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무라다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와무라다번은 1703년 무사시국 아카누마번의 영주였던 나이토 마사토모가 시나노국 사쿠군에 1만 6천 석의 영지를 받아 이와무라다 진야를 설치하면서 성립되었다. 이후 셋쓰국과 가와치국으로 영지가 일시 이동하기도 했으나, 2대 번주 나이토 마사유키 대에 다시 사쿠 군으로 돌아왔다. 6대 번주 나이토 마사쓰나는 후시미 부교를 역임하고 성주격으로 승진했으며, 마지막 번주 나이토 마사노부는 보신 전쟁에서 신정부군에 속해 호쿠에쓰 전쟁에 출병했다. 1869년 판적봉환과 1871년 폐번치현으로 번이 폐지된 후 이와무라다 현이 되었다가 나가노현에 흡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쿠시 - 모토마키정
1954년 정으로 승격되었으나 1959년 모치즈키정으로 통합 폐지된 모토마키정은 JR 동일본 기타카미 선 모토마키역과 국도 제13호선, 342호선이 지나는 교통 요충지였다. - 이와무라다번주 - 나이토 마사쓰나
나이토 마사쓰나는 미즈노 타다미츠의 아들이자 나이토 마사쿠니의 양자이며 오오카 타다마사의 딸을 정실로 맞이하여 마사요시, 노리히로, 마사아츠, 노부타미를 포함한 여러 자녀를 두었다. - 이와무라다번주 - 나이토 마사토모 (1663년)
나이토 마사토모는 에도 시대 무사로 아카누마 번 초대 번주 나이토 마사카쓰의 장남이며, 가독을 이은 후 오사카 정번으로서 시나노 이와무라다로 영지를 옮기고 영내 법도를 반포하였으며, 슬하에 자녀를 두었고 사망 후 가독은 차남이 이었다. - 시나노국의 번 - 오와리번
오와리번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아들 요시나오가 다스리면서 성립되어 나고야성을 중심으로 여러 지역에 걸쳐 영지를 소유하고 고산케의 필두로서 막부 내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폐번치현으로 해체되어 아이치현의 일부가 되었다. - 시나노국의 번 - 고모로번
고모로번은 센고쿠 시대부터 메이지 시대 초기에 걸쳐 시나노국 고모로 지역을 다스린 번으로, 센고쿠 히데히사 이후 마쓰다이라, 아오야마, 사카이, 니시오, 마키노 가문 등이 번주를 역임했으며, 특히 마키노 가문이 1702년부터 폐번치현까지 안정적으로 번정을 운영했다.
이와무라다번 | |
---|---|
기본 정보 | |
국가 | 에도 시대 번 |
위치 | 시나노국 사쿠군 이와무라다 |
역사 | |
입번 | 1703년 |
폐번치현 | 1871년 |
역대 번주 | |
초대 | 나이토 마사치카 |
마지막 | 나이토 마사나가 |
번주 가문 | |
가문 | 나이토 씨 |
통치 |
2. 번의 역사
겐로쿠 16년(1703년) 8월, 무사시국 아카누마번주 나이토 마사토모가 무사시국・고즈케국・히타치국・가즈사국・시모사국 등 각지에 산재해 있던 1만 5천 석 영지가 시나노국 사쿠군 내 27개 촌의 1만 6천 석 영지로 교체되어 이와무라다 진야를 설치하면서 이와무라다 번이 성립하였다. 그 후, 셋쓰국・가와치국(지금의 오사카부) 내의 영지로 일시 이봉되었으나, 그의 차남인 제2대 번주 나이토 마사유키 대에 다시 사쿠 군 내로 이봉되었다. 이처럼 소령의 장소가 빈번히 바뀌는 일이 많았으나, 번정 면에서는 특별히 주목할 만한 점 없이 그대로 대가 이어졌다.
6대 번주 나이토 마사쓰나는 로주 미즈노 다다쿠니의 친동생인 관계로, 후시미 부교(伏見奉行)에 임명되어 그 공적으로 안세이 5년(1858년)에 성주격으로 승진하였다. 최후의 번주인 나이토 마사노부는 닛코 제례 부교(日光祭礼奉行일본어)・소자반・지샤부교 등을 역임하였다. 보신 전쟁에서는 신정부군에 속해 호쿠에쓰 전쟁에 출병하였다. 이 무렵, 이와무라다에서는 축성 계획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메이지 2년(1869년)의 판적봉환 및 메이지 4년(1871년)의 폐번치현으로 번이 폐지되면서 성은 미완성인 상태로 폐성되었다. 그리고 이와무라다 현이 되었다가 최후에는 나가노현에 흡수되었던 것이다.
2. 1. 성립
겐로쿠 16년(1703년) 8월, 무사시국 아카누마번주 나이토 마사토모가 무사시국・고즈케국・히타치국・가즈사국・시모사국 등 각지에 산재해 있던 1만 5천 석 영지가 시나노국 사쿠군 내 27개 촌의 1만 6천 석 영지로 교체되어 이와무라다 진야를 설치하면서 이와무라다 번이 성립하였다. 그 후, 셋쓰국・가와치국(지금의 오사카부) 내의 영지로 일시 이봉되었으나, 그의 차남인 제2대 번주 나이토 마사유키 대에 다시 사쿠 군 내로 이봉되었다. 이처럼 소령의 장소가 빈번히 바뀌는 일이 많았으나, 번정 면에서는 특별히 주목할 만한 점 없이 그대로 대가 이어졌다. 재정은 그다지 좋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며, 아이들의 공놀이 노래에까지 "돈이 없어서…"라고 불릴 정도였다.[5]2. 2. 번 통치
겐로쿠 16년(1703년) 8월, 나이토 마사토모가 무사시국 아카누마번에서 무사시국・고즈케국・히타치국・가즈사국・시모사국 등 각지에 산재해 있던 1만 5천 석 영지 대신 시나노국 사쿠군 내 27개 촌의 1만 6천 석 영지를 받아 이와무라다 진야를 세우면서 이와무라다 번이 성립하였다.[5] 그 후, 셋쓰국・가와치국(지금의 오사카부) 내의 영지로 일시 이봉되었으나, 그의 차남인 제2대 번주 나이토 마사유키 대에 다시 사쿠 군 내로 이봉되었다. 이처럼 소령의 장소가 빈번히 바뀌었으나, 번정 면에서는 특별히 주목할 만한 점 없이 그대로 대가 이어졌다. 재정은 넉넉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이며, 아이들의 공놀이 노래에까지 "돈이 없어서…"라고 불릴 정도였다.[5]6대 번주 나이토 마사쓰나는 로주 미즈노 다다쿠니의 친동생인 관계로, 후시미 부교(伏見奉行)에 임명되어 그 공적으로 안세이 5년(1858년)에 성주격으로 승진하였다. 최후의 번주인 나이토 마사노부는 닛코 제례 부교(日光祭礼奉行일본어)・소자반・지샤부교 등을 역임하였다. 보신 전쟁에서는 신정부군에 속해 호쿠에쓰 전쟁에 출병하였다.[5] 이 무렵, 이와무라다에서는 축성 계획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메이지 2년(1869년)의 판적봉환 및 메이지 4년(1871년)의 폐번치현으로 번이 폐지되면서 성은 미완성인 상태로 폐성되었다. 이와무라다 현은 나가노현에 흡수되었다. 진야터 근처의 나카지마 공원으로 이전되었던 창고 건물은 해체 철거되어 현재는 흔적이 남아있지 않다.
2. 3. 막부 말기
6대 번주 나이토 마사쓰나는 로주 미즈노 다다쿠니의 친동생으로, 후시미 부교(伏見奉行)에 임명되어 그 공적으로 안세이 5년(1858년)에 성주격(城主格)으로 승진하였다.[5] 마지막 번주 나이토 마사노부는 닛코 제례 부교(日光祭礼奉行)・소자반・지샤부교 등을 역임하였다. 보신 전쟁에서는 신정부군에 속해 우쓰노미야 성 전투와 호쿠에쓰 전쟁에 출병하였다.[5] 이 무렵, 이와무라다에서는 축성 계획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메이지 2년(1869년)의 판적봉환 및 메이지 4년(1871년)의 폐번치현으로 번이 폐지되면서 성은 미완성인 상태로 폐성되었다. 그리고 이와무라다 현이 되었다가 최후에는 나가노현에 흡수되었다.2. 4. 보신 전쟁과 폐번치현
나이토 마사노부는 닛코 제례 부교(日光祭礼奉行일본어)・소자반・지샤부교 등을 역임하였다.[5] 보신 전쟁에서는 신정부군에 속해 호쿠에쓰 전쟁에 출병하였다.[5] 이 무렵, 이와무라다에서는 축성 계획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1869년의 판적봉환 및 1871년의 폐번치현으로 번이 폐지되면서 성은 미완성인 상태로 폐성되었다.[5] 이와무라다 번은 이와무라다 현이 되었다가 나가노현에 흡수되었다.[5]3. 역대 번주
1703년 나이토 마사토모가 무사시아카누마 번에서 이봉되어 이와무라다번을 성립시켰다. 초대 번주이다. 나이토 마사토모는 종5위하 시키부쇼유에 임명되었다. 겐로쿠 16년(1703년)부터 쇼토쿠 원년(1711년)까지 재임했다. 내토 마사카츠의 장남이다.
이와무라다번의 2대 번주이다. 1711년부터 1746년까지 재임했다. 시모사노카미(下総守)라는 관례 칭호를 사용하였고, 종5위하(従五位下)의 조정 관위를 받았다. 나이토 마사토모의 차남으로, 아버지의 사망으로 인해 유령 상속을 받았다.
나이토 마사스케(内藤正弼)는 이와무라다번의 3대 번주이다. 1746년부터 1770년까지 번주로 재임하였다. 관위는 종5위하, 미노노카미(美濃守)이다. 아버지 나이토 마사유키(内藤正敬)가 사망하면서 유령 상속으로 번주직을 계승했다. 재임 기간 동안 16,000석에서 15,000석으로 고쿠다카(石高)가 감소했다.
나이토 마사오키(内藤正興)는 이와무라다번의 4대 번주이다. 1770년부터 1792년까지 재임하였다. 나이토 마사스케의 차남으로, 아버지가 사망하면서 1770년에 번주 자리를 물려받았다. 관위는 종5위하 시마노카미(志摩守)이다.
나이토 마사쿠니(内藤正国)는 이와무라다번의 5대 번주이다. 1792년부터 1802년까지 재임하였다. 미노노카미(美濃守) 관직을 역임하였고, 종5위하(従五位下)의 관위를 받았다. 15,000 고쿠를 다스렸다.
마사쿠니는 선대 번주 내토 마사오키의 사위로, 히젠 가라쓰번의 2대 번주 미즈노 타다아키라의 4남으로 태어나 양자로 입적했다. 1792년(간세이 4년), 양부 마사오키가 사망하면서 번주 자리를 계승했다. 1802년(교와 2년)까지 재임하였고, 이후에는 미즈노 타다미츠의 3남이자 자신의 조카인 내토 마사츠나를 양자로 들여 가독을 물려주었다.
나이토 마사쓰나(内藤正縄)는 이와무라다번의 6대 번주이다. 히젠가라쓰번의 제3대 번주 미즈노 다다미쓰의 3남으로, 5대 번주 나이토 마사쿠니의 조카이자 양자로서 1803년부터 1860년까지 번주로 재임했다.
마사쓰나는 후시미 부교를 역임하였고, 그 공적을 인정받아 성주격으로 승진하였다. 조정 관위는 종5위하 분고노카미였다.
나이토 마사노부(内藤正誠)는 이와무라다번의 마지막 번주이다. 1860년 조부 나이토 마사쓰나(内藤正縄)가 사망하면서 번주 자리를 계승했다. 그는 닛코 제례 부교, 소자반, 지샤부교 등을 역임했다. 보신 전쟁에서는 신정부군에 가담하여 활약했다.
3. 1. 나이토 마사토모 (内藤正友)
1703년 나이토 마사토모가 무사시아카누마 번에서 이봉되어 이와무라다번을 성립시켰다. 초대 번주이다. 나이토 마사토모는 종5위하 시키부쇼유에 임명되었다. 겐로쿠 16년(1703년)부터 쇼토쿠 원년(1711년)까지 재임했다. 내토 마사카츠의 장남이다.3. 2. 나이토 마사유키 (内藤正敬)
이와무라다번의 2대 번주이다. 1711년부터 1746년까지 재임했다. 시모사노카미(下総守)라는 관례 칭호를 사용하였고, 종5위하(従五位下)의 조정 관위를 받았다. 나이토 마사토모의 차남으로, 아버지의 사망으로 인해 유령 상속을 받았다.3. 3. 나이토 마사스케 (内藤正弼)
나이토 마사스케(内藤正弼)는 이와무라다번의 3대 번주이다. 1746년부터 1770년까지 번주로 재임하였다. 관위는 종5위하, 미노노카미(美濃守)이다. 아버지 나이토 마사유키(内藤正敬)가 사망하면서 유령 상속으로 번주직을 계승했다. 재임 기간 동안 16,000석에서 15,000석으로 고쿠다카(石高)가 감소했다.3. 4. 나이토 마사오키 (内藤正興)
나이토 마사오키(内藤正興)는 이와무라다번의 4대 번주이다. 1770년부터 1792년까지 재임하였다. 나이토 마사스케의 차남으로, 아버지가 사망하면서 1770년에 번주 자리를 물려받았다. 관위는 종5위하 시마노카미(志摩守)이다.# | 이름 | 재임 기간 | 관례 칭호 | 조정 관위 | 고쿠다카 | 비고 |
---|---|---|---|---|---|---|
4 | 1770-1792 | 시마노카미(志摩守) | 종5위하(従五位下) | 15,000 고쿠 |
대 | 씨명 | 관위·관직 | 취봉 | 재임 기간 | 전(前) 번주와의 혈연관계·비고 |
---|---|---|---|---|---|
4 | 내토 마사오키 (内藤正興) | 종5위하·시마노카미 | 유령 상속 (부친의 사망으로 인해) | 메이와 7년 - 간세이 4년 (1770년 - 1792년) | 선대의 차남 |
3. 5. 나이토 마사쿠니 (内藤正国)
나이토 마사쿠니(内藤正国)는 이와무라다번의 5대 번주이다. 1792년부터 1802년까지 재임하였다. 미노노카미(美濃守) 관직을 역임하였고, 종5위하(従五位下)의 관위를 받았다. 15,000 고쿠를 다스렸다.마사쿠니는 선대 번주 내토 마사오키의 사위로, 히젠 가라쓰번의 2대 번주 미즈노 타다아키라의 4남으로 태어나 양자로 입적했다. 1792년(간세이 4년), 양부 마사오키가 사망하면서 번주 자리를 계승했다. 1802년(교와 2년)까지 재임하였고, 이후에는 미즈노 타다미츠의 3남이자 자신의 조카인 내토 마사츠나를 양자로 들여 가독을 물려주었다.
3. 6. 나이토 마사쓰나 (内藤正縄)
나이토 마사쓰나(内藤正縄)는 이와무라다번의 6대 번주이다. 히젠가라쓰번의 제3대 번주 미즈노 다다미쓰의 3남으로, 5대 번주 나이토 마사쿠니의 조카이자 양자로서 1803년부터 1860년까지 번주로 재임했다. 미즈노 다다쿠니의 친동생이기도 하다.마사쓰나는 후시미 부교를 역임하였고, 그 공적을 인정받아 성주격으로 승진하였다. 조정 관위는 종5위하 분고노카미였다.
3. 7. 나이토 마사노부 (内藤正誠)
나이토 마사노부(内藤正誠)는 이와무라다번의 마지막 번주이다. 1860년 조부 나이토 마사쓰나(内藤正縄)가 사망하면서 번주 자리를 계승했다. 그는 닛코 제례 부교, 소자반, 지샤부교 등을 역임했다. 보신 전쟁에서는 신정부군에 가담하여 활약했다.4. 영지
대부분의 한과 마찬가지로, 이와무라다 번은 할당된 고쿠다카를 제공하도록 계산된 여러 개의 분리된 영토로 구성되었으며, 이는 정기적인 지적 조사와 예상되는 농업 수확량을 기반으로 했다.[2][3]
위 외에 사쿠군 1개 마을의 막부령을 맡아, 메이지 유신 후에 본번에 편입했다.
4. 1. 시나노국
이와무라다 번은 고쿠다카를 기준으로 산정된 여러 개의 분리된 영토로 구성되었다.[2][3] 영지는 시나노국 내 지이사가타군 4개 마을과 사쿠군 20개 마을, 고모로군 4개 마을을 포함했으며, 사쿠 군 1개 마을의 막부령을 관리하다 메이지 유신 이후 본번에 편입했다.참조
[1]
웹사이트
Shinano Province
http://www.japanese-[...]
2013-05-13
[2]
서적
The Bakufu in Japa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3]
서적
Warlords, Artists, & Commoners: Japan in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4]
간행물
佐久市志民俗編上
長野県佐久市
1990-02-20
[5]
웹사이트
第7回 渋沢栄一と旧幕時代岩村田藩領の人々
https://www.city.sak[...]
2022-0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