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래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래과는 인간도에서 일래과를 증득하고 천상도에서 1생을 산 후 다시 인간도에 태어나 열반에 드는 것을 의미한다. 일래과를 증득한 후 천상도와 인간도를 최대 1번 왕래하므로 '일왕일래' 또는 '일왕래'라고도 한다. 일래과는 욕계 수혹 9품 중 하상품, 하중품, 하하품의 탐, 진, 치만 남아 있는 상태로, 박탐진치, 즉 탐·진·치가 희박해진 자라고도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향사과 - 아라한
    아라한은 불교에서 깨달음을 얻어 존경받는 성자를 뜻하는 말로, 부파불교 이후 부처와 구분되어 제자들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경지로 여겨지며, 대승불교에서 그 개인적 해탈 추구가 폄하되기도 하지만 숭배의 대상이 되기도 하는 등 불교 전통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사향사과 - 불환향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일래과
기본 정보
아일랜드 국기
국기
공식 명칭아일랜드 공화국 (Republic of Ireland)
수도더블린
인문
인구약 500만 명 (2021년 기준)
공용어아일랜드어
영어
민족 구성아일랜드인
기타 (소수 민족)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대다수)
정치
정치 체제의원내각제 공화국
대통령마이클 D. 히긴스
총리사이먼 해리스
의회양원제 (에레크타슈)
역사
독립1922년 12월 6일 (영국-아일랜드 조약)
공화국 선포1949년 4월 18일
지리
위치유럽 북서부, 아일랜드 섬의 대부분
면적70,273 제곱킬로미터
경제
통화유로 (€, EUR)
GDP (명목)4,970억 달러 (2022년)
1인당 GDP (명목)99,237 달러 (2022년)
주요 산업제약
정보 기술
금융
농업
기타
국가 코드IE
국제 전화 코드+353
국가 도메인.ie

2. 정의 및 용어

일래(一來)는 문자적으로 '한 번 온다'는 뜻으로, 불교 수행의 단계 중 하나이다. 일래과를 증득하면 다음 생에 천상도(6욕천)나 인간도에 한 번 태어난 후 열반에 든다고 한다.

엄밀하게는 천상도인간도를 한 번씩 왕래하므로 '일왕일래(一往一來, 한 번 가고 한 번 오는 자)' 또는 '일왕래(一往來)'라고도 불린다.[22]

일래과를 증득한 생과 열반에 드는 생을 포함하면, 최대 세 번의 생을 거쳐 열반에 이르게 된다.

2. 1. 일래 · 일왕일래 · 일왕래

인간도에서 일래과를 증득한 후 그 생을 마치면, 천상도 (6욕천)에 태어나 1생을 산 후 다시 인간도에 태어나 열반에 든다. 천상도 (6욕천)에서 일래과를 증득한 후 그 생을 마치면, 인간도에 태어나 1생을 산 후 다시 천상도 (6욕천)에 태어나 열반에 든다. 즉, 1번의 왕래를 거친 후에 다시 태어나는 일이 없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일래'(一來, 한 번 오는 자)라고 한다.[19][20][21]

엄밀히 말해, 일래과를 증득한 후 천상도와 인간도, 혹은 인간도와 천상도를 최대 1번 왕래하므로 '일왕일래'(一往一來, 한 번 가고 한 번 오는 자) 또는 '일왕래'(一往來)라고 한다.[22]

인간도와 천상도의 2생, 또는 천상도와 인간도의 2생을 1생으로 헤아리지 않고 각각의 생을 1생으로 하여 열반에 들기까지의 생의 수를 헤아리면, 일래과를 증득한 생과 열반에 드는 생을 포함하여 최대 총 3생을 통해 열반에 들게 된다. 다음 표에서 '단멸에 소요되는 생'에서의 1생은 쌍의 1생, 즉 2생을 뜻한다.

3향3과단멸한 번뇌단멸에 소요되는 생별도 명칭
예류향견혹알 수 없음, 견혹은 단박(16심)에 끊어짐
예류과
일래향욕계 수혹 ① 상상품(上上品)최대 2생
욕계 수혹 ② 상중품(上中品)최대 1생
욕계 수혹 ③ 상하품(上下品)최대 1생가가 3생가가
욕계 수혹 ④ 중상품(中上品)최대 1생가가 2생가가
욕계 수혹 ⑤ 중중품(中中品)최대 1생
일래과욕계 수혹 ⑥ 중하품(中下品)
불환향욕계 수혹 ⑦ 하상품(下上品)최대 1생일간
욕계 수혹 ⑧ 하중품(下中品)일간
불환과욕계 수혹 ⑨ 하하품(下下品)
합계욕계 수혹 9품견도 후 열반까지 최대 7생


2. 2. 박탐진치

일래과(一來果)는 3불선근(三不善根), 즉 , , 를 기준으로 보면, 욕계의 수혹(修惑) 9품 중 하상품(下上品) · 하중품(下中品) · 하하품(下下品)의 · · 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일래과를 '''박탐진치(薄貪瞋癡)''', 즉 '''탐 ·· 치가 희박해진 자'''라고도 한다.[23]

3. 수행 단계

일래과를 증득한 후 인간도에서 생을 마치면 천상도(6욕천)에 태어나 1생을 산 후 다시 인간도에 태어나 열반에 든다. 천상도(6욕천)에서 일래과를 증득하고 생을 마치면 인간도에 태어나 1생을 산 후 다시 천상도에 태어나 열반에 든다. 즉, 1번 왕래 후 다시 태어나지 않으므로 '일래'(一來, 한 번 오는 자)라고 한다.[19][20][21]

엄밀히 말하면, 일래과를 증득한 후 천상도와 인간도, 혹은 인간도와 천상도를 최대 1번 왕래하므로 '일왕일래'(一往一來, 한 번 가고 한 번 오는 자) 또는 '일왕래'(一往來)라고도 한다.[22]

인간도와 천상도의 2생, 또는 천상도와 인간도의 2생을 각각 1생으로 계산하면, 일래과를 증득한 생과 열반에 드는 생을 포함하여 최대 총 3생을 통해 열반에 들게 된다.

3. 1. 번뇌의 단멸

인간도에서 일래과를 증득한 후 그 생을 마치게 되면, 천상도 즉 6욕천에 태어나서 1생을 산 후 다시 인간도에 태어나서 열반에 들게 된다. 천상도 (6욕천)에서 일래과를 증득한 후 그 생을 마치게 되면, 인간도에 태어나서 1생을 산 후 다시 천상도에 태어나서 열반에 들게 된다. 즉, 1번의 왕래를 거친 후에 다시 태어나는 일이 없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일래'(一來, 한 번 오는 자)라고 한다.[19][20][21]

또한, 보다 엄밀히 말해, 일래과를 증득한 후 천상도와 인간도, 혹은, 인간도와 천상도를 최대 1번 왕래하므로 '일왕일래'(一往一來, 한 번 가고 한 번 오는 자) 또는 '일왕래'(一往來)라고 한다.[22]

인간도와 천상도의 2생, 또는 천상도와 인간도의 2생을 1생으로 헤아리지 않고 각각의 생을 1생으로 하여 열반에 들기까지의 생의 수를 헤아려보면, 일래과를 증득한 생과 열반에 드는 생을 포함하여 최대 총 3생을 통해 열반에 들게 된다. 다음 표에서 '단멸에 소요되는 생'에서의 1생은 쌍의 1생 즉 2생을 뜻한다.

3향3과단멸한 번뇌단멸에 소요되는 생별도 명칭
예류향견혹알 수 없음, 견혹은 단박(16심)에 끊어짐
예류과
일래향욕계 수혹 ① 상상품(上上品)최대 2생
욕계 수혹 ② 상중품(上中品)최대 1생
욕계 수혹 ③ 상하품(上下品)최대 1생3생가가
욕계 수혹 ④ 중상품(中上品)최대 1생2생가가
욕계 수혹 ⑤ 중중품(中中品)최대 1생
일래과욕계 수혹 ⑥ 중하품(中下品)
불환향욕계 수혹 ⑦ 하상품(下上品)최대 1생일간
욕계 수혹 ⑧ 하중품(下中品)일간
불환과욕계 수혹 ⑨ 하하품(下下品)
합계욕계 수혹 9품견도 후 열반까지 최대 7생


참조

[1] 경전 중아함경 제127경 〈복전경〉(福田經)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9-04
[2] 경전 중아함경 제30권 제127경 〈복전경〉(福田經) https://kabc.dongguk[...] 2022-09-04
[3] 경전 대승의장 제17권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9-04
[4] 논서 아비달마구사론 제24권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28
[5] 논서 아비달마구사론 제24권 https://kabc.dongguk[...] 2022-08-28
[6] 사전 일래과(一來果) 불교사전 2022-08-28
[7] 사전 一來果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2022-08-27
[8] 사전 四向四果 불광대사전 2022-08-28
[9] 사전 十八有學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2022-08-28
[10] 사전 一往一來 불광대사전 2022-08-28
[11] 사전 斯陀含 불광대사전 2022-08-28
[12] 사전 九品惑(구품혹) 불교사전 2022-08-28
[13] 사전 구품혹[九品惑] 시공 불교사전 2022-08-28
[14] 사전 九品惑 불광대사전 2022-08-28
[15] 사전 九品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2022-08-28
[16] 사전 九品惑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2022-08-28
[17] 사전 一來果補特伽羅 불문망 2022-08-27
[18] 논서 아비달마구사론 제24권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28
[19] 논서 아비달마구사론 제24권 https://kabc.dongguk[...] 2022-08-28
[20] 사전 일래과(一來果) 불교사전 2022-08-28
[21] 사전 一往一來 불광대사전 2022-08-28
[22] 논서 아비달마구사론 제24권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28
[23] 논서 아비달마구사론 제24권 https://kabc.dongguk[...] 2022-08-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