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주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주좌는 고려 시대의 문신으로, 경주에서 태어났다. 그는 목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하여, 어사, 시어사, 기거사인 등을 거쳐 동북면병마사로 활동하며 백성들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노력했다. 이후 어사중승, 우간의대부, 국자감좨주, 우산기상시 등을 역임했으며, 형부상서 판어사대사로 재직 중 사망했다. 사후 정종으로부터 증 사공 상서우복야의 추증을 받았으며, 후손으로는 이서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직한 사람 - 김홍미
    김홍미는 조선 중기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이조좌랑, 홍문관응교, 승정원 동부승지 등을 역임하며 관직 생활을 했고, 이순신 탄핵에 가담했으며 임진왜란 중에는 경상좌도도사로 활약했고, 사후 봉산서원에 배향되었으며, 저서로 《성극당집》이 있다.
  • 1040년 사망 - 해럴드 1세
    해럴드 1세는 1035년부터 1040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왕으로, 크누트 대왕의 아들로 추정되며 섭정을 거쳐 왕위에 올랐지만, 하르데크누트에게 시신이 훼손되었다.
  • 1040년 사망 - 돈카드 1세 막 크리난
    돈카드 1세 막 크리난은 1034년부터 1040년까지 스코틀랜드의 왕으로, 말콤 2세의 외손자로서 왕위를 계승했지만 잉글랜드 침략 실패와 모레이 전투 패배로 맥베스에게 살해당했으며, 그의 통치는 왕권 강화 노력으로 특징지어진다.
  • 서예가 - 윤관
    고려 시대 윤관은 문종 때 과거에 급제한 무신이자 정치가로, 숙종 대 왕권 강화 정책을 추진하고 여진 정벌을 주도하여 동북 9성을 축조했으나, 정치적 음모로 실각한 후 그의 묘는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서예가 - 김집 (1574년)
    사계 김장생의 아들이자 조선 중기 문신이자 예학자인 김집은 율곡 이이, 성혼의 성리학과 송익필의 예학을 계승하고 인조반정 공신을 비판하는 등 강직한 성품을 보였으며, 『신독재문집』 등의 저서를 남기고 많은 제자를 배출하여 조선 후기 예학과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쳐 문묘에 배향되고 동방 18현에 오르는 영예를 누렸다.
이주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주좌
한자 표기李周佐
출생지고려 경상북도 동경부
사망일1040년 음력 8월
사망지고려 개경부
거주지동경, 개경
국가고려
국적고려
본관경주
직업 및 직책
직업문신, 정치인
직책문신, 정치인
가족 관계
부모이승훈
형제이주복(형), 이제정(형)
조카이칭(조카), 이우칭(조카)
종조부이윤장(종조부)

2. 생애

2. 1. 출생과 가계

이주좌(李周佐)는 경상북도 동경부에서 평장사(平章事)에 추증된 이승훈(李承訓)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으나 출생년대와 생일은 미상이다. 그의 형제들로는 그의 위로 이주복(李周復)과 이제정(李齊廷)이 있다. 이주복은 목종 때 좌사간을 역임하였고, 이제정은 시랑을 역임하였다.[2][3][4]

고려명신록에는 그가 한미한 가문 출신이라 되어 있으나 고려명신록과 고려사에 나타난 기록과는 다르게, 그의 증조부 이금서(李金書)는 신라에서 관리생활을 하다가 뒤에 경순왕과 함께 고려에 투항하여 고려의 후삼국통일을 도운 공로로 삼한공신에 봉해졌다. 그의 조부 이윤홍(李潤弘)은 신라고려초 병정(兵正)을 지낸 고관이었고, 종조부 이윤장(李潤張)은 대사마와 대장군을 지낸 중견 관료이므로 기록이 일치되지 않는 모순이 나타난다. 그의 가계 부분은 후대에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그의 증조부 이금서(李金書)는 경순왕의 3녀 '부인 김씨'(夫人 金氏)와 결혼하였다. 이에 대해 경순왕의 딸 '부인 김씨'가 그의 친 증조모인지, 혹은 조부의 계모인지 여부는 불투명하다. 만약 고려 태조 왕건의 딸 낙랑공주경순왕 사이에터 태어난 딸 '부인 김씨'가 이주좌의 생 증조할머니가 된다면 고려사고려사절요의 이주좌가 한미한 집에서 태어났다는 주장과는 상당히 모순된다. 그의 가계에 대해 한미하다 하고 있는바, 이주좌의 증조모가 경순왕의 3녀 '부인 김씨'가 아닌 이금서의 또 다른 부인인지 여부에 대해 고증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2. 2. 청년기

그는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영리하여[2] 글을 잘 지었고, 학문에 정진하였다. 그의 재능을 알아본 상서좌복야(左僕射) 이성공(李成功)이 동경유수로 있을 때 첫눈에 그를 큰 그릇으로 여겨 나중에 발탁하였다. 이성공이 임기를 마치고 도성으로 들어갈 때 이주좌는 그의 천거로 국학(國學)에 입학하게 되었다.[2]

2. 3. 과거 급제와 관료 생활

목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상주목 기실참군사가 되었다가 승진하여 감찰어사가 되었다. 1015년(현종 7년) 4월 어사대감찰이 되었다.[5]

1023년(현종 14년) 10월 시어사(侍御史)가 되었다. 그 뒤 현종 때 기거 사인(起居舍人)을 거쳐 동북면병마사가 되었다. 이 때에 그는 삭방도내의 등주와 명주의 19개 속현이 번적(蕃賊)의 피해를 크게 입어 주민 생활의 피해가 심하여 주민들의 생활이 곤란해지자, 피해 지역임을 들어 조정에 구제 대책을 청원하여 피해지역 주민들의 세금을 감면시켜 주었다.[2] 1030년(현종 21년) 8월 어사중승이 되었다.

그 뒤 1033년(덕종 2년) 초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를 지냈다.[2] 1034년(덕종 3년) 3월 국자감좨주 좌간의대부, 1036년(정종 2년) 2월 우산기상시가 되었다.

1036년산기상시를 거쳐 1040년 8월 형부상서 판어사대사사로 재직 중 사망하였다.[7]

2. 4. 사후

정종은 그의 죽음을 애석히 여겨 증 사공 상서우복야(司空尙書右僕射)를 추증하고 쌀과 보리 4백석, 차와 의복을 부의로 보냈으며, 백관들에게 회장(會葬)하도록 명하였다.[7]

조카 이칭은 사록을 역임했고, 종증손 이총섬은 목종 때 과거 시험[8]과는 별도로 국자감에서 별도로 주관하는 국자감시를 열 것을 건의하여 성사시켰다.

3. 가족 관계

이주좌의 부인과 자녀, 손자녀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아 알 수 없다.[9]

관계이름
증조부이금서(李金書)
증조모미상 (이금서의 다른 부인)
증조모경순왕의 딸 신란궁부인 김씨[9]
조부이윤홍(李潤弘), 신라고려 초 병정(兵正) 역임[10]
숙부이승겸(李承謙) 판예부사 역임
사촌손광립(孫光立)의 처
사촌이문한(李文漢)
아버지이승훈(李承訓), 정조·내사시랑 역임
이주복(李周復)
조카이칭(李稱), 이총섬(李寵暹)의 조부
조카이우칭
이제정(李齊廷)


4. 평가

남공철에 의하면 이주좌는 도량이 크고 활달하며 의표가 옥처럼 깨끗하고 훤칠하였으며, 조정에서 40여 년 벼슬을 하는 동안 시종 대신의 체통을 유지하였다고 한다.[11]

5. 기타

그의 후손 중 이서는 고려 고종 때 밀성부사와 군기감(軍器監)을 역임하고, 1268년 판위위사사(判衛尉寺事), 벽상공신삼중대광(壁上功臣三重大匡)에 올라 아주백(아산의 옛 이름)에 봉해졌다. 이후 이서의 후손들은 본관을 아산 이씨로 했는데, 그와 이서 사이의 계대는 실전되었다.

참조

[1] 문서 나말여초의 향직
[2] 서적 고려명신전 성남 문화원 2004
[3] 문서 경주이씨 대종보 총편의 설명
[4] 문서 이제명 묘지명
[5] 서적 고려사
[6] 서적 고려사
[7] 서적 고려명신전 성남 문화원 2004
[8] 문서 광종 때 후주 사람 쌍기의 건의
[9] 문서 이윤홍의 병정 경력과 친어머니 가능성
[10] 문서 나말여초의 향직
[11] 서적 고려명신전 성남 문화원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