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는 인천국제공항과 수도권을 연결하는 고속도로로, 1993년 고속국도 제20호선으로 지정되어 2000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총 연장 36.55km, 노선 연장 40.2km이며, 서울특별시 강서구, 경기도 김포시, 고양시를 통과한다. 주요 분기점 및 나들목으로는 공항신도시 분기점, 북인천 나들목, 청라 나들목 등이 있으며, 영종대교와 개화터널 등이 있다. 2023년 10월부터 통행료가 인하되었고, 영종도 주민은 통행료가 면제된다. 2015년 영종대교 106중 추돌 사고, 2019년 배우 한지성 사망 사고 등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방화대교
방화대교는 2000년 11월 21일 개통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의 일부이자 한강의 26번째 다리이다.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영종대교
영종대교는 대한민국에 건설된 혁신적인 3차원 트러스교이자 세계 최초 다이아몬드형 주탑의 자정식 현수교로, 300m 주 경간은 자정식 현수교 중 세계 최장 경간을 자랑하며 2015년 106중 추돌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 인천국제공항 -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서울과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 서울역, 김포공항역, 인천공항1터미널역 등을 지나 직통열차와 일반열차를 운행한다. - 인천국제공항 - 인천대교
인천대교는 송도국제도시와 영종도를 잇는 21.38km 길이의 고속도로 교량으로, 인천국제공항과 수도권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아름다운 야경으로도 유명하다. - 인천 계양구의 교통 - 경인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는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과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동을 잇는 총 8차로의 고속도로로, 일부 구간의 고속도로 지정 해제 및 관리권 이관으로 현재 총연장 13.44km이며 서울, 인천, 경기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 시설이지만 신월 나들목 부근은 상습 정체 구간이다. - 인천 계양구의 교통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는 서울 수도권 지역을 순환하는 총연장 128.02km의 고속도로로, 1988년 건설을 시작하여 단계적인 확장과 노선 변경을 거쳐 2007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일부 민자 구간은 개방식 요금소를 통해 통행료를 징수하고 경기순환버스 정류장이 설치되어 있다.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노선 종류 | 고속국도 |
노선 번호 | 130 |
다른 이름 |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로마자 표기 | Incheon Gukje Gonghang Gosok Doro |
한자 표기 | 仁川國際空港高速道路 |
총 길이 | 36.55 km |
개통일 | 2001년 |
건설 시작 | 2000년 |
방향 | 동서 |
기점 및 종점 정보 | |
기점 |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 공항신도시 JC 제2경인고속도로 |
종점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강매동 북로 JC 국도 제77호선 수원문산고속도로 |
주요 경유지 | |
경유 도시 | 인천광역시 경기도 김포시 서울특별시 경기도 고양시 |
주요 연결 도로 | |
주요 연결 도로 | 평택파주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국도 제48호선 국도 제77호선 |
2. 역사
1993년 9월 27일 경기도 고양시 강매동 ~ 인천직할시 중구 운서동 구간이 '''고속국도 제20호선 수도권신공항고속도로'''로 처음 지정되었다.[4] 같은 해 12월 28일 국고 재정으로 착공되었으나, 1995년 10월 29일 민간투자사업으로 변경되어 신공항하이웨이 주식회사[3]가 설립되었고, 같은 해 12월 민자 사업으로 다시 착공하였다.
1997년 8월 27일 노선명이 현재의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로 변경되었으며,[8] 2000년 11월 21일 공항신도시 분기점 ~ 북로 분기점 간 40.2km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12] 2001년 8월 25일에는 기점과 종점이 현재와 같이 인천에서 고양 방향으로 변경되고 노선 번호도 '''제130호'''로 바뀌었다.[13]
개통 이후 2009년 금산 나들목, 2013년 청라 나들목 등이 추가로 개통되었으며, 2015년 영종대교에서 106중 추돌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2023년 10월 1일에는 통행료가 일반 고속도로 수준으로 인하되었고, 영종도 주민에 대한 통행료 면제가 시행되었다. 2027년에는 검단 나들목이 개통될 예정이다.
2. 1. 건설 과정
1993년 9월 27일, 대한민국 정부는 경기도 고양시 강매동부터 당시 인천직할시 중구 운서동까지의 구간을 '''고속국도 제20호선 수도권신공항고속도로'''(수도권신공항선)로 지정했다.[4] 처음에는 1993년 12월 28일 국고 재정으로 착공되었으나, 1995년 10월 29일 민간 자본으로 건설하기 위해 사업 시행자인 '신공항고속도로주식회사'(현재의 신공항하이웨이 주식회사)가 설립되면서[3] 민자 사업으로 전환되었다. 이후 1995년 12월, 신공항하이웨이(주)에 의해 공항신도시 분기점부터 북로 분기점까지 전 구간이 민자 사업으로 착공되었다.[3]건설 과정에서 몇 가지 변경 사항이 있었다. 1997년 8월 27일에는 노선명이 '수도권신공항고속도로'에서 현재의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인천국제공항선)로 변경되었다.[8] 또한, 1994년 2월[5]과 1995년 4월[6]에 초기 도로구역이 결정된 이후, 1997년 9월 배후지원단지 나들목 위치 변경[9], 1998년 12월 북인천 나들목 진입도로 확장[10] 등으로 도로구역이 일부 조정되었다.
2000년 11월 20일 전 구간이 준공되었으며,[3] 다음 날인 11월 21일 공항신도시 분기점부터 북로 분기점까지 총 40.2km 구간이 개통되었다.[12] 총 공사비는 1.744조원이 투입되었다.[1]
2. 2. 개통 및 운영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제130호선으로, 수도권의 주요 공항인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국제공항을 연결하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건설되었다. 총 공사비는 1.744조원이 투입되었으며[1], 민간투자사업으로 추진되어 신공항하이웨이 주식회사가 관리 및 운영을 맡고 있다. 편도 3~4차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통행료는 전 구간 동일 요금을 본선요금소에서 지불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2]고속도로 건설 및 운영 과정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 | 내용 | 근거 |
---|---|---|
1993년 9월 27일 | 경기도 고양시 강매동 ~ 인천직할시 중구 운서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20호선 수도권신공항고속도로(수도권신공항선)로 지정 | [4] |
1993년 12월 28일 | 국고 재정으로 착공 시작 | |
1994년 2월 28일 | 수도권신공항고속도로 신설을 위한 도로구역 결정 (인천직할시 중구 운북동 ~ 서구 경서동 9.975km 구간) | [5] |
1995년 4월 26일 | 수도권신공항고속도로 신설을 위한 도로구역 결정 (경기도 고양시 강매동 ~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 26.59km 구간) | [6] |
1995년 10월 29일 | 새로운 사업 시행자인 "신공항고속도로주식회사"[3](현: 신공항하이웨이 주식회사)가 민간 자본으로 설립 | [3] |
1995년 12월 7일 | 민간투자사업으로 전환하여 신공항하이웨이 주식회사에 의해 착공 (공항신도시 분기점 ~ 북로 분기점 전 구간) | |
1996년 7월 1일 | 종점 행정구역 명칭 변경 (인천직할시 중구 운서동 →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 | [7] |
1997년 8월 27일 | 노선명을 수도권신공항고속도로에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인천국제공항선)로 변경 | [8] |
1997년 9월 26일 | 배후지원단지 나들목 위치 변경으로 도로구역 변경 | [9] |
1998년 12월 18일 | 북인천 나들목 진입도로 확장 등으로 도로구역 변경 | [10] |
2000년 6월 9일 | 영종대교휴게소 및 홍보관 예정 위치 변경 (인천광역시 중구 중산동 → 서구 경서동) | [11] |
2000년 11월 20일 | 전 구간 준공 | |
2000년 11월 21일 | 공항신도시 분기점 ~ 북로 분기점 40.2km 전 구간 개통 | [12] |
2000년 12월 5일 | 정식 개통 | |
2001년 8월 25일 | 기점과 종점 변경 (고양 → 인천에서 인천 → 고양), 노선번호 변경 (제20호 → 제130호) | [13] |
2009년 1월 31일 | 금산 나들목 개통 | |
2010년 4월 6일 | 검암 나들목 신설을 위한 도로구역 변경 (인천광역시 서구 시천동 ~ 경서동 5.76km 구간, 2011년 12월까지) | [14] |
2010년 12월 28일 | 도로명주소 고시 (공항신도시 분기점 ~ 북로 분기점 38.55km 구간을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로 명명) | [15] |
2011년 12월 29일 | 검암 나들목 신설 공사 기간 연장 (~ 2012년 12월) | [16] |
2013년 1월 4일 | 검암 나들목 신설 공사 기간 연장 (~ 2013년 1월) | [17] |
2013년 2월 4일 | 검암 나들목 신설 공사 기간 연장 (~ 2013년 12월) | [18] |
2013년 6월 20일 | 청라 나들목 서울 방향 진출입로 건설을 위한 도로구역 변경 (~ 2013년 12월) | [19] |
2013년 6월 27일 | 청라 나들목 개통 | [20] |
2013년 12월 27일 | 청라 나들목 신설 공사 기간 연장 (~ 2014년 6월) | [21] |
2014년 5월 9일 | 영종대교기념관이 기념관 겸용 휴게소로 재개장 및 영종대교휴게소로 명칭 변경 | [22] |
2014년 7월 1일 | 청라 나들목 신설 공사 기간 연장 (~ 2014년 12월) | [23] |
2015년 1월 5일 | 청라 나들목 신설 공사 기간 연장 (~ 2015년 6월) | [24] |
2015년 2월 11일 | 영종대교에서 106중 추돌사고 발생 | |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 고시로 기점(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과 종점(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강매동) 명시 | [26] |
2015년 7월 1일 | 제2여객터미널 진입도로 공사로 공항입구 분기점 임시 폐쇄 (영종해안북로 공항입구 분기점 ~ 운북 나들목 구간 포함) | [27] |
2015년 7월 3일 | 청라 나들목 신설 공사 기간 연장 (~ 2015년 9월) | [25] |
2015년 10월 2일 | 청라 나들목 신설 공사 기간 연장 (~ 2016년 3월) | [28] |
2016년 3월 24일 | 청라 나들목 신설 공사 기간 연장 (~ 2016년 12월) | [29] |
2017년 2월 10일 | 공항입구 분기점 재개통 | [30] |
2018년 1월 18일 | 신공항 요금소 명칭을 인천공항 요금소로 변경 | [31] |
2018년 2월 5일 | 인천공항 요금소에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도입 | [32] |
2021년 9월 13일 | 검단 나들목 신설을 위한 도로구역 변경 (인천광역시 서구 시천동 600m 구간, 2027년까지) | [33] |
2023년 10월 1일 | 통행료를 일반 고속도로 수준으로 인하하고, 영종도 주민 통행료 면제 시행 | |
2027년 | 검단 나들목 개통 예정 |
대한민국 고속도로 제130호선으로, 수도권의 두 공항인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국제공항을 연결하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건설되어 2000년에 개통되었다. 총 공사비는 1.744조원이 투입되었다.[1] 신공항하이웨이 주식회사가 관리하며, 통행료는 전 구간 동일 요금을 본선요금소에서 지불하는 방식이다.[2]
3. 구성
이 고속도로는 영종도와 한반도(인천광역시)를 연결하며, 인천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 서울 시내를 잇는 주요 교통로 역할을 한다. 운서역 부근부터 계양역 부근까지는 인천국제공항철도가 도로와 나란히 달린다.
주요 구조물로는 다음과 같은 다리가 있다.3. 1. 차로수
wikitext
구간 | 차로수 |
---|---|
노오지 분기점 ~ 북로 분기점 | 왕복 6차로 |
영종대교 (중산동, 서단) ~ 북인천 나들목 (영종대교 구간) | 왕복 6차로 |
인천공항 기점 ~ 영종대교 (중산동, 서단) | 왕복 8차로 |
북인천 나들목 ~ 노오지 분기점 | 왕복 8차로 |
3. 2. 총 연장
36.55km3. 3. 제한 속도
전 구간 최고 속도는 100km/h, 최저 속도는 50km/h이다. 단, 영종대교 하부도로 구간의 최고 속도는 80km/h이다.3. 4. 터널
4. 나들목 · 분기점
거리
거리
공항로
영종해안북로1050번길
4
북인천
N.Incheon
(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영종대교 하부도로 진출입만 가능
인천방향 진입과 고양방향 진출만 가능
나들목 진출 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북청라 나들목과 간접 연결
구 신공항 요금소
진출입 시 인천공항 요금소 옆차로 이용
국도 제48호선 (공항대로·김포대로·개화동로)
서울특별시도 제88호선(올림픽대로)
방화대로
인천방향의 경우 올림픽대로(강동방향) 진출 불가능
고양방향의 경우 평택파주고속도로(평택방향) 진출 불가능
국도 제77호선 (자유로 · 강변북로)
고양방향의 경우 자유로(파주방향) 진출 불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