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암학술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암학술상은 학술, 연구, 문화 활동을 통해 사회 발전에 기여한 학자, 전문가, 예술가들의 노력을 기리기 위해 제정된 상이다. 인문·사회, 자연과학, 생명과학, 공학, 예술, 특별·공로상 분야로 나누어 시상하며, 윤덕용이 위원장을 맡고 있다. 2005년부터 매년 시상하며, 각 분야별 수상자를 배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학술상 - 한국출판문화상
한국출판문화상은 한국일보의 전 사주 장기영의 호를 따서 명명된 대한민국의 출판상으로, 초기 저작상 시상에서 1991년 출판상 추가 이후 매년 12월 수상자를 발표하며, 1960년부터 2000년까지는 일조각이 저작상을 가장 많이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학술상 - 서울특별시 문화상
서울특별시 문화상은 서울특별시에서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1968년부터 다양한 분야에서 공헌한 사람들에게 수여되었으며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서울사랑시민상으로 불리기도 했다. - 2005년 도입 - 유니버설 미디어 디스크
유니버설 미디어 디스크(UMD)는 소니 PSP에 사용된 60mm 광 디스크로, 게임, 영상, 음악 콘텐츠를 최대 1.8GB까지 저장하며, DVD와 유사한 지역 코드와 AES 128 비트 암호화를 사용했지만, PSP 외 다른 기기에서 사용 불가 및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2010년대 초반에 지원이 중단되었다. - 2005년 도입 - 국방개혁 2020
국방개혁 2020은 대한민국 국방부가 국방운영체계 선진화, 군 구조 및 전력체계 발전, 3군 균형 발전, 병영문화 발전 및 문민화 등을 목표로 추진한 개혁으로, 프랑스식 국방개혁을 벤치마킹하여 법제화되었고, 자주국방 강조에 대한 평가에 따라 한미 연합전력 활용 방향으로 수정되어 상비병력 및 예비군 감축 규모 조정, 카투사 유지 등의 내용이 변경되었다.
경암학술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경암학술상 | |
기본 정보 | |
수여 기관 | 경암교육문화재단 |
국가 | 대한민국 |
수여 대상 | 학술 연구 |
첫 시상 연도 | 2005년 |
웹사이트 | 경암교육문화재단 |
2. 제정 취지
학술과 연구 및 문화 활동을 통해 사회 발전과 도약에 크게 기여한 학자, 전문가, 예술가들의 창의적이고 헌신적인 노력을 기리기 위해 경암학술상이 제정되었다. 인문·사회, 자연과학, 생명과학, 공학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함으로써 이들의 귀중한 업적을 정당하게 평가하고 예우하며, 이를 본보기로 삼아 학문 연구와 예술 창작에 매진하는 사람들에게 동기를 부여하여 사회의 학문 및 예술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취지를 담고 있다.
경암학술상은 2005년부터 인문·사회, 자연과학, 생명과학, 공학, 예술, 특별·공로상의 4~6개 부문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개인에게 수여되는 상이다.[6] 일부 연도에는 특정 분야의 수상자가 없기도 했다.
3. 학술상 위원회
4. 수상자
4. 1. 연도별 수상자
김영식홍병희 고규영 김승우 문훈숙 고박병선 제8회 2012년 이정식 오용근 강봉균 이영무 - - 제9회 2013년 이영훈 장석복 이민구 백점기 - 김대중 제10회 2014년 김재권 김수봉 전장수 유회준 - - 제11회 2015년 김우창 강현배 백성희 최만수 - - 제12회 2016년 권헌익 이효철 이창준 선양국 - - 제13회 2017년 김경동 염한웅 윤태영 이종호 - 승효상 제14회 2018년 - 금종해 - 손훈 - 권오곤 제15회 2019년 이근 이영희 황철상 석상일 - - 제16회 2020년 성낙인 윤주영 이정호 황철성 - - 제17회 2021년 - 최영주 김형범 이병호 - - 제18회 2022년 이종화 김준성 김재범 조동우 - - 제19회 2023년 임현진 심흥선 주영석 이태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