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학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화학당은 1886년 미국 북감리교회 선교사 메리 스크랜턴이 서울 정동에 설립한 한국 최초의 사립 여성 교육기관이다. 대한제국 고종으로부터 교명을 하사받았으며, 1897년 서구식 2층 건물인 메인홀을 건축했다. 1904년 중등과, 1908년 보통과와 고등보통과, 1910년 대학과를 신설하며 교육 과정을 확장했다. 1910년대 이후 학교 분립 과정을 거쳐 1928년 이화학당이라는 이름은 사라지고 각급 학교가 독립적인 학제로 운영되었다. 교육은 중등 정도를 목표로 했으며, 성서, 영어, 산술, 언문, 역사, 한문 등을 가르쳤다. 졸업 전 결혼하는 학생이 많아 선교사가 결혼을 주선하기도 했으며, 1897년 조만수와 김륜시의 결혼은 한국 최초의 서양식 결혼식으로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화학원 - 이화여자고등학교
1886년 메리 F. 스크랜튼 여사가 설립하고 고종 황제가 교명을 하사한 한국 최초의 여성 교육 기관인 이화여자고등학교는 서울 중구 정동에 위치한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로서, 일제강점기 민족 교육의 중심지이자 유관순 열사, 강경화 전 외교부 장관 등 저명한 인사를 배출하였다. - 이화학원 -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는 이화학원이 설립하여 1992년 개교한 사립 외국어고등학교로,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중국어과를 운영하며 방송인 신아영과 변호사 임윤선 등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 심의석의 건축물 - 배재학당
미국 선교사 헨리 아펜젤러가 1885년에 설립한 배재학당은 이승만, 주시경, 김소월 등 저명한 동문과 개혁적 교원들을 배출하며 민족의식 고취, 독립운동, 민주화 운동에 기여한 한국의 근대 교육 기관이다. - 심의석의 건축물 - 정동제일교회
정동제일교회는 아펜젤러 선교사가 1885년에 설립한 한국 최초의 감리교 교회 중 하나로, 한국 최초의 서양식 개신교 교회 건축물인 벧엘예배당과 파이프 오르간 설치, 정동부인병원 설립 등의 '최초' 기록과 독립운동에 참여한 민족대표 33인을 배출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 1886년 설립 - 이화여자고등학교
1886년 메리 F. 스크랜튼 여사가 설립하고 고종 황제가 교명을 하사한 한국 최초의 여성 교육 기관인 이화여자고등학교는 서울 중구 정동에 위치한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로서, 일제강점기 민족 교육의 중심지이자 유관순 열사, 강경화 전 외교부 장관 등 저명한 인사를 배출하였다. - 1886년 설립 - 예시바 대학교
예시바 대학교는 1886년 뉴욕에 설립된 에츠 차임 예시바를 모태로, 현재는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과 우수한 스포츠팀, 저명한 동문들을 배출하는 미국의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이화학당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이화학당 |
한자 표기 | 梨花學堂 |
개교 | 1886년 5월 31일 |
설립 형태 | 사립 |
교장 | 메리 스크랜턴 |
국가 | |
위치 | 한성부 중구 정동 |
상징 | 배꽃 |
학과 | 초·중·고 |
설립 정보 | |
설립일 | 1886년 5월 31일 |
설립자 | 메리 F. 스크랜턴 |
2. 역사
1886년 메리 F. 스크랜턴이 서울 정동에 설립한 이화학당은 대한제국의 고종 황제로부터 교명을 하사받은 한국 최초의 사립 여성 교육 기관이었다.[1]
1886년, 200m2 규모의 한옥 기와집에서 시작된 이화학당은 학생 수가 증가함에 따라 1897년 서양식 2층 건물인 본관을 건설했다. 1904년 중학교, 1908년 보통과 및 고등과 일반부, 1910년 대학부가 설립되었고, 1914년에는 이화유치원과 대학부 첫 졸업식이 있었다.[1]
1915년 심프슨홀 완공, 1917년 중등과부의 대학 예과로 명칭 변경, 1918년 고등과와 일반부 분리 (이화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부속학교), 1925년 대학부와 대학 예과를 이화여자대학교로 개칭 및 문과, 음악부 신설 등의 과정을 거쳤다. 1927년 이화여자대학교의 첫 졸업식이 열렸고, 1928년 이화학당 유치원 교원부가 이화보육학교로 개칭되면서 '이화학당'이라는 명칭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1]
2. 1. 설립 (1886-1910)
1886년 미국 북감리교회 여성 선교사 메리 스크랜턴이 서울 중구 정동에 설립하였다. 메리 스크랜턴은 윌리엄 스크랜턴의 어머니로, 대한제국 고종에게서 '이화학당'이라는 교명을 하사받았으며, 이는 한국 최초의 사립 여성 교육기관이었다.1886년 서울 정동에 건평 200평 규모의 한식 기와집을 건축했는데, 이것이 교사 건축의 시작이었다. 이 건물은 35명 정도의 학생을 수용할 수 있었으며, 교실과 교사 숙소 등을 갖추었다. 학생 수는 1887년에 7명, 1888년에 18명, 1893년에 30명으로 점차 증가하였다. 이에 1897년 기존의 한옥 교사를 헐고, 그 자리에 당시로서는 최신 설비를 갖춘 서구식 2층 건물인 메인홀을 착공하였다.[7]
1904년에는 중등과가, 1908년에는 보통과와 고등과가, 1910년에는 대학과가 차례로 신설되었다. 중등과 제1회 졸업생은 1908년에 배출되었고, 대학과 제1회 졸업생은 1914년에 배출되었다.[6][8]
2. 2. 이화학당 본관(메인홀) 건축 (1897-1899)
1886년 서울 정동에 건평 200m2 (약 60평) 규모의 한식 기와집을 건축했는데, 이것이 교사 건축의 시작이었다. 학생 수가 증가하자 1897년 기존의 한옥 교사를 헐고 그 자리에 당시로서는 최신 설비를 갖춘 서구식 2층 건물인 메인홀(본관)을 착공하였다. 이화학당 본관(메인홀)은 당시 유명한 건축기사 심의석이 1897년~1899년에 걸쳐 건립하였다.[9]2. 3. 성장과 변화 (1910-1928)
1910년 대학과를 신설하면서 이화학당은 종합적인 교육기관으로 성장했다. 1914년에는 이화유치원을 신설하고 대학과 첫 졸업식을 가졌다.[7] 1915년에는 유치원 사범과를 설치하고 심프슨홀을 완공하여 교육 시설을 확충했다.[7]1918년, 이화학당은 고등과와 보통과를 분리하여 각각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와 이화여자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7] 이는 한국 여성 교육의 발전과 전문화에 발맞춘 변화였다.
1925년에는 대학과 및 대학예과를 이화여자전문학교로 개칭하고 문과 및 음악과를 신설하여, 인문학과 예술 분야의 여성 인재 양성에 힘썼다.[7] 1927년 이화여자전문학교의 첫 졸업식이 거행되었다.[7]
1928년 이화학당 유치원 사범과를 이화보육학교로 개칭하면서, '이화학당'이라는 명칭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7] 이는 이화학당이 각급 학교로 분리, 발전하면서 나타난 자연스러운 결과였다.
3. 교육 과정
이화학당의 교육은 중등 정도를 목표로 하였고, 교육 목적에 대해 길모어(Gilmore)는 "한국 여아(韓國女兒)를 모범적인 주부로 만드는 동시에 그들의 친척·동료 사이에 개신교 선교사를 만드는 데 있다"라고 지적하였다.[10] 개신교에서 세운 학교이므로 성서를 가장 중요시하고, 영어, 영문법, 산술, 언문(諺文), 창가(唱歌), 역사, 글씨 쓰기 등과 천자문, 동몽선습 등 한문도 가르쳤다.[10] 실생활에 응용할 수 있는 학문들을 가르쳤던 셈이다.[6]
4. 결혼식과 졸업식
1908년 이전에는 이화학당에 졸업식이 없었는데, 대부분의 학생들이 결혼을 하면서 학업을 그만두었기 때문이다.[11] 그래서 선교사들이 나이가 찬 여학생들을 위해 직접 결혼을 주선하기도 했다. 선교사들은 여학생의 보호자가 되어 신랑감을 찾아주고, 혼수까지 마련해 주었다. 다만, 결혼 상대는 반드시 북감리교 신자여야 한다는 까다로운 조건이 있었다.
이화학당 선교사가 주선한 결혼 중에서 한국 최초의 서양식 결혼식은 1897년 4월 18일에 열린 조만수와 김륜시의 결혼식이었다.[6] 신부 김륜시는 1879년생으로 이화학당을 9년 동안 다닌 학생이었고, 신랑 조만수는 1876년 1월 1일에 과천에서 태어나 17살 때 서울로 올라와 이화학당장 조세핀 오펠리아 페인의 한국어 교사였다가,[6] 1899년 이화학당 회계 겸 초대 서무주사가 되었다. 김륜시는 결혼 후 당시 평동 91번지에 있던 이화지교(梨花支校, 일종의 부속학교)에서 근무하였다.[6]
참조
[1]
서적
University Dictionary
Good Morning Media
[2]
서적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Academy of Korean Studies
[3]
간행물
"「Ewha, 110 Years of History」, the new construction and extension of a building"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07
[4]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 Shim Eui Seok
https://terms.naver.[...]
[5]
서적
이것이 한국 최초
Sammoon
[6]
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7]
서적
대학사전
굿모닝미디어
[8]
간행물
"「이화 110년사」, 건물의 신축 및 증축"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7
[9]
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심의석(沈宜錫)
https://terms.naver.[...]
[10]
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11]
서적
이것이 한국 최초
삼문
1995-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