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왕산 백운동 계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왕산 백운동 계곡은 근현대 시기까지 역사·문화적 경관을 유지해 온 곳이다. 조선 시대에는 문신 이염의 집터가 있었고, 대한제국 시기에는 법부대신 김가진이 별서 백운장을 조성하여 독립운동의 거점으로 활용했다. 백운장에는 김가진이 1903년에 쓴 "백운동천" 바위글씨가 남아있다. 일제강점기에는 고급 요리집으로, 해방 이후에는 요정으로 사용되다가 1962년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가 이 일대를 구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계곡 - 인왕산 수성동 계곡
    인왕산 수성동 계곡은 서울특별시 기념물로 지정된 인왕산 아래의 아름다운 경승지이며, 조선시대 겸재 정선의 그림에도 등장할 만큼 수려한 경관을 자랑하고, 도성 내 유일하게 원 위치에 보존된 돌다리와 조선 후기 위항문학의 중심지로서 문학사적 가치를 지닌다.
  • 서울특별시의 계곡 - 벽운동계곡
  •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 보신각
    보신각은 조선 시대 한양 도성의 문을 여닫는 시각을 알리던 종루에서 유래하여 고종이 이름을 내린 종각으로, 현재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복원되어 매년 제야의 종 타종 행사가 열리는 장소이며 한국 전통 범종의 의미를 공유한다.
  •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 낙성대
    낙성대는 강감찬 장군의 탄생 설화에서 유래된 '별이 떨어진 곳'이라는 뜻의 관악구 지명으로, 안국사, 낙성대 공원, 삼층석탑 등의 유적지가 있으며 역사적 근거에 대한 논란과 함께 서울대학교를 은유하는 표현으로도 쓰인다.
  • 서울 종로구의 문화유산 - 종묘
    종묘는 조선 왕조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사당으로, 왕실의 권위와 유교적 이념을 반영한 건축물이며,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한국의 사적 제125호이다.
  • 서울 종로구의 문화유산 - 흥인지문
    흥인지문은 조선시대 한양도성의 동쪽 대문으로, 1398년에 처음 건립되어 1869년에 중건되었으며, 대한민국 보물 제1호이자 도성 8개 성문 중 유일하게 옹성을 갖추고 있고, 풍수지리적 이유로 이름 지어졌으며, 현재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다.
인왕산 백운동 계곡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백운동천(白雲洞天) 각자
백운동천(白雲洞天) 각자
이름인왕산 백운동 계곡
한자 표기仁王山 白雲洞 溪谷
국가서울특별시
유형기념물
지정 번호40
지정일2014년 10월 30일
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6-6 외
참고자연유산 / 명승/ 자연명승
상세 정보

2. 역사

백운동 계곡은 조선 전기 문신 이염의 집터였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법부대신을 지낸 동농 김가진이 이곳에 백운장(白雲莊)을 짓고 독립운동의 거점으로 활용했다. 김가진 일가가 중국으로 망명한 후, 백운장은 일제강점기에 고급 요리집으로 사용되었으며, 해방 이후에는 요정 정치의 장소로 이용되었다. 1915년 일본인 키타무라 세이타로(北村淸太郞)가 청향원(淸香園)이라는 이름으로 지었다가 1929년에 이름을 바꾸었으며[1], 1962년 9월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가 이 일대를 구입하였다.[2]

2. 1. 조선시대

백운동 계곡은 조선 전기 문신 이염(?~1492)의 집터였다.[5]

2. 2. 대한제국 시기

김가진은 이곳에 별서(別墅)인 '''백운장'''(白雲莊)을 조성하여 1910년 국권 상실 후 독립운동을 위해 중국으로 망명하기 전까지 이곳을 무대로 활동했다. 지금도 김가진의 별서 터의 일부와 광무 7년(1903년)에 쓴 “백운동천(白雲洞天)” 바위글씨가 남아 있다.[5]

2. 3. 일제강점기

김가진광무 7년(1903년) "백운동천(白雲洞天)"이라고 쓴 바위글씨가 남아있고, 김가진 일가가 중국으로 망명한 후 일제 강점기 동안 고급 요리집으로 사용되었다.[5] 1915년 일본인 키타무라 세이타로(北村淸太郞)가 '''청향원'''(淸香園)이라는 이름으로 지었다.[1]

2. 4. 해방 이후

백운동 계곡은 해방 이후부터 1961년 박정희 정권 때 불하가 결정되기 전까지 요정정치가 이루어진 장소였다.[5] 1962년 9월에는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가 이 일대를 구입하였다.[2]

참조

[1] 서적 서촌 1: 역사·경관·도시조직의 변화 서울역사박물관 2010
[2] 서적 서촌 2: 사람들의 삶과 일상 서울역사박물관 2010
[3] 서적 서울육백년사 –문화사적편
[4] 문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준천사실(濬川事實)』, 『한경지략(漢京識略)』, 『육전조례(六典條例)』
[5] 웹인용 제2014-356호 서울특별시 기념물 지정 고시 https://event.seoul.[...] 2014-10-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