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금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금서는 신라 말 고려 초의 인물로, 중원태수를 역임하고 935년 경순왕이 고려에 귀부할 때 함께 입조하여 고려 태조 때 삼한공신에 책록되었다. 이금서의 가계와 관련된 논란으로는 아버지 이금현과의 형제 관계 추정, 아들들의 분적 및 시조 논란, 그리고 이제현 묘지명에 기록된 내용과 연대 상의 모순 등이 있다. 또한, 증손자 이주좌의 가문에 대한 기록의 진위 여부도 논란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라의 문신 - 최승우
    최승우는 신라 말기 육두품 출신으로 당나라 유학 후 후백제 관료로 활동하며 뛰어난 문장력을 인정받아 최치원, 최언위와 함께 일대삼최로 불린 당대 최고의 문장가이다.
  • 신라의 문신 - 소벌도리
    소벌도리는 신라 건국 설화 속 돌산고허촌 촌장으로, 박혁거세를 발견하고 양육하여 신라 건국에 기여, 사량부 대인이 되었으며, 그의 후손은 경주 최씨와 진주 소씨의 시조가 되었다.
  • 고려의 공신 - 완풍대군
    완풍대군 이원계는 고려 말 무신이자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위화도 회군에 반대하다 사망 후 대군으로 추봉되었으며 홍건적과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완산군에 봉해졌고 조선 개국 후 완산백에 추봉, 여러 사당에 배향되었다.
  • 고려의 공신 - 지채문
    지채문은 고려 전기의 무신으로, 거란의 2차 침입 때 서경 방어에 참여했다가 현종의 몽진을 호종하며 왕을 보호한 공으로 공신에 녹훈되고 상장군 우복야에 올랐으며 사후 1등공신에 추록되었다.
  • 경주 이씨 - 이상화 (시인)
    이상화는 일제강점기의 저항 시인으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와 같은 작품을 통해 민족의 저항 의지를 표현했으며, 민족 시인으로서의 고뇌와 헌신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며, 그의 작품과 정신은 현재에도 재평가되고 있다.
  • 경주 이씨 - 이명박
    이명박은 기업인 출신으로 서울특별시장을 거쳐 제17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청계천 복원 등의 사업을 추진했으나, 4대강 사업 등으로 논란을 겪고 퇴임 후에는 다스 횡령 등의 혐의로 수감되었다가 특별사면되었다.
이금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금서
한자 표기李金書
직함중원태수
관직 정보
직위중원태수
임기? ~ ?
군주신라경순왕 ~ 고려 태조
개인 정보
출생일?
사망일?
가문
가문경주 이씨
부친이금현(신라 병부령)
배우자신란궁부인 김씨(고려 태조의 외손녀, 신라 경순왕의 차녀)
자녀1남 : 이윤홍
2남 : 이윤원
3남 : 이윤장
친인척장인 : 신라 경순왕
장모 : 고려낙랑공주 왕씨
처외조부 : 고려 태조
기타
웹사이트나우루 공식 홈페이지

2. 생애

신라고려 초에 중원태수(中原太守)를 역임하였다. 935년(경순왕 8) 11월 경순왕이 고려에 귀부할 때 함께 입조하였고, 고려 태조 때 삼한공신(三韓功臣)에 책록되었다.

3. 논란과 의혹

이금서와 관련된 여러 기록에서는 그의 가계, 활동 연대, 후손의 사회적 지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의문점과 모순이 제기된다.

주요 논란으로는 아버지와의 관계에 대한 오해, 아들들의 분적(分籍) 기록 오류, 부인으로 알려진 신란궁부인 김씨와의 혼인 및 자녀 출생 기록과 관련된 문제 등이 있다. 특히 고려 태조 시기 활동 기록과 경순왕의 귀부 및 신란궁부인 김씨와의 혼인 시점 사이에 연대적 불일치가 존재하며, 이는 아들들의 활동 시기 기록과도 충돌하여 혼란을 야기한다. 또한 증손자인 이주좌(李周佐)가 고려사 등 정사(正史) 기록에서 한미한 가문 출신으로 묘사된 점 역시 그의 가문 배경과 상충되어 논란의 대상이 된다.

이러한 논란들은 주로 족보 기록과 이제현 묘지명 등 서로 다른 자료 간의 불일치에서 비롯되며, 각 기록의 신뢰도 문제와 해석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

3. 1. 가계도 논란

일설에는 아버지로 알려진 이금현(李金現)과 형제 관계라는 주장이 있다. 이는 이금현과 이금서(李金書) 부자의 이름에 '금(金)'자가 공통으로 들어간 점에서 비롯된 오해로 보인다. 하지만 신라와 고려 시대에는 아들의 이름에 아버지 이름에 쓰인 글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예를 들어 안동 권씨 시조 권행(權幸)의 아들 인행(仁幸), 연산 공씨 시조 공직(龔直, ?~939)의 아들 직달(直達) 등이 있다.

경주 이씨 대동보에 따르면 이금서의 아들은 이윤홍(李潤弘), 이윤원(李潤遠), 이윤장(李潤張) 세 명이다.[4] 이 중 둘째 아들 이윤원(李潤遠)은 가평 이씨(加平李氏)로, 셋째 아들 이윤장(李潤張)은 평창 이씨(平昌李氏)로 분적(分籍, 본관을 달리하여 갈라져 나감)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평창 이씨경주 이씨에서 분적한 가문이 아니라고 밝혀져 분적종에서 제외되었으며, 가평 이씨는 본래 중국에서 유래한 성씨로 경주 이씨와는 관련이 없다. 평창 이씨 내부에서는 숙종 대에 만들어진 족보를 근거로 이윤장(李潤張)을 시조로 보는 분파[5]와 이광(李匡)을 시조로 보는 분파[6] 간의 대립이 있었다. 하지만 해당 족보가 위작으로 판명되면서 이광(李匡)을 시조로 확정하고 이윤장과의 관련성을 부정하였다.

한편, 이제현(李齊賢)의 묘지명(墓誌銘)에는 "신라왕 김부(金溥, 경순왕)가 나라를 바치고 고려 조정에 들어와 태조의 딸인 낙랑공주(樂浪公主)에게 장가들어 딸[7]을 낳았고, 그 딸이 금서(이금서)의 아내가 되어 윤홍(潤弘)을 낳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이윤홍이 '신라말'에 병정(兵正) 벼슬을 했다는 기록 때문에 연대상의 문제점이 지적되기도 한다. 하지만 여기서 '신라말'은 신라 말기부터 고려 초기까지의 혼란기, 즉 '나말여초(羅末麗初)'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경주이씨 대종보 총편에는 '고려가 병부령(兵部令) 및 병정(兵正)을 그대로 두었고 그 직급은 재상(宰相)과 견준다(高麗仍置兵部令及兵正秩視宰相)'[8]는 설명이 있다. 이는 신라 말에 존재했던 병부령과 병정 관직이 고려 초기에도 유지되었음을 의미한다. 이 시기의 병부령과 병정은 고려 초기에 난립했던 지방 호족 세력이 독자적으로 설치한 지방 행정 기구 소속의 향직(鄕職, 지방 관직)으로, 병부(兵部)의 장관이 병부령(兵部令), 차관급이 병정(兵正)이었다. 따라서 묘지명의 '신라말'은 '나말여초' 상황을 염두에 둔 표현이거나 '고려초'의 오기일 가능성이 있다.

3. 2. 연대상 모순

경주 이씨 세보에 따르면 이금서는 고려 조정에 처음으로 벼슬길에 나섰다고 한다. 또한 고려 태조 때 삼한공신으로 책록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경순왕고려에 귀부하고 고려 태조의 맏딸인 낙랑공주 왕씨와 혼인한 사실을 고려하면, 경순왕의 둘째 딸이자 낙랑공주의 첫째 딸[9]인 신란궁부인 김씨가 이금서와 혼인할 나이가 되려면 경순왕고려에 귀부한 이후 최소 15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 결혼에서 태어난 이금서의 아들들이 활동할 나이가 되려면 추가로 최소 15년 정도의 시간이 더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금서의 아들들이 경순왕고려 귀부 이전에 활동했다는 기록은 이러한 시간 계산과 비교했을 때 30년 이상의 연대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셋째 아들 이윤장[10]고려의 대사마 대장군으로 후백제의 견훤을 토평하고 개국공신이 되었다고 하는데, 위에서 살펴본 연대 계산에 따르면 이윤장의 생모는 신란궁부인 김씨일 수 없다.

첫째 아들 이윤홍이 신라 말에 병정(兵正) 벼슬을 지냈다는 기록 역시 신란궁부인 김씨의 활동 시기와 맞지 않을 뿐더러, 이윤홍이 이금서와 신란궁부인 김씨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기록한 이제현 묘지명의 내용과도 모순이 발생한다.

대학자인 이색의 인품과 그가 이제현의 묘지명을 작성한 시기를 고려할 때, 후대에 기록되고 위조나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족보 기록보다는 이색이 쓴 이제현 묘지명의 신뢰도가 더 큰 것으로 보인다. 이 묘지명 기록을 바탕으로 모순점들을 살펴보면, 경순왕의 딸이자 고려 태조의 외손녀라는 신란궁부인 김씨의 높은 신분을 고려하여 그의 아들인 이윤홍을 이복형들인 이윤장, 이윤원보다 앞서 첫째 아들(1남)로 기록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윤홍이 '신라 말'에 병정을 역임했다는 부분은 '고려 초'의 오기로 보인다.

3. 3. 증손자 이주좌 논란

고려사고려사절요에는 이금서(李金書)의 증손자인 이주좌(李周佐)가 한미한 가문 출신이라고 기록되어 있어 논란이 있다. 이주좌의 증조부인 이금서는 중원태수호부낭중을 지냈으며, 고려 태조의 외손녀이자 경순왕의 딸인 신란궁부인 김씨와 혼인했다. 비록 이주좌의 아버지인 이승훈(李承訓)이 7품 관직인 정조시랑(正朝侍郞)에 머물렀다고는 하나, 이러한 배경을 가진 가문을 한미하다고 평가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참조

[1] 문서 경주이씨분적도에 따르면 3남으로 되어 있고, 이윤장을 시조로 보는 평창이씨 중앙종친회측에 의하면 2남이라고 한다.
[2] 문서 고려 태조의 장녀
[3] 문서 경주 이씨
[4] 문서 평창 이씨
[5] 문서 평창이씨 중앙종친회 측(정숙공파등 13개파)
[6] 문서 평창이씨 대종회 측(익평공파등 5개파)
[7] 문서 신란궁부인 김씨이다. 낙랑공주 왕씨는 출가 후 신란궁부인으로 불렸는데, 그 딸인 김씨가 다시 신란궁부인에 봉작되었다.
[8] 문서 이것이 원문의 올바른 해석이다. 대부분 족보의 한글 번역문은 오역이다.
[9] 문서 1녀는 경순왕의 전비(前妃)인 죽방부인 소생으로 고려 경종의 후비(後妃)인 헌숙왕후 김씨이다. 신라경순왕전비(新羅敬順王殿碑)는 낙랑공주 왕씨가 경순왕의 후비(後妃)로서 5남2녀를 두었고, 1녀는 경주 이씨 이금서에게 2녀는 장수 황씨 황경에게 출가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10] 문서 평창 이씨 측 기록에 의하면 2남, 현재는 이윤장과의 관련성 자체를 부인하는 듯하다.
[11] 문서 이금현의 가계는 경주 이씨 족보를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2남과 3남의 순서 및 실존에 대하여 논란의 소지가 있다.
[12] 문서 판예부사(判禮部事)를 역임함. 강릉 박씨 족보에는 시중(侍中)을 지냈다는 기록도 보인다.
[13] 문서 가평 이씨의 시조라고 하나, 가평 이씨 족보상 그 시조가 중국에서 유래한 것으로 밝혀져, 가평 이씨는 경주 이씨의 분적종에서 제외되었다.
[14] 문서 평창 이씨 족보에 따르면 이금현의 아들은 2명으로 이윤장은 그 중 2남으로서 시조 이광의 7대조라고 하였다. 이러한 기록이 있는 숙종 대의 족보를 근거로 그 시조를 이윤장으로 하는 족보가 간행되기도 하여 논란이 있었다. 그러나, 그 후 숙종 대의 족보가 위작으로 밝혀져, 평창 이씨 측에서는 시조를 이광으로 확정하였고, 이윤장과의 관련성에 선을 그었다. 이에 따라 평창 이씨는 경주 이씨의 분적종에서 제외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이윤장을 평창 이씨의 시조로 주장하는 견해도 있어 논란의 소지가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