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창준은 뇌 과학 분야의 연구자이다. 그는 어린 시절 김포에서 성장하여 미국으로 이주, 시카고 대학교에서 화학 학사,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신경생리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에모리 대학교에서 박사 후 과정을 거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 합류, 2018년부터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의 공동 단장으로 활동하며 별아교세포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다. 2024년 아산의학상, 2023년 한국과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Experimental Neurobiology 편집장, 한국뇌신경과학회 사무총장 등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초과학연구원 - 남창희 (물리학자)
남창희는 서울대학교, KAIST,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KAIST와 GIST 교수를 거쳐 IBS 상대론적 레이저 과학 센터 초대 센터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물리학자로, 펨토초 레이저, 고차조화파, 아토초 펄스, 연엑스선 간섭계 및 현미경 기술 등을 연구하며 IUPAP 등 국제 학술 단체에서 활동했고, 미국 물리학회 및 미국 광학회 펠로우, 한국과학기술한림원상, 숭도광과학상, 대통령 표창 등을 수상했다. - 기초과학연구원 - 신의철
신의철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고 IBS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바이러스 면역 연구센터 센터장으로 재직하며, 바이러스 감염 및 암에 대한 T 세포 반응 연구를 통해 여러 학술상을 수상한 의학자이다. - 김포시 출신 - 김재춘 (1927년)
김재춘은 경상북도 영일군 출신의 김녕 김씨로, 경상공립중학교를 졸업한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교육자이다. - 김포시 출신 - 홍철호
홍철호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2014년과 2016년에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2024년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에 임명되었으며, 과거 지방세법 위반 및 음주운전으로 벌금형을 받은 전력이 있다. - 미국의 신경과학자 - 닐 엘가 밀러
닐 엘가 밀러는 행동주의와 정신분석을 통합하고 공포 조건화 학습, 동기 부여 연구, 바이오피드백 분야에 기여한 미국의 심리학자로, 예일 대학교와 록펠러 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하고 미국 심리학회 회장과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을 지냈다. - 미국의 신경과학자 - 마틴 챌피
미국의 생물학자 마틴 챌피는 녹색 형광 단백질(GFP)의 발견 및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200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현재 컬럼비아 대학교 생물학과 교수이자 미국세포생물학회 회장이다.
이창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창준 |
![]() | |
출생일 | 1966년 3월 21일 |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김포시 |
국적 | 대한민국 |
거주지 | 대한민국 |
연구 분야 | 이온 통로 별아교세포 교모세포종 |
직장 | 기초과학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에모리 대학교 마이클 리스 병원 컬럼비아 대학교 |
모교 | 컬럼비아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통각 배근신경절 뉴런에서 카이네이트 및 AMPA 수용체의 발현과 기능 |
박사 학위 취득 년도 | 2001년 |
박사 지도교수 | 에이미 B. 맥더모트 (Amy B. MacDermott) |
알려진 업적 | 감마 아미노뷰티르산과 신경아교세포 연구 |
수상 | 아산의학상 한국과학상 경암학술상 |
웹사이트 |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 Cognitive Glioscience Group |
2. 어린 시절 및 교육
김포시 농촌 지역에서 태어나 자연과 교감하며 집에서 가축을 키우는 경험을 통해 생물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1] 중학교 졸업 후, 15세에 미국으로 이주하여 일리노이 주 올림피아 필즈의 리치 센트럴 고등학교에 입학했다. 일리노이 주립 장학금을 받으며 루이스 사이든 교수의 연구실에서 주니어 연구 조교로 일했다.[2] 시카고 대학교에서 화학을 전공하여 1990년에 학사 학위를 받았다. 그 후 뉴욕으로 이주하여 컬럼비아 대학교 예술과학대학원에 입학하여 생리학 및 세포 생물물리학과에서 신경생리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논문 지도 교수는 에이미 B. 맥더모트 교수였다. 석사 학위 취득 후에는 연구 조교로 일했다.
그는 에모리 대학교 약리학과에서 스티븐 트레이넬리스 교수의 지도 하에 3년간 박사 후 과정을 마쳤다. 박사 후 과정 연구 범위는 프로테아제 활성화 수용체에 의한 NMDA 수용체의 조절이었다.[3] 박사 후 과정 중 그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을 방문했고, 신희섭 박사의 영향을 받아 KIST에 합류하기로 결심했다.[1] 2004년 KIST의 선임 연구원이 되었고, 2010년에는 수석 연구원, 2017년에는 종신 연구원으로 승진했다.
이창준은 신희섭과 함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신경과학 센터 창립에 참여하여 뇌 과학 연구 인프라 구축에 기여했다.[1] 국가연구소대학교(UST) 신경과학 프로그램 및 KU-KIST 융합기술대학원 설립에도 참여했으며, 2009년 기능적 연결체학 WCI 센터를 설립하고 부센터장을 역임했다.[4][5][6] 2018년에는 신희섭과 함께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공동 단장이 되었다.[7][8]
석사 및 박사 통합 과정 첫 해 전에는 마이클 리스 병원에서 에밀리 포스터의 연구실에서 연구 조교로, 컬럼비아 대학교 내에서는 마틴 로우 교수의 연구실에서 연구 기술자로도 활동했다.
3. 경력
KIST 신경과학 센터(현 KIST 뇌과학연구소) 창립 멤버로서 KIST에서 뇌 과학 연구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참여했다. 그는 또한 국가연구소대학교(UST) 신경과학 프로그램 설립을 도왔으며, KU-KIST 융합기술대학원의 창립 교수로도 참여했다. 2009년에는 세계 일류 연구기관 프로그램(WCI)의 일환으로 기능적 연결체학 WCI 센터를 설립하고 센터의 조직 부센터장을 역임했다.[4][5][6]
2018년 11월,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의 공동 단장으로 합류했다. 그는 이전에 KIST에서 신희섭과 만나 함께 일한 바 있다. 신희섭은 2020년 은퇴할 때까지 사회 신경과학 그룹을 이끌었으며,[7][8] 이창준은 분자 글리오사이언스, 글리아-뉴런 상호작용, 글리아 가소성과 인지, 그리고 글리오패시라는 네 가지 연구 분야에 중점을 둔 인지 글리오사이언스 그룹을 이끌고 있다.[9]
4. 연구 업적
4. 1. KIST 뇌과학연구소 설립 기여
그는 신희섭 단장과 함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신경과학 센터의 창립 멤버로서 KIST에서 뇌 과학 연구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참여했다.[1] 현재 이 센터는 KIST 뇌과학연구소의 일부다. 그는 국가연구소대학교(UST) 신경과학 프로그램 설립을 도왔으며, KU-KIST 융합기술대학원의 창립 교수로도 참여했다. 세계 일류 연구기관 프로그램(WCI)의 일환으로, 2009년에 기능적 연결체학 WCI 센터를 설립하고 센터의 조직 부센터장을 역임했다.[4][5][6]
4. 2.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공동 단장
2018년 11월, 신희섭과 함께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의 공동 단장이 되었다. 이창준은 이전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신희섭과 함께 일한 바 있다. 신희섭은 2020년 은퇴할 때까지 사회 신경과학 그룹을 이끌었으며,[7][8] 이창준은 분자 글리오사이언스, 글리아-뉴런 상호작용, 글리아 가소성과 인지, 그리고 글리오패시라는 네 가지 연구 분야에 중점을 둔 인지 글리오사이언스 그룹을 이끌고 있다.[9]
5. 수상 내역
연도 | 수상 내역 |
---|---|
2024 | 아산의학상[10][11] |
2023 | 한국과학상[12] |
2020 | 국내 5대 바이오분야 연구성과 및 뉴스, 포스텍 생물연구정보센터[13][14] |
2017 | 과학의 날 2017, 한국과학기술개발 대통령훈장[15][16] |
2016 | 경암학술상, 경암교육문화재단[17][18] |
2014 | FILA 기초과학상 한국과학기술원[19][20][21] |
2014 | 한국뇌신경과학회 장진상[22][23] |
2013 | 12월 과학기술대학교 스타교수상[24][25][26] |
2013 | 8월 과학기술대학교 멘토 우수상 |
2012 | 12월 과학기술대학교 멘토상[27][28] |
2011 | 과학기술대학교 준 최우수 멘토상[29] |
2011 | 과학기술대학교 멘토 우수상[29] |
2011 | KIST 올해의 과학자상 |
2011 | 10년 뒤 한국을 빛낼 100인, 동아일보[30] |
2011 | KIST 우수연구팀상 |
2010 | 대한민국 국무총리 우수연구자상 |
2010 | 12월 대한민국 과학기술부 이달의 과학자상 |
2010 | 12월 KIST 이달의 과학자상 |
2009 | KIST 우수사업상 |
2009 | 과학기술대학교 준 우수교사상 |
2009 | 과학기술대학교 5월 우수멘토상 |
2009 | 2월 KIST 우수연구원상 |
2003 | 한국신경과학자협회 우수연구자상 |
2000 | 한국신경과학자협회 우수연구자상 |
6. 학회 활동
연도 | 활동 |
---|---|
2023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회원[31] |
2016 | 한국신경교학회 회장[32], 한국뇌신경과학회 사무총장 |
2015 | 한국뇌신경과학회 사무국[33] |
1996 | 신경과학학회 회원 |
1985 | 전미 아너스 소사이어티 |
7. 저널 편집 활동
이창준은 2017년부터 현재까지 Experimental Neurobiology의 편집장으로 활동하고 있다.[24] 2008년부터 2017년까지는 Molecular Brain의 편집위원을 역임했으며,[34][35] 2004년부터 현재까지 Molecular Pain의 편집위원으로도 활동 중이다.[36]
참조
[1]
웹인용
대세 거스른 과학자 "뭘 해도 10년은 해야 하더라"
http://hellodd.com/?[...]
2016-12-12
[2]
웹인용
Speakers: On Tonic GABA and Glia-Neuron Interaction
https://dgif.dgist.a[...]
2019-09-18
[3]
콘퍼런스
Speaker C. Justin Lee
http://www.asiaspine[...]
2019-09-19
[4]
웹인용
제 13회 한국과학기술한림원상 시상식 개최
http://www.fnnews.co[...]
2014-11-27
[5]
웹인용
노벨의학상에 모서 부부 등 3명
https://www.hankyung[...]
2014-10-06
[6]
웹인용
뇌안의 GPS 원리를 밝히다…올해 노벨의학상에 오키프·모세르부부(종합)
http://biz.chosun.co[...]
2014-10-06
[7]
웹인용
'국가과학자 1호' 신희섭박사, 연구현장 떠나
http://vip.mk.co.kr/[...]
2020-12-23
[8]
웹인용
떠나는 IBS 1호 연구단장 신희섭…국내 최초로 뇌과학에 유전학 도입
https://news.mt.co.k[...]
2020-12-23
[9]
웹인용
Dr. LEE Changjoon Justin Appointed as Co-director of the Center for Cognition and Sociality
https://www.ibs.re.k[...]
2018-11-20
[10]
웹인용
이창준·김원영 ‘아산의학상’
https://www.chosun.c[...]
2024-01-24
[11]
웹인용
아산의학상에 이창준 기초과학연구원 소장·김원영 울산대 교수
https://www.yna.co.k[...]
2024-01-23
[12]
웹인용
'2023 한국과학상'에 김창영·이창준…한국공학상에 조광현·이중희
https://m.dongascien[...]
2023-11-09
[13]
웹인용
연구자 1325명이 선정한 올해 바이오 성과 TOP5
https://www.hellodd.[...]
2020-12-27
[14]
웹인용
2020 국내 바이오분야 연구성과 및 뉴스 TOP5
https://m.ibric.org/[...]
2020-12-22
[15]
웹인용
"[과학·정보통신의 날]과학기술 유공자…나노·식품 등 각 분야서 9명 포장 수상"
http://www.etnews.co[...]
2017-04-23
[16]
웹인용
"[표] 2017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 정부포상 수상자"
https://www.mk.co.kr[...]
2017-04-21
[17]
웹인용
12th Kyung-Ahm Prize Laureates (2016)
http://eng.kafound.o[...]
[18]
웹인용
이창준 KIST 단장, 기초과학연구원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공동 연구단장 선임
https://www.ajunews.[...]
[19]
웹인용
이창준 연구인 수상내역
https://people.searc[...]
[20]
웹인용
윤윤수 휠라 회장, 한림원 명예회원 위촉
http://www.asiatoday[...]
2014-12-01
[21]
웹인용
권익찬 KIST 연구원, 과학기술한림원 학술상 수상
https://www.edaily.c[...]
2014-11-28
[22]
웹인용
이창준 KIST 교수 '장진 학술상'
http://www.donga.com[...]
2014-11-10
[23]
웹인용
이창준 KIST 단장, 기초과학연구원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공동 연구단장 선임
https://www.ajunews.[...]
2018-10-31
[24]
웹인용
Editorial Board
https://www.en-journ[...]
[25]
웹인용
UST 스타교수에 이창준 교수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3-12-22
[26]
웹인용
"[대전/충남]UST '스타교수' 첫 선정"
http://www.donga.com[...]
2013-12-24
[27]
웹인용
이창준 교수 '최우수교수상' UST, 우수교원 표창식
http://www.dt.co.kr/[...]
2012-12-20
[28]
웹인용
"[사이언스 브리핑]국립과천과학관 外"
http://www.donga.com[...]
2012-12-21
[29]
웹인용
UST, 연구성과 우수 학생ㆍ지도교수 표창
http://www.dt.co.kr/[...]
2011-06-29
[30]
웹인용
10년 뒤 한국을 빛낼 100인
http://www.donga.com[...]
2011-01-01
[31]
웹인용
필즈상 '허준이 교수' 등 과학한림원 정회원 33명 선출
https://www.chosun.c[...]
2023-11-29
[32]
웹인용
치매치료제, 기존 약물의 한계를 극복할 치료약물 개발
http://www.scinews.k[...]
2019-03-26
[33]
웹인용
2015 한국뇌신경과학회 정기학술대회 심포지엄 공모안내
http://www.nibp.kr/x[...]
2013-03-13
[34]
저널
Welcome to ''Molecular Brain''
2008-06-17
[35]
웹인용
Editorial Board
http://molecularbrai[...]
Biomedical Central (Springer Nature)
[36]
웹인용
Editorial Board
https://us.sagepub.c[...]
SAGE Publishing
2019-09-1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