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도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도재는 조선 시대와 대한제국 시기에 활동한 관료이다. 1882년 무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부제학, 암행어사 등을 역임했으며, 동학 농민 운동 시기에는 전봉준과 김개남 등을 체포하는 데 기여했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외부대신, 농상공부대신 등을 지냈으며, 을사조약에 반대하여 고종에게 을사오적 처벌을 요구했다. 고종 양위 후 박영효와 함께 양위 무효화를 시도하다 체포되었으며, 1909년에 사망하여 순종으로부터 문정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제국의 군부대신 - 민영기 (조선귀족)
민영기는 조선 말기 무관으로, 을사조약에 반대했으나 일제강점기에는 일제에 협력하여 남작 작위를 받은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 대한제국의 군부대신 - 심상훈
심상훈은 조선 말기 문신으로 고종의 외사촌이자 민승호의 외조카이며, 문과 급제 후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진압에 기여하고 갑오개혁 이후 탁지부 대신, 군부 대신 등을 역임하며 대한제국 시기 정권의 중추에서 활동했고 을사조약에 반대했으며 사후 충숙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조선의 호군 - 심택현 (조선문신)
심택현은 숙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판서, 좌참찬, 판돈녕부사 등을 역임한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이인좌의 난 진압에 기여하여 분무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고, 그의 가문은 조선 왕실과 혼인 관계를 맺으며 번성하였다. - 조선의 호군 - 장영실
조선 초기의 과학자이자 발명가인 장영실은 천민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세종의 총애를 받으며 자격루, 앙부일구, 측우기 등 다양한 과학 기구를 발명 및 제작하여 조선의 과학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지만, 왕의 가마 파손 사건 이후 행적이 묘연해졌다. - 조선의 동부승지 - 이현보
이현보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시인으로, 연산군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치며 선정(善政)을 베풀었으며, 벼슬에서 물러난 후 자연을 벗 삼아 만년을 보내며 효성이 지극하고 문장에 뛰어난 많은 작품을 남겼다. - 조선의 동부승지 - 한효원
이도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직업 | 관리 |
복무 기간 | 1895년–1907년 |
계급 | 대한제국 육군 부장 |
소속 | 대한제국 |
출생일 | 1848년 |
출생지 | 함경도, 조선 |
사망일 | 1909년 |
사망 장소 | 러시아 제국 |
2. 조선 시대 관직
이도재는 1882년 무과에 급제하여[1] 홍문관 부제학에 임명되었다.[2] 이후 경상좌도 암행어사로 임명되어 백성들이 수탈당하고 있음을 보고했다.[3] 1884년 의주군 군수로 임명되었으나,[4] 1886년 처벌을 받아 고금도로 유배되었다.[5] 1894년 복직하였고,[6] 공무아문 부제학에 임명되었다.[7]
2. 1. 동학 농민 운동 진압
이도재는 동학 농민 운동 기간 동안 전라남도에 머물라는 명령을 받았다.[8] 그는 1894년 음력 12월 12일 전봉준을 체포했으며,[9] 1895년 음력 5월 29일 전주 관찰사로 임명되었다.[10] 또한 동학 지도자 김개남을 체포하여 1895년에 처형했다.[11]2. 2. 지방관 및 중앙 관료 활동
이도재는 1895년 음력 5월 29일 전주 관찰사로 임명되었다.[10] 동학 지도자 김개남을 체포하여 1895년 처형했다.[11] 1895년 음력 10월 10일 육군 부장, 친위기병 1등, 군부대신으로 임명되었다.[12] 1896년 3월 30일 중추원 1등 의원으로 임명되었다.[13] 같은 해 학부대신으로 임명되었으나, 단발령에 반대하여 1896년 11월 16일 학부대신직에서 사임했다.[15][16] 1897년 2월 27일 궁내부 특진관으로 임명되었다.[17]1898년 2월 1일 외부대신으로 임명되었으나,[18] 질병으로 인해 1898년 2월 17일부터 민종묵이 대신 직무를 수행했다.[19] 2월 27일 복귀했다.[20] 1898년 3월 25일 농상공부대신이 되었다.[21] 이도재와 내부대신 박제양은 백성의 토지 소유권을 대한제국 의정부에 제안했으며,[22] 그 요청에 따라 토지 소유권 심사 위원 중 한 명이 되었다.[23] 1903년 다시 외부대신으로 임명되었다.[1] 그는 외부대신 재임 기간 동안, 대한제국이 중립국이 되려 노력했으며, 러시아와 일본의 분쟁이 한국을 짓밟을 것이므로 중립을 유지해야 한다고 단호하게 선언했다.[24]
3. 대한제국 시기 활동
이도재는 1897년 2월 27일 궁내부 특진관에 임명되었고,[17] 1898년 2월 1일 외부대신에 임명되었다.[18] 그러나 질병으로 인해 1898년 2월 17일부터 민종묵이 외부대신 직무를 대행했으며,[19] 이도재는 2월 27일 복귀했다.[20] 1898년 3월 25일 농상공부대신이 되었다.[21]
3. 1. 외교 정책
이도재는 1903년 외부대신으로 임명되었다.[1] 외부대신 재임 기간 동안, 대한제국은 러일 전쟁 발발 가능성에 대비하여 중립국이 되려 노력했다. 그는 러시아와 일본의 분쟁이 한국을 짓밟을 것이며, 그로 인해 중립을 유지해야 한다고 단호하게 선언했다.[24]3. 2. 토지 정책
이도재는 1898년 3월 25일 농상공부대신이 되었고, 내부대신 박제양과 함께 백성들의 토지 소유권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한제국 의정부에 토지 소유권 심사 위원 설치를 제안했다.[22] 이 제안에 따라 이도재는 토지 소유권 심사 위원 중 한 명이 되었다.[23]3. 3. 을사조약 반대
이도재는 을사조약에 반대하여, 고종에게 을사오적을 처벌할 것을 요구했다.[25][26] 고종 양위 후 순종이 즉위하자, 박영효와 함께 양위 무효화를 시도하다 체포되어 면직되었다.[27] 1907년 7월 22일 이완용이 그의 직위를 계승했다.[28]4. 사망
이도재는 1909년에 사망했다. 순종은 1909년 10월 5일 이도재에게 문정(文貞)이라는 시호를 내렸다.[29]
5. 평가
이도재는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 시기 격변기에 활동한 관료로서, 보수적인 가치관을 바탕으로 국가 운영에 참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특히 동학 농민 운동 진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전봉준을 체포하고, 동학 지도자 김개남을 처형한 점[9][11]은 농민들의 개혁 요구를 억압했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을사조약에 반대하며 고종에게 을사오적을 처벌할 것을 요구하고, 순종 즉위 후에는 박영효와 함께 양위 무효화를 시도하다 체포되는 등[25][26][27] 강직한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단발령에 반대하여 학부대신직에서 사임하는 등[15][16] 시대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러일전쟁 직전 대한제국이 중립국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한 점은[24] 국제 정세를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이도재(李道宰)
http://encykorea.aks[...]
2022-08-13
[2]
웹사이트
임상준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https://sillok.histo[...]
[3]
웹사이트
의정부에서 충청좌도 암행어사 유석의 별단을 보고하다
https://sillok.histo[...]
[4]
웹사이트
의주 부윤의 후임에 춘천 부사 이도재를 제수하라는 전교
https://db.itkc.or.k[...]
[5]
웹사이트
죄인 신기선 등의 배소를 전라도 흥양현 여도 등으로 정하여 압송하여 위리안치할 것 등을 청하는 의금부의 계
https://db.itkc.or.k[...]
[6]
웹사이트
가극 죄인 이도재 등을 풀어 주라는 전교
https://db.itkc.or.k[...]
[7]
웹사이트
이도재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https://sillok.histo[...]
[8]
웹사이트
비적을 토벌하고 남쪽 삼도에 위무사를 파견하도록 명하다
https://sillok.histo[...]
[9]
웹사이트
전라 감사가 비적의 두목인 전봉준을 사로잡았다고 보고하다
https://sillok.histo[...]
[10]
웹사이트
이채연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https://sillok.histo[...]
[11]
웹사이트
농민군 3대 장군 김개남, 손자 환옥
https://db.history.g[...]
[12]
웹사이트
10月10日, 10月10日
https://db.history.g[...]
[13]
웹사이트
3月17日, 3月20日
https://db.history.g[...]
[14]
웹사이트
9. 朴定陽, 李道宰 등 大臣 임명
https://db.history.g[...]
[15]
웹사이트
11月12日, 11月14日, 11月15日, 11月16日
https://db.history.g[...]
[16]
웹사이트
(13) 事變 후의 情況 續報
https://db.history.g[...]
[17]
웹사이트
詔曰明日朝奠晝茶禮百官入參
https://db.history.g[...]
[18]
웹사이트
詔曰命特進官李道宰爲外部大臣
https://db.history.g[...]
[19]
웹사이트
(9) [閔種黙 外部大臣 臨時署理의 業務執行 通告에 대한 回答]
https://db.history.g[...]
[20]
웹사이트
(58) [外部大臣 李道宰 調病中 閔種黙 署理의 件]
https://db.history.g[...]
[21]
웹사이트
詔曰命中樞院一等議官申奭熙爲警務使
https://db.history.g[...]
[22]
웹사이트
광무양전사업(光武量田事業)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22-08-13
[23]
웹사이트
양지아문 총재관에 박정양 등을 임명하였다
https://db.itkc.or.k[...]
[24]
웹사이트
1. 戰時局外中立의 試圖
https://db.history.g[...]
[25]
웹사이트
2) 을사조약 반대 상소운동
https://db.history.g[...]
[26]
웹사이트
이도재가 한일 협상 조약을 맺은 대신들을 처벌하라는 상소를 올리고 사직하다
https://sillok.histo[...]
[27]
웹사이트
(18) [한국 주재 외신기자가 외국 신문사와 發·受信한 通牒 전보내용 보고 件]
https://db.history.g[...]
[28]
웹사이트
(77) [先帝의 음모 배척을 위한 閣臣들의 대책에 관한 件]
https://db.history.g[...]
[29]
웹사이트
태황제가 이승응의 상사에 시종을 보내어 치제하되 제문은 직접 지을 것이며 물품을 보내라고 하였고, 이승응 등에게 증시하였다
https://db.itkc.or.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