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병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병화는 1906년 경상북도 안동에서 출생하여 한국 전쟁 중 고문 후유증으로 사망한 독립운동가이다. 그는 조부 이상룡과 부친 이준형을 따라 만주로 이주하여 대한통의부 위원으로 활동하며 일본 경찰 주재소 습격 등 항일 투쟁을 펼쳤다. 일제 밀정의 밀고로 체포되어 투옥되기도 했으며, 중국 공산당 활동과 국내 투옥을 거쳐 광복을 맞이했다. 1990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으며,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공산청년회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고려공산청년회 - 강해석
    강해석은 광주학생항일운동을 배후에서 지도하고 조선공산당 사건으로 징역형을 받은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유공자로, 광복 후 농민운동과 통일운동에 헌신하다 만성 저혈압으로 사망, 사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 신흥무관학교 동문 - 나석주
    나석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동양척식주식회사 등 일제의 식민지 수탈 기관 파괴를 위해 폭탄 투척 후 자결했으며,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 신흥무관학교 동문 - 전성호
    전성호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군인으로, 철혈광복단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고 북로군정서 교관으로 활동했으며, 광복 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전사, 준장으로 추서되고 건국훈장 애국장을 받았다.
  • 이상룡 - 김동삼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김동삼은 협동학교 설립으로 계몽운동을 전개하고, 서간도 망명 후 신흥무관학교 설립에 참여, 서로군정서와 정의부 참모장 등을 역임하며 무장 독립운동을 이끌었으며, 1931년 체포 후 복역 중 순국하여 건국훈장이 추서되었다.
  • 이상룡 - 신흥무관학교
    신흥무관학교는 1910년대 일제강점기 서간도에 설립되어 독립군을 양성하고 항일 무장 투쟁을 지원했으며, 서로군정서의 모태가 되었고 졸업생들은 활발한 독립운동을 펼쳤다.
이병화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이병화
한자 표기李炳華
이명이대용(李大用)
이계오(李桂五)
이병화(李秉華)
이경천(李慶天)
이탁(李拓)
자(字)경천(敬天)
호(號)소파(小坡)
출생일1906년 2월 26일
출생지대한제국 경상도 안동군
사망일1952년 6월 8일
사망지대한민국 충청남도 아산
사망 원인병사
직업독립운동가
본관고성
종교유교
소속대한통의부
부모이준형(부), 이중숙(모)
친척이상룡(조부)
이상동(종조부)
이봉희(종조부)
이형국(당숙)
이운형(당숙)
이광민(당숙)
이광국(당숙)
김대락(진외종조부)
이원조(외당질,처사촌)
이육사(외당질,처사촌)

2. 생애

이병화는 1906년 경상북도 안동 법흥동의 임청각에서 태어났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 1911년 조부 이상룡과 부친 이준형을 따라 만주로 갔다. 1922년 대한통의부에서 활동, 1924년 일본 경찰을 사살했다.[3][4] 1929년 체포되었다가 석방된 후, 1930년 중국공산당이립삼 노선에 따라 요동 지역에서 농민 봉기를 주도했다.[5] 1932년 조부의 사망과 일제의 만주 장악으로 귀국했다.

1934년 신의주 경찰서에 체포되어 징역 7년형을 선고받았으나[8] 2년 반 만에 풀려났다. 이후에도 지속적인 일제의 감시와 투옥을 겪었다.[9][10] 1942년 부친의 자결 소식에 귀국, 1944년 안동 농림학교에서 연설 후 체포되었다가 안동경찰서 유치장에서 광복을 맞았다.[9][12] 1952년 한국 전쟁 중 아산시에서 피난 중 고문 후유증으로 사망하여 선장면 죽산리에 묻혔다.

2. 1. 초기 생애 (1906년 ~ 1929년)

1906년 경상북도 안동 법흥동에서 출생했다. 생가인 임청각은 500년 된 현존하는 가장 규모가 큰 살림집으로[1], 3대에 걸쳐 독립유공자 11명을 배출했다.[2]

1911년 조부 이상룡과 부친 이준형을 따라 만주로 갔다.

1922년 대한통의부가 결성되자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국내 진공작전에 따라 1924년 평안북도 청성진의 일본 경찰주재소를 습격, 일본 경찰을 사살한 후 본대로 복귀했다.[3][4]

1929년 일제 밀정 정해붕의 밀고로 중국 치안 당국에 체포됐다.[5][6] 종조부 이봉희가 '이병화는 중국과 동지 입장에서 일본과 싸우는 사람'임을 강조한 진정서를 내는 노력 끝에 100일 만에 석방되었다.[7]

2. 2. 중국 공산당 활동과 귀국 (1930년 ~ 1932년)

1930년 중국공산당이립삼 노선에 따라 요동 지역에 가서 농민 봉기를 주도했다.[5] 1932년 조부 이상룡이 사망하고 일제가 만주를 장악하자 귀국했다.

2. 3. 국내 투옥과 항일 운동 (1934년 ~ 1945년)

1934년 5월 신의주 경찰서에 체포되어 그해 6월 일제 경찰을 사살한 혐의로 징역 7년형을 선고받았다.[8] 2년 반 복역 후 풀려났고 지속적으로 일제의 감시를 받았다. 1941년 반일사상을 고취한 혐의로 체포되었다가 6개월 간 투옥됐다.[9] 이후 수 차례 체포됐고 고문을 당했다.[10]

1942년 만주로 가서 독립운동을 하던 중 부친 이준형의 자결 소식에 귀국했다.[11] 1944년 일제의 눈을 피해 안동 농림학교 조선회복연구단을 심야에 방문해 상복 차림으로 연설을 하는 등 국내에서 독립운동을 계속하다가 다시 체포됐다. 안동경찰서 유치장에서 광복을 맞았다.[9][12]

2. 4. 광복 이후와 사망 (1945년 ~ 1952년)

1945년 안동경찰서 유치장에서 8.15 광복을 맞았다.[9][12]

1952년 한국 전쟁으로 충남 아산시에서 피난중에 고문 후유증으로 사망했다. 시신은 충남 아산 선장면 죽산리에 묻혔다.

3. 묘소

부친 이준형 옆에 모셔져 있는 대전현충원 묘소


아산에 있던 유해는 1964년 안동 선산으로 이장됐다. 1990년 광복절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함으로써 1991년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9]

묘비문은 "얼어붙은 조국하늘 얼어붙은 조국땅 태양도 빛을 잃어 아! 캄캄한 조국 광복의 그날 위해 압록강 울며 건너 장부의 거센 숨결 대륙에 뿌리시다 명예도 잊은 채 사랑도 남김없이 마흔여섯 빛나는 삶 조국 가슴에 묻으시니 뒤따르는 자 어찌 두려워하랴 백두에서 한라까지 갈라진 겨레 하나 될 통일의 그날 님의 웅지 부활하리"라고 새겨져 있다.

4. 백범일지와의 관계

백범일지에는 공산주의 사상을 가진 독립운동가들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많다. 그 중 이상룡의 자손은 공산주의에 충실한 나머지 살부회(아비 죽이는 회)까지 조직하였다고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제 아비를 제 손으로 죽이지는 않고 회원끼리 서로 아비를 바꾸어 죽이는 것이라 하니, 아직도 사람의 마음이 조금 남았다는 내용이 있다.[13]

2015년 개봉된 영화 암살에는 살부계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는 백범일지의 살부회를 연상시킨다. 그러나 이병화의 부친 이준형은 1942년 독립이 요원함을 비관하여 자결하였다.[13]

이병화는 해방 후 이 내용을 가지고 당시 부통령이던 이시영을 찾아가 송사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이시영은 사실이 왜곡되었다고 하면서도, 새 나라 건설의 복잡한 시기에 그런 일로 재판을 하면 온 나라가 또 시끄러워지고 혼란스러워지니 염려하지 말라고 말했다고 한다.[13]

5. 저서


  • 소파유고

6. 가계

이병화는 이상룡의 손자이며, 이준형과 이중숙의 아들이다. 허발의 딸 허은과 혼인하였다. 이상동, 이봉희가 종조부이고, 김대락은 진외종조부이다. 이육사, 이원조는 외당질이다.

6. 1. 가계도

관계이름
조부이상룡(李相龍)
이준형(李濬衡)
이중숙(李中淑)
배우자허은(許銀) (허발(許潑)의 딸)
아들이도증(李道曾)
아들이세증(李世曾)
아들이석증(李錫曾)
아들이철증(李哲曾)
아들이항증(李恒曾)
이혜정(李惠貞)
아들이범증(李範曾)
종조부이상동(李相東)
당숙이형국(李衡國)
당숙이운형(李運衡)
종조부이봉희(李鳳羲)
당숙이광민(李光民)
당숙이광국(李光國)
진외종조부김대락(金大洛)
외당질이육사(李陸史)
외당질이원조(李源朝)


참조

[1] 웹사이트 한국관광공사 대한민국 구석구석 행복여행 - 안동 임청각 http://korean.visitk[...]
[2] 웹인용 국가보훈처 공식블로그 - 9명의 독립운동가를 배출한‘임청각’ https://web.archive.[...] 2016-08-18
[3] 간행물 독립유공자(공훈록) 국가보훈처
[4] 서적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49 : 1920년대 전반 만주·러시아지역 항일무장투쟁 2009
[5] 서적 군자불기의 임청각, 안동 고성이씨 종가 2016
[6] 서적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2010
[7] 서적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2010
[8] 뉴스 동아일보 1934년 6월 27일 석간 2면
[9] 서적 군자불기의 임청각, 안동 고성이씨 종가 2016
[10] 서적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2010
[11] 서적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2010
[12] 서적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2010
[13] 서적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소리가 정우사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