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평택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익산평택고속도로는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경기도 평택시를 잇는 고속도로이다. 2017년 2월 27일 실시 협약이 체결되었고, 2018년 1월 12일 고속국도 제17호선으로 지정되었다. 2019년 12월 6일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이 승인되었으며, 2024년 12월 10일 평택~부여 구간 개통을 앞두고 있다. 안중 나들목에서 부여구룡 나들목 구간은 왕복 4차로로 건설되며, 총 연장은 132.0km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양군의 도로 - 충절로
충절로는 충청남도 서천군에서 홍성군까지 이어지는 주요 도로로, 백제의 계백 장군과 사육신 성삼문, 박팽년 등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2009년 8월에 명명되었으며 각 지역의 주요 읍·면 중심지를 연결한다. - 청양군의 도로 - 충의로 (부여 공주)
충의로는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공주시까지 이어지는 도로로, 여러 국도, 국가지원지방도, 지방도와 교차하며 서천공주고속도로 칠갑산 나들목을 통해 고속도로 접근이 가능하다. - 익산시의 도로 - 호남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순천에서 충청남도 천안까지 이어지는 고속도로로, 1973년 전 구간 개통 후 확장 및 개선 공사를 거쳐 논산천안고속도로와 통합되었으며,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도입 등 이용객 편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익산시의 도로 - 새만금포항고속도로지선 (익산 완주)
전라북도 익산시와 완주군을 잇는 총 연장 24.5km의 왕복 4차로 고속국도 제204호선인 새만금포항고속도로지선 (익산 완주)은 2018년 익산포항고속도로에서 분할되어 지정되었으며, 터널과 교량을 포함하고 호남고속도로 및 순천완주고속도로와 연결된다. - 청양군의 교통 -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39호선은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경기도 의정부시를 잇는 일반국도로, 개통 및 확장 공사를 거쳐 현재 충청남도와 경기도의 주요 도시 및 산업단지를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 역할을 수행하며, 일부 구간은 교통 혼잡 개선이 필요하고 여러 고속도로와 연결된다. - 청양군의 교통 - 지방도 제609호선
충청남도 보령시에서 서산시까지 이어지는 지방도 제609호선은 총연장 59.0km이며, 2003년 노선 재지정 및 구간 공사를 거쳐 현재 보령시, 청양군, 홍성군, 예산군, 서산시를 경유한다.
익산평택고속도로 | |
---|---|
도로 정보 | |
도로 종류 | 고속국도 |
노선명 | 익산평택고속도로 |
노선 번호명 | 고속국도 제17호선의 일부 |
총연장 | 132.0 km |
기점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왕궁면 |
주요 경유지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충청남도 부여군 충청남도 청양군 충청남도 홍성군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아산시 경기도 평택시 |
종점 |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
주요 교차 도로 | 새만금포항고속도로지선 호남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당진청주고속도로 서천공주고속도로 익산평택고속도로지선 |
2. 역사
날짜 | 내용 |
---|---|
2017년 2월 27일 | 실시협약 체결[1] |
2018년 1월 12일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구덕리 ~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삼정리 구간을 고속국도 제17호선 익산평택고속도로(익산 ~ 평택선)로 지정[1] |
2019년 12월 6일 | 평택 ~ 부여 ~ 익산(서부내륙)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 승인 및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구덕리 ~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내기리 137.7km 구간 도로구역 결정[2][3] |
2024년 12월 10일 | 평택~부여 구간 개통[4] |
2. 1. 추진 과정
익산평택고속도로는 충청 내륙 및 호남 지역의 고속도로 보급률을 높여 지역 균형 발전을 가속화하고, 서해안고속도로 및 경부고속도로의 상습 정체 구간 통행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건설되는 고속도로이다. 평택 ~ 부여 구간은 2020년 우선 착공되었으며, 부여 ~ 익산 구간은 2029년에 착공될 예정이다.[2][3]주요 추진 과정은 다음과 같다.
날짜 | 내용 |
---|---|
2017년 2월 27일 | 실시협약 체결 |
2018년 1월 12일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구덕리 ~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삼정리 구간을 고속국도 제17호선 익산평택고속도로(익산 ~ 평택선)로 지정[1] |
2019년 12월 6일 | 평택 ~ 부여 ~ 익산(서부내륙)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 승인 및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구덕리 ~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내기리 137.7km 구간 도로구역 결정[2][3] |
2024년 12월 10일 | 평택~부여 구간 개통[4] |
2. 2. 개통 예정
평택 ~ 부여 구간은 2020년에 우선 착공되었으며, 부여 ~ 익산 구간은 2029년에 착공될 예정이다.3. 노선
익산평택고속도로는 충청내륙지역과 호남권의 고속도로 접근성을 높여 지역 균형 발전을 돕고, 서해안고속도로 및 경부고속도로의 교통 정체를 완화하기 위해 건설되는 도로이다. 평택~부여 구간은 2020년에 먼저 착공되었으며, 부여~익산 구간은 2029년에 착공될 예정이다.[1]
이 고속도로는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왕궁면, 춘포면, 덕기동, 석왕동, 은기동, 금마면, 삼기면, 함열읍, 황등면, 성당면, 웅포면)을 거쳐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충화면, 장암면, 남면, 규암면, 구룡면, 은산면), 청양군 (남양면, 청양읍, 비봉면), 홍성군 장곡면, 예산군 (광시면, 대흥면, 응봉면, 오가면, 신암면), 아산시 (선장면, 도고면, 신창면, 인주면, 영인면)을 지나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오성면, 안중읍)까지 이어진다.
3. 1. 구성
- 차로 수
- 안중 나들목 ~ 부여구룡 나들목, 현덕 분기점 ~ 안중 나들목: 왕복 4차로
- 아산 분기점 ~ 현덕 분기점: 왕복 6차로
- 총 연장
- 안중 나들목 ~ 부여구룡 나들목: 132km
- 제한 속도
- 전 구간 최고 100km/h, 최저 50km/h
3. 2. 주요 시설물
분기점휴게소
현덕 분기점
평택호 (평택호휴게소)
영인
아산 분기점
예산추사고택
예산 분기점
예산예당호 (예산예당호휴게소)
청양
부여 분기점
부여구룡
경기도 평택시
경기도 평택시
충청남도 아산시
충청남도 아산시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청양군
충청남도 부여군
충청남도 부여군
대흥2터널
봉수산터널
비봉터널
남양1터널
남양2터널
은산3터널
은산2터널
은산1터널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충청남도 청양군 비봉면
충청남도 청양군 남양면
충청남도 청양군 남양면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공세교
월선2교
도수천교
월선1교
삼원들천교
불당천교
부엉박천교
장구목천교
도흥2천교
곡교천1교
선창1교
학성천교
군덕1교
신엄천교
도고천교
대정교
무한천2교
두곡교
용궁교
오촌교
신석2교
신석1교
월곡3교
월곡2교
둔터골천교
평촌2천교
승지물천교
마사천교
구례천교
노전천교
천태교
무한천1교
양사1교
용천교
장승1교
군량천교
금정1교
구룡천교
매암천교
온직천교
온직1교
대양1교
경둔교
수목3교
수목2교
수목1교
수목천1교
수목육교
구봉3교
구봉4교
충청남도 아산시
충청남도 아산시, 예산군
충청남도 아산시
충청남도 아산시, 예산군
충청남도 아산시
충청남도 아산시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아산시
충청남도 아산시
충청남도 아산시
충청남도 아산시
충청남도 아산시
충청남도 아산시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남도 청양군
충청남도 청양군
충청남도 청양군
충청남도 청양군
충청남도 청양군
충청남도 부여군
충청남도 부여군
충청남도 청양군
충청남도 청양군
충청남도 부여군
충청남도 부여군
충청남도 부여군
충청남도 부여군
충청남도 부여군
충청남도 부여군
충청남도 부여군
충청남도 청양군
충청남도 청양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