367~1422)
- 외조부 : 민제(1339~1408)
- 외조모 : 여산 송씨(1342~1424)
- * '''어머니''' : 원경왕후 민씨(1365~ 1420)
- ** 여동생 : 경정공주(1387~1455)
- ** 여동생 : 경안공주(1393~1415)
- ** 남동생 : 양녕대군 제(1394~1462)
- ** 남동생 : 효령대군 보(1396~1486)
- ** 남동생 : 세종(1397~1450)
- ** 여동생 : 정선공주(1404~1424)
- ** 남동생 : 성녕대군 종(1405~1418)
- 시아버지 : 이거이(1348~1412)
- 시어머니 : 경주 최씨
- * '''부마''' : 이백강(1381~1451)
- ** '''장녀''' : 정경부인 청주 이씨
- ** 사위 : 이계린(1401∼1455) - 이색의 손자
손녀 : 한산 이씨(1420년 이전 출생)[8]
3. 1. 부계
정순공주의 조부는 태조(1335~1408)이며, 조모는 신의왕후 한씨(1337~1391)이다. 아버지는 태종(1367~1422)이며, 어머니는 원경왕후 민씨(1365~1420)이다. 외조부는 민제(1339~1408)이며, 외조모는 여산 송씨(1342~1424)이다.정순공주는 경정공주(1387~1455), 경안공주(1393~1415), 정선공주(1404~1424)와 자매지간이며, 양녕대군(1394~1462), 효령대군(1396~1486), 세종(1397~1450), 성녕대군(1405~1418)과 형제지간이다.
3. 2. 모계
- 조부 : 태조 (1335~1408)
- 조모 : 신의왕후 한씨 (1337~1391)
- 외조부 : 여흥부원군 민제 (1339~1408)
- 외조모 : 삼한국대부인 여산 송씨 (1342~1424)
- 어머니 : 원경왕후 민씨 (1365~ 1420)
- 여동생 : 경정공주 (1387~1455)
- 여동생 : 경안공주 (1393~1415)
- 남동생 : 양녕대군 제 (1394~1462)
- 남동생 : 효령대군 보 (1396~1486)
- 남동생 : 세종 (1397~1450)
- 여동생 : 정선공주 (1404~1424)
- 남동생 : 성녕대군 종 (1405~1418)
3. 3. 형제자매
정순공주의 형제자매는 다음과 같다.- 조부 : 태조 (1335~1408)
- 조모 : 신의왕후 한씨 (1337~1391)
- 아버지 : 태종 (1367~1422)
- 외조부 : 민제 (1339~1408)
- 외조모 : 삼한국대부인 여산 송씨 (1342~1424)
- 어머니 : 원경왕후 민씨 (1365~ 1420)
- 여동생 : 경정공주 (1387~1455)
- 여동생 : 경안공주 (1393~1415)
- 남동생 : 양녕대군 제 (1394~1462)
- 남동생 : 효령대군 보 (1396~1486)
- 남동생 : 세종 (1397~1450)
- 여동생 : 정선공주 (1404~1424)
- 남동생 : 성녕대군 종 (1405~1418)
- 시아버지 : 이거이 (1348~1412)
- 시어머니 : 경주 최씨
- 부마 : 이백강 (1381~1451)
- 장녀 : 정경부인 청주 이씨
- 사위 : 이계린 (1401∼1455) - 이색의 손녀
- 손녀 : 한산 이씨 (1420년 이전 출생)
3. 4. 시가
태조의 손녀이자 태종과 원경왕후 민씨의 딸이다.[8] 정순공주의 여동생은 경정공주, 경안공주, 정선공주이며, 남동생은 양녕대군, 효령대군, 세종, 성녕대군이다.[8] 시아버지는 이거이이며, 남편은 청평위 이백강이다.[8] 정순공주는 이백강과의 사이에서 장녀 정경부인 청주 이씨를 낳았으며, 사위는 이색의 손자인 이계린이다.[8]3. 5. 자녀
- 시아버지 : 이거이(1348~1412)
- 시어머니 : 경주 최씨
- * '''부마''' : 청평위(淸平尉) 이백강(1381~1451)
- ** '''장녀''' : 정경부인 청주 이씨
- ** 사위 : 이계린(1401∼1455) - 이색의 손녀
손녀 : 한산 이씨(1420년 이전 출생)[8]
4. 평가
참조
[1]
문헌
태종실록 8권, 태종 4년(1404년 명 영락(永樂) 2년) 10월 24일 (임진)
[2]
문서
[3]
문헌
태종실록 8권, 태종 4년(1404년 명 영락(永樂) 2년) 10월 24일 (임진)
[4]
문헌
태종실록 8권, 태종 4년(1404년 명 영락(永樂) 2년) 10월 18일 (병술)
[5]
문헌
태종실록 10권, 태종 5년(1405년 명 영락(永樂) 3년) 10월 2일 (갑자)
[6]
문헌
세조실록 13권, 세조 4년(1458년 명 천순(天順) 2년) 8월 5일 (경신)
[7]
문헌
세조실록 21권, 세조 6년(1460년 명 천순(天順) 4년) 8월 25일 (무진)
[8]
문헌
원경왕후 헌인릉지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