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십삼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십삼경은 유교 경전으로, 사서오경을 포함한 13개의 고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국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십삼경은 시대에 따라 그 구성이 달라졌으며, 당나라 시대에 십삼경의 형태가 갖춰졌다. 십삼경에 대한 주석을 모아 엮은 십삼경주소는 널리 연구되고 있으며, 다양한 판본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총서 - 사서오경
    사서오경은 유교 경전의 핵심인 사서(논어, 맹자, 대학, 중용)와 오경(시경, 서경, 역경, 춘추, 예기)을 아울러 칭하는 용어로, 동아시아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인문학적 성찰과 윤리적 가치관 함양에 기여한다.
  • 중국의 총서 - 무경칠서
    무경칠서는 손자병법 등 중국의 대표적인 병법서 7종을 묶어 이르는 말로, 다양한 전략과 전술, 군사 제도 등을 담고 있으며 동아시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명수 13 - 십삼도
    십삼도는 1896년 조선이 23부제를 개편하며 전국을 13개 도로 재편하고 관찰사를 둔 행정구역 체계로, 일제강점기까지 행정구역 개편을 거치며 유지되다가 해방 이후 남북한의 상이한 행정구역 체계로 나뉘었다.
  • 명수 13 - 아세안+3
    아세안+3는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10개국과 대한민국, 일본, 중국이 참여하는 동아시아 지역 협력체로서, 금융, 식량 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증진하고 동아시아 공동체 형성을 목표로 한다.
  • 십삼경 - 춘추좌씨전
    《춘추좌씨전》은 춘추 시대 노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춘추 시대의 사건들을 노나라의 관점에서 서술하며, 문학적 가치 또한 높이 평가받는다.
  • 십삼경 - 시경
    《시경》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가집으로, 305편의 시가를 국풍, 아, 송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수록하고 있으며, 유교 경전으로서 동아시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십삼경
개요
명칭십삼경(十三經)
설명유교 경전 13가지 모음
내용
구성역경(易經)
서경(書經)
시경
주례
의례
예기
춘추좌씨전
춘추공양전
춘추곡량전
논어
효경
이아
맹자
중요성유교 연구의 기본 자료

2. 구성

유가 경전에는 육경이 있었으나, 이 중 『악경』은 일찍이 사라져 한대에는 오경이 되었다. 후한 시대에는 여기에 『논어』와 『효경』을 더하여 칠경으로 하였다. 오경 중 『예』에 삼례, 『춘추』에 삼전이 있으므로 나누어 구경으로 하면 십일경이 된다. 당대에는 여기에 『이아』가 더해졌고, 송대에는 『맹자』가 더해져 십삼경이 되었다. 또한 『대대례기』를 더하여 십사경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분류목록
사서(四書)
삼경(三經)
오경(五經)
삼례(三禮)
춘추삼전(春秋三傳)


2. 1. 경서 목록



과거 유가경서에는 육경이 있었으나, 이 중 『악경』은 일찍이 멸망하여 한대에는 오경이 되었다. 후한 시대에는 여기에 『논어』와 『효경』을 더하여 칠경으로 하였다. 오경 중 『예』에 삼례, 『춘추』에 삼전이 있으므로 나누어 구경으로 하면 십일경이 된다. 당대에는 여기에 『이아』가 더해졌고, 송대에는 『맹자』가 더해져 십삼경이 되었다. 또한 여기에 『대대례기』를 더하여 십사경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이 중

2. 2. 분류

분류목록
십삼경
사서(四書)논어》(論語)
삼경(三經)
오경(五經)
삼례(三禮)
춘추삼전(春秋三傳)


3. 역사

중국에서 "고전"이라 불리는 책들은 적어도 전국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장자''에는 공자노자에게 "나는 육경—''시경'', ''서경'', ''예기'', ''악경'', ''주역'', ''춘추''를 공부했다"고 말하는 내용이 있다.[2] 기원전 3세기까지 이 여섯 작품은 고전으로 여겨졌지만, ''악경''은 진나라의 중국 통일 과정에서 사라졌고 한나라 시대에 분실된 것으로 알려졌다. 나머지 오경은 전통적으로 공자가 편집한 것으로 여겨진다.

후한삼국 시대 후반의 기록에는 "칠경"이 언급되어 있지만, 개별적으로 그 이름을 명시하지는 않는다. 당나라 시대에 "구경"에 대한 언급이 흔했지만, 아홉 작품 자체는 출처에 따라 달랐다. 개성석경(833–837)은 ''맹자''를 제외한 열두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남송 시대에 이르러 "십삼경"의 수와 특정 도서가 보편적으로 확립되었다. 십삼경은 과거 시험에 사용된 텍스트를 형성했으며, 60만 자가 넘는 글자들은 합격을 위해 암기해야 했다.

유가경서에는 육경이 있었으나, 이 중 『악경』은 일찍이 멸망하여 한나라 때에는 오경이 되었다. 이후 십삼경에 이르는 과정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대대례기』를 더하여 십사경으로 하는 경우도 있었다.

십삼경의 내역은 다음과 같다.

3. 1. 육경과 오경

전국 시대 ''장자''에는 공자노자에게 "나는 육경—''시경'', ''서경'', ''예기'', ''악경'', ''주역'', ''춘추''를 공부했다"고 말하는 내용이 있다.[2] 이 여섯 작품은 기원전 3세기까지 고전으로 여겨졌지만, ''악경''은 진나라의 중국 통일 과정에서 소실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머지 오경은 전통적으로 공자가 편집한 것으로 여겨졌다. 한나라 시대에는 오경이 되었고, 후한 시대에는 오경에 『논어』와 『효경』을 더하여 칠경으로 하였다. 오경 중 『예』에는 삼례, 『춘추』에는 삼전이 있으므로 나누어 구경으로 하면 십일경이 된다.

3. 2. 칠경, 구경, 십이경

후한 시대 칠경에는 논어효경이 포함되었다.[2] 삼국 시대 후반 기록에는 "칠경"이 언급되었지만, 그 이름을 명시하지는 않았다. 당나라 시대에는 "구경"에 대한 언급이 흔했지만, 아홉 작품 자체는 출처에 따라 달랐다. 개성석경(833–837)은 ''맹자''를 제외한 열두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경에는 삼례, 춘추에는 삼전이 있으므로 나누어 구경으로 하면 십일경이 된다. 당대에는 여기에 이아가 더해졌고, 송대에는 맹자가 더해져 십삼경이 되었다.

3. 3. 십삼경의 확립

중국 문화에서 "고전" 그룹의 전통은 적어도 전국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장자''에는 공자노자에게 "나는 육경—''시경'', ''서경'', ''예기'', ''악경'', ''주역'', ''춘추''를 공부했다"고 말하는 내용이 있다.[2] 이 여섯 작품은 이미 기원전 3세기까지 고전으로 여겨졌지만, ''악경''은 진나라의 중국 통일 혼란 속에서 사라졌고 한나라 시대에 분실된 것으로 여겨졌다. 나머지 오경은 전통적으로 공자가 편집한 것으로 여겨졌다. 후한과 삼국 시대 후반의 기록에는 "칠경"이 언급되어 있지만, 개별적으로 그 이름을 명시하지는 않는다. 당나라 시대에 "구경"에 대한 언급이 흔했지만, 아홉 작품 자체는 출처에 따라 달랐다. 개성석경(833–837)은 ''맹자''를 제외한 열두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남송 시대에 이르러 "십삼경"의 수와 특정 도서가 보편적으로 확립되었다. 십삼경은 과거 시험에 사용된 텍스트였으며, 60만 자가 넘는 글자들은 합격을 위해 암기해야 했다.

유가경서에는 육경이 있었으나, 이 중 『악경』은 일찍이 멸망하여 한나라 때에는 오경이 되었다. 후한 시대에는 여기에 『논어』와 『효경』을 더하여 칠경으로 하였다. 오경 중 『예』에 삼례, 『춘추』에 삼전이 있으므로 나누어 구경으로 하면 십일경이 된다. 당나라 때에는 여기에 『이아』가 더해졌고, 송대에는 『맹자』가 더해져 십삼경이 되었다. 『대대례기』를 더하여 십사경으로 하는 경우도 있었다.

4.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

wikitext

서명전·주
주역정의왕필 (위나라)[4]공영달 (당나라)
상서정의공안국 (전한) 전[5]공영달 (당나라)
모시정의모형·모장 (전한) 전
정현 (후한) 전
공영달 (당나라)
주례주소정현 (후한)가공언 (당나라)
의례주소정현 (후한)가공언 (당나라)
예기주소 (예기정의)정현 (후한)공영달 (당나라)
춘추좌전주소 (춘추좌전정의)두예 (서진)
(『춘추경전집해』)
공영달 (당나라)
춘추공양전주소하휴 (후한)불명[6]
춘추곡량전주소범녕 (서진)양자훈 (당나라)
논어주소하안 (위나라)형병 (북송)
맹자주소조기 (후한)손석 (북송)[7]
효경주소현종 (당나라)
(『어주효경』)
형병 (북송)
이아주소곽박 (서진)형병 (북송)


4. 1. 편찬 과정

십삼경에 대한 한나라 이래 권위 있는 주소를 선택하여 편집한 서적을 『'''십삼경주소'''』라고 한다. 당대에 만들어진 『오경정의』에, 가공언의 『의례소』, 『주례소』 등을 더하여 십삼경의 주와 소를 수록하고 있다. 판본의 반 페이지가 열 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십행본이라고도 칭한다. 간행본에는 십행본 이후, 정덕본·민본·남감본·북감본·급고각본·무영전본 등이 있지만, 청나라의 완원에 의해 교감기를 첨부하여 만들어진 완원본이 가장 유명하다.

2000년, 베이징 대학 출판사가 십삼경주소 정리위원회(이학근 주편)의 『표점본십삼경주소』를 출판했다. 이학근본은 완원의 원각 "가경 20년 개조본"을 복인한 도광본을 다시 복인한 석인을 다시 영인한 세계서국 영인본을 저본으로 하고, 청나라의 손성연의 교감기로 교감한 것으로, "간체판"과 "번체판"이 있다.

거의 동시기에, 대만의 신문풍출판공사에서 "중화총서"(국립편역관 주편)로 『십삼경주소분단표점본』이 공간되었다. 이것은 완원의 원각 "가경 20년 개조본"이 저본이다.

베이징 대학 출판사판도 신문풍출판공사판도, 건륭 4년 간행의 전본은 참조하지 않았다. 또한, 표점 구두가 중화서국판에 미치지 못하는 부분도 있다.

4. 2. 판본

당대에 만들어진 『오경정의』에, 가공언의 『의례소』, 『주례소』 등을 더하여 십삼경의 주와 소를 수록한 것을 『'''十三經注疏|십삼경주소중국어'''』라고 한다. 판본의 반 페이지가 열 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십행본이라고도 한다. 간행본에는 십행본 이후, 정덕본·민본·남감본·북감본·급고각본·무영전본 등이 있지만, 청나라의 완원에 의해 교감기를 첨부하여 만들어진 완원본이 가장 유명하다.

2000년, 베이징 대학 출판사가 십삼경주소 정리위원회(이학근 주편)의 『표점본십삼경주소』를 출판했다. 이학근본은 완원의 원각 "가경 20년 개조본"을 복인한 도광본을 다시 복인한 석인을 다시 영인한 세계서국 영인본을 저본으로 하고, 청나라의 손성연의 교감기로 교감한 것으로, "간체판"과 "번체판"이 있다.

거의 동시기에, 대만의 신문풍출판공사에서 "중화총서"(국립편역관 주편)로 『십삼경주소분단표점본』이 공간되었다. 이것은 완원의 원각 "가경 20년 개조본"이 저본이다.

베이징 대학 출판사판도 신문풍출판공사판도, 건륭 4년 간행의 전본은 참조하지 않았다. 또한, 표점 구두가 중화서국판에 미치지 못하는 부분도 있다.

서명전·주
주역정의왕필()[4]공영달 (당나라)
상서정의공안국 (전한) 전[5]공영달 (당나라)
모시정의모형·모장 (전한) 전
정현 (후한) 전
공영달 (당나라)
주례주소정현 (후한)가공언 (당나라)
의례주소정현 (후한)가공언 (당나라)
예기주소(예기정의)정현 (후한)공영달 (당나라)
춘추좌전주소(춘추좌전정의)두예 (서진)
(『춘추경전집해』)
공영달 (당나라)
춘추공양전주소하휴 (후한)불명[6]
춘추곡량전주소범녕 (서진)양자훈 (당나라)
논어주소하안 ()형병 (북송)
맹자주소조기 (후한)손석 (북송)[7]
효경주소현종 (당나라)
(『어주효경』)
형병 (북송)
이아주소곽박 (서진)형병 (북송)


4. 3. 현대의 십삼경주소 정리본

당대에 만들어진 오경정의에 가공언의 『의례소』, 『주례소』 등을 더하여 십삼경의 주와 소를 수록하고, 한나라 이래 권위 있는 주소를 선택하여 편집한 서적을 『'''十三經注疏|십삼경주소중국어'''』라고 한다. 판본의 반 페이지가 열 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십행본이라고도 한다. 간행본에는 십행본 이후, 정덕본·민본·남감본·북감본·급고각본·무영전본 등이 있지만, 청나라 완원이 교감기를 첨부하여 만든 완원본이 가장 유명하다.[4]

2000년, 베이징 대학 출판사가 십삼경주소 정리위원회(이학근 주편)의 『표점본십삼경주소』를 출판했다. 이학근본은 완원의 원각 "가경 20년 개조본"을 복인한 도광본을 다시 복인한 석인을 다시 영인한 세계서국 영인본을 저본으로 하고, 청나라 손성연의 교감기로 교감한 것으로, "간체판"과 "번체판"이 있다.

거의 동시기에, 대만 신문풍출판공사에서 "중화총서"(국립편역관 주편)로 『십삼경주소분단표점본』을 공간하였다. 이것은 완원의 원각 "가경 20년 개조본"이 저본이다.

베이징 대학 출판사판과 신문풍출판공사판 모두 건륭 4년 간행의 전본은 참조하지 않았다. 또한, 표점 구두가 중화서국판에 미치지 못하는 부분도 있다.

서명전·주
주역정의왕필()[4]공영달 (당나라)
상서정의공안국 (전한) 전[5]공영달 (당나라)
모시정의모형·모장 (전한) 전
정현 (후한) 전
공영달 (당나라)
주례주소정현 (후한)가공언 (당나라)
의례주소정현 (후한)가공언 (당나라)
예기주소(예기정의)정현 (후한)공영달 (당나라)
춘추좌전주소(춘추좌전정의)두예 (서진)
(『춘추경전집해』)
공영달 (당나라)
춘추공양전주소하휴 (후한)불명[6]
춘추곡량전주소범녕 (서진)양자훈 (당나라)
논어주소하안 ()형병 (북송)
맹자주소조기 (후한)손석 (북송)[7]
효경주소현종 (당나라)
(『어주효경』)
형병 (북송)
이아주소곽박 (서진)형병 (북송)


4. 4. 십삼경주소 목록

서명전·주
주역정의왕필 (위나라)[4]공영달 (당나라)
상서정의공안국 (전한) 전[5]공영달 (당나라)
모시정의모형·모장 (전한) 전
정현 (후한) 전
공영달 (당나라)
주례주소정현 (후한)가공언 (당나라)
의례주소정현 (후한)가공언 (당나라)
예기주소 (예기정의)정현 (후한)공영달 (당나라)
춘추좌전주소 (춘추좌전정의)두예 (서진)
(『춘추경전집해』)
공영달 (당나라)
춘추공양전주소하휴 (후한)불명[6]
춘추곡량전주소범녕 (서진)양자훈 (당나라)
논어주소하안 (위나라)형병 (북송)
맹자주소조기 (후한)손석 (북송)[7]
효경주소현종 (당나라)
(『어주효경』)
형병 (북송)
이아주소곽박 (서진)형병 (북송)


참조

[1] 서적 Chinese history: a manual Harvard Univ Asia Center
[2] 서적 Writing and authority in early China SUNY Press
[3] 문서 REDIRECT
[4] 문서 繋辞伝・説卦伝・序卦伝・雑卦伝は韓康伯(晋 (王朝)|晋)の注で補い、敷衍している。
[5] 문서 実際には後世の偽作と考えられており、「偽孔伝」とも呼ばれる
[6] 문서 唐の徐彦の作と伝えるが根拠がなく、おそらく南北朝時代 (中国)|南北朝時代]]の作であることが阮元の校勘記に指摘されている
[7] 문서 孫奭が孟子の疏を作ったということは記録に見えず、後世の偽作とされる。古来非常に評判が悪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