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신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은신군은 사도세자의 서자로, 영조의 손자이며 정조의 이복 동생이다. 1760년 작위를 받고 1765년 은신군에 봉해졌으나, 아버지 사도세자의 죽음 이후 가난하게 살았고, 1771년 유배를 가 제주도에서 1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정조는 그를 연령군의 후사로 삼았고, 순조 때 인평대군의 후손 이구를 양자로 들여 남연군으로 봉했다. 은신군은 소민공의 시호를 받았고, 고종 때 충헌공으로 개칭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장조의 자녀 - 정조
정조는 조선의 제22대 왕으로, 탕평책 계승, 규장각 설치, 장용영 설치, 신해통공 실시, 수원 화성 건설 등 다양한 개혁을 추진했으며, 47세에 사망하여 건릉에 안장되었다. - 조선 장조의 자녀 - 청연공주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의 장녀인 청연공주는 김기성과 혼례 후 군주로 불리다 고종의 추존으로 공주에 추봉되었으며, 드라마에도 등장하는 왕실의 중요한 인물이다. - 1771년 사망 - 아돌프 프레드리크
아돌프 프레드리크는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이자 1751년부터 1771년까지 스웨덴 국왕으로, 하타르나당과 뫼소르나당의 당파 싸움 속에서 왕권이 약화된 시기를 통치했으며, 정치적 무능력으로 평가받지만 과학과 예술에 관심을 가졌다. - 1771년 사망 - 홍계희
홍계희는 조선 후기 노론 문신으로 유형원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반계수록』의 정책을 영조에게 건의하는 등 당파를 초월한 개혁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조선 통신사 정사로 일본에 파견되어 조선과 일본 관계 개선에 기여한 인물이다. - 1755년 출생 - 존 마셜
존 마셜은 미국 독립 전쟁 참전, 변호사 활동, 국무장관 역임 후 1801년 미국 대법원 대법원장으로 임명되어 34년간 재임하며 사법 심사 권한을 확립하고 연방 정부의 권한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으며, 노예 소유와 관련된 논란에도 불구하고 미국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1755년 출생 - 마리 앙투아네트
마리 앙투아네트는 오스트리아 출신으로 프랑스 왕 루이 16세와 결혼하여 프랑스 왕비가 되었으며, 사치스러운 생활과 정치적 관여로 프랑스 혁명 시기 비난을 받아 단두대에서 처형되었으나, 최근에는 재평가되고 있다.
은신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은신군 |
원래 이름 | 이진 |
작위 | 군(君) 승헌대부(承憲大夫) |
휘 | 이진 (李禛) |
가문 | 전주 이씨 |
출생일 | 음력 1755년 1월 11일 |
출생지 | 한성부 |
사망일 | 음력 1771년 3월 29일 (17세) |
사망지 | 제주군 배소 |
별칭 | 자(字)는 신재(愼哉) 시호(諡號)는 소민공(昭愍公), 충헌공(忠獻公) |
시호 | 소민 (昭愍) |
종교 | 유교(성리학) |
배우자 | 남양 홍씨 |
아버지 | 낙천군 이온(양부) 사도장헌세자 이선(생부) |
어머니 | 군부인 달성 서씨(양모) 숙빈 임씨(생모) 혜경궁 홍씨(적모) 경빈 박씨(서모) |
자녀 | 남연군 이구(양자) |
친척 | 연령군 이훤(양조부) 영조 이금(친조부) 달선군 이영(양형) 정조 이산(이복 형) 은언군 이인(친형) |
2. 생애
1755년(영조 31년) 음력 1월 11일 사도세자와 양제 임씨(良娣 林氏)[15]의 서차자로 태어났다. 친형 은언군 외에 이복형 의소세자, 정조, 그리고 이복동생 은전군이 있었다.
1757년(영조 33) 1월 2일 영조는 왕손교부에 홍계능을 임명하여 은신군, 은언군 형제의 교육을 담당하게 했다. 왕손의 나이 6세에 왕손사부를 임명하는 것이 관례였지만 영조는 1757년에 두 왕손을 가르칠 왕손교부를 임명하였다. 홍계능 이후, 윤상후(尹象厚, 1757년 1월 27일~1759년 9월 25일), 윤득관(尹得觀, 1759년 11월 24일~1760년 12월 15일), 홍낙인(洪樂仁, 1760년 12월 22일~1761년 3월 11일), 김이안(金履安, 1761년 5월 12일~1762년 12월 21일), 김재구(金載久, 1763년 6월 20일~1763년 9월 7일), 한용화(韓用和, 1763년 12월 20일~1764년) 등이 두 왕손을 교육할 왕손교부로 부임하였다. 이 중 홍낙인은 이복 형 정조의 외삼촌이었고, 김이안은 청음 김상헌의 후손으로 김창협의 증손자이며 김원행의 아들이다.
1760년 작위를 처음 받았으며 1765년(영조 41년) 은신군에 봉군되었고, 같은 해 5월 25일 형 은언군과 함께 관례(冠禮)를 행하고 승헌대부 은신군에 책봉 되었다. 1767년 7월 현감 홍대현(洪大顯[16])의 딸인 남양 홍씨와 혼례를 치렀다. 1768년(영조 44) 1월 1일 은언군, 은신군, 은전군은 종친부유사당상(宗親府有司堂上)에 임명되었다. 1768년에는 종친부유사당상, 은신군 겸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에 임명되었다.
사도세자가 죽은 뒤 출궁되어 어렵게 살다가 홍봉한에게서 약간의 금액을 지원받았다. 1769년 김귀주 등이 이를 두고 집요하게 물고 늘어져 탄핵, 1771년 외람되게 근수(跟隨)를 많이 거느리고 남여(藍輿)를 타고 다닌다 하여 이복 형 은언군과 함께 관직에 서용되지 못하는 처분을 받았다.
곧이어 시전(市廛)상인들에게 수백 냥의 빚을 지고 갚지 않은 것이 조부 영조에게 알려져 양사의 탄핵을 받았다. 은신군의 보모 황덕혜의 남동생 황경룡(黃景龍)이 내시들과 결탁하여 시전 상인의 재물을 탈취한 죄목으로 고발당했다. 황경룡을 고발하는 과정에서 은언군, 은전군 형제가 시전 상인들에게 빚을 진 것이 영조의 귀에 들어가게 된 것이다.
1771년 2월 2일 영조에 의해 삭직처분되고, 2월 3일 호서의 연읍으로 유배의 명이 내려졌다.[7] 같은 해 2월 2일, 제주도 대정현으로 유배되었다. 그는 영조의 명으로 형 은언군과 함께 충청도 직산현(稷山縣)에 유배되었다가 다시 제주도 대정현(大靜縣)으로 위리안치 되었다. 또한 그의 외조부 임지번은 제주도 대정현의 군역에 충군(充軍)되었다. 그러나 은신군과 그의 형 은언군이 유배당한 뒤에도, 그는 분에 넘치는 가마를 탔다는 죄목이 더해져 계속 탄핵당하였다.
형 은언군과 함께 제주도로 유배되었지만 그는 풍토병에 걸렸고, 유배 2년만인 1771년 음력 3월 29일에 17세의 나이로 병사하였다.[8] 그의 시신은 도성으로 운구되었다가, 그해 6월 임시 장지에 안장되었다가 후에 정조의 명에 의해 경기도 양주군 금촌면 이패리(현 남양주시 이패동) 계암(鷄岩) 해질머루부락 서쪽 손좌(巽坐)에 어머니 양제 임씨 묘소 근처에 안장되었다. 1774년(영조 50) 5월 12일 특명으로 복직되었고, 형 은언군도 복권되었다.
1776년 정조 즉위 직후 4월 10일 영조의 유지를 이유로 연령군 훤에게 사후 양손자로 입적되었다.[17] 그러나 사후 양자라서 이미 연령군의 양자가 된 낙천군의 제사를 은신군의 후계자들이 모시느냐 여부를 놓고 논란이 되었다.
은신군은 아들이 없어 1815년 (순조 15) 12월 19일 인평대군의 6대손인 이병원의 차남 이채중을 간택, 그의 사후 양자로 입양시켜 후사를 이었다.[18] 이채중은 이름을 이구로 바꾸고 바로 남연군에 봉작되었다.
이복 형인 정조가 영조의 뒤를 이어 즉위하면서 1779년 (정조 3년) 1월 증 현록대부에 추증되었다. 1779년 12월 12일 소민공(昭愍公)의 시호가 내려졌다가 고종 때 충헌으로 개정되었다.
2. 1. 생애 초반
이진은 1755년(영조 31년) 음력 1월 11일 사도세자와 양제 임씨(良娣 林氏)[15]의 서차자로 태어났다. 친형 은언군 외에 이복형 의소세자, 정조, 그리고 이복동생 은전군이 있었다. 그는 보모 황덕혜(黃德惠)에 의해 양육되었다.1757년(영조 33) 1월 2일 영조는 특별히 왕손교부에 홍계능을 임명하여 은신군, 은언군 형제의 교육을 담당하였다. 왕손의 나이 6세에 왕손사부를 임명하는 것이 관례였지만 영조는 1757년에 두 왕손을 가르칠 왕손교부를 초빙, 임명하였다.
홍계능 이후, 윤상후(尹象厚, 1757년 1월 27일~1759년 9월 25일), 윤득관(尹得觀, 1759년 11월 24일~1760년 12월 15일), 홍낙인(洪樂仁, 1760년 12월 22일~1761년 3월 11일), 김이안(金履安, 1761년 5월 12일~1762년 12월 21일), 김재구(金載久, 1763년 6월 20일~1763년 9월 7일), 한용화(韓用和, 1763년 12월 20일~1764년) 등이 두 왕손을 교육할 왕손교부로 부임하였다. 이 중 홍낙인은 이복 형 정조의 외삼촌이었고, 김이안은 청음 김상헌의 후손으로 김창협의 증손자이며 김원행의 아들이다. 김이안은 학행으로 천거되어 1년간 왕손들의 교육을 담당했다. 김재구는 학행으로 천거되었으나 재물을 탐냈다는 의심을 받고 파직되었다.
1760년 작위를 처음 받았으며 1765년(영조 41년) 은신군에 봉군되었고, 같은 해 5월 25일 영조의 명으로 형 은언군과 함께 관례(冠禮)를 행하고 승헌대부 은신군에 책봉 되었다. 1767년 7월 현감 홍대현(洪大顯[16])의 딸인 남양 홍씨와 혼례를 치렀다. 1768년(영조 44) 1월 1일 승정원의 건의로 은언군, 은신군, 은전군은 종친부유사당상(宗親府有司堂上)에 임명되었다. 1768년에는 종친부유사당상, 은신군 겸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에 임명되었다.
은신군은 사도세자의 두 번째 서자로, 부안 임씨(扶安任氏) 숙의(淑儀)에게서 태어났다.[3] 그는 은언군의 동생이자, 의소세손, 정조 그리고 은전군의 이복 동생이었다.[3]
1762년, 그의 아버지가 영조에 의해 역모로 처형되었을 때 그는 보호를 받지 못하고 가난하게 되었다. 그는 형 은언군과 함께 상인과 사도세자의 장인 혜경궁 홍씨의 아버지인 홍봉한에게 돈을 빌려야 했고, 시간이 지나면서 둘은 상당한 빚을 지게 되었다.
1769년, 은신군은 홍대현(洪大鉉)이라는 관료의 딸인 남양 홍씨(南陽洪氏, 1755–1829)와 결혼했다.[4][5] 그들은 자녀를 두지 못했다.[6]
2. 2. 출궁과 유배
1769년 10월 22일 도총관에 다시 임명되었다가 11월 2일 면직되었다.사도세자가 죽은 뒤 출궁되었으며, 이후 어렵게 살다가 홍봉한에게서 약간의 금액을 지원받았다. 홍봉한이 이들 형제를 왜 도와줬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일각에서는 홍봉한이 그의 형제를 후원한 것을 두고, 사도세자 제거에 가담한 것을 안 세손 이산이 자신들에게 반감을 가졌기 때문에 한 행동이라는 견해가 있다. 그런데 1769년 김귀주 등이 이를 두고 집요하게 물고 늘어져 탄핵, 1771년 외람되게 근수(跟隨)를 많이 거느리고 남여(藍輿)를 타고 다닌다 하여 이복 형 은언군과 함께 관직에 서용되지 못하는 처분을 받았다.
곧이어 시전(市廛)상인들에게 수백 냥의 빚을 지고 갚지 않은 것이 조부 영조에게 알려져 양사의 탄핵을 받았다. 은신군의 보모 황덕혜의 남동생 황경룡(黃景龍)이 내시들과 결탁하여 시전 상인의 재물을 탈취한 죄목으로 고발당했다. 황경룡을 고발하는 과정에서 은언군, 은전군 형제가 시전 상인들에게 빚을 진 것이 영조의 귀에 들어가게 된 것이다.
1771년 2월 2일 할아버지 영조에 의해 삭직처분되고, 2월 3일 호서의 연읍으로 유배의 명이 내려졌다.[7] 같은 해 2월 2일, 영조는 그를 제주도 대정현으로 유배 보냈다. 두 달도 채 안 되어 3월 29일, 그는 전염병에 걸려 1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8]
2. 3. 유배와 최후
그는 영조의 명으로 형 은언군과 함께 충청도 직산현(稷山縣)에 유배되었다가 다시 제주도 대정현(大靜縣)으로 위리안치 되었다. 또한 그의 외조부 임지번은 제주도 대정현의 군역에 충군(充軍)되었다. 그러나 은신군과 그의 형 은언군이 유배당한 뒤에도, 그는 분에 넘치는 가마를 탔다는 죄목이 더해져 계속 탄핵당하였다. 당시 노론 벽파 일각에서는 세손을 사전에 제거하려 했고, 영조는 이를 알아보고 홍봉한이 은신군과 은언군 형제의 빚을 갚아준 것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형 은언군과 함께 제주도로 유배되었지만 그는 풍토병에 걸렸고, 유배 2년만인 1771년 음력 3월 29일에 병사하였다. 당시 그의 나이는 17세였다.[8] 그의 죽음으로 함께 유배생활 중이던 형 은언군은 풀려났다.
그의 시신은 도성으로 운구되었다가, 그해 6월 임시 장지에 안장되었다가 후에 정조의 명에 의해 경기도 양주군 금촌면 이패리(현 남양주시 이패동) 계암(鷄岩) 해질머루부락 서쪽 손좌(巽坐)에 어머니 양제 임씨 묘소 근처에 안장되었다. 1774년(영조 50) 5월 12일 특명으로 복직되었고, 형 은언군 인도 복권되었다. 그의 어머니 양제 임씨는 정조 즉위 후 1776년(정조 즉위) 8월 3일에 양제로 복작되었다.
2. 4. 복권
1776년 정조 즉위 직후 정조에 의해 4월 10일(1776년) 영조의 유지를 이유로 연령군 훤에게 사후 양손자로 입적되었다.[17] 그러나 사후 양자라서 이미 연령군의 양자가 된 낙천군의 제사를 은신군의 후계자들이 모시느냐 여부를 놓고 논란이 되었다. 남연군의 후손들은 사도세자와의 관계를 더 강조하는 차원에서 사도세자와 장조를 유독 강조했다.[17] 이 문제는 20세기에 가서야 남연군의 후손들이 연령군, 낙천군을 선조로 인정하고 연령군-낙천군-은신군으로 계통이 확정되었다.은신군은 아들이 없어 1815년 (순조 15) 순조의 특명으로 돈녕부판사 이언식과 왕실 각 왕자군파 문장들, 예조의 회의 끝에 12월 19일(1815년) 인평대군의 6대손인 이병원의 차남 이채중을 간택, 그의 사후 양자로 입양시켜 후사를 이었다.[18] 이채중은 이름을 이구로 바꾸고 바로 남연군에 봉작되었다.
이복 형인 정조가 영조의 뒤를 이어 즉위하면서 1779년 (정조 3년) 1월 증 현록대부에 추증되었다. 1779년 12월 12일 소민공(昭愍公)의 시호가 내려졌다가 고종 때 충헌으로 개정되었다. 1786년 정조는 그의 신도비를 직접 쓰기도 했다.
1776년, 영조의 유언에 따라, 왕세자였던 정조는 은신군의 형인 연령군의 후사로 그를 추존했다.[2] 은신군은 연령군의 후사가 되었지만, 연령군의 양자로 지명되었던 낙천군의 양자로 여겨지지 않았고, 정조 재위 기간 동안 그 지위를 박탈당했다.[9][10]
1779년 12월 12일, 그는 시호 "소민(昭愍)"을 받았으며, 1871년 2월 28일에 "충헌(忠獻)"으로 개칭되었다.
1815년, 순조 재위 기간 동안, 인조의 5대손인 이채중이 은신군의 양자로 지명되었다. 그는 새로운 이름인 이구를 받았고 남연군(1788–1836)의 작위를 받았다.[11]
남연군은 넷째 아들인 흥선대원군을 통해 고종의 생물학적 할아버지가 되었다.[12]
3. 논란
1776년, 영조의 유언에 따라 정조는 은신군을 형인 연령군의 후사로 삼았다.[2] 그러나 연령군의 양자로 이미 낙천군이 있었기 때문에, 누가 낙천군의 제사를 지내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1779년 12월 12일에는 시호 "소민(昭愍)"을 받았으며, 1871년 2월 28일에는 "충헌(忠獻)"으로 개칭되었다.
1815년, 순조 때 인조의 5대손 이채중이 은신군의 양자로 지명되어 이름을 이구(李球)로 바꾸고 남연군(1788~1836)의 작위를 받았다.[11] 남연군은 넷째 아들 흥선대원군을 통해 고종의 친할아버지가 되었다.[12]
3. 1. 낙천군 제사 문제
1776년 정조 즉위 직후 정조는 영조의 유지를 이유로 1776년(정조 1) 4월 10일 은신군을 연령군 훤의 사후 양손자로 입적(入籍)시켰다.[17] 그러나 이는 이미 연령군의 양자가 된 낙천군의 제사를 모셔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을 야기했다.[17] 남연군의 후손들은 사도세자와의 관계를 강조하며 사도세자(장조)를 유독 내세웠다.[17] 이 문제는 20세기에 이르러서야 남연군의 후손들이 연령군, 낙천군을 선조로 인정하고, 연령군-낙천군-은신군으로 계통을 확립하면서 해결되었다.일각에서는 은신군이 친왕손으로서 낙천군(연령군의 양차자)의 제사를 모시는 것을 꺼렸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은신군은 생전에 연령군에게 입양된 것이 아니며, 사후 6년 뒤 이복 형인 정조에 의해 연령군의 후사로 입양되었다. 훗날 남연군의 후손들은 사도세자의 후손인 은신군으로부터 가계가 시작되는 것으로 간주했지만, 이후 연령군-낙천군-은신군-남연군으로 계통을 확립하였다.
1776년, 영조의 유언에 따라 왕세자였던 정조는 은신군을 연령군의 후사로 추존했다.[2] 비록 은신군은 연령군의 후사가 되었지만, 연령군의 양자로 지명되었던 낙천군의 양자로 여겨지지는 않았으며, 정조 재위 기간 동안 그 지위는 박탈당했다.[9][10]
3. 2. 남연군 후손들의 사도세자 강조
정조 즉위 직후인 1776년 4월 10일, 영조의 유지를 이유로 은신군은 연령군에게 사후 양손자로 입적되었다. 그러나 사후 양자였기 때문에, 이미 연령군의 양자가 된 낙천군의 제사를 은신군의 후계자들이 모셔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남연군의 후손들은 사도세자와의 관계를 더 강조하기 위해 사도세자(장조)를 유독 강조했다.[17] 이 문제는 20세기에 가서야 남연군의 후손들이 연령군과 낙천군을 선조로 인정하고, 연령군-낙천군-은신군으로 계통이 확정되면서 해결되었다.19세기까지 운현궁가에서는 자신들을 사도세자 또는 장조의 별자였던 은신군의 후손임을 강조하였다. 정조는 영조의 유지를 이유로 은신군을 연령군의 후사로 정했지만, 은신군의 양자인 남연군의 후손들은 연령군을 선조로 여기지 않고 사도세자를 강조했다. 1792년 편찬된 선원계보기략과 고종 즉위 후 편찬된 선원보들에도 은신군은 사도세자의 아들로 기록되었고, 출계(出系)라는 단어 없이 사도세자 아래에 은신군의 이력이 기록되었다. 1892년 발행된 선원계보기략에도 은신군은 사도세자의 아들로 등재되었다.
남연군의 후손들은 1919년 5월에 세운 흥친왕 신도비와 이준용 신도비에도 여전히 장조의 아들 은신군을 강조했다. 1948년에 영선군 이준용의 신도비를 다시 세울 때도 융릉(장조)의 아들임을 강조했다. 남연군의 후손들은 19세기까지만 해도 연령군, 낙천군의 생일과 기일 제사를 지냈지만, 연령군이나 낙천군 대신 사도세자를 내세웠다. 그러다가 20세기에 와서 연령군, 낙천군도 선조로 인정하기 시작하였다.
4. 기타
사후 복권되어 제주도에 안장되었다가 운구되어 도성 근처에 매장되었으며, 6월 28일 양주군 금촌(楊州郡金村) 이패리(二牌里, 현 남양주시 이패동 해질모루부락 서쪽) 계암(鷄巖) 손향(巽向)에 숙빈 임씨 묘소 근처로 이장되었다. 1779년 11월 5일 묘지가 형편없다는 이유로 정조에 의해 다시 장지를 간택하여 양주군 금촌면 평구(平丘, 현 남양주시 삼패동 평구부락) 손향(巽向)을 이장지로 정하기도 했다. 은신군의 묘소가 설치되면서 미금면 이패리 중 은신군의 묘소가 있던 지역을 왕자궁(王子宮) 부락이라 부르게 되었다. 은신군은 후에 다시 양주군 화도면(후일의 남양주시 화도읍)으로 개장되었다. 20세기에 이르러 은신군과 군부인 남양홍씨의 시신은 화장되어 흥선대원군 묘소 근처의 납골묘에 안치되었으며, 신도비와 비석, 석물들은 2005년 1월 양부 낙천군, 양증손 흥친왕 등의 묘비와 함께 모두 서울역사박물관에 기증되었다.
그의 저택 재산으로 내려진 은신군방은 경기도 풍덕(豊德)에 있었다. 부인 남양군부인 남양홍씨는 1815년 양자 남연군의 입양을 본 후, 1829년에 사망하였다. 풍덕에 있던 은신군방 외에 은신군이 연령군의 계후를 이으면서 연령군방(延齡君房)의 재산도 군부인 홍씨에게 내려졌다.
고종 때인 1871년(고종 8년) 2월 28일 시호가 충헌공(忠獻公)으로 개시되었다. 1871년(고종 8년) 5월 3일 묘비가 세워져 양증손자 이재원이 묘비문을 짓고, 양증손자 이재면이 글씨를 썼다. 2000년 이후 남연군의 6대손인 이청이 가족묘지를 화장하여 흥선대원군 묘소 좌측에 납골묘에 봉안할 때 납골묘로 봉안되었다.
정조가 지은 《은신군 신도비문》은 다음과 같다.
“아, 은신군이여 / 嗟哉恩信
평소 행동거지가 훌륭했었지 / 素履振振
효도하고 또 우애하고 / 旣孝旣友
공손하고도 신중했었지 / 亦克恭愼
인후하신 왕의 자손으로 / 宜爾麟趾
외로운 섬에 귀양 갔었네 / 乃鵩之賦
화와 복이 그리 무상한 것 / 禍福廻穴
그 까닭을 누가 알까 / 孰識其故
머나먼 남쪽 땅을 / 悠悠南服
가더니 오지를 않고 / 有去無歸
놀란 파도는 하늘에 닿고 / 驚濤黏天
비도 울고 바람도 흐느꼈네 / 雨泣風唏
군자는 말하기를, 아, 슬프다 / 君子曰噫
모두가 명임을 어찌하랴 한다네 / 命也如何
누굴 원망하고 탓하는 게 아니라 / 匪怨匪尤
내 감회가 매우 많다네 / 予懷孔多
경기 지역으로 반장하여 / 返葬于畿
우리 대궐과도 가까이 있고 / 邇我城闕
작록도 원상 회복되고 / 爵旣恩復
시호도 내려지고 위계도 올랐으니 / 易名增秩
그대 넋이여, 무슨 유감 있겠는가 / 魂兮奚憾
이 집 속에 고이 잠들게나 / 安此幽宮
이 비에다 사연을 새겨 / 立石鐫辭
슬픈 이 심정을 엮었다네 / 維以紓恫”
1776년, 영조의 유언에 따라, 왕세자였던 정조는 은신군의 형인 연령군의 후사로 그를 추존했다.[2] 은신군은 연령군의 후사가 되었지만, 연령군의 양자로 지명되었던 낙천군의 양자로 여겨지지 않았고, 정조 재위 기간 동안 그 지위를 박탈당했다.[9][10]
1779년 12월 12일, 그는 시호 "소민(昭愍)"을 받았으며, 1871년 2월 28일에 "충헌(忠獻)"으로 개칭되었다.
1815년, 순조 재위 기간 동안, 인조의 5대손인 이채중이 은신군의 양자로 지명되었다. 그는 새로운 이름인 이구(李球)를 받았고 남연군(南延君, 1788–1836)의 작위를 받았다.[11]
남연군은 넷째 아들인 흥선대원군을 통해 고종의 생물학적 할아버지가 되었다.[12]
5.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양조부 | 연령군 이훤(延齡君 李昍) | 1699년 | 1719년 | [19] |
양조모 | 상산군부인 상산 김씨(郡夫人 商山 金氏) | 1698년 | 1725년 | |
조부 | 영조대왕(英祖大王) | 1694년 | 1776년 | 조선 제21대 왕 |
조모 | 소유영빈 이씨(昭裕暎嬪 李氏) | 1696년 | 1764년 | |
양부 | 낙천군 이온(洛川君 李縕) | 1720년 | 1737년 | |
양모 | 달성군부인 달성 서씨(達城郡夫人 達城 徐氏) | ? | ? | [20] |
부 | 장조의황제(莊祖懿皇帝) | 1735년 | 1762년 | |
생모 | 숙빈 임씨(肅嬪 林氏) | ? | 1773년 | |
서모 | 경빈 박씨(景嬪 朴氏) | ? | 1761년 | |
모 | 헌경의황후 홍씨(獻敬懿皇后 洪氏) | 1735년 | 1815년 | |
형 | 은언군 이인(恩彦君 李䄄) | 1754년 | 1801년 | |
이복형 | 의소세자(懿昭世子) | 1750년 | 1752년 | |
이복형 | 정조선황제(正祖宣皇帝) | 1752년 | 1800년 | 조선 제22대 왕 |
이복누나 | 청연공주(淸衍公主) | 1754년 | 1821년 | 김기성(金箕性)에게 하가 |
이복동생 | 청선공주(淸璿公主) | 1756년 | 1802년 | 정재화(鄭在和)에게 하가 |
이복동생 | 청근옹주(淸瑾縣主) | ? | 1835년 | 홍익돈(洪益惇)에게 하가 |
이복동생 | 은전군 이찬(恩全君 李禶) | 1759년 | 1778년 | |
부인 | 남양군부인 남양 홍씨(南陽郡夫人 南陽 洪氏) | 1755년 | 1829년 3월 21일 | 홍대현(洪大顯)의 딸, 홍대용의 종질녀 |
양자 | 남연군 이구(南延君 李球) | 1788년 | 1836년 | 이병원의 아들[21][22] |
외조부 | 임지번(林枝蕃) | |||
외조모 | 김해 김씨(金海金氏) | |||
양외조부 | 서종수(徐宗秀) |
참조
[1]
문서
In the Chinese calendar (lunar).
[2]
웹사이트
연령군의 후사를 은신군 이진으로 삼도록 명하다
http://sillok.histor[...]
2020-07-26
[3]
웹사이트
이진(李禛)
https://encykorea.ak[...]
2020-03-25
[4]
웹사이트
왕손 은신군 진의 혼사를 홍대현의 집에 정하다
http://sillok.histor[...]
[5]
웹사이트
은신군 이진의 혼례를 2월에 행하게 하다
http://sillok.histor[...]
[6]
웹사이트
장조의황제자손록(莊祖懿皇帝子孫錄)
http://visualjoseon.[...]
[7]
웹사이트
이진(李禛)
https://encykorea.ak[...]
2020-03-25
[8]
웹사이트
은신군 이진의 졸기
http://sillok.histor[...]
[9]
웹사이트
영중추부사 이시수 등이 왕세자의 관례에 대하여 의논하다
http://sillok.histor[...]
[10]
웹사이트
선조대왕자손록 권3(宣祖大王子孫錄 卷之三)
http://visualjoseon.[...]
2020-07-26
[11]
웹사이트
예조에서 은신군의 입후 문제에 대하여 의논하여 결정한 사항을 아뢰다
http://sillok.histor[...]
[12]
웹사이트
공식적인 거상 기간이 끝났으므로 대신들이 문안을 드리다
http://sillok.histor[...]
[13]
문서
낙천군과의 관계를 놓고 한동안 이견이 벌어지기도 했다.
[14]
문서
호적상으로는 능창군 전의 7대손이다. 인평대군이 삼촌 능창대군의 사후 양자가 되었기 때문이며, 일제 강점기 초반 조선총독부에서 작성한 흥친왕, 이준용 등의 실록에도 등재되어 있다.
[15]
문서
대한제국 광무(光武) 3년(1899년) 숙빈(肅嬪)으로 추봉(追封)
[16]
문서
홍대현은 학자인 홍대용의 사촌이기도 했다.
[17]
문서
연령군과 낙천군의 제사만 받들고, 사도세자를 강조하였다. 이는 선원속보 및 남연군 후손들의 묘비명, 신도비명에도 장조의 별자, 사도세자의 별자 은신군의 후손이라 명시하였다.
[18]
문서
인평대군이 능창대군|능창군 이전의 양자로 입양되었으므로, 호적상으로는 능창대군|능창군 이전의 7대손이 된다.
[19]
문서
증조부 숙종 (조선)|숙종의 서자이다.
[20]
문서
현감 증 직 이조 (육조)|이조판서 서종수(徐宗秀)의 딸.
[21]
문서
조선 원종|원종의 3남 능창대군 종의 6대손
[22]
문서
조선 인조|인조의 3남 인평대군은 삼촌 능창군의 양자가 되었다. 호적상 7대조는 인조의 동생 능창대군으로 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