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평택고속도로지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익산평택고속도로지선은 고속국도 제173호선으로, 익산 ~ 평택선의 지선이다. 2018년 1월 12일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권관리 ~ 포승읍 희곡리 구간으로 지정되었으며, 2024년 12월 10일 개통될 예정이다. 서오산 분기점을 시작으로 안녕IC, 정남IC 등을 포함하며, 경기도 평택시를 통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택시의 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평택시의 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연결되며, 1991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총 연장 340.81km이다. -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부산광역시를 잇는 총 연장 273.17km의 고속도로 10호선으로, 1973년 개통 이후 확장 공사와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 전 구간 4차선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구간별로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다. - 경기도의 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경기도의 도로 - 중부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는 경기도 하남시에서 충청북도 청주시를 잇는 총연장 117.2km의 고속도로로, 1985년 착공되어 1987년 서울~대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01년에 고속국도 노선번호 35호선으로 변경되었고, 구간별로 왕복 4차로와 8차로로 운영된다.
익산평택고속도로지선 | |
---|---|
지도 정보 | |
도로 정보 | |
도로 종류 | 고속국도 |
노선명 | 익산평택고속도로의지선 |
노선 번호명 | 고속국도 제173호선 |
총연장 | 5.7 km |
개통년 | 2024년 12월 10일 |
기점 |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
주요 경유지 | 경기도 평택시 |
종점 |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
주요 교차 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익산평택고속도로 |
2. 역사
- 2018년 1월 12일: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권관리~포승읍 희곡리 구간을 '''고속국도 제173호선 익산평택고속도로지선'''(익산~평택선의 지선)으로 지정[1]
- 2019년 12월 6일: 평택~부여~익산(서부내륙)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 승인 및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구덕리~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내기리 137.7km 구간 도로구역 결정[2][3]
- 2024년 12월 10일: 개통[4]
2. 1. 개요
익산평택고속도로와 인근을 지나는 서해안고속도로 사이의 연계를 위해 지어진 고속도로로, 안중 나들목에서 시작된다.2. 2. 연혁
- 2018년 1월 12일: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권관리~포승읍 희곡리 구간을 '''고속국도 제173호선 익산평택고속도로지선''''(익산~평택선의 지선)으로 지정[1]
- 2019년 12월 6일: 평택~부여~익산(서부내륙)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 승인 및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구덕리~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내기리 137.7km 구간 도로구역 결정[2][3]
- 2024년 12월 10일: 개통[4]
3. 나들목 · 분기점
- 나들목(IC) 및 분기점(JC) 번호는 숫자로 표기한다.
- TG는 요금소(tollgate), SA는 휴게소(Service Area)를 의미한다.
- 거리 단위는 1km를 사용한다.
3. 1. 목록
거리거리
(서동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