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아》는 고대 중국의 사전, 용어집, 동의어집, 유의어 사전, 백과사전으로, 19개의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추상적인 단어를 다루는 3편과 구체적인 사물을 분류한 16편으로 나뉘며, 친족 관계, 건축, 도구, 음악, 천문학, 지리학, 식물, 곤충, 동물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이아》는 중국 고전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며, 한국의 학문과 문화에도 영향을 미쳐 한국어 사전 편찬에도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훈고학 - 남곤
    남곤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김종직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수학하고 뛰어난 문장으로 이름을 알렸으며, 중종반정 이후 요직을 역임하고 영의정을 지냈으나, 조광조 등 사림파의 급진적인 개혁에 반대하여 기묘사화에 가담하기도 한 인물이다.
  • 자전 - 옥편
    옥편은 543년 고야왕이 편찬한 원본 옥편을 지칭하며, 자음 반절, 경서 및 고주 인용을 통해 자의를 설명하는 체례를 갖추고, 일본에 일부가 보존되어 있으며, 『대광익회옥편』, 『와옥편』, 『운회옥편』 편찬에 영향을 미쳤고, 현재 한국에서는 부수별 한자 사전을 옥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자전 - 강희자전
    강희제가 명하여 편찬된 《강희자전》은 설문해자 이후의 자서를 집대성한 방대한 한자 사전으로, 4만 7035자를 수록하고 214개의 부수 체계를 확립하여 후대 한자 사전과 유니코드에 영향을 주었으나, 숙어 미수록 등의 한계와 오류에 대한 교정 작업도 있었다.
  • 십삼경 - 춘추좌씨전
    《춘추좌씨전》은 춘추 시대 노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춘추 시대의 사건들을 노나라의 관점에서 서술하며, 문학적 가치 또한 높이 평가받는다.
  • 십삼경 - 시경
    《시경》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가집으로, 305편의 시가를 국풍, 아, 송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수록하고 있으며, 유교 경전으로서 동아시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아
일반 정보
명칭爾雅 (Ěryǎ, 이아)
의미바르게 이끌다, 올바름에 가까워지다
별칭석경 (石經)
석씨이아 (石氏爾雅)
석경이아 (石經爾雅)
이아경 (爾雅經)
저자전통적 견해: 주공
현대적 견해: 여러 학자들의 공동 작업
저작 시기기원전 3세기 경
언어고대 중국어
분야사전, 유서 (類書)
보존 상태현존
중요성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유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사전
중국 유교 경전의 하나
구성
권수19편
내용석고 (釋詁)
석언 (釋言)
석훈 (釋訓)
석친 (釋親)
석궁 (釋宮)
석기 (釋器)
석악 (釋樂)
석천 (釋天)
석지 (釋地)
석구 (釋丘)
석산 (釋山)
석수 (釋水)
석초 (釋草)
석목 (釋木)
석충 (釋蟲)
석어 (釋魚)
석조 (釋鳥)
석수 (釋獸)
석축 (釋畜)
주요 내용
석고 (釋詁)일반적인 어휘 정의
석언 (釋言)어휘 정의 (방언, 고어 포함)
석훈 (釋訓)추상적인 어휘 및 개념 정의
석친 (釋親)친족 관계 용어 정의
석궁 (釋宮)건축 용어 정의
석기 (釋器)도구 및 기물 용어 정의
석악 (釋樂)음악 용어 정의
석천 (釋天)천문 용어 정의
석지 (釋地)지리 용어 정의
석구 (釋丘)언덕 관련 용어 정의
석산 (釋山)산 관련 용어 정의
석수 (釋水)물 관련 용어 정의
석초 (釋草)풀 관련 용어 정의
석목 (釋木)나무 관련 용어 정의
석충 (釋蟲)곤충 관련 용어 정의
석어 (釋魚)어류 관련 용어 정의
석조 (釋鳥)조류 관련 용어 정의
석수 (釋獸)포유류 관련 용어 정의
석축 (釋畜)가축 관련 용어 정의
가치
학술적 가치고대 중국어 연구의 중요한 자료
고대 중국 문화, 사회, 역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
유교 경전 연구의 중요한 자료
사전 편찬사적 가치중국 최초의 사전 형태를 갖춘 책
후대 사전 편찬에 큰 영향
연구
주석곽박의 주석이 가장 유명함
형병의 소(疏)
소식의 소(疏)
나원의 이아익
필원의 이아정의
현대 연구왕국유, 손이양 등의 학자들이 연구
기타 언어 표기
중국어 병음Ěryǎ
민난어Ní-ngá
객가어Ngì-ngá
광둥어Ji5-ngaa5
베트남어Nhĩ Nhã
일본어음독: じが (Jiga)
훈독: にな (Nina)

2. 구성

《이아》는 크게 추상적인 단어를 다루는 부분과 구체적인 사물을 다루는 부분으로 나뉜다.


  • 추상적인 단어 (1~3장):
  • '''석고(釋詁)'''는 옛 단어의 동의어를, '''석언(釋言)'''은 일상어의 동의어를, '''석훈(釋訓)'''은 주로 의성어를 포함한 연면어(2음절어)의 동의어를 분류한다. 예를 들어 "초(初)·재(哉)·수(首)·기(基)·조(肇)·조(祖)·원(元)·태(胎)·숙(俶)·낙(落)·권여(権輿)는 처음이라는 의미이다" (석고)와 같은 형식을 취한다.[1]

  • 구체적인 사물 (4~19장):
  • '''석친(釋親)'''부터 '''석축(釋畜)'''까지 16개의 장은 각각 친족, 건축, 도구, 음악, 천문, 지리, 동식물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각 장의 제목은 '석(釋, 풀이하다)' 자에 해당 주제를 나타내는 단어를 결합한 형태이다. 예를 들어 '석친(釋親)'은 친족 관계를 풀이한다는 의미이다.

《이아》는 단순한 단어 풀이를 넘어, 고대 중국의 문화와 사회상을 반영하는 귀중한 자료이다. 특히, '석축(釋畜)' 편에서는 소나 말의 털색에 따른 품종 분류를 언급하여 당시의 축산 기술을 엿볼 수 있게 한다.[3]

아래는 각 편의 주제를 정리한 표이다.

중국어병음번역주제
1釋詁중국어Shigu옛 [단어] 풀이동사, 형용사, 부사, 문법적 조사
2釋言중국어Shiyan단어 풀이동사, 형용사, 부사
3釋訓중국어Shixun지침 풀이형용사, 부사, 대부분 중복 사용
4釋親중국어Shiqin친족 풀이친족 관계, 결혼
5釋宮중국어Shigong주거 풀이건축, 토목
6釋器중국어Shiqi기구 풀이도구, 무기, 의복 및 용도
7釋樂중국어Shiyue음악 풀이음악, 악기, 춤
8釋天중국어Shitian하늘 풀이천문학, 점성술, 기상학, 달력
9釋地중국어Shidi땅 풀이지리학, 지질학, 일부 지역 설화
10釋丘중국어Shiqiu언덕 풀이지형, 풍수 용어
11釋山중국어Shishan산 풀이산, 명산
12釋水중국어Shishui강 풀이강, 항해, 관개, 보트 타기
13釋草중국어Shicao식물 풀이풀, 약초, 곡물, 채소
14釋木중국어Shimu나무 풀이나무, 관목, 일부 식물학 용어
15釋蟲중국어Shichong곤충 풀이곤충, 거미, 파충류 등
16釋魚중국어Shiyu물고기 풀이물고기, 양서류, 갑각류, 파충류 등
17釋鳥중국어Shiniao새 풀이물새, 조류학
18釋獸중국어Shishou짐승 풀이야생 동물, 전설 속 동물
19釋畜중국어Shichu가축 풀이가축, 애완동물, 가금류, 일부 동물학 용어


2. 1. 어휘 풀이

《이아》는 어휘의 의미를 풀이하는 데 있어 크게 두 가지 방식을 사용한다. 첫째는 동의어와 유사어를 묶어 설명하는 방식이고, 둘째는 사물의 이름이나 의미를 해설하는 방식이다.

권두 3편(1~3장)은 동의어를 분류하여 풀이한다. 예를 들어 "초(初), 재(哉), 수(首), 기(基), 조(肇), 조(祖), 원(元), 태(胎), 숙(俶), 낙(落), 권여(権輿)는 처음이라는 의미이다"(석고)와 같이 여러 단어를 나열하고 그 의미를 설명한다.

일반적인 용어의 경우, 동의어나 유사어를 묶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어로 설명하고, 단어가 여러 의미를 가질 경우 추가 설명을 덧붙여 의미를 명확히 한다. 예를 들어, "교(喬), 숭(嵩), 숭(崇)은 모두 '높다'(高)를 의미한다. '숭(崇)'은 또한 '채우다'(充)를 의미한다."(1장)와 같이 설명한다.

전문적인 용어의 경우, 관련 단어를 묶고 설명, 해설, 분류, 비교 등을 통해 정의한다. 예를 들어, "여자는 남편의 아버지를 '구(舅)'라고 부르고, 남편의 어머니를 '고(姑)'라고 부른다. 살아 있을 때는 '군구(君舅)'와 '군고(君姑)'라고 부른다. 돌아가신 후에는 '선구(先舅)'와 '선고(先姑)'라고 부른다."([2])와 같이 설명한다.

이후의 16개 장(4~19장)은 사물의 이름이나 의미를 해설한다. 예를 들어, 석친(釋親)편에서는 촌수나 친척 등의 명칭을 해설하고, 석축(釋畜)편에서는 소나 말의 털색에 따른 품종 분류를 언급하여 당시의 축산 기술을 엿볼 수 있게 한다.[3]

《이아》의 각 장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중국어 원문한어 병음번역주제
1釋詁중국어Shigu옛 단어 풀이동사, 형용사, 부사, 문법적 조사
2釋言중국어Shiyan단어 풀이동사, 형용사, 부사
3釋訓중국어Shixun지침 풀이형용사, 부사, 대부분 중복 사용
4釋親중국어Shiqin친족 풀이친족 관계, 결혼
5釋宮중국어Shigong주거 풀이건축, 토목
6釋器중국어Shiqi기구 풀이도구, 무기, 의복 및 용도
7釋樂중국어Shiyue음악 풀이음악, 악기, 춤
8釋天중국어Shitian하늘 풀이천문학, 점성술, 기상학, 달력
9釋地중국어Shidi땅 풀이지리학, 지질학, 일부 지역 설화
10釋丘중국어Shiqiu언덕 풀이지형, 풍수 용어
11釋山중국어Shishan산 풀이산, 명산
12釋水중국어Shishui강 풀이강, 항해, 관개, 보트 타기
13釋草중국어Shicao식물 풀이풀, 약초, 곡물, 채소
14釋木중국어Shimu나무 풀이나무, 관목, 일부 식물학 용어
15釋蟲중국어Shichong곤충 풀이곤충, 거미, 파충류 등
16釋魚중국어Shiyu물고기 풀이물고기, 양서류, 갑각류, 파충류 등
17釋鳥중국어Shiniao새 풀이물새, 조류학
18釋獸중국어Shishou짐승 풀이야생 동물, 전설 속 동물
19釋畜중국어Shichu가축 풀이가축, 애완동물, 가금류, 일부 동물학 용어


2. 1. 1. 석고(釋詁)

《이아(爾雅)》의 첫 번째 장인 ‘석고(釋詁)’는 옛 문헌에서 사용된 단어들의 동의어를 분류하고 해설한다. 예를 들어, "처음, 재, 수, 기, 조, 조, 원, 태, 숙, 낙, 권여는 시작이라는 의미이다"와 같이 '처음'을 의미하는 여러 한자들을 제시하고 그 의미를 설명한다.[2]

2. 1. 2. 석언(釋言)

《이아(爾雅)》의 두 번째 장인 '석언(釋言)'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의 동의어를 분류하고 해설한다. 일반적인 용어에 대한 항목은 동의어나 유사 동의어를 묶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어로 설명하고, 단어 중 하나가 여러 의미를 가질 경우 추가 설명을 덧붙인다. '석언' 편은 일상어를, '석고(釋詁)' 편은 고어(古語)의 동의어를 분류한다.[2]

2. 1. 3. 석훈(釋訓)

《이아》의 3번째 장인 〈석훈(釋訓)〉은 주로 의성어의태어를 포함한 연면어(2음절어)의 동의어를 분류하고 해설한다.[2] 〈석고〉 편은 옛 단어의 동의어를 분류하고, 〈석언〉 편은 일상어를, 〈석훈〉 편은 의성어를 주로 하는 연면어 등의 동의어를 분류한다.

2. 2. 사물 분류

《이아》는 다양한 사물의 명칭과 의미를 해설하고, 이를 범주별로 분류하여 제시한다.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앞부분(1~3장)은 일반적인 용어의 동의어를 분류하고, 뒷부분(4~19장)은 구체적인 사물에 대한 명칭과 의미를 해설한다.

  • 일반 용어(1~3장):
  • '''석고(釋詁)'''는 옛 사람들이 사용하던 동의어를, '''석언(釋言)'''은 일상어를, '''석훈(釋訓)'''은 주로 의성어를 포함한 연면어(2음절어)의 동의어를 분류한다. 예를 들어 "초(初)·재(哉)·수(首)·기(基)·조(肇)·조(祖)·원(元)·태(胎)·숙(俶)·낙(落)·권여(権輿)는 처음이라는 의미이다" (석고)와 같은 형식을 취한다.[2]

  • 구체적인 사물 (4~19장): 각 편은 특정한 주제를 다룬다.


아래는 각 편의 주제를 정리한 표이다.

중국어병음번역주제
1釋詁Shigu옛 [단어] 풀이동사, 형용사, 부사, 문법적 조사
2釋言Shiyan단어 풀이동사, 형용사, 부사
3釋訓Shixun지침 풀이형용사, 부사, 대부분 중복 사용
4釋親Shiqin친족 풀이친족 관계, 결혼
5釋宮Shigong주거 풀이건축, 토목
6釋器Shiqi기구 풀이도구, 무기, 의복 및 용도
7釋樂Shiyue음악 풀이음악, 악기, 춤
8釋天Shitian하늘 풀이천문학, 점성술, 기상학, 달력
9釋地Shidi땅 풀이지리학, 지질학, 일부 지역 설화
10釋丘Shiqiu언덕 풀이지형, 풍수 용어
11釋山Shishan산 풀이산, 명산
12釋水Shishui강 풀이강, 항해, 관개, 보트 타기
13釋草Shicao식물 풀이풀, 약초, 곡물, 채소
14釋木Shimu나무 풀이나무, 관목, 일부 식물학 용어
15釋蟲Shichong곤충 풀이곤충, 거미, 파충류 등
16釋魚Shiyu물고기 풀이물고기, 양서류, 갑각류, 파충류 등
17釋鳥Shiniao새 풀이물새, 조류학
18釋獸Shishou짐승 풀이야생 동물, 전설 속 동물
19釋畜Shichu가축 풀이가축, 애완동물, 가금류, 일부 동물학 용어


2. 2. 1. 석친(釋親)

《이아》의 4번째 장인 〈석친(釋親)〉에서는 친족 관계, 혼인과 관련된 용어를 정의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여자는 남편의 아버지를 '구'(舅, 舅|jiù중국어)라고 부르고, 남편의 어머니를 '고'(姑, 姑|gū중국어)라고 부른다. 살아 있을 때는 '군구'(君舅, 君舅|jūnjiù중국어)와 '군고'(君姑, 君姑|jūngū중국어)라고 부른다. 돌아가신 후에는 '선구'(先舅, 先舅|xiānjiù중국어)와 '선고'(先姑, 先姑|xiāngū중국어)라고 부른다."[2]와 같이 친족 호칭을 설명한다.

2. 2. 2. 석궁(釋宮)

《이아》 5장은 주거 풀이(釋宮)로, 건축 및 토목과 관련된 용어를 정의하고 분류한다.

2. 2. 3. 석기(釋器)

《이아》의 6번째 장인 ‘석기(釋器)’는 도구, 무기, 의복 및 그 용도와 관련된 용어를 정의하고 분류한다.[2]

2. 2. 4. 석악(釋樂)

釋樂중국어은 음악, 악기, 춤과 관련된 용어를 정의하고 분류한다.[2]

2. 2. 5. 석천(釋天)

釋天중국어은 하늘 풀이로, 천문학, 점성술, 기상학, 역법과 관련된 용어를 다룬다.[2]

2. 2. 6. 석지(釋地)

釋地중국어는 땅 풀이로, 지리학, 지질학 및 일부 지역 설화와 관련된 용어를 정의하고 분류한다.[2]

2. 2. 7. 석구(釋丘)

《이아》의 10번째 장인 석구(釋丘)는 지형과 풍수 용어를 다룬다.[2]

2. 2. 8. 석산(釋山)

釋山|Shishan중국어은 산과 명산에 관련된 용어를 풀이한 장이다.

2. 2. 9. 석수(釋水)

《이아》의 열두 번째 장은 '석수(釋水)'로, 강, 항해, 관개, 보트 타기 등 물과 관련된 용어를 정의하고 분류한다.[2]

2. 2. 10. 석초(釋草)

이아의 13번째 장인 '석초(釋草)'는 풀, 약초, 곡물, 채소 등 식물과 관련된 용어를 풀이한다.[2]

2. 2. 11. 석목(釋木)

이아의 열네 번째 장인 〈석목(釋木)〉에서는 나무, 관목, 그리고 일부 식물학 용어를 다룬다.[2]

2. 2. 12. 석충(釋蟲)

《이아》의 열다섯 번째 장인 석충(釋蟲)은 곤충, 거미, 파충류 등과 관련된 용어를 정의하고 분류한다.

2. 2. 13. 석어(釋魚)

《이아(爾雅)》의 열여섯 번째 장은 〈석어(釋魚)〉로, 물고기, 양서류, 갑각류, 파충류 등과 관련된 용어를 정의하고 분류한다.[2]

2. 2. 14. 석조(釋鳥)

《이아》의 열일곱 번째 장인 〈석조(釋鳥)〉는 물새와 관련된 내용, 즉 조류학과 관련된 내용을 다룬다.[2]

2. 2. 15. 석수(釋獸)

《이아》의 열여덟 번째 장인 〈석수(釋獸)〉는 야생 동물 및 전설 속 동물과 관련된 용어를 정의하고 분류한다.[2]

2. 2. 16. 석축(釋畜)

釋畜|Shichu중국어에서는 가축, 애완동물, 가금류 및 일부 동물학 용어를 다룬다. 특히 의 털색에 따른 품종 분류를 언급하여 당시의 축산 기술을 엿볼 수 있다.[3] 이와 유사한 분류는 둔황 현천한간 『전마명적』이나 거연한간에서도 볼 수 있다.[4]

3. 역사

《이아》는 한나라 시대에 중국 고전에 대한 권위 있는 어학 안내서로 여겨졌으며, 송나라 유학자들은 이를 공식적으로 십삼경 중 하나로 분류하여 그 위상을 높였다.[5] 전해지는 가장 오래된 《이아》 주석은 곽박 (276–324)의 《이아주(爾雅注)》(기원 310년경)이다. 유흠의 《이아번씨주(爾雅樊氏注)》(1세기 초), 손염의 《이아음의(爾雅音義)》(3세기 말) 등도 있었으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손염의 《이아음의》는 반절 시스템을 활용한 발음 주석으로 유명하다.[1]

당나라 (618-907) 시대까지는 《이아》에 대한 다양한 텍스트가 존재했지만, 송나라 (960-1279) 시대에 대부분 사라졌다. 그러나 이 시기에 《이아》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다.[1] 북송 형병(邢昺중국어)은 《이아소(爾雅疏)》(기원 1000년경)를 저술하여 일반 문헌과 본초 텍스트의 설명을 인용했다. 육전(陸佃중국어)은 《비아(埤雅)》(1096)와 《이아신의(爾雅新義)》(1099) 주석을 썼고, 남송 나원(羅願중국어)은 《이아익(爾雅翼)》(1174)을 저술했다. 청나라 소진함(邵晋涵중국어, 1743–1796)은 《이아정의(爾雅正義)》를, 학의행(郝懿行중국어)은 《이아의소(爾雅義疏)》(1808-1822)를 썼다.

중국 어학사에서 대부분의 사전은 설문해자의 부수 시스템을 따랐지만, 《이아》와 같은 의미 범주별 분류를 따르는 "《야서(雅書)》(雅書중국어)"도 있었다. 명나라 랑규금(郎奎金중국어)은 《이아》, 《소이아(小爾雅)》, 《이아(逸雅)》(석명(釋名)》), 《광아(廣雅)》, 《비아(埤雅)》를 묶어 《오아(五雅)》를 편찬했다. 이후 《통아(通雅)》, 《편아(駢雅)》, 《별아(別雅)》, 《첩아(疊雅)》 등도 출간되었다. 영락대전과 같은 중국의 류서 백과사전도 의미론적으로 배열되었다. 조셉 니덤은 《이아》의 파생 문학을 중국 백과사전의 주요 계보로 간주한다.[1]

3. 1. 저자 및 편찬 시기

《이아》의 저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 전통적으로 주공, 공자 혹은 그의 제자들의 저작으로 여겨졌으나,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선진 시대의 여러 문헌, 특히 《시경》의 주석들을 바탕으로 여러 사람이 내용을 편집하고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1] 조셉 니덤을 비롯한 여러 학자들은 《이아》가 기원전 4세기 말에서 2세기 초 사이에 편찬되었으며, 일부 핵심 내용은 기원전 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고, 기원전 1세기까지 내용이 추가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1]

《이아》의 각 부분을 별도로 시기를 추정하려는 최초의 시도는 당나라 학자 유득공 (556–627)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는 주공이 《석고(釋詁)》() 장(1)만 편찬하고, 나머지 부분은 후대에 나왔다고 주장했다.[2] 일본의 역사학자이자 중국학자인 나이토 토라지로는 《이아》 텍스트를 분석하여 초기 전국 시대에 기원했으며, 직하학궁이 기원전 325년경부터 상당한 역할을 했고, 텍스트는 진나라와 서한 시대에 확대되고 안정되었다고 결론 내렸다. 나이토는 《석고》 장(1)을 유가 학파의 초기 세대(기원전 450-400년)와 연결하고, 가족 관계, 천문학, 기상학 장(4-8)을 순경(荀卿중국어, 기원전 300-230년) 시대에 배치하고 기원전 90년까지 추가되었으며, 지리학 장(9-12)을 전국 시대 말, 진, 그리고 한 초(기원전 300-200년)에 할당하고, 자연사 장(13-18)을 기원전 300년에서 160년 사이에 두고, 가축에 관한 마지막 장(19)을 문제 또는 경제 시대(기원전 180~140년)에 귀속시킨다.[2]

3. 2. 후대의 수용

한나라 시대에 《이아》는 경전 해석의 권위 있는 참고서로 여겨졌고, 송나라 시대에는 유학자들에 의해 십삼경 중 하나로 공식 지정되어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었다.[5]

진나라 곽박의 《이아주(爾雅注)》, 북송 형병의 《이아소(爾雅疏)》, 청나라 소진함의 《이아정의(爾雅正義)》, 학의행의 《이아의소(爾雅義疏)》 등 다양한 주석서가 편찬되었다.[5]

《이아》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기 위해 저자 불명의 《소이아(小爾雅)》, 나라 장읍의 《광아(廣雅)》, 북송 육전의 《비아(埤雅)》, 남송 나원의 《이아익(爾雅翼)》 등 유사한 성격의 어휘집들이 편찬되었다.[5]

4. 한국어 번역 및 영향

곽박이 주석을 달고 형병이 소를 쓴, 이충구·임채한·김병헌·성당제가 함께 번역한 《역주 이아주소》(전6권)는 2004년 12월 30일 소명출판에서 출간되었다.[1] 《이아》는 한국의 학문과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조선시대 학자들은 《이아》를 연구하고 주석을 달았으며, 이는 한국 고전 연구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현대 한국어 사전 편찬에도 《이아》의 어휘 분류 방식과 내용이 참고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5. 현대적 의의

《이아》는 한나라 시대에 중국 고전에 대한 권위 있는 어학 안내서로 여겨졌으며, 송나라 유학자들은 이를 공식적으로 십삼경 중 하나로 분류하여 "중국 문학, 어학사에서 가장 존경받는 작품 중 하나"로 만들었다.[3] 현대에도 《이아》는 단순한 어휘집을 넘어 고대 동아시아의 지식 체계, 자연관, 사회상을 반영하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다양한 동식물에 대한 상세한 기록은 고대 생물학과 생물지리학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중도진보적 관점에서 볼 때, 《이아》는 언어가 단순한 의사소통 수단을 넘어 사회와 문화를 반영하고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참조

[1] 문서 Shiming (Explanations of Names) https://ctext.org/sh[...]
[2] 서적
[3] 서적 加地伸行著作集1 中国論理学史研究 経学の基礎的探求 研文出版
[4] 서적 馬が語る古代東アジア世界史 汲古書院
[5] 서적 中華名物考 平凡社〈東洋文庫〉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