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이지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이지용은 대한제국 시기의 관료이자, 일제강점기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이희하의 아들로 태어나 이재긍의 양자가 되었으며, 1887년 문과에 급제했다. 1895년 일본을 유람하고 돌아온 후, 1900년 궁내부 협판, 1901년 주일 공사를 역임했다. 1903년부터 일본과 협력하여 한일의정서 조인에 관여하고, 1905년 을사조약에 찬성하여 을사오적에 포함되었다. 한일 병합 조약 체결 후 백작 작위를 받았으며, 1928년 사망했다. 친일 행적으로 인해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고, 재산은 국가에 귀속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백작 - 송병준
    송병준은 성리학자 송시열의 8대손이었으나 서출 출신으로, 무과 급제 후 관료 생활을 하다가 갑신정변 이후 일본으로 건너가 김옥균의 동지가 되었지만, 러일전쟁 이후 친일파로 전향하여 일진회 조직 및 한일 병합 조약 체결에 기여하고 고종 황제 퇴위에도 관여한 인물이다.
  • 조선백작 - 고희경 (조선귀족)
    고희경은 외국어 능력으로 외교 및 황실 업무를 수행하고 이왕직 사무관과 중추원 고문을 지낸 조선 귀족이나, 친일 행적으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에 포함되어 재산 일부가 환수되었다.
  • 대한제국의 부장 - 의친왕
    고종의 다섯째 아들이자 순종의 이복 동생인 의친왕은 대한제국의 황족으로서 독립운동에 투신,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운동을 지원했으며 광복 후에는 남북통일 정부 수립을 주장한 독립운동가이다.
  • 대한제국의 부장 - 민영환
    민영환은 1861년 서울에서 태어나 문과에 급제하고 요직을 거치며 러시아 황제 대관식에 참석한 개화파 인물로,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여 자결했으며 그의 유서는 독립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한일 병합 조약 관련자 - 윤덕영
    윤덕영은 조선 말기 문신이자 대한제국 관료, 일제 강점기 조선귀족으로, 한일 병합 조약에 적극 가담하고 순종의 일본 천황 알현을 강요했으며 고종 독살 의혹을 받았고,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었다.
  • 한일 병합 조약 관련자 - 민영환
    민영환은 1861년 서울에서 태어나 문과에 급제하고 요직을 거치며 러시아 황제 대관식에 참석한 개화파 인물로,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여 자결했으며 그의 유서는 독립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이지용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지용 (1910년, 《조선귀족열전》에서)
이름이지용
작위조선귀족 백작
본관전주 이씨
이지용
휘 (발음)이・지용
초명이은용
경천 ()
향운 ()
출생일동치 9년 윤10월 23일 (1870년12월 15일)
출생지이씨조선, 전라도 (현재 대한민국 경기도 광주시)
사망일1928년 (쇼와 3년) 6월 28일
사망지, 경기도경성부 (현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생부이희하
양부이재긍
배우자이옥경
자녀이해충
기타5촌 당숙: 고종
관력
재위1910년 - 1928년
후임자이영주
가문
왕조대한제국
가문전주 이씨

2. 생애

이지용은 이희하의 아들로 태어나 이재긍의 양자가 되었다. 1887년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요직을 거쳤다. 1903년부터 일본 측과 협상하여 대한제국이 일본을 돕도록 하였으며, 1904년에는 하야시 곤스케에게서 10000JPY을 받고 한일의정서 조인에 협조했다. 1905년 을사늑약에 찬성하고 서명하여 을사오적 중 한 명으로 비판받았다.[7]

한일 병합 조약 체결 후, 일본 정부로부터 훈1등 백작(조선귀족)을 받고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에 임명되었다.[7] 1907년 중추원 고문으로 임명되었고, 1910년 10월 16일 조선귀족으로서 훈1등 백작에 서임되었다.

1928년 정3위 훈 1등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작위는 양손자 이영주가 습작하였다.[7]

2. 1. 가계와 초기 활동

이지용은 광흥령(廣興令) 이희하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흥선대원군의 셋째 형 흥인군 이최응의 아들인 완영군(完永君) 이재긍의 양자가 되었다.[7]

1887년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7] 1895년 칙명을 받아 일본을 유람하고 돌아왔으며, 황해도 관찰사, 경상남도 관찰사, 궁내부 협판을 역임하다가 1901년 주일 공사를 지냈다. 광무 4년(1900년) 궁내부 협판이 되었다.

2. 2. 대한제국 시기 활동

1887년 문과에 급제하였고, 1895년 칙명을 받아 일본을 유람하고 돌아왔다. 경상감찰사, 황해감찰사를 거쳐 궁내부 협판을 역임하다가 1901년 주일 공사를 지냈다. 1903년 10월 무렵부터 일본 측과 협상하여 대한제국이 일본 제국을 돕도록 하는 데 힘썼으며, 1904년 2월 외부대신으로 일본 공사 하야시 곤스케로부터 10000JPY을 받고 한일의정서 조인에 협조했다.[7] 1904년 2월 23일에는 외부대신 서리로서 주한 일본 공사 하야시 곤스케한일의정서에 조인했고, 3월 26일에는 일본 보빙대사로 일본에 건너갔다.

귀국 후 법부대신·규장각 학사·판돈녕부사·학부대신 등을 거쳐, 광무 9년(1905년)에는 농상공부대신·내부대신이 되었다. 내부대신으로서 을사조약에 찬성하고 조인에 서명함으로써 을사오적의 한 사람으로 규탄받았고, 격앙된 반일 단체에 의해 자택이 방화되었다.[7]

2. 3. 을사늑약과 친일 행위

1904년 2월 외부대신으로 일본 공사 하야시 곤스케로부터 10000JPY을 받고 한일의정서 조인에 협조했다.[7] 1905년 내부대신으로 을사늑약에 찬성, 조인에 서명함으로써 을사오적의 하나가 되었다.[7]

1904년 2월 23일 외부대신 서리로서 주한 일본 공사 하야시 곤스케한일의정서에 조인했고, 3월 26일 일본 보빙대사로 일본에 건너갔다.

귀국 후 법부대신·규장각 학사·판돈녕부사·학부대신 등을 거쳐, 1905년 농상공부대신·내부대신이 되었다. 내부대신으로서 을사늑약에 찬성하고 조인에 서명함으로써 을사오적의 한 사람으로 규탄받았고, 격앙된 반일 단체에 의해 자택이 방화되었다.

2. 4. 말년

이지용은 1928년 58세로 사망했으며, 정3위를 받았다. 그의 작위는 양손자 이영주가 습작하였다.[7]

3. 사후 평가

이지용은 일제 강점기에 조선 귀족 가운데 가장 부유하게 살았다는 말이 전해진다.[8]

3. 1. 친일반민족행위자 지정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이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2007년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에 모두 선정되었다.[8] 2007년 11월 22일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는 이지용의 재산에 대해 국가 귀속 결정을 내렸다.[9]

3. 2. 재산 환수

이지용은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이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선정되었고, 2007년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에도 들어 있다.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중 가장 부유하게 살았다는 말이 전해진다.[8] 2007년 11월 22일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는 이지용의 재산에 대해 국가 귀속 결정을 내렸다.[9]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조부이최응(李最應)1815년 ~ 1882년
생부이희하(李熙夏)
양부이재긍(李載兢)
양모홍씨? ~ 1885년 8월 6일
부인홍옥경(洪鈺卿)1870년 10월 9일 ~ ?, 홍우석(洪祐奭)의 딸[10]
장남이해충(李海忠)1888년 3월 24일 ~ 1923년
친손자이문주1912년
친손녀이갑경1914년
친손자이경주1917년
양손자이영주(李永柱)1918년
친손자이홍주
차남이해문1903년
손녀이해주1923년
손자이석주1937년
손녀이계자1939년
손자이경자1941년, 행방불명
손자이철주1946년
장녀이효경1909년


5. 이지용을 연기한 배우

참조

[1] 뉴스 朝鮮貴族の動揺 : 李王職長官、賛侍長等の辞職と爵位返上 : (京城特電三日発) https://da.lib.kobe-[...] 大阪毎日新聞 1919-10-05
[2] 간행물 官報第1310号・付録「辞令」 1916-12-13
[3] 웹사이트 이지용 https://terms.naver.[...]
[4] 웹사이트 이지용 https://terms.naver.[...]
[5] 서적 친일반민족행위관계사료집Ⅳ-조선귀족과 중추원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2008-12
[6] 문서 광주군 궁촌
[7] 서적 친일정치 100년사 동풍 1995-07-01
[8] 저널 日帝韓人貴族의 近況
[9] 뉴스 왕족 이해승 등 친일파 재산 410억 국가귀속 - 이해승ㆍ이지용ㆍ유정수ㆍ고희경ㆍ민영휘ㆍ민병석ㆍ송병준ㆍ한창수 등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7-11-22
[10] 서적 한국사 이야기 20 (우리 힘으로 나라를 찾겠다) 한길사 2004-05-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